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691B1 - 냉동냉장고 - Google Patents

냉동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691B1
KR100296691B1 KR1019960040317A KR19960040317A KR100296691B1 KR 100296691 B1 KR100296691 B1 KR 100296691B1 KR 1019960040317 A KR1019960040317 A KR 1019960040317A KR 19960040317 A KR19960040317 A KR 19960040317A KR 100296691 B1 KR100296691 B1 KR 100296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efrigerator
compressor
control means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447A (ko
Inventor
아키노부 다케모토
도루 고바야시
겐이치 아라카와
히데키 요시다
미치야 마츠다
히데유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97001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저전력화를 도모하는 것에 적합한 냉동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소비전력량이 적고 내노이즈성이나 수명등의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고내에 설치되고 이 증발기와 열교환된 냉기를 이 고내로 순환시키는 무정류자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고내팬 및 냉장실의 온도에 따라서 이 냉장실과 증발기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를 구비한 냉동냉장고에 있어서, 댐퍼의 구동수단을 직류모터로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팬모터와 전원회로의 효율이 대폭으로 향상하고 냉장고의 소비전력량을 대폭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며 또 내노이즈성, 노이즈방사, 수명의 점에서도 매우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동냉장고
본 발명은 전동송풍기에 의해 냉동실, 냉장실등의 고내(庫內)로 냉기를 순환시키는 강제통풍방식을 채용한 냉동냉장고에 있어서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하는 것에 적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가정내에서의 냉장고가 차지하는 전력사용율은 일반적으로 약 20%로서 가장 큰 소비량을 갖는 기기중의 하나이다. 근래 에너지절약화가 사회적으로 요망되어 있고, 냉장고에 대해서도 저소비전력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용적의 증대에 따라서 소비전력량이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해 냉장고의 전력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압축기를 포함한 냉동사이클, 마이크로 컴퓨터나 그 전원등의 제어회로, 팬등의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해 왔다.
이들 종래기술의 예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고공보 평성2-55701호에 기재된 발명이 있다. 이 발명은 급냉각시에 고내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전동팬과 압축기를 구동하는 시간을 외기온이 낮을때는 짧고 외기온이 높을 때는 길게 해서 냉각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발명에 있어서 냉기순환용 팬모터에는 교류모터가 사용되고 있고 또 필요한 출력이 수W이하로 작아도 좋으므로, 통상 셰이딩모터나 콘덴서기동모터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모터 효율 η은 20%내외로 매우 낮게되어 있어 소비전력이 증대하고 있었다. 또, 이와 같은 모터에서는 회전수를 임의로 변화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온이나 오프밖에 할 수 없으므로 고내의 온도편차(변동)나 소비전력량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비전력량이 적고 안정성이 높으며 내노이즈성, 노이즈방사, 수명 등의 점에서 신뢰성이 높은 고효율의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냉장고에 있어서의 제어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3은 직류모터의 토크T-회전수N의 특성을 도시한 특성도,
도 4는 셰이딩모터의 토크T-회전수N의 특성을 도시한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선택적 운전제어수단의 동작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직류모터 구동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직류모터의 시동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직류모터의 시동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냉장고내 온도편차와 냉장고내 팬회전수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외기온도와 냉각팬의 회전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압축기에 직류모터를 사용한 경우의 제어블럭도,
도 12는 무정류자 모터와 교류(셰이딩모터)의 특성을 비교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직류전원과 스위칭전원을 비교하는 도면,
도 14는 각 소자의 우선순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송풍용 팬모터에 직류모터를 사용하고 그 전원으로서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사용해서 저소비전력화를 도모하고, 또 상기 전원에 전압가변수단을 마련하고 냉장고의 고내 온도 제어수단에 의해 고내 온도나 외기온정보로 전원전압을 변화시켜서 팬의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 전원이 저소비전력화된 것에 의해 제어부나 전원부를 고내에 설치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팬모터는 직류모터이므로 그의 효율 η는 50% 이상이 얻어져 종래의 셰이딩모터등에 비해 훨씬 저소비전력화가 도모된다. 또, 그 모터의 전원에는 스위칭레귤레이터를 사용하고 있고, 팬모터와 같이 소비전력이 수W이상이나 될 가능성이 있는 기기에 대한 AC전원에서 DC전원으로의 변환손실을 저감하고 있다. 또, 스위칭레귤레이터를 사용한 전압가변수단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외기온이 낮을 때나 고내 온도가 낮을 때에는 팬으로의 인가전압을 저하시키고 팬의 회전수를 저하시켜서 불필요한 과잉냉각에 의한 온도의 불균일과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원이나 제어부는 저소비전력화되어 있으므로 냉장고의 고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외기온의 상승이나 냉동사이클의 방열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캐패시터등의 전자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 냉장고는 금속상자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차폐(실드)효과를 갖고 내노이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해서 도 1∼도 1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냉동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압축기(5)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7)에 의해 방열되고 캐필러리튜브(도시하지 않음)을 통해서 증발기(9)에 의해 증발되어 저온으로 된다. 그 저온의 증발기(9)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고내용DC팬(R팬)(1O)으로 형성하고, 냉기를 냉기덕트(11)에 의해 고내로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냉장고(1)의 고내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응축기(7)의 방열을 향상시키기 위해 냉각용DC팬(C팬)(8)에 의해 냉각공기를 외부에서 유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1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냉동냉장고의 제어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자제어회로(12)는 교류상용 전원에서 직류를 생성하는 스위칭레귤레이터(13), 냉장고의 온도제어를 실행하는 중앙처리장치(이하, CPU라고 한다)(14) 등으로 구성되고, 다음과 같이 고내의 온도조정을 실행한다. 즉, 냉동실(F실)에 대해서는 CPU(14)가 F실내에 마련된 F실센서(16)에 의해 얻은 현재온도데이타와 온도조절회로(15)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명령온도를 비교하고, 현재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CPU(14)내의 릴레이를 온해서 압축기(5)를 기동시킨다. 명령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압축기(5)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냉각용DC팬(8)과 고내용DC팬(10)에 대해서는 압축기(5)의 운전과 거의 동기해서 CPU(14)로 부터의 명령에 의해 운전되지만,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냉장고(R실)의 온도조절에 대해서 기술하면, 냉기덕트(11)(도 2)를 개폐하는 R실댐퍼(21)이 냉기덕트(11)부에 마련되어 있고, R실 센서(17)에 의해 얻어진 R실온도 데이타와 온도조절회로(15)에 의해 지정된 고내온도를 CPU(14)가 비교하고 R실센서(17)의 온도가 높으면 R실댐퍼(21)을 열고, 낮으면 닫는 것에 의해 냉기의 양을 조정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음에, 냉각용DC팬(8)과 고내용DC팬(10)의 구동에는 무정류자 직류모터를 사용해서 저소비전력화등의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AC전원을 직접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소하게 되는 것과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점에서 AC모터 특히 셰이딩모터를 사용하였으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효율이 낮고 에너지절약의 장해로 되는 것 및 AC1OO(V)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험하게 된다는 것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정류자가 없는 직류모터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통상의 직류모터에 있는 브러시를 반도체회로에 의해 실현해서 브러시교환을 필요없게 한 DC모터이다. 이것에 의해, 효율은 2배이상이나 향상되고 안정적이고 안전한 팬을 실현할 수 있었다. DC모터의 토크-회전수 특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고 셰이딩모터의 특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DC모터에는 회전수가 적어서 토크가 크다는 특성에 의해 록하기 어렵고 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수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효율이 높다고 해도 직류전원이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어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14)나 모터용 전원에 스위칭레귤레이터(13)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스위칭레귤레이터라는 것은 AC전원을 그대로 정류한 직류를 트랜지스터에서 발진시키고 고주파트랜스의 2차측으로 유도한 교류를 평활화하여 소정의 직류를 얻는 것으로서, 그 전압, 전류제어는 트랜지스터의 발진을 제어해서 실행한다. 그 특징을 종래의 트랜스(변압기)와 시리즈레귤레이터(series regulator)를 사용한 직류전원과의 비교로 나타낸 것이 도 13이다.
스위칭레귤레이터(13)을 사용하면 효율이 향상되고 또 소형경량의 전원이 얻어지므로, DC모터에 의한 전원용량 상승에 의한 대형화와 소비전력의 증가를 흡수해서 종래보다 훨썬 소비전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상의 것 이외에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모터소자로서 R실댐퍼(21) 및 제빙실(ice maker : IC)(22)가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R실댐퍼(21)에 대해서는 모터의 정회전/역회전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댐퍼의 개폐를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것과 저속회전으로 고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만일의 결빙시에 배플(baffle)의 개폐가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적은 이유에 의해 직류모터를 채용하고 있지만, 개폐의 빈도는 많지 않으므로 브러시가 부착된 형태나 무정류자형태(무브러시)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제빙실(22)에 대해서는 제빙된 얼음을 접시를 비틀어 반전시키는 것에 의해 얼음을 때어내기 위해서 모터를 이용하지만, 비틀기 동작에는 저속이라도 큰 토크가 필요하게 되므로 직류모터를 채용하고 있다. 이 경우도 모터사용빈도는 더욱 적으므로 브러시가 부착된 것이어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제어회로(12)는 스위칭레귤레이터(13)을 사용한 것에 의해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것은 스위칭레귤레이터(13) 자체가 높은 주파수로 발진하므로 자기노이즈를 방사하는 것,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흡수하기 쉬운것, 심한 리플전류로 전원라인의 캐패시터의 수명이 짧아지기 쉽다는 것이다.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스위칭레귤레이터(13)을 포함하는 전자제어회로(12)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의 내부에 설치하였다. 이것은 고내는 외측이 철판으로 둘러싸여 노이즈의 차단에 유효한 것 또 냉장실(2)는 항상 5℃내외로 온도제어되고 있어 온도가 낮기 때문에 캐패시터의 수명이 훨씬 길어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냉동냉장고는 10년이상이나 안정된 동작을 지속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직류전원을 사용하는 소자(모터등)와 그의 용량을 모두 도시한 것이 도 14이다. 도 14를 보면 모든·소자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전원을 마련하면, 12V, 1.3A나 필요하게 되어 전원이 대형화하지만 그 전체가 상시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본 발명의 1실시예에서는 스위칭레귤레이터(13)의 용량은 동시에 동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최저한의 용량, 즉 CPU(14), 고내용DC팬(10), 냉각용DC팬(8)의 용량의 합인 12V, 0.7A로 하였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우선순위를 메겨 용량을 초과할 때는 우선도가 낮은 소자를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을 부가하여 전원의 소형화와 저소비전력화를 실행하였다.
다음에, 이 기능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레귤레이터(13)은 12V, 0.7A의 용량밖에 갖고 있지 않다 또,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소자는 도 14와 같이 5종류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전체를 온하면 용량이 초과하므로 온하는 소자를 선택하는 선택적 운전제어수단(19)를 각 소자의 온/오프명령을 실행하는 CPU(14)와 각 소자를 구동하는 모터구동수단(20) 사이에 구비하였다. 이 선택적 운전제어수단(19)는 도 14에 도시한 우선순위의 순으로 CPU(14)가 온의 명령을 발행하고 있는 것을 0.7A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온하도록 선택결정하고, 온신호를 모터구동수단(20)으로 전달하여 해당하는 모터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 선택적 운전제어수단(19)의 동작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 도 5이다. 또한, CPU(14)는 냉장고의 운전중은 상시 통전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모터구동수단(20)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하는 각 모터를 직류모터로 한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고 그 특성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인가전압V와 토크T의 관계는 다음에 나타내는 식 1과 같은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에, Kt는 모터의 토크정수, KR은 모터의 유기전압정수, R은 모터의 저항값이고, ω는 모터의 회전수이다.
[식 1]
T=Ktx[V-KR· ω]/R
따라서, ω=0일때 최대토크T=KtxV/R이 발생하므로, 예를 들면 CPU(14)가 고내용DC팬(10)을 온명령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돌입전류I가 모터M에 흐르게 된다. 이 돌입전류는 소정의 회전에 의해 전류의 수배 이상이나 되어 그만큼 스위칭레귤레이터(13)의 용량을 초과해 버린다. 또, 어떠한 요인에 의해 모터가 록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돌입전류와 동일한 전류가 계속해서 흘러 모터의 발열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터구동회로를 모터구동수단(20)에 채용하였다. 도 6의 회로에서는 CPU(14)가 모터를 온할 때에는 Out1을 H레벨로 한다. 그렇게 하면,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Tr1은 온으로 된다. 여기에서, 전류I는 모터의 저항과 저항R1의 합의 저항으로 억제되고 돌입전류는 억제된다.
다음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서 모터의 회전이 안정하게 되면 CPU(14)는 0ut2를
H레벨로 함과 동시에 Out1을 L레벨로 한다. 그것에 의해 모터에는 12V의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의 회전이 12V의 소정의 회전수까지 상승한다. 이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 8이다.
또, 모터구동회로에는 도 6과 같이 과전류 검출회로를 부가해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 동작은 모터에 전류가 흐르면 저항R2의 양끝에는 V=I·R2의 전압이 발생하고, +5V의 전압을 저항R3과 R4에 의해 분압한 전압과 비교기COMP1에서 비교하고, 저항R2의 전압이 높으면 L레벨의 출력을 CPU(14)로 전달하고, 만약 저항R2의 전압이 낮으면 H레벨의 출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만일 모터가 록을 일으켜 과전류가 흐르면 저항R2의 전압이 상승하고 CPU(14)로 L레벨의 신호가 전달되어 CPU(14)는 Out1 또는 Out2의 출력을 오프해서 모터로의 통전을 중단한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모터의 과열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안전한 팬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에서는 트랜지스터Trl, Tr2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 CPU(14)에 흐르게 하는 구동전류는 수mA정도이므로, 트랜지스터에는 HFE가 큰 달링톤형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어 콜렉터-이미터 사이에서 1V정도의 전압강하가 발생한다.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 Trl, Tr2에 MOS-FET를 사용하면 좋다. 이 경우, 온저항으로서 1옴의 소자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로스는 W=1×0.25×0.25=0.0625(W)로 되어 상기의 1/4정도로 감소한다.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냉동냉장고에서는 또 상기 모터구동회로를 사용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고 있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냉장고의 제어블럭도에 있어서 CPU(14)는 F실센서(16)과 온도조절회로(15)의 온도비교에 의해 압축기(5)를 온, 오프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 고내용 DC팬(10)에 대해서도 도 9에 도시한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즉, F실센서(16)이 나타내는 F실고내 온도와 온도조절회로(15)의 차분을 △T로 해서 CPU(14)는 계산하고, △T≤0 일때는 R팬을 정지시키도록 모터구동수단(21)의 도 6에 도시한 Out1 및 Out2를 오프한다. 만약, 0<△T<T1일 때는 Out1을 온하고, T1≤△T일 때는 Out2를 온한다. 이것에 의해, 온도차가 나지 않을 때는 팬은 저회전N1로 회전하고, 온도차가 클 때에는 고회전N2로 회전하므로, 여분의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 효율좋고 또한 신속하게 냉동실의 온도조절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의 기계실(6)에 설치된 냉각용DC팬(8)에 대해서도 CPU(14)가 냉장고상자체 외측에 마련된 외기온센서(18)의 온도를 검출하고, 도 1O에 도시한 제어를 실행하고 있다. 즉, 외기온 Ta가 Ta≤T1일 때는 모터구동수단(20)으로의 신호를 오프해서 냉각용DC모터(8)을 정지시킨다. 왜냐 하면, 외기온이 충분히 낮을 때에는 팬을 정지시켜도 압축기(5)와 응축기(7)의 방열은 충분히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T1<Ta≤T2일 때에는 모터구동수단(2O) 내의 도 6에 도시한 회로에 의해 0ut1을 온하는 것에 의해서 모터를 저회전(저속)N1로 회전시키고, 외기온이 높은 상태인 T2<Ta일 때에는 방열을 촉진시키기 위해 Out2를 온해서 모터를 N2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냉각용DC팬(8)을 상기와같이 운전하는 것에 의해,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회전으로 팬을 회전시키므로, 소비전력의 저감에 큰 효과가 있다. 상기 2가지 예의 팬의 제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2단계의 전압제어를 실행하고 있지만, 다단으로 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고 또 전원의 전압을 연속해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동등이상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1에 있어서, 압축기(5)의 모터로서는 단상(單相)의 교류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도 11과 같이 모터로서 직류의 무정류자 모터를 사용하고 전류제어수단(24)에 의해 전자적인 브러시의 역할 즉 모터의 회전각에 의해 적절한 모터로의 통전신호를 출력시키고, 그 출력에 의해 압축기DC모터 구동회로(23)이 적절한 전류를 모터에 흐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DC모터를 위해 모터효율을 80%정도에서 92%까지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압축기DC모터 구동회로(23)등의 반도체에 의한 통전손실을 포함하더라도 약 5%이상의 저소비전력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경우 전류제어수단(24)의 출력주파수를 빠르게 하거나 느리게 하는 것에 의해, 모터의 회전수를 변화시킬 수 있고 그 효율은 냉동사이클의 효율향상을 포함해서 더욱 개선되지만, 상기 개선값은 종래의 60Hz 또는 50Hz 상당의 회전수에 의한 비교값(일정회전)이다.
이상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냉동냉장고에 의하면, 저소비전력이고 내노이즈성이 높고, 노이즈방사, 발열에 의한 화염등의 위험이 없고, 안전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류를 모두 직류화했으므로 팬모터의 효율이 2배 이상으로 향상되고 또 전원의 효율도 대폭으로 향상하므로, 냉장고로서 대폭적인 저소비전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직류화에 따른 전원의 대형화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선택적구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종래보다 트랜스등이 소형화되고 전자제어회로가 간소하게 되어 전자제어회로의 고내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내노이즈성, 노이즈방사, 수명등의 점에서 대폭으로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모터는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회전속도로 운전되므로 더욱 효율 좋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3회정정)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냉장실;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기는 팬; 상기 냉동사이클, 냉장실, 팬을 포함하는 전력회로;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전력회로 및 상기 직류모터에 접속된 회로상에 마련되고 상기 전력 회로에서 상기 직류모터로 흐르는 전류를 저감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4회 정정)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고내에 설치되어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고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고내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정정)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냉장실;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기는 팬; 상기 냉동사이클, 냉장실, 팬을 포함하는 전력회로;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례귤레이터 및; 상기 전력회로에서 상기 전류모터로 흐르는 전류를 상기 직류모터의 기동시에 낮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17. (정정)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냉장실;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상기 냉동사이클, 냉장실, 팬을 포함하는 전력회로;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전력회로 및 상기 직류모터에 접속된 회로상에 마련되고 이 회로의 저항값을 기동시에 낮게 하고 그 후 높게 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18. (신설)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냉장실: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기는 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상기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19. (신설)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냉장실;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기는 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20. (신설) 금속제의 상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냉장실; 압축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직류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냉장실내의 공기를 순환시기는 팬: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직류모터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직류모터 및 제어수단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상기 냉장실내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고.
KR1019960040317A 1995-09-18 1996-09-17 냉동냉장고 KR100296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38136A JPH0979727A (ja) 1995-09-18 1995-09-18 冷凍冷蔵庫
JP95-238136 1995-09-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961A Division KR100281352B1 (ko) 1995-09-18 1999-03-30 냉동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47A KR970016447A (ko) 1997-04-28
KR100296691B1 true KR100296691B1 (ko) 2001-10-24

Family

ID=17025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317A KR100296691B1 (ko) 1995-09-18 1996-09-17 냉동냉장고
KR1019990010961A KR100281352B1 (ko) 1995-09-18 1999-03-30 냉동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961A KR100281352B1 (ko) 1995-09-18 1999-03-30 냉동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79727A (ko)
KR (2) KR100296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381B1 (ko) * 1999-11-01 2002-05-31 구자홍 냉장고
KR100339355B1 (ko) * 1999-11-01 2002-06-03 구자홍 냉장고
KR100364774B1 (ko) * 1999-11-01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364777B1 (ko) * 1999-11-01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4609590B2 (ja) * 2008-11-13 2011-0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47A (ko) 1997-04-28
KR100281352B1 (ko) 2001-02-01
JPH0979727A (ja) 199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001B1 (en) Retrofit device to improve vapor compression cooling system performance by dynamic blower speed modulation
WO2016038838A1 (ja) 冷凍装置及びコンテナ用冷凍システム
US6622503B1 (en) Evaporator fan control system for a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
KR0138049B1 (ko) 냉장고의 압축기의 운전속도 제어방법
JP6727320B2 (ja) 電動機駆動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0329445A (ja) 低温貯蔵庫
CN110073591B (zh) 电动机驱动装置及空调机
KR100296691B1 (ko) 냉동냉장고
JP4131588B2 (ja) 直流電動機の制御装置
KR100376902B1 (ko) 냉장고
JP3837943B2 (ja) 冷蔵庫
JP3308959B2 (ja) 冷蔵庫の運転制御装置
EP3136025B1 (en) Air stirring motor
JPH11311458A (ja) 冷却装置
JPH10311642A (ja) 冷蔵庫
JPH11101542A (ja) 冷蔵庫
JP2004037078A (ja) 冷凍冷蔵庫
US20190063822A1 (en) Refrigerator
KR100288257B1 (ko) 냉장고의 팬 제어방법
JP3209615B2 (ja) 空気調和機の冷媒加熱室外機
JPH04190050A (ja) 凝縮器冷却用ファンの制御装置
JPH05332671A (ja) 冷凍冷蔵庫
JP2004012028A (ja) 冷蔵庫
KR0128737Y1 (ko) 인버터 에어콘의 트랜지스터 냉각장치
JP2005083683A (ja) 冷蔵庫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