KR100299011B1 -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11B1
KR100299011B1 KR1019990026252A KR19990026252A KR100299011B1 KR 100299011 B1 KR100299011 B1 KR 100299011B1 KR 1019990026252 A KR1019990026252 A KR 1019990026252A KR 19990026252 A KR19990026252 A KR 19990026252A KR 100299011 B1 KR100299011 B1 KR 10029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silver
reaction
re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8231A (ko
Inventor
이재승
이보협
Original Assignee
이재승
이보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승, 이보협 filed Critical 이재승
Priority to KR1019990026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0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8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8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2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noble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inorganic sub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5/00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 G03C5/26Processes using silver-salt-containing photosensitive materials or agents therefor
    • G03C5/395Regeneration of photographic processing agents other than developers; Replenishers therefor
    • G03C5/3954Electrical methods, e.g. electroytic silver recovery, electrodia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리드프레임(lead frame) 또는 도금생산업체들이 은이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무기성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염화은 상태로 함유된 폐 슬러지를 물과 함께 각각 동일한 3단계의 순환장치를 사용하여 분쇄, 교반을 통하여 반응성을 좋게한 다음 치오황산나트륨을 첨가하여 선택적으로 치오황산은 착이온으로 용해시켜 탈수한 여액으로 전기분해하여 수율 96%, 순도 96-98%의 은을 회수하는 방법.

Description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THE METHOD OF COLLECTION OF SILVER FROM INORGANIC WASTE SLUDGE}
본 발명은 무기질 폐 슬러지 특히 리드프레임(lead frame) 생산업체 또는 도금업체들이 은이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중에 고형물로서 포함되어 있는 은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슬러지중에 염화은 상태로 존재하는 은만을 용해하여 여액을 얻고 이를 전기분해하여 순도 96-98%의 은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상기와 같은 슬러지 처리 방법으로 폐기물 수집업자들이 슬러지를 수집 건조하여 다른 고품위의 구리 화합물과 배합하여 재련소에 납품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같은 슬러지로 은을 회수하는 방법은 시도된바 없었다.
폐기물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다른 분야의 예는 폐기되는 X-Ray 필림으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이 알려져있다.
이 방법은 감광성 물질인 할로게화은(Silver Haliders)을 바인더인 젤라틴에균일하게 분산시킨 유제, 그리고 사진특성, 광학적특성, 물리적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된 유기질 및 무기물의 첨감제로 인해 무기물로 구성된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과는 차이가 있으며, 은 회수량이 한정되어 있다.
현재 국내에서 리드프레임 및 도금업체들로 부터 발생하는 월 300톤에 가까운 무기슬러지의 재활용 차원에서 은을 회수함에 목적이 있고 이에 따라 폐슬러지의 분쇄입도의 미세화를 위한 분쇄기의 개발, 은과 반응하는 황산염의 조절, 전체공정의 배열설계, 전해질의 선택을 통하여 폐슬러지에 함유된 은의 회수율을 최대한 높히고 다른 금속 불순물이 함유되지 않는 고순도의 은을 회수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하겠다.
도 1 - 본 발명의 은(Ag)회수 공정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원료는 리드프레임 또는 도금업체들이 은이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로서 고형물로서 은이 염화은 형태로 함유되며 그 구성성분은 생산 업체마다 각각 다르고 생산시기에 따라 서로 달라질수 있으나 대표적인 슬러지의 예를 들면 표1 과 같다.
표1 무기슬러wl 구성 성분표
위와 같은 무기질 폐 슬러지를 사용하여 은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 1도에서와 같이 공정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수탱크(4)로 부터 분쇄기(1)를 통헤 반응조(1)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분쇄기(1)에 원료슬러지를 공급하면서 분쇄하여 반응조(1)에 투입되고 슬러지투입이 완료되면 치오황산나트륨을 반응조에 첨가하여 1-2 시간동안 반응조(1) 분쇄기(1) 반응조(1)로 순환시키면서 분쇄와 동시에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탱크(1)을 거쳐 탈수기(1)에서 반응슬러지를 탈수한다음 1차 여액은 1차 탈수액탱크(1)로 보내지고 1차 슬러지는 분쇄기(2)로 이송되어 분쇄되면서 반응조(2)에 투입되어 3차 탈수액탱크(3)로 부터 유입되는 3차여액, 소량의 치오황산나트륨 첨가와 함께 반응조(2) 분쇄기(2) 반응조(2)로 순환시키면서 일정시간 분쇄, 반응, 1차슬러지에 첨착된 반응액의 세척과정을 거쳐 반응액 탱크(2)로 유입되고 탈수기(2)에서 반응슬러지를 탈수한 다음, 2차 여액은 2차 탈수액탱크(2)를 경유하여 반응조(1)에 공급되고, 2차 슬러지는 분쇄기(3)로 이송되어 분쇄되면서 반응조(3)에 투입되어 저수탱크(4)로 부터 유입되는 순수와 함께 반응조(3) 분쇄기(3) 반응조(3)로 순환시키면서 일정시간 분쇄, 2차 슬러지의 세척 과정을 거쳐 반응액 탱크(3)으로 이송되어 탈수기(3)에서 슬러지를 탈수한 다음, 3차 여액은 3차 탈수액탱크(3)을 거쳐 반응조(2)로 이송되고 3차 슬러지는 폐기된다.
한편, 1차 탈수액탱크(1)의 1차여액은 전해액 탱크(1)에 이송되고 이와 연결 순환되도록한 전해조(1)에서 전기 분해하여 은을 회수하고 은이 회수된 폐액은 폐수처리로 이송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진 은회수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분쇄기(1)에 투입되는 원료 슬러지와 반응조(1)에 유입되는 물의 비는 원료슬러지 1톤에 대하여 물 3-4톤을 사용하게 되고 반응조(1)에 투입되는 치오황산나트륨(Na2S2O3)의 량은 원료슬러지에 함유된 염화은의 함량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나 먼저 원료슬러지 내의 은의 함량을 계산한 다음 염화은과 반응할수 있는 화학당 량을 산출하고 이량(100%) 대하여 100-110% 범위내에서 투입하면 된다.
이 량을 초과하면 동이 용해되어 전기 분해에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반응조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원료슬러지내에 염화은 상태로 존재하는 염화은과 치오황산나트륨 5수화물(Na2S2O35H2O)과 반응하여 티오황산은 착이온 [Ag(S2O3)2]-3이 생성되면서 용해하고 그 반응식은 ①과 같다.
AgCl + 2Na2S2O33[NA]++ [Ag(S2O3)2]-3+ NaCl ---- ①
또 반응조(1)에서는 원료슬러지 내에 함유된 염화은과 치오황산나트륨 5수화물과의 반응이 대부분 일어나고 반응조(2)와 반응조(3)으로 갈수록 반응이 미미해지며 반응조(3)에서는 반응이 극히 미미하고 오히려 2차 슬러지에 첨착되어 있는 반응액을 세척하는 정도라할수 있으며 탈수기(1)는 필터 프레스로 7kg/㎠ 의 압력으로 약 6시간 탈수하게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심분리기로 사용할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된 탈수액은 1차 탈수액 저장탱크에 보내어 은 전해회수액으로 한다.
필터프레스내에 형성된 케이크(cake)는 분리하여 1차 분쇄때와 같은 방법으로 2차 분쇄하여 탈수한다.
다만 2차 분쇄시에 사용되는 물은 3차 탈수액을 사용하며, 2차 분쇄시에는 1차 분쇄시와 달리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의 투입량이 소량이며, 탈수액은 2차 탈수액 저장탱크에 보냈다가 1차 분쇄시 반응조에 공급한다.
1차 탈수시 형성된 케이크를 세척하므로써 은 회수율은 높일 수 있으나 케이크의 대부분이 수산화 알루미늄 석회유이므로 점도가 높고 단단하여 세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시 분쇄하여 탈수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2차 탈수 케이크는 분리하여 1, 2차 분쇄때와 같은 방법으로 3차 분쇄 탈수한다.
3차 분쇄기 사용하는 물은 은으로 오염되지 않은 순수를 사용하며, 3차 탈수액은 3차탈수액 저장탱크에 보냈다가 2차 분쇄시에 사용한다.
이와 같이 3차에 걸쳐서 탈수와 분쇄를 반복하여 탈수액을 순차로 재사용함으로써 은회수율을 높힐 수 있다.
3차탈수후 형성된 캐이크는 분리하여 폐기한다.
위에서 설명한 1, 2, 3차 분쇄탈수에 사용되는 장치는 각각 별도의 장치로 순환되게 사용하므로서 은회수율 및 작업능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3차 이상의 분쇄 탈수장치를 사용할수도 있지만 은회수율과 에너지 소모량을 비교할 때 불리하다.
그리고 여기에서 사용하는 분쇄기는 원통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이 있고, 회전축에는 날카로운 날이 80-100여개 부착되어 있고, 회전수는 2320RPM 투입구와 배출구는 분쇄기와 반응조 사이를 물이 순환되도록 배관이 되어 있고 슬러지가 효과적으로 분쇄되도록 고안 설계된 장치로서 재질은 모두 SUS 316으로 제작되었고, 반응조는 물 5톤 용량의 철재 원형 탱크로서 내부는 에폭시수지로 도장되어있고 교반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반응물질을 운송하는 펌프가 부착되어 있으며, 덜 분쇄된 슬러지가 순환 분쇄되도록 분쇄기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와 제조공정으로 실시한 1차 탈수액 탱크(1)에서는 원료슬러지중의 은 약 80%정도를 회수하고, 2차 탈수액 탱크(2)에서는 탈수기(1)에서 생성된 1차 슬러지중의 은 80%를 3차 탈수액탱크(3)에서는 탈수기(2)에서 생성된 2차 슬러리에 잔류한 은 85%까지 회수하므로서 전체 탈수액으로서 은외수율은 99.6% 까지 회수할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탈수액으로 전기분해하는 방법은 전해조의 전해액 탱크에 1차 탈수액을 체운다음 1.5-2.5V의 전압으로 용액중의 은이 완전히 석출될 때 까지 상온에서 2-3일간 전기분해하면 석출된 금속 은입자가 음극에 부착된다.
이 부착된 은을 음극으로 부터 분리하여 건조하면 순도 96-98%의 은이 회수되며 회수율은 96%이다.
전기 분해가 완료된 전해액은 별도로 폐수 처리한다.
표(2)는 1차 탈수액에 용해된 금속이온의 농도로 다음과 같다.
이상의 1차 탈수액에는 염화은을 분해하기 위하여 사용한 치오황산나트륨외에는 다른 염류가 들어있지 않으며 다만 슬러지에서 선택적으로 용해된 은 이온과 약간의 구리이온 이외에는 다른 금속이온은 거의 함유되지 않으므로 전기분해시 전류밀도가 아주 낮아 전해소요 시간이 너무 길어진다. 뿐만 아니라 장기간 유지될때에는 치오황산나트륨이 서서히 분해되기 시작하여 일부 발생되는 유화수소로 인하여 일부 은이 유화은으로 되어 흑색침전이 발생하게된다.
일단 생성된 유화은은 전극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전기 분해 완료후 별도로 처리하지 않는한 폐수에 유입되고 만다.
따라서 전해액의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절 방법중 가장 경제적인 전해질은 폐 X-Ray 정착액으로 1차 탈수액 10에 대하여 1-3 비율로 혼합사용한다.
이와 같은 X-Ray 정착액의 성분은 Na2S2O340g/ℓ, Na2SO320g/ℓ, K 명반 1g/ℓ, 빙초산 5㎖/ℓ정도로 이와 같은 구성성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 밖에 전해질로서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Na2SO3)등으로 전해액에 대하여 각각 1-4%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전해액의 사용범위를 최소치 이하로 사용하면 전해속도가 극히 느려 비능률적이라 할수 있으며, 최대치 이상으로 사용하면 폐수처리에도 문제가 있지만 투입량에 비해 전해속도로 얻는 잇점이 없으므로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은을 회수하는 방법을 부분적으로 설명했지만 이를 요약하면 은 함유무기물 폐 슬러지 1부에 대하여 물 3-4부와 슬러지에 함유된 은과 반응할수 있는 치오황산나트륨(Na2S2O35H2O)의 학당량보다 약 10% 초과된 범위의 량을 첨가하여 충분히 분쇄, 교반하여 반응시킨 다음 반응 슬러지를 탈수하여 여액을 얻고 여기에 전해질로서 폐 X-Ray 정착액,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첨가 전해액으로하여 전기분해하므로서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이라 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은의 회수방법은 리드프레임 생산업체 또는 도금업체들이 은이 함유된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기되는 슬러지로 부터 부가가치를 갖는 은을 회수하므로서 폐기물 활용차원에서 평가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 할 수 있고 더욱이 상호 순환하는 3단계의 분쇄, 교반 및 반응과정으로 거치므로 높은 회수율과 고품위의 은을 회수할수 있는 방법이라할수 있으며 또한 최종 슬러지 또한 손상없이동재련에 이용할수 있게 하는 폐기물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은 회수 방법이라 할수있다.

Claims (2)

  1. 은 함유무기물 폐 슬러지 1부에 대하여 물 3-4부와 슬러지에 함유된 은과 반응할수 있는 치오황산나트륨(Na2S2O35H2O)의 화학당량보다 약 10% 초과된 범위의 량을 첨가하여 충분히 분쇄, 교반하여 반응시킨 다음 반응 슬러지를 탈수하여 여액을 얻고 여기에 전해질로서 폐 X-Ray 정착액, 염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첨가 전해액으로 하여 전기분해하므로서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2. 저수탱크(4)로 부터 분쇄기(1)를 통해 반응조(1)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분쇄기(1)에 원료슬러지를 공급하면서 분쇄하여 반응조(1)에 투입되고 슬러지투입이 완료되면 치오황산나트륨을 반응조에 첨가하여 1-2시간동안 반응조(1) 분쇄기(1) 반응조(1)로 순환시키면서 분쇄와 동시에 반응시킨 다음 반응액탱크(1)을 거쳐 탈수기(1)에서 반응슬러지를 탈수한다음 1차 여액은 1차 탈수액탱크(1)로 보내지고 1차 슬러지는 분쇄기(2)로 이송되어 분쇄되면서 반응조(2)에 투입되어 3차 탈수액탱크(3)로 부터 유입되는 3차여액, 소량의 치오황산나트륨 첨가와 함께 반응조(2) 분쇄기(2) 반응조(2)로 순환시키면서 일정시간 분쇄, 반응, 1차 슬러지에 첨착된 반응액의 세척과정을 거쳐 반응액 탱크(2)로 유입되고 탈수기(2)에서 반응슬러지를 탈수한 다음, 2차 여액은 2차 탈수액탱크(2)를 경유하여 반응조(1)에 공급되고, 2차 슬러지는 분쇄기(3)로 이송되어 분쇄되면서 반응조(3)에 투입되어 저수탱크(4)로 부터 유입되는 순수와 함께 반응조(3) 분쇄기(3) 반응조(3)로 순환시키면서 일정시간 분쇄, 2차 슬러지의 세척 과정을 거쳐 반응액 탱크(3)으로 이송되어 탈수기(3)에서 슬러지를 탈수한 다음, 3차 여액은 3차 탈수액탱크(3)을 거쳐 반응조(2)로 이송되고 3차 슬러지는 폐기된다.
    한편, 1차 탈수액탱크(1)의 1차여액은 전해액 탱크(1)에 이송되고 이와 연결 순환되도록한 전해조(1)에서 전기 분해하여 은을 회수하고 은이 회수된 폐액은 폐수처리로 이송되는 공정으로 구성되어진 은회수 공정
KR1019990026252A 1999-06-30 1999-06-30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KR10029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252A KR100299011B1 (ko) 1999-06-30 1999-06-30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252A KR100299011B1 (ko) 1999-06-30 1999-06-30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231A KR20000058231A (ko) 2000-10-05
KR100299011B1 true KR100299011B1 (ko) 2001-09-22

Family

ID=1959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252A KR100299011B1 (ko) 1999-06-30 1999-06-30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01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045A (en) * 1979-06-08 1980-12-20 Nanao K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ing and recovering gold and silver
US4406752A (en) * 1981-11-12 1983-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winning of noble metals
US4406753A (en) * 1982-01-19 1983-09-27 Ciba-Geigy Ag Electrolytic metal recovery cell and operation thereof
JPH0762454A (ja) * 1993-08-23 1995-03-07 Mitsubishi Materials Corp 高Ag含有銀精鉱の回収方法
JPH08309360A (ja) * 1995-05-19 1996-11-26 Hitachi Ltd 被酸化性物質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US5753125A (en) * 1995-05-19 1998-05-19 Kreisler; Lawrence Method for recovering and separating metals from waste streams
KR0153201B1 (ko) * 1995-12-01 1998-11-16 김무 은 박리공정에서 방출되는 폐유기용액의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045A (en) * 1979-06-08 1980-12-20 Nanao Kogyo Kk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olving and recovering gold and silver
US4406752A (en) * 1981-11-12 1983-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winning of noble metals
US4406753A (en) * 1982-01-19 1983-09-27 Ciba-Geigy Ag Electrolytic metal recovery cell and operation thereof
JPH0762454A (ja) * 1993-08-23 1995-03-07 Mitsubishi Materials Corp 高Ag含有銀精鉱の回収方法
JPH08309360A (ja) * 1995-05-19 1996-11-26 Hitachi Ltd 被酸化性物質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US5753125A (en) * 1995-05-19 1998-05-19 Kreisler; Lawrence Method for recovering and separating metals from waste streams
KR0153201B1 (ko) * 1995-12-01 1998-11-16 김무 은 박리공정에서 방출되는 폐유기용액의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8231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4478B (zh) 一种用铝电解产生的含电解质物料制备氟化铝为主成分氟盐的方法
CN85109224A (zh) 黄金回收工艺过程
CN107190143A (zh) 一种全湿法回收复杂低品位硫化矿中有价元素的工艺
CN105217869B (zh) 一种冶炼烟气制硫酸中产生的废酸的资源化方法
WO2018072499A1 (zh) 一种从硫酸体系含铜废液中回收碱式氯化铜的方法
CN1986458A (zh) 电石渣及其废水的处理方法
CN100389892C (zh) 尿素法水合肼副产盐碱回收处理方法
CN106186437A (zh) 一种生产粘胶纤维中制造除盐水产生的废水的处理工艺
CN108862729A (zh) 一种氯碱盐泥分质回收综合利用的方法
CN106542506A (zh) 一种从沉碲废液中回收硒的方法
CN112359224B (zh) 一种含镉的镍钴溶液净化除镉的方法
CN105883884A (zh) 一种以硫脲废渣为原料制备工业氯化钙的方法
KR100299011B1 (ko) 무기물 폐 슬러지로 부터 은을 회수하는 방법
CN101195478A (zh) 一种脱除固体碲粉中杂质硒的方法
CN113060752A (zh) 萤石浮选尾矿再利用方法
CN107604163B (zh) 一种无渣化处理电镀污泥的工艺
CN115305574B (zh) 一种利用磷石膏与盐水快速制备晶须的方法
CN110407219A (zh) 一种提高高岭土白度的制备工艺
CN113620305A (zh) 一种钠化改性的膨润土制备工艺
US4012297A (en) Mercury recovery and recycle process
CN214681698U (zh) 氧化铜粉末的制备装置
US3163598A (en) Method for disposal of industrial waste water
CN104755640A (zh) 从铅矿渣回收锌
CN112607760A (zh) 一种水泥窑旁路放风灰资源化利用系统及方法
JP4118495B2 (ja) 泥漿の再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