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418B1 - 방범창 - Google Patents

방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418B1
KR100296418B1 KR1019990005719A KR19990005719A KR100296418B1 KR 100296418 B1 KR100296418 B1 KR 100296418B1 KR 1019990005719 A KR1019990005719 A KR 1019990005719A KR 19990005719 A KR19990005719 A KR 19990005719A KR 100296418 B1 KR100296418 B1 KR 10029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xed
right windows
windows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417A (ko
Inventor
장형수
Original Assignee
김용국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국,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filed Critical 김용국
Priority to KR1019990005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4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의 저층에 시공되는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턱(14)(16)이 다소 길게 돌출 형성된 창틀(2)의 일측 전면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서로간에 걸림수단을 갖는 좌우창(6)(8)을 슬라이딩가능케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개방부 전방으로부터는 고정창(12)을 결합고정하여 안내홈(4)과의 사이에 일측창(8)이 드나들수 있는 공간부(10)를 형성하여 좌우창(6)(8)을 완전개방 시켜 줄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창(12)과 좌우창(6)(8)을 폼매쉬(FORM MESH)(13)(15)로 구성하여 주므로서 외관이 미려하고 또 시야를 가리거나 일조권을 침해할 우려가 없어 보다 밝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해 줄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범창{SAFETY WINDOW}
본 발명은 주로 다세대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저층에 시공되는 방범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시야를 가리거나 일조권의 침해우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각종 건물에 시공되는 모든 창은 사용상의 편리성 때문에 미닫이창으로 구성되나 방범기능이 요구되는 방범창은 미닫이창으로 구성할 경우 외부로부터의 이탈가능성으로 인하여 전혀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 방범창은 대부분 철창을 이용한 고정식이나 또는 상기 고정식을 개량한 자바라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외관상 보기 흉하고 특히 시야를 가리게 됨은 물론 일조권침해로 매우 어둡고 또 실내분위기를 침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또한 이로 인하여 저층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에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시야를 가리거나 일조권의 침해우려가 거의 없어 상시 밝고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수가 있는 방범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범창의 개방시에는 보다 넓은 개방공간을 확보해 줄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간에 걸림수단을 갖는 좌우창을 창틀의 일측 전방에 마련된 개방부를 통하여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개방부는 일측 창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고정창이 차단토록 하여좌우창과 고정창을 통하여 방범기능을 갖도록 하면서도 공간부를 이용하여 좌우창을 완전개방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창틀은 안내홈을 사이에 두고 지지턱을 길게 돌출형성하여 자우창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좌우창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연결편과 지지편을 대향되게 돌출형성하여 서로간의 걸림은 물론 좌우창의 닫힘시에는 지지편에 의한 중첩으로 일체감을 갖도록 한다.
다만 좌우창 서로간의 걸림은 전후방향으로는 해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개방시 일측창을 공간부 내에 밀어 넣을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적정높이로서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편을 좌우에 고정형성하여 호차를 통하여 좌우로 활주하는 일측창을 전후로 안내토록 한다.
도 1 : 본 발명의 일부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요부측단면 구성도
도 3 : 본 발명의 열림상태를 나타낸 평단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의 닫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창틀 (4)--안내홈
(6)(8)--좌우창 (10)--공간부
(12)--고정창 (13)(15)--폼매쉬(FORM MESH)
(14)(16)--지지턱 (18)--안내경사면
(20)(22)--안내편 (24)--호차
(26)(28)--연결편 (30)(32)--지지편
(34)--통공 (36)(38)(40)(42)--걸림편
(44)--보조창틀
본 발명은 서로간의 걸림으로 창틀(2)의 안내홈(4)을 따라 함께 슬라이딩하는 좌우창(6)(8)과 상기 창틀(2)의 일측 전방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하여 일측창(8)이 드나들수 있는 공간부(10) 및 상기 공간부(10)의 외측을 차단하는 고정창(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창(6)(8)과 고정창(12)은 주로 시야확보가 용이한 폼매쉬 (FORM MESH)(13)(15)로 형성한다.
상기 창틀(2)은 안내홈(4)을 사이에 두고 지지턱(14)(16)을 다소 길게 돌출형성하여 그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좌우창(6)(8)의 이탈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안내홈(4)과 공간부(10) 사이의 지지턱은 제거하여 일측창(8)이 공간부(10)를 자유롭게 드나들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간부(10)의 바닥면에는 적정높이로서 상부 전면에 안내경사면(18)이 형성된 안내편(20)(22)을 일측창(8)에 부설된 호차(24)를 피해 좌우에 고정형성하여 일측창(8)을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상승시켜서 전후로 안내토록 한다.
좌우창(6)(8)의 양단부에는 각각 걸림수단을 갖는 긴 연결편(26)(28)과 상기 걸림편 보다 짧은 지지편(30)(32)을 대향되게 돌출형성하여 그 사이에 형성된 결합홈에 의해 서로간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창틀(2)에 끼워 설치하여 함께 슬라딩딩되게 하며 이때 서로간의 밀착상태 즉 좌우창(6)(8)의 닫힘상태에서는 연결편(26)(28)과 지지편(30)(32)의 겹침으로 일체감을 갖도록 하고 벌림시에는 연결편(26)(28)이 지지편(30)(32)으로부터 이탈하여 전후방향으로는 걸림이 해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우창(6)(8)의 닫힘상태에서 일측창(8)의 외측연결편(28)과 창틀(2)의 내측 지지턱(14)에는 서로 관통하는 통공(34)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34)을 이용하여 자물쇠나 또는 각종 고정핀 등을 이용한 잠금수단을 갖도록 한다.
고정창(12)은 걸림편(36)(38)을 이용하여 창틀(2)의 일측 전방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고정창(12)의 타측은 이 역시 걸림편(40)(42)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보조창틀(44)에 의해 지지된다.
미설명부호 (46)은 난간대, (48)은 자물쇠이다.
본 발명은 먼저 창틀(2)을 조립구성한뒤 그 일측 전면의 개방부를 통하여 좌우창(6)(8)을 슬라이딩 가능케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개방부 전방으로부터는 걸림편(36)(38)을 이용하여 고정창(12)을 결합고정하고, 상기 고정창(12)의 타측단부에는 이역시 걸림편(40)(42)을 이용하여 보조창틀(44)을 결합고정해 주므로서 조립완료된다.
상기에 있어 좌우창(6)(8)은 연결편(26)(28)에 의해 서로간에 걸림이 이루어진 상태로 창틀(2)에 끼워 설치된다.
도3은 좌우창의 열림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좌우창(6)(8)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창(8)을 공간부가 형성된 창틀(2)의 일측방향으로 당겨주게 되면 서로간의 걸림으로 타측창(6)과 슬라이딩하게 되고, 상기 일측창(8)이 공간부 전방에 이르게 되면 타측창(6)과 최대한 벌려서 연결편(26)(28)이 지지편(30)(32)으로부터 이탈되게 한 상태에서 일측창(8)을 슬라이딩방향과 직각된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일측창(8)의 하부골재가 바닥면으로부터 이 보다 약간 더 높은 좌우 안내편(20) (22)상에 얹혀 안내되면서 공간부 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일측창(8)이 공간부(10)내로 이동하게 되면 일측창(8)의 이동으로 발생된 창틀(2)의 일측 안내홈으로 타측창(6)을 슬라이딩 시켜줌에 따라 고정창(12)과 좌우창(6)(8)이 나란히 위치하게 되므로 창틀(2)의 전체폭을 기준으로 볼때 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4는 좌우창(6)(8)의 닫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개방상태의 타측창(6)을 닫힘방향인 타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그 일측 단부의 연결편(28)이 공간부(10)내에 위치한 일측창(8) 타측 단부의 연결편(26)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대기토록 한 뒤 일측창(8)을 후방으로 당겨주게 되면 상기 일측창(8)이 안내편(20)(22)의 안내로 공간부(10)로부터 창틀(2)의 안내홈(4)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일측창(8)의 타측 연결편(28)은 타측창(6)의 일측 연결편(26)과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서로간에 걸림이 이루어진 좌우창(6)(8)은 어느 한 창을 잡고 타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주게 되면 고정창(12)이 차단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좌우창(6)(8)이 차단하게 되며 일측창(8)을 타측방향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주게 되면 타측창(6)과의 걸림수단을 갖는 연결편(26)(28)이 지지편(30)(32)과의 겹침으로 서로 일체감을 주게 되며 이때 일측창(8)의 일측 연결편(28)과 창틀(2)의 내측 지지턱(14)에 형성된 통공(34)이 서로 관통되므로 상기 통공(34)을 통하여 자물쇠나 또는 각종 고정핀 등을 이용한 잠금시 방범창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창과 같이 미닫이식으로 구성되고, 또 폼매쉬(FORM MESH)를 이용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하다.
또한 좌우창(6)(8)은 닫힘상태에서 일측창(8)의 연결편(28)과 창틀(2)의 내측 지지턱(14)을 관통하는 통공(34)을 이용한 잠금후에는 길게 돌출 형성된 창틀(2)의 지지턱(14)(16)에 의해 좌우창(6)(8)은 외부로부터의 이탈가능성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좌우창(6)(8) 서로간에도 연결편(26)(28)과 지지편(30)(32)의 겹침으로 일체감을 주게 되므로 방범창으로서의 기능을 만족하게 된다.
또한 고정창(12)은 물론 좌우창(6)(8)은 폼매쉬(13)(15)로 구성하고 또 좌우창의 개방시 고정창(12)이 차지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을 완전개방시켜 줄 수 있게 되므로 시야를 가리거나 일조권을 침해할 우려가 거의 없어 실내공간을 보다 밝고 쾌적하게 유지시켜 줄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안내홈(4)을 사이에 두고 지지턱(14)(16)이 다소 길게 돌출형성된 창틀(2)의 일측 전면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서로간에 걸림수단을 갖는 좌우창(6)(8)을 슬라이딩가능케 끼워 설치하고, 상기 개방부 전방으로부터는 고정창(12)을 결합하여 그 타측을 지지하는 보조창틀(44)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고정창(12)과 창틀(2)의 안내홈(4) 사이에는 일측창(8)이 드나들 수 있는 공간부(10)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창(12)과 좌우창(6)(8)을 폼매쉬(FORM MESH)(13)(15)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3. 제1항에 있어서, 공간부(10)의 바닥면에 적정높이로서 상부 전방에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안내편(20)(22)을 좌우에 고정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4. 제1항에 있어서, 좌우창(6)(8)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편(26)(28)과 지지편(30)(32)을 대향되게 돌출형성하여 좌우로는 걸림이 이루어지고 전후로는 걸림이 해지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창.
KR1019990005719A 1999-02-20 1999-02-20 방범창 KR100296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19A KR100296418B1 (ko) 1999-02-20 1999-02-20 방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5719A KR100296418B1 (ko) 1999-02-20 1999-02-20 방범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417A KR20000056417A (ko) 2000-09-15
KR100296418B1 true KR100296418B1 (ko) 2001-07-12

Family

ID=1957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719A KR100296418B1 (ko) 1999-02-20 1999-02-20 방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4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417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4099A (en) Screen door assembly
SK285079B6 (sk) Prestaviteľná stena
JPH0768814B2 (ja) 扉体の下部封鎖枠
KR101066430B1 (ko) 방범기능을 갖는 창문장치
KR100296418B1 (ko) 방범창
KR200464215Y1 (ko) 창호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KR19990001080U (ko) 창틀 마감재
KR100351517B1 (ko) 조립식 스크린 도어장치
JPH0232787Y2 (ko)
JPS6113680Y2 (ko)
JP7081954B2 (ja) 建具
JPH0342232Y2 (ko)
JP3101803U (ja) 引き違い建具
JPH0113183Y2 (ko)
JPS6222214Y2 (ko)
JP2561136Y2 (ja) 雨戸装置
JP3815488B2 (ja) 折戸
JPS5838871Y2 (ja) シヤツタの施錠装置
KR200341293Y1 (ko) 개폐식 방범창
JPS6139827Y2 (ko)
KR200325601Y1 (ko) 보조창문이 구비된 다기능 창호
JPS6221668Y2 (ko)
KR200252271Y1 (ko) 창문틀용새시구조
JPH0616090Y2 (ja) 建物用シヤツ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