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935B1 - 보링지그 및 보어홀에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보링지그 및 보어홀에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935B1
KR100297935B1 KR1019960034497A KR19960034497A KR100297935B1 KR 100297935 B1 KR100297935 B1 KR 100297935B1 KR 1019960034497 A KR1019960034497 A KR 1019960034497A KR 19960034497 A KR19960034497 A KR 19960034497A KR 100297935 B1 KR100297935 B1 KR 10029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ing
casing
compacting body
borehole
comp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947A (ko
Inventor
귄터 헨
Original Assignee
한스 하베르어
바우어 스페찌 알티프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하베르어, 바우어 스페찌 알티프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한스 하베르어
Publication of KR97000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26Drilling without earth removal, e.g. with self-propelled burrowing devices
    • E21B7/265Combined with earth remov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서 보어홀을 만들기 위한 보링 또는 드릴링 지그와, 상기 보링지그를 사용하여 보어홀에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링지그는 절단헤드가 달린 보링로드와, 보어홀벽 또는 케이싱에서 제거된 흙을 치밀하게 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컴팩팅 몸체를 가진다. 컴팩팅 몸체는 케이싱에 있는 하나의 원주상 영역과 결합하고, 한편 컴팩팅 몸체의 대향영역은 케이싱에서 이격되어 있고 또 자유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절단헤드는 제거된 흙을 자유공간으로 운반하고, 자유공간에서 해방된 또는 푸석푸석한 흙이 컴팩팅 몸체의 회전에 따라 케이싱으로 가압된다. 상기 보링지그의 도움을 받아 보어홀에서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흙은 절단헤드의 도움을 받아 제거되고, 다음에 제거된 흙이 절단헤드 후방으로 배출되고, 컴팩팅 몸체의 도움을 받아 제거된 흙이 절단헤드 바로 뒤에 있는 케이싱으로 이동되고, 파일재료가 보어홀내로 삽입된다.

Description

보링지그 및 보어홀에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라 지면에서 보어홀(bore hole)을 만들기 위한 드릴링 또는 보링지그에 관한 것이며, 또한, 청구항 12항의 전제부에 따라 보어홀에 파일(pile)을 만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보링지그는 독일특허 제 42 28 580 C1호에 공지되어 있다. 본래의 장소에 콘크리트 변위파일을 만들기 위한 공지된 어스 보어러(earth borer)는 절단헤드와, 부드러운 벽의 원추형 변위몸체를 가진다. 원추형 변위몸체의 가장 큰 외경은 적어도 절단헤드에 의해 구멍이 뚫린 보어홀만큼 크다. 절단헤드에 의해 제거된 흙은 어스 보어러가 보어홀벽 또는 케이싱으로 추진됨에 따라 변위몸체에서 외부로 형태를 이루며 이동된다. 이러한 변위원리는 가압하기 위해 높은 축방향 스러스트를 필요로 한다. 동시에 변위몸체가 케이싱과 원주전체에 걸쳐 접촉함에 따라, 마찰력을 극복하기 위해 높은 드릴링 또는 보링토크를 필요로 한다. 또한 변위몸체는 중대한 마모에 노출된다.
DE 32 18 995는 풀려 있고 압축가능한 흙에서 보어홀을 만들기 위한 공구 및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 공지된 드릴링 또는 보링공구는 아래로 데이퍼지는 여러개의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고, 이 부재는 공구팁으로서 맨드릴에서 끝난다. 높은 스러스트에 의해 드릴이 땅속으로 가압될 수 있고, 공구의 회전결과 땅이 측방향으로 치밀화하게 된다. 이러한 나선형 컴팩션 원리의 경우에는 높은 스러스트 및 높은 토크가 요구된다. 게다가, 드릴링 공구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흙의 치밀화를 이용하여 유사한 보어홀 제조원리는 DT 24 39 063 A1에 따른 지그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지그는 회전 크랭크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는 원추형 엘리먼트를 가진다. 이 지그에서 보어홀이 흙의 치밀화에 의해 즉 어떤 절단운동이 없이 단독으로 만들어지면, 상기 지그는 기본적으로 푸석푸석한 흙의 경우에만 적절하다. 복잡한 메카니즘때문에 상기 지그는 손상을 입기가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스러스트 및 낮은 보링토크의 경우에 보어홀을 만들 수 있고, 또는 제거된 흙을 케이싱내로 가압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히 구성된 보링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땅에 파일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지그의 제1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지그의 제2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지그의 저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파일이 만들어지고 있는 보링지그 및 보어홀의 개략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보링로드 2 : 앵귤러섹션(angular section)
3 : 절단헤드 6 : 컴팩팅 몸체
15 : 경사각 16 : 구멍
17 : 자유공간 21 : 보어홀
23 : 회전축 30 : 보링지그
31 : 파일재료
전제부에 따른 보링지그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즉 컴팩팅 몸체(compacting body)가 변위롤러로서 회전대칭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또 보링로드의 앵귤러섹션(angular section)에 배치되고, 컴팩팅 몸체가 케이싱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상 영역과 결합하고, 한편 방사상으로 향한 원주상 영역이 케이싱에서 이격되어 컴팩팅 몸체와 케이싱사이의 자유공간을 형성하고, 절단헤드는 제거된 흙을 컴팩팅 몸체와 케이싱사이의 자유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갖춘 절단비트로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러한 보링지그에 의해, 먼저 종래 방식대로 절단헤드가 흙을 제거함으로써 보어홀을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보링지그는 강도가 큰 흙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트형 절단헤드의 외경은 보어홀 직경을 미리 결정한다. 비트형 절단헤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멍에 의해, 제거된 흙이 보어홀의 종축선에 대해 각도상으로 또는 경사진 방법으로 배열된 컴팩팅 몸체와 케이싱사이에 형성된 자유공간으로 운반된다. 컴팩팅 몸체가 케이싱 원주상 영역과 결합하고 또 절단헤드 및 보링로드에 연결되면, 드릴링 회전중에 컴팩팅 몸체는 케이싱의 원주전체를 따라 진행한다. 이러한 컴팩팅 몸체의 회전중에 컴팩팅 몸체가 제거된 흙을 치밀하게 하여 케이싱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컴팩팅 몸체의 쐐기형 표면에 의해 용이하게 행해진다.
컴팩팅 몸체만이 케이싱의 원주의 일부와 결합하기 때문에 단지 제한된 마찰이 발생하고, 이것이 필요한 드릴링 토크 및 공구마모에 적극적 영향을 준다. 치밀화(compaction)는 반드시 컴팩팅 몸체의 회전운동을 통해 달성되므로 이러한 보링지그의 경우 비교적 작은 스러스트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컴팩팅 몸체의 회전축은 보어홀 종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회전축은 보링로드 및 절단헤드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컴팩팅 몸체의 형상과 함께, 경사각에 의해 흙의 효과적인 치밀화 및 이동을 위해 컴팩팅 몸체와 케이싱사이의 접촉영역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케이싱과 컴팩팅 몸체간의 마찰을 더욱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몸체를 회전방법으로 장착되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케이싱을 따라 진행하면 컴팩팅 몸체가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이것이 제거된 흙을 케이싱내로 떠미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로딩상태에 관하여, 특히 컴팩팅 몸체의 피봇 베어링에 관하여, 보어홀 축선에 대한 회전축의 경사각 또는 보어홀 종축선 대한 보링로드의 앵귤러섹션의 경사각은 3°와 30°사이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컴팩팅 몸체는 컴팩팅 롤러로서 회전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균일한 구름운동을 초래한다. 회전대칭의 컴팩팅 몸체는 원통형, 원추형 또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엘리먼트로부터 형성된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컴팩팅 몸체의 직경은 보어홀의 직경보다 작다.
어떤 용도의 경우에는 컴팩팅 몸체가 다각형 몸체인 것이 유익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컴팩팅 몸체가 다각형 단면형상 예로서 8각형 또는 10각형 단면을 가진다. 다각형 컴팩팅 몸체의 결과로서 케이싱은 부분적인 평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각형 몸체는 프리즘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피라미드처럼 테이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별한 적용을 위해 삼각형 단면을 가진 컴팩팅 몸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 컴팩팅 몸체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컴팩팅 몸체는 원추형이고, 원추각은 보어홀 종축선에 대한 회전축의 경사각에 의존한다. 원추형 또는 절두원추형 컴팩팅 몸체는 가장 큰 직경영역에서 절단헤드를 향해 테이퍼지는 보링지그에 배치된다. 원추각 즉, 컴팩팅 몸체의 원주면의 경사는 회전축의 경사각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컴팩팅 몸체의 측방향 표면의 영역이 케이싱에서 평행하게 결합한다.
컴팩팅 몸체의 이런 형상의 더욱 유익한 개량에 따라 컴팩팅 몸체가 이중 원추형(biconical)이다. 이런 경우에 컴팩팅 몸체는 가장 큰 직경의 중심영역에서부터 컴팩팅 몸체의 대칭축을 따라 양방향으로 테이퍼진다. 2개의 절두원추형 절반의 경사 및 범위는 회전축에 따라 선택되어서 컴팩팅 몸체의 양절반이 동시에 케이싱의 다른 지점에 결합하게 된다. 이것은 더욱 양호한 치밀화를 초래하고 동시에 컴팩팅 몸체의 피봇 베어링을 회복시킨다.
본 발명의 보링지그의 다른 양호한 개량에 따라, 절단비트는 컴팩팅 몸체와 함께 경사져 있다. 절단비트의 절단티스(cutting teeth)는 이 경우 비트의 하향영역에 배치된다. 절단비트의 다른 영역이 보어홀의 바닥에서 경사지며 이격되어 있으면, 이 영역에서 중대한 마모감소가 달성된다.
건축재 예로서 고무 또는 콘크리트를 파일을 만들기 위한 보어홀에 삽입하는 것에 있어서, 유리하게도 보링로드는 중공로드로서 구성되고, 중공의 공간이 절단비트의 관통구멍으로 향하여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익한 실시예에 따라, 보링로드에는 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핑 디바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한 파이핑 디바이스는 푸석푸석한 흙에서 비교적 깊은 보어홀을 뚫을 때 특히 적절하다.
방법의 견지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보링지그를 사용하여 보어홀에 파일을 만드는 방법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방법은 구동력을 받은 절단헤드에 의해 흙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흙을 절단헤드 뒤로 배출하는 단계와, 절단헤드 바로 뒤에 있는 회전 컴팩팅 몸체에 의해 제거된 흙을 케이싱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파일재료를 보어홀에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런 방법에서, 파일은 효율적 방법으로 실제로 흙의 배출이 없이 단일 보링지그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다. 흙의 배출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파일제조방법은 특히 오염된 흙 예로서 쓰레기 무더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한 흙의 경우 제거된 흙 재료의 특별한 폐기가 규정되어 있고, 이것은 높은 비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유익한 개선은 파일재료가 보링로드 및 절단헤드를 통해 보어홀내로 통과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파일재료가 추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보어홀을 판 직후에 삽입될 수 있다.
양호하게도, 파일재료는 경화성 건축재, 자갈 또는 모래로서 구성된다. 경화성 건축재를 이용하면 봉구조 엘리먼트 특히 본래 콘크리트 기둥 또는 가압파일을 만들 수가 있다. 지지기둥과는 별도로, 자갈 또는 모래의 사용은 배수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파일재료는 제거된 흙의 일부와 결합제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믹스트인 플레이스(mixed-in-place)방법에 따라 보어홀에서 직접 만들어진다.
특히, 양호한 실시예는 컴팩팅 몸체와 함께 보어홀내에 남아있는 보링지그가 파일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시키게 만들고, 또 지역적 파일직경 확장부를 만들기 위해 파일재료가 케이싱내로 이동된다. 절단헤드의 부근에서 보어홀내에 파일재료의 부분적 삽입에 의하여, 절단헤드가 더이상 제거된 흙을 운반하지 않지만, 그 대신에 파일재료를 컴팩팅 롤러로 운반한다. 이제 컴팩팅 롤러가 파일재료를 측방향으로 케이싱내로 가압하므로 이 영역에서 파일단면의 확장이 달성된다. 보어홀에서 보링지그의 위치의 역할에 따라, 결과적으로 샤프트 또는 푸트영역에서 헤드 팽창 또는 단면확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익한 개선에 따라, 보링지그는 승강 또는 행정운동을 수행한다. 단면확장의 양호한 치수의 역할에 따라, 대응하는 파일재료량이 컴팩팅 롤러의 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영역내로 운반되어야 한다. 지역적 단면 확장의 영역에서 가역적 행정운동의 수행을 통해, 한편으로 절단헤드를 통해 파일재료를 양호하게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 의도한 파일확장높이에 걸쳐 파일재료의 균일한 분포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도면에 따라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보어홀(21)을 파내기 위한 본 발명의 보링 또는 드릴링 지그(30)를 도시한다. 보링지그(30)는 피동보링로드(1)를 구비한다. 보링로드(1)는 그 하단부에 앵귤러섹션(2)을 가지고, 이 앵귤러섹션에 비트형 절단헤드(3)가 끼워지고, 절단헤드가 적어도 한 부분에서 보어홀(21)의 바닥에서 흙을 제거하기 위한 방사상으로 배치된 절단티스(5)를 가진다.
도3은 절단헤드(3)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절단헤드(3)는 비트모양이고, 중공의 보링로드(1)를 위한 관통구멍(4)을 가진다. 절단티스(5)의 부근에서 절단헤드(3)에 부분절개부(cut-out)(16)가 제공되어 있고, 이 절개부를 통해 해방된 흙재료가 절단헤드(3)에 의해 위로 운반된다.
도1 및 2는 절단헤드(3)위에 롤러형 컴팩팅 몸체(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컴팩팅 몸체(6)는 2개의 측면이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또 원주면(8)을 갖춘 제1하향테이퍼링 원추형 절반(7)과, 원주면(10)을 갖춘 제2상향테이퍼링 원추형절반(9)을 가진다.
베어링(11)에 의해 컴팩팅 몸체(6)는 드릴링 또는 보링로드(1)의 앵귤러섹션(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어링(11)은 패킹으로서 구성된 밀봉부(12)에 의해 방진 및 방수되도록 밀봉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보링로드(1)의 앵귤러섹션(2)은 컴팩팅 몸체(6)를 위한 회전축(23)을 형성한다. 컴팩팅 몸체(6)의 회전축(23)과 보어홀 종축선(24)사이에 경사각(15)이 있다. 컴팩팅 몸체(6)의 제1 및 제2원추형 절반(7,9)은 원주면의 영역에서 경사각(15)이 보어홀 종축선(24)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보어홀(21)의 벽(13)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컴팩팅 몸체(6)는 보어홀 벽 또는 케이싱(13)과 접촉하는 원주면(8,10)의 영역들이 각 경우에 방사상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양호한 컴팩팅 작용과 동시에 베어링(11)의 경감을 초래한다.
보링 또는 드릴링은 보링로드(1)가 보어홀 종축선(24)에 해당하는 축선에 대해 회전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일어난다. 절단티스(5)에 의해 방출된 흙은 바닥에서 부터 부분절개부(16)를 통해 컴팩팅 몸체(6)과 케이싱(13)사이에 위치한 자유공간(17)으로 운반된다. 방출된 물질은 케이싱(13)에 대해 이중 원추형 컴팩팅 몸체(6)의 덤블링(tumbling) 운동에 의해 가압된다. 이것은 보어홀(21)주위에 치밀화된 흙영역(14)을 초래한다. 양호한 치밀화 및 중요한 드릴링 진행은 경사각(15)이 2°와 30°, 특히 3°와 10°사이에 있는 경우에 달성된다.
이중 원추형 컴팩팅 몸체의 원주면(8,10)의 배치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한 영역에서 케이싱(13)에 평행하도록 선택된다. 후방향의 제2원추형 절반(9)의 경사를 위해, 상단으로 향하는 원주면의 경사는 원주면(10)이 보어홀 종축선(24)을 향해 약간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선택되고, 이것이 보링과정의 끝에서 보링지그(30)의 추출을 용이하게 만든다.
본 방법의 결과로서, 중공링로드(1)의 회전운동중에, 이중 원추형 컴팩팅 몸체(6)는 앵귤러섹션(2)에 대해 회전하고, 또 보링은 컴팩팅 몸체(6)를 통해 케이싱(13)내로 유압적으로 가압된다.
보링 또는 드릴링 과정은 심한 지동이 없도록 발생된다. 덧붙여, 제거된 흙이 케이싱(13)안으로 가압됨으로써 위로 운반되는 흙이 없다. 보어홀(21) 주위에는 강한 흙이 치밀화와 함께 원주영역(14)이 형성되어 있다. 시험결과는 컴팩팅 몸체(6)에 의해 가해진 컴팩팅 힘이 케이싱(13)에 대해 수평으로 가해져서 자갈조차도 부서질정도로 크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원주영역(14)에서의 치밀화는 케이싱(13)의 적절한 강도가 얻어지도록 크다. 따라서 케이싱(13)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
보링로드(1)에 관한 컴팩팅 몸체(6)의 운동은 흙의 특성, 접촉압력 및 보링로드의 회전속도에 의존한다. 흙의 강도는 대체로 보어홀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상부 보어홀 영역에서 컴팩팅 몸체(6)는 보링을 비교적 쉽게 케이싱(13)내로 가압할 수 있고, 상기 몸체(6)가 회전축(23)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보어홀의 깊이가 증가하고 흙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회전운동이 감소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보링지그(3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보어홀 벽 또는 케이싱(13)을 위한 추가의 지지부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파이핑 디바이스(19)가 보링헤드 뒤로 하강된다. 상기 파이핑 디바이스(19)의 직경은 실제로 컴팩팅 몸체(6)의 최대 유효직경에 해당한다. 파이핑 디바이스(19)는 보링로드(1)의 진행과는 무관하게 보어홀(21)내로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파이핑 디바이스(19)는 연결수단(20)에 의해 보링로드(1)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스페이서와 같은 연결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또 파이핑 디바이스(19)가 드라이버(24)에 의해 하강된다는 점에서 달성된다. 드라이버(24)는 보링로드(1)의 외측원주에 단단히 끼워지고 또 스러스트를 연결수단에 적극 전달한다. 파이핑 디바이스(19)는 보링로드(1)에 회전 또는 비회전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링로드(1)에 파이핑 디바이스(19)가 회전장착되는 경우에는 관지지부와 케이싱(13) 사이에 마찰이 거의 없다.
도4는 본 발명의 파일 만들기의 경우 보링지그(30)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보어홀(21)을 파낸 후에 보링지그(30)는 보어홀(21)내의 오목한 지점에 남아있게 된다. 중공의 보링로드(1)에 의하여, 절단헤드(3)에 있는 구멍(4)을 사용하여 파일재료(31) 예로서 콘크리트 또는 자갈이 보어홀(21)내로 삽입된다. 보링지그(30)의 회전운동의 결과, 파일재료(31)가 절단헤드(3)에 의하여 자유공간(17)으로 운반된다.
자유공간(17)은 하향에서 비트형 절단헤드(3)로서 끝나고, 상향에서 보어홀(21)의 나머지에 관하여 컴팩팅 몸체(6)의 상부에서 끝난다. 보링로드(1)와 컴팩팅 로드(6)의 회전에 의하여, 이전에 제거된 흙과 같이 파일재료(31)가 케이싱(31)내로 가압되고, 이것이 형성해야 할 파일에서 단면확장부(32)를 초래한다.
파일의 단면확장부(32)의 치수는 파일재료(31)가 케이싱(13)내로 가압되는 과정의 주기에 따라, 그리고 보링지그(30)의 시프트높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단면확장부(32)의 단부에서 보링지그(30)가 보어홀(21)에서 추출되고, 보어홀에는 파일재료(31)로 완전히 채워진다.
본 방법은 진동을 일으키지 않고 흙은 제거하면서 본래 콘크리트 기둥을 만들고, 자갈 기둥 및 모래 드레인을 도입하고 또한 아마츄어 보어 및 가압파일을 만드는데 특히 적합하다.

Claims (15)

  1. 보링로드와, 흙을 제거함으로써 보어홀을 만들기 위해 보링로드에 끼워진 절단헤드와, 제거된 흙을 치밀화하여 케이싱으로 옮기기 위해 절단헤드 뒤에 배치된 컴팩팅 몸체를 가지며 땅에 보어홀을 만들기 위한 보링지그에 있어서,
    상기 컴팩팅 몸체(6)가 변위롤러로서 회전대칭으로 구성되며 또 보링로드(1)의 앵귤러섹션(2)에 배치되고, 상기 컴팩팅 몸체(6)가 케이싱(13)에 있는 원주상 영역과 결합하고, 한편 방사상으로 향한 원주상 영역이 케이싱에서 이격되어 컴팩팅 몸체(6)와 케이싱(13)사이의 자유공간(17)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헤드(3)는 제거된 흙을 컴팩팅 몸체(6)와 케이싱(13)사이의 자유공간(17)으로 배출하기 위해 구멍(16)과 절단티스(5)를 갖춘 절단비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보어홀 종축선(24)에 대하여 앵귤러 섹션(2)의 경사각(15)은 2°와 30°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컴팩팅 몸체(6)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팩팅 몸체(6)는 다각형 몸체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컴팩팅 몸체(6)는 원추형이고, 원추각이 보어홀 종축선(24)에 대하여 회전축(23)의 경사각(15)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컴팩팅 몸체(6)는 최대 직경영역에서부터 절단헤드(3)를 향해 데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컴팩팅 몸체(6)는 이중 원추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절단비트(3)는 컴팩팅 몸체(6)와 함께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보링로스(1)는 중공의 로드로서 구성되고, 로드의 중앙공간이 절단비트(3)에 있는 관통구멍(4)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10. 제1항에 있어서, 케이싱(13)을 지지하기 위한 파이핑 디바이스(13)가 보링로드(1)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링지그.
  11. 제1항에 있어서, 피동하는 절단헤드(3)에 의해 흙을 제거하는 단계와, 제거된 흙을 절단헤드(3) 뒤로 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헤드(3) 바로 뒤에 있는 컴팩팅 몸체(6)로서 케이싱(13)으로 제거된 흙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파일재료(31)를 보어홀(21)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재료(31)는 보링로드(1) 및 절단헤드(3)를 통해 보어홀(21)내로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경화성 건축재, 자갈 또는 모래가 파일재료(31)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컴팩팅 몸체(6)를 갖는 보링지그(30)는 지역적 파일직경 확장부(32)를 만들기 위해 파일재료(31)의 적어도 부분삽입을 동반하면서 파일재료(31)를 케이싱(13)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보링지그(30)는 보어홀(21)에서 승강 또는 행정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34497A 1995-08-21 1996-08-20 보링지그 및 보어홀에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 KR100297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0718A DE19530718C1 (de) 1995-08-21 1995-08-21 Boh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fahles in einem Bohrloch
DE19530718.6 1995-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47A KR970009947A (ko) 1997-03-27
KR100297935B1 true KR100297935B1 (ko) 2001-10-24

Family

ID=777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497A KR100297935B1 (ko) 1995-08-21 1996-08-20 보링지그 및 보어홀에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25201B2 (ko)
KR (1) KR100297935B1 (ko)
CN (1) CN1068084C (ko)
DE (1) DE19530718C1 (ko)
IT (1) IT1283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9882C1 (de) * 1997-07-11 1998-10-22 Bauer Spezialtief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Bohrpfahls
ATE338195T1 (de) * 2004-02-16 2006-09-15 Beheersmij Verstraeten B V Erdverdrängungsbohrer
JP2011152186A (ja) * 2010-01-26 2011-08-11 Nakano Refrigerators Co Ltd リーチインショーケース
CN102031778B (zh) * 2010-12-09 2012-07-25 哈尔滨工业大学 用于季节性冻土地区的螺旋桩
JP6311951B1 (ja) * 2017-06-22 2018-04-18 ジャパンパイル株式会社 孔の壁面の掘削装置及び掘削方法
CN112921957B (zh) * 2021-01-22 2022-03-25 温州城建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深厚回填土填充墙基础施工工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9063C3 (de) * 1974-08-14 1981-09-17 Institut gornogo dela Sibirskogo otdelenija Akademii Nauk SSSR, Novosibirsk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ohrlöchern im Boden
CA1177059A (en) * 1981-05-20 1984-10-30 Valentin I. Feklin Tool forming a hole in macroporous compressible soil and a method of forming a hole by the same tool
DE4228580C1 (de) * 1992-09-01 1993-10-28 Strabag Bau Ag Erdbohrer zum Herstellen eines Ortbeton-Verdrängungspfah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83788B1 (it) 1998-04-30
JP3025201B2 (ja) 2000-03-27
DE19530718C1 (de) 1996-09-26
CN1068084C (zh) 2001-07-04
ITMI961738A1 (it) 1998-02-09
JPH09112171A (ja) 1997-04-28
ITMI961738A0 (ko) 1996-08-09
CN1151468A (zh) 1997-06-11
KR970009947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836A (en) Ground anchor device
US4595059A (en) Method of providing a conductor pipe to an opening portion of a well
US5823276A (en) Diamond-tipped core barrel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297935B1 (ko) 보링지그 및 보어홀에 파일을 만들기 위한 방법
JP6212147B2 (ja) 砕石杭
JPH0536565B2 (ko)
JPH07286324A (ja) ドレーン層付き杭又はドレーン柱の施工方法及びそれらに使用する施工装置
CN211623308U (zh) 一种用于复杂地质快速成孔的桩基组合设备
US5219249A (en) Reinforced concrete load-bearing pile forming device
RU2170804C2 (ru) Бу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ширяемой скважины
GB2132667A (en) Method of installing precast concrete piles
JP4471513B2 (ja) 既存杭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302693A (ja) 掘削工法
KR0144777B1 (ko) 나선홈내기용 오거드릴과, 이 오거드릴로 지중 홀의 주벽에 나선홈을 시공하는 방법 및 나선홈에 의해 지지력이 보강된 지중말뚝
CN216110510U (zh) 超厚覆盖层大直径嵌岩灌注桩钻进设备
DE10336315A1 (de) Vertikalboh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Erstellung im wesentlichen vertikal ausgerichteter Grossbohrungen in Grundformationen
RU227821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бивной сваи
EP061066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festigen einer Deponie von vorverdichtetem Altmüll unter Erschliessung von zusätzlicher Aufnahmekapazität für Frischmüll
CN220185115U (zh) 复合地层中盾构机外壳包裹体处理装置
RU21215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катки скважин в грунте
EP3938615B1 (en) A rock crushing unit for widening a pilot hole made on rocky terrain
JPH0643217Y2 (ja) 地盤改良装置
RU216923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бивной сваи
EP0664373B1 (en) A tool and method of boring and filling the borehole with concrete without removing soil therefrom
RU2114248C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длинномерных элем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й из грун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