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884B1 -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884B1
KR100296884B1 KR1019980063347A KR19980063347A KR100296884B1 KR 100296884 B1 KR100296884 B1 KR 100296884B1 KR 1019980063347 A KR1019980063347 A KR 1019980063347A KR 19980063347 A KR19980063347 A KR 19980063347A KR 100296884 B1 KR100296884 B1 KR 100296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hose
cover
covering
convey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645A (ko
Inventor
김국일
Original Assignee
김정열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김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열,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김국일 filed Critical 김정열
Priority to KR101998006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8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8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수개의 와이어가닥이 꼬여져서 된 앵커용 인장재(1)를 공급케이스(11)로 부터 인출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로울러(12)의 회전수를 엔코더(14)로 감지하여 원하는 길이로 이송시키는 인장재 이송수단(10)과;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의 일측으로 인장재(1)의 자유장 길이만큼 피복시키는 피복호스(2)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로울러(21)의 회전수를 엔코더(22)로 감지하여 원하는 길이로 이송시키는 피복호스 이송수단(20)과;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인장재(1)의 와이어가닥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홀(33)들이 뚫어지며 인장재(1)의 꼬임상태 진행에 따라 지지대(32)로 부터 회전이 자유로운 벌징판(31)에 의해 인장재(1)를 구성하는 각 와이어들이 벌어지며 이동토록 하는 인장재 벌림수단(30)과; 이 인장재 벌림수단(30)의 일측에 위치되어 사이가 벌어진 인장재(1)의 각 와이어사이로 오일이 공급관(41)으로부터 분출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오일공급수단(40)과; 상기 앵커용 인장재(1) 및 피복호스(2)를 원하는 위치에서 절단되도록 하는 커팅수단(50)과; 상기 인장재 이송수단(10)과 피복호스 이송수단(20)에 의해 각각 인장재(1)와 피복호스(2)가 공급될 때 피복호스(2)내에 인장재(1)가 끼워지는 자유장의 조립상태 이송과 인장재(1)가 조립되지 않는 빈 피복호스(2)가 각각 진행되는 작업단계를 구분하기 위해 피복호스(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60)과; 상기 피복호스(2)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앵커 인장재(1)가 이송되어 피복되도록 물림과 해제를 반복하는 호스고정수단(70)으로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은 가이드수단의 경사레일내에 피복호스가 이미 진입된 상태에서 커팅수단의 작동에 의해 피복호스를 절단시키고, 피복호스의 입구를 인장재의 선단과 일부 물림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호스고정수단의 작동으로 홀더가 피복호스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장재 이송수단이 작동되어 인장재가 피복호스에 중복되게 조립된과 동시에 인장재는 벌림수단에 의해 각 와이어가 벌어진 상태에서 오일공급수단의 작동으로 오일이 부착되도록 하고, 가이드수단의 커버가 개방되어 경사레일에서 부터 받침레일로 자유장에 해당되는 피복호스와 인장재의 조립된 부분이 하강된 후, 호스고정수단의 홀더가 후퇴되어 피복호스의 이동이 자유롭게 물림 해제하며, 피복호스와 인장재의 경계부에는 경계부 씰링작업을 수행하고, 정착장에 해당되는 길이반큼 인장재 이송수단과 아울러, 경사레일을 커버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복호스가 피복호스 이송수단에 의해 함께 이송된 후, 커팅수단에 의해 동시 피복호스와 인장재가 절단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따라서, 일련의 작업들은 자동으로 연속 동작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또한, 작업자의 수를 현저히 줄여 인건비 저하와 생산성 향상으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화에 의해 그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앵커는 영구지반 내지 가설지반용으로 구분되어 지하구조물을 영구적 내지 임시적으로 고정시키는데 이용된다.
영구지반앵커는 지하수 침출지, 경사지, 지진발생지 등에 건축물 등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지반에 고정되는 용도로 이용된다.
또, 가설시반앵커는 공사 완료 후 제거하는 임시 구조물 고정용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용도의 그라운드 앵커는 각종 지하구조물을 건설할 때 대형의 괴목으로 토류벽 또는 지수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벽이 토압에 의해 강한 압력을 받게 되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해 지반과 벽사이를 서로 당기는 인장력이 작용된 상태로 여러곳에서 지반 깊숙히 설치된다.
그라운드 앵커의 구조는 도 1에서와 같다.
즉, 지반을 뚫고 그 구멍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와 결합 앵커용 인장재(1)를 고정하기 위한 정착장과 피복호스(2)에 의해 감싸져 콘크리트재와 분리된 상태로 오일(3)에 의해 인장이 자유로운 자유장으로 구분된다.
앵커용 인장재(1)는 수개의 가는 와이어가 꼬여져서 하나의 직경이 크고 강한 와이어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횡벽(4)의 외부에서부터 앵커용 인장재(1)의 선단을 당겨지게 하여 횡벽(4)을 지반과 인장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정착구(5)와 물림을 유지하는 웨지(6)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인장기구에 의해 앵커용 인장재(1)를 당겨지게 할 때 정착장은 지반에 결합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동되지 않게 되나 피복호스(2)의 내부에 오일에 의해 미끄럼이 자유로운 자유장위치의 앵커용 인장재(1)는 순간 인장된 후 외력을 제거하는 순간 웨지(6)에 의해 물림이 유지되어 지반과 횡판(4) 사이가 서로 당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어 큰 토압에도 횡판(4)이 무너지지 않고 견디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그라운드 앵커는 정착장의 경우 콘크리트와 큰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자유장은 인장길이를 위해 용도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 30미터 이상의 긴 길이를 유지한 상태로 제작하게 된다.
종래, 이 그라운드 앵커의 앵커용 인장재(1)와 피복호스(2)의 조립은 물론, 자유장내의 앵커용 인장재(1)에 오일을 칠하는 일련의 공정이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이루어 졌다.
따라서, 그 작업이 원시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인건비로 인해 생산 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력의 낭비를 줄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코스트를 저하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그라운드 피복앵커의 설치구조를 보인 부분절단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앵커용 인장재와 피복호스가 공급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앵커용 인장재의 공급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홀딩수단에 의해 피복호스가 고정된 상태로 앵커용 인장재에 오일이 묻혀진 상태로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앵커용 인장재와 피복호스가 커팅되는 컷팅수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가이드수단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장재 2 - 피복호스
10 - 인장재 이송수단 20 - 피복호스 이송수단
30 - 인장재 벌림수단 40 - 오일공급수단
50 - 커팅수단 60 - 가이드수단
70 - 호스고정수단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개의 와이어가닥이 꼬여져서 된 앵커용 인장재(1)를 공급케이스(11)로 부터 인출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로울러(12)의 회전수를 엔코더(14)로 감지하여 원하는 길이로 이송시키는 인장재 이송수단(10)과;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의 일측으로 인장재(1)의 자유장 길이만큼 피복시키는 피복호스(2)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로울러(21)의 회전수를 엔코더(22)로 감지하여 원하는 길이로 이송시키는 피복호스 이송수단(20)과;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인장재(1)의 와이어가닥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홀(33)들이 뚫어지며 인장재(1)의 꼬임상태 진행에 따라 지지대(32)로 부터 회전이 자유로운 벌징판(31)에 의해 인장재(1)를 구성하는 각 와이어들이 벌어지며 이동토록 하는 인장재 벌림수단(30)과;
이 인장재 벌림수단(30)의 일측에 위치되어 사이가 벌어진 인장재(1)의 각 와이어사이로 오일이 공급관(41)으로부터 분출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오일공급수단(40)과;
상기 앵커용 인장재(1) 및 피복호스(2)를 원하는 위치에서 절단되도록 하는 커팅수단(50)과;
상기 인장재 이송수단(10)과 피복호스 이송수단(20)에 의해 각각 인장재(1)와 피복호스(2)가 공급될 때 피복호스(2)내에 인장재(1)가 끼워지는 자유장의 조립상태 이송과 인장재(1)가 조립되지 않는 빈 피복호스(2)가 각각 진행되는 작업단계를 구분하기 위해 피복호스(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60)과;
상기 피복호스(2)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앵커 인장재(1)가 이송되어 피복되도록 물림과 해제를 반복하는 호스고정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단지 피복호스(2)의 입구에 앵커용 인장재(1) 선단 입구가 끼워지도록 하는 처음 시작부분의 조립작업만을 수작업으로 이루어 지게 하고, 나머지 일련의 작업들은 자동으로 연속 동작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의 수를 현저히 줄여 인건비 저하와 생산성 향상으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피복앵커가 지반에 설치된 상태를 부분절단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그라운드 앵커는 인장재(1)가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정착장과 피복호스(2)에 의해 감싸져 인장재(1)가 인장가능하도록 하는 자유장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장치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인장재 이송수단(10)과 나란하게 피복호스 이송수단(20)이 설치되어 각각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선별 이송되며 인장재(1)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벌징판(31)에 의해 벌려지는 벌림과정과 오일 공급관에 의해 오일이 공급되고, 커팅수단(50)에 의해 커팅이 이루어 지는 작업라인을 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장재 이송수단(10)과 나란하게 피복호스 이송수단(20)의 구성에 의해 인장재(1) 및 피복호스(2)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벌징판(31)에 의해 인장재(1)의 각 와이어가 벌어지는 과정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앵커용 인장재 이송수단(10)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다수의 이송롤러(12)들 사시에 압착된 상태로 상호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인장재(1)가 강제 진행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5는 호스고정수단(70)에 의해 피복호스(2)가 홀더(71)에 고정된 상태로 앵커용 인장재의 진행으로 피복호스(2)가 피복되는 상태를 요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앵커용 인장재(1)와 피복호스(2)가 커팅수단(50)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컷팅되는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인장재 이송수단(10)은 상하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이송로울러(12)들을 모터(13)로 회전시켜 그 사이에 물려진 인장재(1)가 강제 이송토록 하는 수단이다.
이송로울러(12)는 엔코더(13)에 의해 그 회전수를 감지하여 원주길이 x 회전수에 대응한 길이만큼 인장재(1)가 진행되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장재(1)는 통상 수개의 와이어가닥이 꼬여져서 소정의 직경으로 제조공장에서부터 권취되어 공급되어 지며, 공급케이스(11)에 넣어진 상태로 그 선단으로 부터 인출하여 이송로울러(12)의 소정의 이송 압력으로 원하는 시기와 길이만큼 진행되는 것이다.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의 일측으로는 피복호스 이송수단(20)이 위치된다.
이 피복호스 이송수단(20) 또한 인장재 이송수단(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하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되는 이송로울러(21)들을 모터(23)로 회전시켜 그 사이에 물려진 피복호스(2)가 강제 이송토록 하는 수단이다.
이송로울러(21)는 엔코더(22)에 의해 그 회전수를 감지하여 원주길이 x 회전수에 대응한 길이만큼 피복호스(2)가 진행되는 거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동일하다.
한편, 그라운드 앵커의 자유장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인장재(1)의 인장이 용이하도록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인장재(1)를 벌어지게 하는 인장재 벌림수단(30)이 오일 공급관(41)의 직전 위치에 설치된다.
이 인장재 벌림수단(30)은 인장재 이송수단(1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인장재(1)의 각 와이어들 가닥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홀(33)들이 큰 반경을 유지한 상태로 뚫어진 벌징판(31)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벌징판(31)은 홀(33)들이 와이어들이 꼬인상태의 정상 인장재(1)보다 큰 반경으로 뚫어지고, 지지대(32)로 부터 베어링과 같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벌징판(31)을 인장재(1)가 통과될 때 그 사이가 벌어지는 것이며 강제 이송됨에 따라 그 꼬임상태 진행에 의해 벌징판(31)이 지지대(32)로 부터 회전되는 것에 의해 인장재(1)의 이송 공급에는 지장을 주지 않게 되며 벌어진 범위를 지나서는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꼬여져서 뭉쳐지는 것이며, 그 직전위치에서 오일을 공급하여 각 와이어의 둘레에 고르게 오일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인장재 벌림수단(30)이 설치된 직 후에는 오일공급수단(40)이 설치된다.
즉,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의해 오일통(42)으로 부터 공급관(41)까지 오일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 공급관(41)은 인장재(1)가 벌어진 위치 바로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이가 벌어진 인장재(1)의 각 와이어사이로 오일이 공급관(41)으로부터 분출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오일이 부착되고 남은 대부분 오일은 오일통(42)에 모여져 다시 계속하여 순환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오일공급수단(40)은 피복호스(2)에 인장재(1)가 피복되는 자유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만 작동되고, 지반의 콘크리트와 결합되는 정착장에 해당되는 인장재에는 오일이 공급되어서는 안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인장재(1)의 이송시에 피복호스(2)내에 조립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오일 공급관(41)에서 부터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고, 정착장에 해당되는 길이를 위해 인장재(1)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오일 공급을 중단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질 수가 있다.
그리고, 정착장과 자유장에 해당되는 길이만큼 이송시킨 후에는 커팅수단(50)에 의해 절단시키게 된다.
이때, 다음의 연속 작업을 위해 피복호스 이송수단(20)에 의해 피복호스(2)가 설정된 길이만큼 가이드수단(60)내에 이미 진입되어 있게 되며, 커팅수단(50)에 의해 피복호스(2)와 인장재(1)가 동시 절단된다.
커팅수단(50)의 구성은 도면에서와 같이 얇은 절단용 그라인더(51)가 모터(52)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손잡이(53)을 당기거나, 또는 실린더(55)의 설치로 손잡이부분을 피스톤의 전진으로 회동시키는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셋팅된 시간동안 커팅작동이 이루어 지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60)은 피복호스(2)의 진입되는 라인과 인장재(1)가 진입되는 라인을 구분한 상태로 필요한 시기에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동시 진행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그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경사레일(61)과 연이어 '∪'형 단면의 받침레일(62)이 일체로 길게 충분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경계를 차단하는 커버(63)를 실린더(64)에 의해 필요 시기에 개폐토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커팅수단(50)에 의해 피복호스(2)와 인장재(1)가 동시 커팅될 때 미리 경사레일(61)에 진입되어 있던 피복호스(2)는 커버(63)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받침레일(62)에 낙하되지 않고 준비하게 되는 것이며, 받침레일(62)의 위치에서 완성된 그라운드 앵커가 수거함(66)으로 낙하된 후 피복호스(2)가 피복된 후 인장재(1)가 이동되는 시기에 받침레일(62)로 낙하될 수 있도록 커버(63)가 개폐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복호스(2)에 앵커용 인장재(1)가 이송되어 피복된 자유장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피복호스(2)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물림과 해제를 반복하는 호스고정수단(70)이 오일공급수단(40)과 커팅수단(50)사이에 설치된다.
이 호스고정수단(70)은 양측에서 실린더(72)들이 동시 전진하는 것에 의해 피복호스(2)를 홀더(71)가 홀딩하게 되는 것이며, 다시 실린더(72)의 후퇴에 의해 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피복호스 이송수단(20)이나 인장재 이송수단(10) 및 오일공급수단(40), 가이드수단 및 호스고정수단(70)의 작동은 콘트롤러(도시없음)에 셋팅된 작동시기 및 시간의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며,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팅수단(50)과 처음 피복호스(2)를 인장재(1)의 선단에 조립하는 과정에서만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진다.
그리고, 수작업이 완료 후 마련된 스위치를 접점하는 것에 의해 수작업시에는 모든 기기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 다음의 작동시기를 콘트롤러에 지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업방법을 순서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처음에는 가이드수단(60)의 경사레일(61)내에 피복호스(2)가 이미 진입된 상태에서 커팅수단(50)의 작동에 의해 피복호스(2)가 절단되고, 인장재(1)는 커팅수단(50)의 위치까지 준비된 상태에서 작동이 시작된다.
그리고, 피복호스(2)의 입구를 손으로 잡고 당겨서 인장재(1)의 선단과 일부 물림이 이루어 지도록 도 **에서와 같이 수작업을 처음 조립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로봇기구를 설치하여 자동화에 의해 피복호스(2)와 인장재(1)의 물림작동을 설계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 호스고정수단(70)이 작동되어 양측 실린더(72)의 전진으로 홀더(71)가 피복호스(2)를 후퇴나 이동 못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어서 인장재 이송수단(10)이 작동되어 인장재(1)가 피복호스(2)는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중복 조립되도록 전진 이송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그 이송거리는 적어도 자유장에 해당되는 피복호스(2)의 길이보다 다소 긴 길이로 셋팅된 거리만큼 이송하게 된다.
이때, 인장재(1)에는 벌림수단(30)에 의해 각 와이어가 벌어진 상태에서 오일공급수단(40)의 작동으로 오일이 충분히 부착된 상태로 조립되어 지반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장작용을 위한 신축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수단(60)의 커버(63)가 개방되어 경사레일(61)에서 부터 받침레일(62)로 자유장에 해당되는 피복호스(2)와 인장재(1)가 조립된 부분이 하강된다.
또, 호스고정수단(70)의 실린더(72)와 홀더(71)가 후퇴되어 피복호스(2)의 이동이 가능하게 물림 해제하게 된다.
이어서, 피복호스(2)와 인장재(1)의 경계부에는 피복호스(2) 내로 이물질이 투입되거나 내부에 채워진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계부 씰링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씰링작업은 접착제를 투입한 후 테이프등으로 감어서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씰링기능을 갖는 크립을 로봇기구에 의해 투입하여 자체 강한 조임탄력으로 그 경계를 씰링토록 방법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오일공급수단(40)은 인장재(1)가 피복호스(2) 내로 진입되는 길이를 감안하여 그 경계위치 직전에 작동을 멈추어서 정착장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오일이 칠해지지 않토록 콘트롤러에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이어서 정착장에 해당되는 길이반큼 인장재 이송수단(10)이 작동되어 피복호스(2)가 설치된 상태에서 함께 받침레일(62)로 전진 이동되며 셋팅된 거리만큼 오일이 부착되지 않은 순수 인장재(1)로만 이루어진 정착장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수단(60)에는 커버(63)가 하강되어 경사레일(61)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복호스(2)가 피복호스 이송수단(20)에 의해 함께 이송되어 다음 피복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피복호스 이송수단(20)과 인장재 이송수단(10)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경사레일(61)과 받침레일(62)을 통해 설정된 길이만큼 이송된 후에는 콘트롤러에 의해 이송이 정지된 후 커팅수단(50)에 의해 동시 피복호스(2)와 인장재(1)가 절단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작동을 다시 반복 수행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그라운드 앵커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연속 동작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의 수를 현저히 줄여 인건비 저하와 생산성 향상으로 코스트를 저하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수개의 와이어가닥이 꼬여져서 된 앵커용 인장재(1)를 공급케이스(11)로 부터 인출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로울러(12)의 회전수를 엔코더(14)로 감지하여 원하는 길이로 이송시키는 인장재 이송수단(10)과;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의 일측으로 인장재(1)의 자유장 길이만큼 피복시키는 피복호스(2)를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로울러(21)의 회전수를 엔코더(22)로 감지하여 원하는 길이로 이송시키는 피복호스 이송수단(20)과;
    이 인장재 이송수단(1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인장재(1)의 와이어가닥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홀(33)들이 뚫어지며 인장재(1)의 꼬임상태 진행에 따라 지지대(32)로 부터 회전이 자유로운 벌징판(31)에 의해 인장재(1)를 구성하는 각 와이어들이 벌어지며 이동토록 하는 인장재 벌림수단(30)과;
    이 인장재 벌림수단(30)의 일측에 위치되어 사이가 벌어진 인장재(1)의 각 와이어사이로 오일이 공급관(41)으로부터 분출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오일공급수단(40)과;
    상기 앵커용 인장재(1) 및 피복호스(2)를 원하는 위치에서 절단되도록 하는 커팅수단(50)과;
    상기 인장재 이송수단(10)과 피복호스 이송수단(20)에 의해 각각 인장재(1)와 피복호스(2)가 공급될 때 피복호스(2)내에 인장재(1)가 끼워지는 자유장의 조립상태 이송과 인장재(1)가 조립되지 않는 빈 피복호스(2)가 각각 진행되는 작업단계를 구분하기 위해 피복호스(2)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60)과;
    상기 피복호스(2)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앵커 인장재(1)가 이송되어 피복되도록 물림과 해제를 반복하는 호스고정수단(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60)은 경사레일(61)과 연이어 받침레일(62)이 일체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그 경계를 차단하는 커버(63)가 실린더(64)에 의해 개폐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수단(70)은 양측에서 실린더(72)들이 동시 전진하는 것에 의해 피복호스(2)를 홀더(71)가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4. 가이드수단의 경사레일내에 피복호스가 이미 진입된 상태에서 커팅수단의 작동에 의해 피복호스를 절단시키고, 피복호스의 입구를 인장재의 선단과 일부 물림이 이루어 지도록 하며, 호스고정수단의 작동으로 홀더가 피복호스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장재 이송수단이 작동되어 인장재가 피복호스에 중복되게 조립된과 동시에 인장재는 벌림수단에 의해 각 와이어가 벌어진 상태에서 오일공급수단의 작동으로 오일이 부착되도록 하고, 가이드수단의 커버가 개방되어 경사레일에서 부터 받침레일로 자유장에 해당되는 피복호스와 인장재의 조립된 부분이 하강된 후, 호스고정수단의 홀더가 후퇴되어 피복호스의 이동이 자유롭게 물림 해제하며, 피복호스와 인장재의 경계부에는 경계부 씰링작업을 수행하고, 정착장에 해당되는 길이반큼 인장재 이송수단과 아울러, 경사레일을 커버로 폐쇄시킨 상태에서 피복호스가 피복호스 이송수단에 의해 함께 이송된 후, 커팅수단에 의해 동시 피복호스와 인장재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방법.
KR1019980063347A 1998-12-31 1998-12-31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KR100296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47A KR100296884B1 (ko) 1998-12-31 1998-12-31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347A KR100296884B1 (ko) 1998-12-31 1998-12-31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45A KR20000046645A (ko) 2000-07-25
KR100296884B1 true KR100296884B1 (ko) 2001-08-07

Family

ID=1956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347A KR100296884B1 (ko) 1998-12-31 1998-12-31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8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870B1 (ko) * 2020-03-19 2022-04-04 신현택 그라운드 앵커의 공급 및 팩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45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7014B2 (en) Roboti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conduits
US4166508A (en) Method and a device for introducing a tubular assembly into the soil
JP4514179B2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締固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締固め方法
US9248485B2 (en) Method for producing spiral pipe
GB2157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underground pipelines
US6863476B2 (en) Mobile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reinforcing members
CN110260043B (zh) 一种顶管及运用顶管的污水管道施工工艺
KR100296884B1 (ko) 그라운드 앵커용 피복호스 조립장치 및 방법
JP2652602B2 (ja) 配線・配管材の懸吊部材及び配線・配管装置
CN205500380U (zh) 一种卷烟包装机内框纸自动拼接装置
EP0696096B1 (en) Laying or transporting apparatus
JPH0348392B2 (ko)
NZ333216A (en) Apparatus for inserting draw line inside conduit using shuttle and inflatable sealing envelope
SE544582C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bolt in a borehole
CA12499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pipeline
AU2021236498A1 (en) Method of installing protective mesh lining in an underground tunnel
KR102382870B1 (ko) 그라운드 앵커의 공급 및 팩킹장치
JP2817905B2 (ja) 二重管の推進工法に於ける滑材及び裏込材の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JP2891536B2 (ja) ライニング管の製造方法
CA2421223C (en) Mobile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reinforcing members
CN112324991B (zh) 一种用于深沟管道铺设的装置
JPH06257387A (ja) 二重管の推進工法に於ける滑材及び裏込材の注入方法及び注入装置
JPH03260486A (ja) 地下埋設管におけるライニング施工方法及びその施工装置
CN116537592A (zh) 一种适用于混凝土裂缝的灌浆修复装置
JP5837854B2 (ja) 配管の引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