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429B1 - 드럼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429B1
KR100297429B1 KR1019980007957A KR19980007957A KR100297429B1 KR 100297429 B1 KR100297429 B1 KR 100297429B1 KR 1019980007957 A KR1019980007957 A KR 1019980007957A KR 19980007957 A KR19980007957 A KR 19980007957A KR 100297429 B1 KR100297429 B1 KR 10029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pm
detection
predetermined
amount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3324A (ko
Inventor
백승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CA00224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CA2242994C/en
Priority to US09/113,902 priority patent/US6029299A/en
Priority to AU76155/98A priority patent/AU751192B2/en
Priority to GB9815281A priority patent/GB2327502B/en
Priority to DE19831617A priority patent/DE19831617B4/de
Publication of KR1999001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324A/ko
Priority to US09/515,627 priority patent/US6158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행정에서 포풀림과정을 수행시 일정 시간 동안 알피엠(RPM)의 변화를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도록 한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세탁조의 RPM이 기 설정된 일정 RPM에 도달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다단의 절대 RPM 구간별로 측정 RPM 피크치의 해당 회수를 카운트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ST111∼ST114)와, 상기 절대 RPM 구간별로 기 설정된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다단의 기준 회수와 카운트된 상기 측정 RPM 피크치의 해당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ST121∼ST126)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A method for sensing Inertia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수행정에서 포풀림과정을 수행시 일정 시간 동안 분당회전수(이하 "RPM"이라 칭함)의 변화를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도록 한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세탁기의 세탁조 구동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전원에 의하여 구동되어 세탁조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3)와, 상기 모터(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4)와, 상기 속도감지부(4)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와 키패드(도시 생략됨)의 선택신호 및 각종 센서(도시 생략됨)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전체 시스템에 다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제어부(1)와, 상기 연산/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3)를 정/역회전되게 하는 모터구동부(2)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조 구동회로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행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탁행정시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연산/제어부(1)가 속도감지부(4)를 통한 모터(3)의 회전속도 감지값과 키패드(도시 생략됨)의 선택신호 및 각종 센서(도시 생략됨)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전체 시스템에 다수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연산/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구동부(2)가 스위칭되어 모터(3)에 외부전원에 의한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모터(3)가 정회전되어 가속되고, 이 회전력을 클러치(도시 생략됨)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은 펄세이터(도시생략됨)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세탁조에 담긴 세탁물과 기계적 마찰작용이 일어난다.
이러한, 연산/제어부(1)에 의한 모터(3)의 정회전 제어는 모터(3)가 제어 RPM을 유지하도록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게 된다.
이후에,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소정시간 동안 모터(3)를 오프시켜 감속 및 정지를 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3)를 오프시킨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연산/제어부(1)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모터구동부(2)를 스위칭시켜 모터(3)에 외부전원에 의한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게 한다.
그러면, 모터(3)가 역회전되어 구동방향이 변경되고, 회전력을 클러치(도시 생략됨)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받은 펄세이터(도시 생략됨)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세탁조에 담긴 세탁물과 기계적 마찰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연산/제어부(1)에 의한 모터(3)의 역회전 제어는 모터(3)가 제어 RPM을 유지하도록 일정시간 동안 지속되게 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소정시간 동안 모터(3)를 오프시켜 감속 및 정지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산/제어부(1)에 의한 모터(3)의 정/역회전 제어는 전체 세탁 시간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탈수행정은 도 2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풀림행정 진입시도 회수(PC)와 기 설정된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탈수행정 진입을 결정하거나 언발란스 에러를 판단하는 에러 판단단계(ST11,ST11∼ST13)와, 상기 에러 판단단계(ST11,ST11∼ST13)를 통해 탈수행정 진입이 결정되면 세탁조를 소정의 정속도로 역회전시켜 포풀림행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정 시간 후 RPM 변화량을 측정하여 세탁조내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풀림 단계(ST21∼ST22)와, 상기 세탁조를 소정의 정속도로 정회전시켜 RPM 변화량을 기초로 하여 편심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기 설정된 기준 편심값과 측정된 편심량을 비교하여 편심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편심 판단단계(ST31∼ST32)와, 상기 편심 판단단계(ST31∼ST3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에러 판단단계 내지 편심 판단단계(ST11∼ST32)를 재수행하는 재차 포풀림 단계(ST41)와, 상기 편심 판단단계(ST31∼ST3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세탁조를 특정 RPM으로 회전시켜 세탁조내 포를 탈수시키는 본탈수 단계(ST51)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탈수행정이 시작되면 포풀림행정 진입이 시도되는데 이때의 진입시도 회수(PC)는 카운트되어 연산/제어부(1)에 저장된다.
그러면, 연산/제어부(1)는 기 설정된 기준 회수(예; 40회)와 카운트된 진입시도 회수(PC)를 비교하여 기준 회수 이상으로 포풀림행정 진입이 시도되면 세탁조내 포의 언발란스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부(도시 생략됨)를 통하여 언발란스 에러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세탁기의 모든 동작이 멈추도록 각종 주변장치를 제어한다.(ST11∼ST13)
이때, 연산/제어부(1)는 진입시도 회수(PC)가 기준 회수 이하임이 판단되면 모터구동부(2)를 통해 모터(3)를 제어하여 세탁조가 소정 RPM으로 역회전되도록 하는 포풀림행정을 수행한다.(ST21)
동시에, 세탁조가 포풀림행정의 수행으로 소정 RPM으로 정속도 제어될 때 소정 기간 후 RPM 변화량을 체크하여 세탁조내의 포량을 감지한다.(ST22)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를 "나" RPM(예; 50 RPM)으로 역회전시켜 포풀림 과정을 행하되 소정 시간이 경과된 "A"시점에서의 RPM 변화를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일 예로, 모터(3)의 1회전시 홀센서에 의한 펄스파가 10개 발생할 경우에 1초마다 펄스개수를 기억시키면 각 1초마다의 RPM을 환산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최초 1초동안 펄스가 100개 인식됨과 아울러 다음 1초에 펄스가 150개 인식되었다면 처음은 10회/1초 회전하였으므로 600 RPM으로 환산됨과 아울러 다음 1초는 15/1초로 회전하였으므로 900 RPM으로 환산된다.
또는, 한 펄스당 시간을 측정하여 RPM 파악이 가능한데 1펄스의 시간이 100msec였다면 102× 10-3× 60 = 600 RPM으로 환산된다.
그리고, 연산/제어부(1)가 세탁조의 RPM이 "나" RPM을 유지하도록 정속도 제어를 행하더라도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A"시점에서의 RPM은 "나" RPM을 벗어나게 된다.
즉, "나" RPM은 드럼 내부의 포가 드럼벽에 붙지 않는 회전속도이므로 세탁조의 회전에 따라 포의 위치가 변화되는데 드럼내의 포가 도 4의 (가)지점에서 바닥으로 떨어짐에 따라 속도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포가 적을시에는 (가)지점에서 바닥으로 포가 떨어질 때 RPM의 변화가많이 발생되고, 포가 많을시에는 계속해서 같은 양의 포가 드럼의 바닥으로 떨어지므로 RPM의 변화가 적게 발생된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a)의 포가 존재할 경우에는 포가 (가)지점에서 바닥으로 떨어진 후 다시 (가)지점에 도달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포가 (가)지점으로 이동할 때의 속도와 (가)지점에서 낙하할 때의 속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a)(b)(c)의 포가 모두 존재할 경우에는 포가 (가)지점에서 낙하한 후에도 (b)(c)와 같은 포가 연동되어 (가)지점으로 이동되므로 속도 변화는 많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포량에 따른 RPM 변화 원리를 이용하여 세탁조내의 포량을 감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연산/제어부(1)는 도 3의 "B" 시점에 이르면 탈수행정 진입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모터(3)의 RPM을 소정 RPM 즉, "가" RPM으로 상승시킨다.("가" RPM은 세탁조의 회전으로 인하여 세탁물이 세탁조의 측벽에 붙어 같이 회전할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함)
이때, 정회전되게 정속도 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C" 시점에 이르면 속도감지부(4)를 통해 감지되는 RPM의 변화량을 기초로 하여 편심량을 측정한다.(ST31)
그리고, 측정된 편심량과 기 설정된 기준 편심값을 비교하여 편심통과 여부를 판단한다.(ST32)
이후, 연산/제어부(1)는 기준 편심값과 측정된 편심량의 비교 결과에 따라선택적으로 즉, 본탈수 진입 불가로 판단되면 포풀림행정 진입시도 회수(PC)를 1회 증가시킨 후 기 설정된 기준 회수(예; 40회)와 재차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재차 포풀림행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준 편심값과 측정된 편심량의 비교 결과가 본탈수 진입 가능으로 판단되면 세탁조를 특정 RPM으로 회전시켜 세탁조내 포를 탈수시키는 본탈수 과정을 수행한다.(ST51)
한편, 상기한 단계 ST22에서의 포량 감지 시점인 "A"시점은 포풀림행정의 진입 시점 이후 충분하게 긴 시간 간격을 주어야 하는 데, 이는 시간 간격을 충분하게 설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포량 감지에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높기 때문이다.
즉, 포풀림행정의 진입 시점과 "A" 시점간은 RPM의 변화가 수렴과정에 진입하기 전이므로 RPM의 흔들림이 커 포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포량이 적다고 판정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은 모터에 일정위상각을 인가한 후 RPM이 안정된 상태에서 포량을 판단하므로 안전상태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포량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경우에는 편심통과 여부 판단시 편심량 오차가 발생되어 불필요하게 편심판단 진입 시도 회수가 증가됨과 아울러 재차 포풀림행정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서, 탈수행정에서 포풀림과정을 수행시 일정 시간 동안 RPM의 변화를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도록 한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다단의 RPM 구간에서 측정 RPM 값의 해당 회수를 카운트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와, 절대 RPM 구간별로 기 설정된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다단의 기준 회수와 카운트된 측정 RPM 피크치의 해당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기준 RPM에 도달한 회수를 카운트하여 포량 감지 진입 회수에 따라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와,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다단의 기준 회수와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와, 카운트된 포량 감지 진입 회수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일 때 회전 속도 측정단계와 회전 속도 비교단계를 재차 수행하는 재수행단계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수단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세탁조 구동회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드럼 세탁기의 탈수행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종래 드럼 세탁기의 탈수행정 진입시의 알피엠 그래프.
도 4는 드럼 세탁기의 포풀림 과정 중 드럼내 포의 위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량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포량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RPM파형의 일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산/제어부 2 : 모터구동부
3 : 모터 4 : 속도 감지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포량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세탁조의 RPM이 기 설정된 일정 RPM에 도달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다단의 RPM 구간에서 측정되는 RPM 중 꼭대기 값의 해당 회수를 카운트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ST111∼ST114)와, 상기 RPM 구간별로 기 설정된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다단의 기준 회수와 카운트된 측정되는 RPM의 꼭대기 값의 해당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ST121∼ST126)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량 감지방법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풀림행정을 일정 시간(예; 8 초)동안 수행 중 연산/제어부(1)는 속도감지부(4)를 통하여 감지된 세탁조의 RPM이 기 설정된 일정 RPM(예; 50 RPM)에 도달된 후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일정 시간(예; 5 초)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다단의 RPM 구간별로 측정되는 RPM의 꼭대기 값의 해당 회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한다.(ST111∼ST114)
일 예를 상술하면,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의 RPM 구간을 미리 설정하되 기초 실험을 통하여 포량 판단의 기준값도 함께 설정한다.
RPM 구간 X Y Z
측정 회수 X1 Y1 Z1
포량 판단 기준값 X11 Y11 Z11
즉, X는 50 RPM이하로 설정하고, Y는 50∼55 RPM으로 설정하며, Z는 55 RPM이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기초 실험을 통해 X11,Y11,Z11에는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될 기준 회수를 설정한다.
여기서, 기준회수 및 측정회수라함은 상기 X,Y,Z의 각 RPM구간에서 일정시간동안 일정한 파형 형태로 카운트되는 RPM 값에서 꼭대기 값의 개수를 말한다. 예로서, 속도감지부(4)를 통해 도 6에 도시된 RPM파형이 측정되었을 경우에는 X구간에서 측정되는 RPM 꼭대기 값의 개수(X1)는 2개이고, Y구간에서는 Y1은 5개이며, Z구간에서는 Z1이 3개로 측정된다.
그러면, 연산/제어부(1)는 8초간의 포풀림행정 수행 중 5초동안에 X,Y,Z의 RPM 구간별로 측정되는 RPM의 꼭대기 값의 해당 회수를 카운트하여 X1,Y1,Z1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연산/제어부(1)는 포풀림행정 중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RPM 측정이 완료되면 RPM 구간별로 기억된 해당 회수와 기 설정된 다단의 포량 판단 기준값(기준 회수)을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한다.(ST121∼ST126)
상술하면, X1 > X11의 조건을 만족 즉, 50rpm이하에 있는 RPM 꼭대기 값의 개수가 기준값보다 크면 RPM이 거의 안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포량이 많기 때문이므로 최대 포량(ZZ)으로 판단(ST121,ST124)하고, X1 > X1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Y1 > Y11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되 만족하면 Z1 > Z11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RPM 변화가 최대인 때를 의미하므로 최소 포량(XX)으로 판단한다.(ST122,ST123,ST125)
그리고, Y1 > Y11의 조건이나 Z1 > Z11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는 중간 포량(YY)으로 판단한다.(ST126)
한편, 상기한 표 1에서 RPM 구간을 X,Y,Z로 설정함과 아울러 포량 판단 기준값을 X11,Y11,Z11로 설정하되 상기 단계 ST124,ST125,ST126에서 포량 레벨을 XX,YY,ZZ로 분류하는 것은 실시예에 불가하다.
그러므로, 상기 RPM 구간과 포량 판단 기준값 및 포량 레벨을 더욱 세분화할 경우에는 상기 단계 ST121∼ST129에 걸친 본 발명의 회전 속도 비교단계가 다변화되어 복잡해지나 포량 감지값의 정확도는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량 감지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를 나타낸 것으로서, 탈수행정에 진입하기전에 포풀림행정, 포량감지행정, 편심판단행정을 거치며, 편심판단행정에서 측정된 편심값이 기준편심값 이상일 때 상기한 각각의 행정을 재수행하도록 하는 세탁기 운전 방법에 있어서 포량감지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기준 RPM에 도달한 회수를 카운트하여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에 따라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ST2111∼ST2131)와,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다단의 기준 회수와 상기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ST2211∼ST2234)와, 카운트된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일 때 상기 회전 속도 측정단계(ST2111∼ST2131)와 회전 속도 비교단계(ST2211∼ST2234)를 재차 수행하는 재수행단계(ST2301∼ST230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 속도 측정단계(ST2111∼ST2131)는 세탁조의 RPM이 기 설정된 일정 RPM에 도달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여기 설정된 기준 RPM의 도달 회수를 산출하는 기준 RPM 도달 회수 산출단계(ST2111∼ST2114)와,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소정 범위에 있을 때 상기 도달 회수를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에 따라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하는 기준 RPM 도달 회수 저장단계(ST2121∼ST2124)로 이루어져 있으며, 포량 감지 진입 회수가 기 설정된 기준값과 동일한 때에는 상기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된 복수의 도달 회수 중에 상호간에 최저 편차를 갖는 두개의 도달 회수를 조합하여 또 다른 변수에 저장하는 최저 편차 도달 회수 저장단계인 오차보상단계(ST213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호간에 최저 편차를 갖는 두 개의 도달회수를 조합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경우가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값을 합하는 것을 제시한다.
상기 회전 속도 비교단계(ST2211∼ST2234)는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중 최대 회수를 제외한 하위 회수일 때는 각각의 기준 RPM 도달 회수와 기 설정된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하위 회수 포량 감지단계(ST2211∼ST2213,ST2231∼ST2234)와,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중 최대 회수일 때는 상기 하위 회수일 때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와 상기 최대 회수일 때의 기준 RPM 도달 회수 중에서 택한 소정개의 기준 RPM 도달 회수를 합하여 저장한 오차보상값과 기 설정된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보상된 포량을 감지하는 최대 회수 포량 감지단계(ST2221∼ST2223,ST2231∼ST223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량 감지방법의 동작 및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산/제어부(1)는 포풀림행정을 일정 시간(예; 8 초)동안 수행 중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의 초기값으로 "1"을 부여한 후 속도감지부(4)를 통하여 감지된 세탁조의 RPM이 기 설정된 일정 RPM(예; 50 RPM)에 도달되면 다시 소정 시간을 경과시킨 후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기준 RPM(예; 57 RPM)에 도달되는 기준 RPM 도달 회수를 산출하여 변수 "PEAK 110"에 저장한다.(ST2111∼ST2114)
그리고, 연산/제어부(1)는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를 판단하는데 최초에는 초기값이 "1"이므로 "PEAK 110"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를 변수 W1에 저장한다.(ST2121∼ST2122)
이후, 변수 W1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와 기 설정된 다단의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즉, W1 ≥ 45의 조건을 만족하면 포량을 1레벨로 감지하고, W1 ≥ 45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W1 ≥ 30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포량을 2레벨로 감지하며, W1 ≥ 3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W1 ≥ 10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포량을 3레벨로 감지하고, W1 ≥ 1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포량을 4레벨로 감지하여(ST2122∼ST2234) 상기 연산/제어부(1)에 저장하고, 편심량판단행정에서 편심량을 측정한 후, 측정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보다 작으면 본 탈수로 진입하도록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진입 회수(3 회) 이하일 경우에는 재차 RPM을 측정하여 재차 포량을 감지하게 되는데 그보다 먼저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의 초기값에 "1"을 더 증가시킨다.(ST2301∼ST2302)
이후, 다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기준 RPM(예; 57 RPM)에 도달되는 기준 RPM 도달 회수를 산출하여 변수 "PEAK 110"에 저장한다.(ST2114)
그리고, 연산/제어부(1)는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를 판단하는데 상기 단계 ST2302에서 초기값에 "1"을 증가시켜 "2"로 판단되므로 "PEAK 110"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를 변수 W2에 저장한다.(ST2121∼ST2123)
이후, 변수 W2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와 기 설정된 다단의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즉, W2 ≥ 45의 조건을 만족하면 포량을 1레벨로 감지하고, W2 ≥ 45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W2 ≥ 30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포량을 2레벨로 감지하며, W2 ≥ 3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W2 ≥ 10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포량을 3레벨로 감지하고, W2 ≥ 1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포량을 4레벨로 감지하여(ST2122∼ST2234) 상기 연산/제어부(1)에 저장하고, 편심량판단행정에서 편심량을 측정한 후, 측정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보다 작으면 본 탈수로 진입하도록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2"이므로 기 설정된 진입 회수(3 회) 이하로 판단되므로 또다시 RPM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되 먼저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에 "1"을 더 증가시킨다.(ST2301∼ST2302)
이후, 다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기준 RPM(예; 57 RPM)에 도달되는 기준 RPM 도달 회수를 산출하여 변수 "PEAK 110"에 저장한다.(ST2114)
그리고, 연산/제어부(1)는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를 판단하는데 "3"으로 판단되므로 "PEAK 110"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를 변수 W3에 저장한다.(ST2121∼ST2124)
그러면, W1,W2,W3에는 전술한 과정에 의하여 각각의 기준 RPM 도달 회수가 저장되는데 연산/제어부(1)는 보다 정확한 포량 감지를 위하여 상호 편차가 가장 적은 두 데이터를 합산하여 변수 A에 저장한다.(ST2131)
이후, 변수 A에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와 기 설정된 다단의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한다.
즉, A ≥70의 조건을 만족하면 포량을 1레벨로 감지하고, A ≥7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A ≥40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포량을 2레벨로 감지하며, A ≥4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A ≥16의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하여 만족하면 포량을 3레벨로 감지하고, A ≥16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포량을 4레벨로 감지한다.(ST2221∼ST2223)
끝으로,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와 기 설정된 진입 회수(3 회)를 비교하는데 회수가 일치되므로 더 이상 포량을 감지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감지된 포량을 편심 판단시 기준으로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탈수행정에서 포풀림과정을 수행시 일정 시간 동안 RPM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포량을 감지함으로써, 포량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여 편심통과 여부 판단시 편심량 오차가 발생되어 불필요하게 편심판단 진입 시도 회수가 증가되거나 포풀림행정이 재차 수행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Claims (7)

  1.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다단의 RPM 구간별로 측정되는 RPM의 꼭대기 값의 해당 회수를 카운트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와,
    상기 RPM 구간별로 기 설정된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준 회수와 카운트된 RPM의 꼭대기 값의 해당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회수는 상기 각 RPM 구간별로 다단화되어 상기 회전 속도 비교단계에서 감지되는 포량의 감지레벨이 세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3. 포풀림행정과 포량감지행정과 편심량판단행정을 거쳐 본 탈수행정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세탁기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포풀림행정의 수행 중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되 기 설정된 기준 RPM이상에 도달한 회수를 카운트하여 포량 감지 진입 회수에 따라 각기 다른변수에 저장하는 회전 속도 측정단계와,
    포량 판단의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다단의 기준 회수와 상기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된 상기 기준 RPM 도달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와,
    카운트된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일 때 상기 회전 속도 측정단계와 회전 속도 비교단계를 재차 수행하는 재수행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 측정단계는 세탁조의 RPM이 기 설정된 일정 RPM에 도달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RPM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기준 RPM이상의 도달 회수를 산출하는 기준 RPM 도달 회수 산출단계와,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소정 범위에 있을 때 상기 도달 회수를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에 따라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하는 기준 RPM 도달 회수 저장단계와,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중 최대 회수일 때는 상기 각기 다른 변수에 저장된 복수의 도달 회수 중에 상호 최저 편차를 갖는 두개의 도달 회수를 조합하여 또 다른 변수에 저장하는 최저 편차 도달 회수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속도 비교단계는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중 최대 회수를 제외한 하위 회수일 때는 각각의 기준 RPM 도달 회수와 기 설정된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하위 회수 포량 감지단계와,
    상기 포량 감지 진입 회수(PC)가 기 설정된 소정 범위 중 최대 회수일 때는 상기 하위 회수일 때 저장된 기준 RPM 도달 회수와 상기 최대 회수일 때의 기준 RPM 도달 회수 중에서 택한 소정개의 기준 RPM 도달 회수와 기 설정된 기준 회수를 비교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최대 회수 포량 감지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수행단계는 회전 속도 비교단계 이후에 편심량감지수단에 의해 편심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편심량을 기준편심량과 연산/제어부가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편심량이 기준편심량보다 큰 경우에만 행하여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RPM 도달 회수 저장단계는 포량감지 진입 회수(PC)가 소정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상기 포량감지 진입 회수(PC)가 소정 범위중 최대치일 때 판단된 표량값을 연산/제어부로 리턴하고, 본 탈수로 진입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포량 감지방법.
KR1019980007957A 1997-07-14 1998-03-10 드럼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KR10029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242994A CA2242994C (en) 1997-07-14 1998-07-13 Method for detecting cloth amount in drum washing machine
US09/113,902 US6029299A (en) 1997-07-14 1998-07-13 Method for detecting cloth amount in drum washing machine
AU76155/98A AU751192B2 (en) 1997-07-14 1998-07-14 Method for detecting cloth amount in drum washing machine
GB9815281A GB2327502B (en) 1997-07-14 1998-07-14 Method for detecting clothing amount in drum washing machine
DE19831617A DE19831617B4 (de) 1997-07-14 1998-07-14 Verfahren zur Feststellung der Wäschemenge in einer Trommelwaschmaschine
US09/515,627 US6158072A (en) 1997-07-14 2000-02-29 Method for detecting cloth amount in drum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32549 1997-07-14
KR1997-32549 1997-07-14
KR1019970032549 1997-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24A KR19990013324A (ko) 1999-02-25
KR100297429B1 true KR100297429B1 (ko) 2001-08-07

Family

ID=37528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957A KR100297429B1 (ko) 1997-07-14 1998-03-10 드럼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23B1 (ko) * 2001-07-10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센서리스 비엘디씨모터 세탁기의 포량 검출방법
KR101012355B1 (ko) * 2003-07-25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방법
KR100701949B1 (ko) * 2005-02-14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24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2994C (en) Method for detecting cloth amount in drum washing machine
KR100274470B1 (ko) 드럼 세탁기의 편심 감지방법과 그 제어장치
CN110725095B (zh) 波轮洗衣机、偏心感知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080301884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0969133A1 (en) A method of detecting imbalance in a drum of a washing machine
EP1738013B1 (en) A load detection method
US7287292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EP209489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weight of the load in a washer dryer using the natural frequency response of the loaded drum
US5987679A (en) Water level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in washing machine
US7446500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rogrammable washing machine
CN207659708U (zh) 洗衣设备的脱水装置和洗衣设备
KR100297429B1 (ko) 드럼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US2008022281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8148844A2 (en) A washer/dry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90234B1 (ko) 드럼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KR10020702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215780B1 (ko) 드럼 세탁기의 발란스 제어방법
KR100519325B1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EP3739101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60776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0143215B1 (ko) 드럼세탁기의 불균형 감지방법
KR19990047136A (ko) 세탁기의 포량 감지 방법
KR100297051B1 (ko) 세탁기의포량재설정방법
JPH0790077B2 (ja) 全自動洗濯機
JPH1043471A (ja) 洗濯機の負荷量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