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406B1 - 벨트분리장치를지지하는시스템에장착된벨트분리요소 - Google Patents

벨트분리장치를지지하는시스템에장착된벨트분리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406B1
KR100296406B1 KR1019940701999A KR19940701999A KR100296406B1 KR 100296406 B1 KR100296406 B1 KR 100296406B1 KR 1019940701999 A KR1019940701999 A KR 1019940701999A KR 19940701999 A KR19940701999 A KR 19940701999A KR 100296406 B1 KR100296406 B1 KR 10029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separating
separating element
bearing
system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쯔-오토 쉬바르쩨
Original Assignee
한쯔-오토 쉬바르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9213788U external-priority patent/DE9213788U1/de
Priority claimed from DE9308826U external-priority patent/DE9308826U1/de
Application filed by 한쯔-오토 쉬바르쩨 filed Critical 한쯔-오토 쉬바르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hain Conveye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베이어벨트의 방출단부에 필요한 벨트분리장치(1)를 시스템지지부나 혹은 캐리어(3)위에 배치하기 의한 벨트분리요소(4)에 관한 것이다. 벨트분리요소는 콘베이어벨트(2)위에 벨트분리방식으로 맞물리는 시작직전 동작위치에 있는 분리판(8), 상단부가 분리판(8)에 고정된 판지지부(9), 피벗가능하게 안내되며 수평축에 대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 판지지부(9)위에 토션 스프링조인트(7), 토션 스프링조인트(7)위에서 정지되며 시스템캐리어(3)위에 배치된 베이스(6), 제 1 축(A1)을 따르는 분리판(8)의 수직조정에 필요한 수직조정장치(21,26 ; 44,51) 및, 콘베이어벨트(2)에 대하여 분리판(8)의 분리에지를 평행하게 설치하는 제2축(A2)에 대하여 분리판(8)올 피벗하기 위한 피벗베어링(17,34)을 가진다.
소형이고, 쉽게 조합 및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정가능한 구조를 성취하기 위하여, 수직조정장치(21,26 ; 44,51)의 제 1 축(A1)과 피벗베어링(17,34)의 제 2 축(A2)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 결과, 수직조정장치와 피벗베어링은 튜브소켓(5,35)와 같이 공동으로 배열된다.

Description

벨트분리장치를 지지하는 시스템에 장착된 벨트분리요소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된 상태에서의 벨트분리요소와 벨트분리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벨트분리장치의 측면도.
제 3 도는 부분적으로 나타내어진 벨트분리요소 및 다른 벨트분리요소로 이루어진 제 1 도 및 제 2 도에 따른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Ⅳ-Ⅳ을 따라 취한 벨트분리요소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4개의 벨트분리요소로 이루어진 벨트분리장치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의한 벨트분리장치의 평면도.
제 7 도는 하나의 벨트분리요소의 튜브소켓과 베이스 및 제 5 도와 제 6도의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의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분리장치에 있는 분리의 튜브소켓과 베이스의 축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벨트분리장치에 있는 벨트 분리요소의 튜브소켓과 베이스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분리장치 2 : 콘베이어벨트
3 : 캐리어 4 : 벨트분리요소
6 : 베이스 7 : 토션 스프링조인트
8 : 벨트분리판 9 : 판지지부
17,34 : 피벗베어링 21,26;44,51 : 수직조정장치
본 발명은 콘베이어벨트의 방출단부에 필요한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지지부나 혹은 캐리어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에 관한 것이다. 벨트분리요소는 콘베이어벨트위에 벨트분리방식으로 맞물리는 시작직전 동작위치(ready-to-operate position)에 있는 분리판, 상단부가 분리판에 고정된 판지지부, 피벗가능하게 안내되고 스프링하중을 받는 판지지부위에 토션 스프링조인트, 토션 스프링조인트위에서 정지되며 시스템캐리어위에 배치된 베이스, 제 1 축을 따르는 분리판의 수직조정에 필요한 수직조정장치 및, 콘베이어벨트에 대하여 분리판의 분리에지를 평행하게 설치하는 제2축에 대하여 분리판을 피벗하기 위한 피벗베어링을 가진다. 제 2 축은 분리판위에서 움직이는 콘베이어벨트부와 90° 보다 적은 각도를 형성한다.
유럽특허 제254 977호는 콘베이어벨트의 귀환영역용 벨트분리장치를 개시하였다. 이 장치는 콘베이어벨트 이동방향에 가로질러 확장하는 조정가능하게 고정된 즉, 탄성적으로 장착된 시스템캐리어 혹은 지지부와 각 경우에 베이스에 고정된 다수의 벨트분리요소로 이루어 진다. 벨트분리요소는 시스템캐리어에 나란한 방식으로 고정되며, 각각의 경우. 콘베이어벨트 이동방향에 대하여 벨트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설치한 분리판이나 혹은 디스크를 지닌다. 분리판은 콘베이어벨트 이동방향에 직각인 축에 대하여 토션스프링에 의해 피벗된 방식으로, 상기 축에 대하여 탄성편향운동을 의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편향 운동은 예를들면, 콘베이어벨트에 단단히 부착한 장해물이 분리판을 부딪친다면 수행된다. 관련된 벨트영역의에 분리판을 설치하고 맞물리는 경우, 각각의 벨트분리요소는 수직조정장치를 가지며, 콘베이어벨트에 대하여 분리판의 평행을 바람직하게 자동설치하는 경우, 축에 대하여 피벗하기 위한 피벗베어링올 가진다. 벨트분리요소는 분리판위를 움직이는 콘베이어벨트부와 90° 보다 적은 각도를 형성한다.
이러한 잘 알려진 벨트분리요소는 높은 분리용량올 가진다. 왜냐하면, 이 벨트분리요소는 콘베이어벨트 밑의 작은 변위에 또한 신속하게 반응하고 콘베이어벨트에 부착한 불순물의 분리를 위하여 최적 위치를 자동적으로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문제점은 벨트분리요소 및/또는 지지판의 조합 및 분리를 쉽게 하는 것에 관련된 앞서 언급한 형태의 벨트분리요소를 더욱 발전시키는데 있다. 특히, 간단한 수직조정장치를 갖춘 소형유니트가 제공된다.
앞서 언급한 형태의 벨트분리요소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은 수직조정장치와 관련된 제1축과 피벗베어링에 관련된 제2축이 동일한 선에 위치되어 해결된다. 이는 소형유니트로 되어, 분리판의 수직조정부와 자동피벗을 간단하고 공간절약 방식이 되도록 한다. 피벗베어링과 수직조정장치는 구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유니트는 조합되고 고정되는 것이 쉬우므로 결함이 있는 경우 쉽게 대체될 수 있어 높은 유지보수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피벗베어링은 시스템캐리어에 연결되고 튜브소켓에 회전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된 베어링부시 및 판지지부와 분리판에 연결되고 부시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저널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공간절약 구성으로 동작중에 작동하는 힘의 양호한 전달뿐만아니라 합리적인 제조를 허용한다.
수직조정장치가 베어링부시에 대하여 저널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구성되고, 판지지부로 부터 떨어진 측면위에 잠금나사가 튜브소켓에 있는 상기 부시를 종방향 고정하는 축에 필요한 베어링부시안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특히 적절하다. 튜브소겟안에 있는 벨트분리요소나 혹은 그 판지지부를 고정하는 것은 단일 잠금나사에 의해 일어난다. 잠금나사는 고정된 동작적인 위치로 튜브소켓안에 위치될 수 있으며, 더 낮은 측면에서 접근하기 쉽고 특히. 단일렌치로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분리요소의 고정 및 분리는 특히 간단하다.
근본적으로, 높이 혹은 수직조정 시스템캐리어 위치를 통해 일어난다. 앞서 언급된 수직조정장치는 벨트분리요소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수직조정장치는 또한 잠금나사를 통해서나 잠금나사안에서 접근할 수 있는 멈춤나사를 또한 합체한다. 그러한 고정은 조정부외부에 마찰 맞물림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수직조정은 일방향 혹은 다른 방향으로 멈춤나사를 간단하게 조정하여 단일도구로서 다시 한번 일어날 수 있다. 멈춤나사는 튜브소켓의 아래면위에서 보호되는 방식으로 위치됨으로써, 물질을 분리하거나, 비와 그와 같은 것에 의한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것은 보호캡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와 저널을 수용하는 튜브소켓은 강으로 제조되었기에 플라스틱으로 베어링부시를 제조하면 특히 유리할 것이다. 이는 서로 움직이는 강부분이 직접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녹이 슬지 않게 한다. 플라스틱재료를 잘 선택하는 경우, 양호한 미끄러짐 특성을 가짐으로써, 윤활제없이 부시안에 저널의 양호한 선회능력이 보장된다. 튜브소켓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제2축에 대한 벨트분리요소의 선회능력은 콘베이어벨트 표면에 대하여 분리판의 에지를 자동적으로 평행하게 설치하는데 중요하다. 이를 위한 선행조건은 피벗축이 콘베이어벨트 평면에 대하여 90° 보다 적은 각도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장점은 벨트분리요소의 소형구조와 평평한 배치는 벨트분리요소의 베이스가 벨트분리장치에 고정될 때, 콘베이어벨트 이동방향으로 사실상 평행하게 확장하며 토션 스프링조인트가 베이스의 개방단부와 하나의 스프링단부와 다른 스프링단부에 고정되고 판지지부로 지지하는 피벗을 고정하여 성취된다.
설치된 위치에 있는 더욱 소형구조를 이루는 피벗베어링이 토션스프링조인트위에 베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측면으로 배치된다면 또한 적절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베이스는 고정수단 예컨대, 축방향으로 확장하는 나사에 의해 장착지지부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는 신속하고 간단하게 벨트분리요소의 대체를 허용한다.
판지지부의 장착지지부의 구조 및/또는 분리판의 영구적으로 자유자재 조정가능한 분리에지로 된 벨트분리요소와는 달리, 판지지부는 피벗베어링에서 예정된 피벗위치에 고정한다. 따라서, 피벗위치가 세트되고 나면, 이는 잠금수단에 의해 쉽게 고정된다.
피벗베어링은 베어링케이싱을 형성하는 튜브소켓, 제 1 축을 따라 대체가능하고 조정가능한 금슥성 중간부시 뿐만 아니라 베어링부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부시는 피벗베어링표면을 형성하고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베어링부시안에 판지지부를 운반하는 저널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중간부시에서의 그루브로 들어가는 튜브소켓에 있는 나사에 의해, 저널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쉽다. 쉬운 수직조정능력이외에, 이러한 배치는 긴 수명시간을 가지는 동시에 유지보수를 위한 어떠한 요구 없이도 저널과 판지지부를 장착하는 자유로운 회전을 보장한다. 반면, 필요하다면, 저널로 된 판지지부 베어링부시 및 중간부시는 피벗베어링의 외부슬리브로 부터 전체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분리요소는 쉽게 조정가능한 유니트이며, 간단한 방식으로 압축되고, 처리되며, 대체할 수 있다. 특히,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지지부위에서의 고정 및 분리와 수직조정은 특히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참고는 바람직한 구조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하기 위한 청구범위의 종속항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한 다수의 실시예에 후속하는 설명으로 부터 추측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분리장치(1)의 실시예가 방향 (G)로 끌어당져진 콘베이어벨트(2)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벨트분리장치(1)는 콘베이어벨트(2)의 아래에 놓이게 된다. 벨트분리장치(1)에는 콘베이어벨트(2)와 직각을 이루어 확장하는 시스템캐리어(3)가 제공되며 콘베이어벨트(2)의 방향으로 대체된 복수개의 벨트분리요소(4)가 나란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벨트분리요소(4)를 수용하기 위하여, 벨트분리장치(1)의 시스템캐리어(3)는 복수개의 튜브소켓(5)이나 장착지지부(33)를 가진다.
벨트분리요소(4)는 근본적으로 베이스(6), 베이스(6)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토션 스프링조인트(7) 및 상단부에서 분리판(8)을 운반하고 토션 스프링조인트(7)에 연결된 판지지부(9)로 이루어 진다.
분리판(8)은 분리하거나 긁어내는 방식으로 맞물려서 콘베이어벨트 표면을 깨끗하게 한다. 분리판(8)은 콘베이어벨트(2)의 불균형성에 적용됨으로써 콘베이어벨트(2)가 분리판(8)의 모서리에 부딪히지 않을 것이다. 보상운동은 판지지부(9) 혹은 축(A)에 대한 피벗베어링에서의 벨트분리요소(4)를 피벗함으로써 일어단다. 따라서. 피벗베어링은 콘베이어벨트표면의 포함된 영역에 대하여 분리판(8) 분리에지의 평행을 자동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보장한다. 분리판(8)은 수직조정장치를 통해 축(A)를 따라 수직으로 조정가능하다. 축(A)은 분리판(8)위에서 90° 보다 작은 각도로 움직이는 콘베이어벨트(2)의 일부로 형성한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벨트분리장치(1)에 있는 벨트분리요소(4)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벨트분리요소(4)는 콘베이어벨트(2)의 이동방향과 직각으로 나란하고 분리판(8)의 중첩하는 깨끗한 영역이 존재하는 방식으로 후자의 이동방향으로 대체된다.
각각의 벨트분리요소(4)는 튜브소켓(5)에 의해 시스템캐리어(3)위에서 정지되고 튜브소켓은 원통형 베이스(6)와 삽입된다. 튜브소켓(5)은 콘베이어벨트(2)의 이동방향과 직각으로 움직이는 튜브 시스템캐리어(3)의 고정된 부분이다. 복수개의 튜브소켓(5)이 용접된 시스템캐리어(3)는 콘베이어벨트(2)의 전체폭에 걸쳐 확장하며 하나의 스핀들(11)의 각 경우에 대하여 벨트(2)의 양측면위에 스프링하중 로커암(10)으로 고정되고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판(12)에 의하여 벨트(2)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 혹은 지지구조에 고정된다. 시스템캐리어(3)는 거울대칭방식으로 구조됨이 바람직하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는 이해를 쉽게 하기 의하여 벨트분리장치(1)의 단지 한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각각의 튜브소켓(5)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베이스(6), 토션 스프링조인트(7) 및 분리판(8)으로 된 판지지부(9)로 이루어진 벨트분리요소(4)를 운반한다. 판지지부(9)가 토션 스프링조인트(7)의 내부 사각형단부(13)에 연결되는 반면에, 베이스(6)는 제3도의 토션 스프링조인트(7)의 케이싱(14)에 연결된다. 잘 알려진 방식에 있어서, 토션 스프링조인트(7)가 고무요소(15)를 포함함으로써, 사각형단부(13)는 중심에서 스프링하중을 받는다. 또한 벨트분리요소의 경우, 숙련된 자는 그러한 토션 스프링조인트의 기능을 잘 알고 있으므로, 여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가 없다.
특히, 콘베이어벨트(2)에 대하여 분리판(8)의 분리에지를 평행하게 자동설치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벨트분리요소(4)는 피벗베어링에서의 축(A)에 대하여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벗베어링은 튜브소켓(5)과 소켓(5)에 위치한 플라스틱 베어링부시로 형성되며 부시(17)안에 회전하는 방식으로 장착된 벨트분리요소(4)의 베이스(6)에 의해 형성된다. 튜브소켓(5)의 상단부에는 두개의 리세스가 있는 바, 이는 각 경우에, 부시(17)의 돌출부(16)를 맞물린다. 리세스와 돌출부(16)는 소켓(5)에 있는 부시(17)의 한 배치만이 가능한 방식으로 완곡하게 배치된다. 부시(17)는 대략 소켓(5)의 전체길이에 걸쳐 확장하며 그 하측면과 내부위에 가는 줄을 가져서 잠금나사(18)로 조여졌다. 잠금나사(18)는 횡단면적이 원형에지로 된 소켓헤드 나사이며, 그 직경은 튜브소겟(5)의 내부직경보다 다소 작다.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잠금나사(18)는 베어링부시(17)의 저단부에 대하여 원뿔형표면을 누르며 0-링(19)은 소켓(5)의 벽에 대하여 원뿔형표면에 의해 외부로 눌러지고 거기에 그루브안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상태를 제 3도와 제 4도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 잠금나사(18)는 자유로운 제거, 회전방지 방식으로 즉, 마찰 맞물림에 의해 튜브소켓(5)안으로 조여진다.
잠금나사(18)를 풀면. 0-링은 신장되지 앞은 처음위치로 되돌아온다. 느슨해진 잠금나사(18)의 경우, 잠금나사(18)를 가진 베어링부시(17)는 소켓(5)의 외부에서 위로 끌어내어진다. 반대로, 이는 소켓(5)안에 부시의(17)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나타낸 그루브는 튜브소켓(5)에서 그리고, 시스템케리어(3)에서의 벨트분리요소(4)를 확고하게 위치시킬 필요는 없으며 단지 추가적인 고정수단과 같이 제공된다. 이는 적절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튜브소켓(5)의 매끄러운 벽에 대하여 0-링(19)올 누르는 데에만 필요하다.
저널과 같이 구조된 베이스(6)는 베어링부시(17)의 내부에 삽입되고 토션 스프링조인트(7)의 케이싱(14)에 확고하게 용접된다. 이러한 기본 위치에 있어서, 베이스(6)는 조정부시(21)의 컬러(20)에서 맞물리고 피벗방향으로 그리고 핀연결의 도움으로 상기 부시(2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자유로운 제거 방식으로 피벗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조정부시(21)는 핀(23)을 통과하는 연장된 홀(22)을 가지며, 이는 베이스(6)에 있는 대용하는 횡단구멍에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6), 토션 스프링조인트(7), 판지지부(9) 및 분리판(8)으로 형성된 유니트는 적절한 각으로 앞뒤로 피벗할 수 있으며, 부시(21)의 회전운동은 컬러(20)위에 형성된 노우즈(24)(제4도)가 베어링부시(17)의 종방향 그루브(25)에 안내되는 것을 피한다.
조정부시(21)는 베어링부시(17)와 축(A)을 따르는 분리판(8)에 대하여 베이스(6)의 수직조정용 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수직조정장치는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잠금나사(18)안에서 멈춤나사(26)를 회전시킬 수 있지만, 축방향으로 고정 유지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나사헤드와 나사헤드 아래에 디스크(28)를 갖춘 샤프트고정링(27)이 제공된다. 디스크(28)는 멈춤나사(26)안에 만들어진 그루브에 배치된다. 소켓헤드 나사와 같이 구조된 멈춤나사(26)는 아래로부터 장애물없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는 샤프트 고정링(27) 혹은 헤드에 의해 축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멈춤나사(26)의 회전운동은 조정부시(21)의 축운동을 이끌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자는 조정부시와 함께 화전할 수 없다. 왜냐하면, 노우즈(24)는 종방향 그루브(25)안에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조정경로는 핀(29)에 의해 제한되는 바, 핀(29)은 베어링부시(17)안으로 움직이며 종방향 그루브(25)안으로 상방향경로를 폐색한다. 멈춤나사(26)는 마찰 맞물림으로 0-링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어떠한 자동비틀림도 없도록 보장한다.
벨트분리요소(4)가 튜브소켓(5)으로 부터 분리된다면, 먼저. 잠금나사(18)는 베어링부시에서 느슨해진다. 벨트분리요소(4)는 튜브소켓(5)의 외부로 위를 향해 끌어낼 수 있다. 어셈블리는 역방식으로 일어난다.
베이스(6)와 조정부시(21)사이에 핀연결일 경우에 구조 즉, 베이스(6)에 있는 연장된 구멍의 형성의 역전이 또한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핀(23)은 부시(21)안에 횡단구멍에서 수용된다. 따라서, 이는 숙련된 자에 의해 잘 알려진 중요한 표준역전이다.
베어링부시(17)의 상단부에 포켓이 제공되며, 슬리브(31)가 삽입된다. 더욱이, 슬리브(31)와 베어링부시(17)의 상단부는 밀봉캡(32)에 의해 밀봉된다. 더욱이, 모든 부분은 방수그리스로 코팅됨으로써 유연한 운동과 적절한 부식보호를 할 수 있다. 잠금나사(18)가 도시하지 않은 보호캡에 장착될 때, 잠금나사는 조정과 방출을 목적으로 분리된다. 그러나, 그러한 캡이 없더라도, 나사(18,26)는 튜브소켓(5) 안에서 잘 보호된다.
제 5 도 내지 제 9 도는 벨트분리요소(4)의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부분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도면부호가 주어진다. 벨트분리요소(4)의 베이스(6)가 시스템케리어(3)에 연결된 장착지지부(33)에 삽입되는 것이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와 공통이다. 지지부(33)에 삽입된 베이스(6)는 콘베이어벨트(2)의 평면에 평행하게 움직인다. 토션 스프링 조인트(34)의 케이싱(14)은 베이스(6)의 다른 단부에 직접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조인트(17)와 판지지부(9) 사이에 피벗조인트(34)가 제공되며, 이는 상기 지지부(9)를 피벗가능하게 장착한다. 토션 스프링조인트(17)의 사각형단부(13)는 피벗베어링(34)의 튜브소켓(35)에 용접된다.
제 7 도와 관련한 제 5 도 및 제 6 도에 의해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벗베어링(34)은 토션 스프링조인트(7)의에 베이스(6)와 장착지지부(33)의 중심축에 대하여 측면으로 대체된다.
장착지지부(33)의 축의 방향으로 확장하는 나사(36)에 의해, 베이스(6)는 후자에 고정되어 나사(36)가 베이스(6)에서 만들어진 가는줄에 끼워진 부분과 맞물리고 그 나사헤드는 지지부(33)의 원형링 표면위에 맞물린다. 장착지지부(33)에 있는 베이스(6)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6)는 베이스(6)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움직이는 방사상으로 대체가능한 스프링하중을 받는 핀(37)을 가진다. 리세스에 있어서는, 베이스(6)가 지지부(33)에서 맞물리기 위해 삽입된다면, 핀은 지지부(33)에 있는 대응하는 횡단구멍에서 맞물린다. 관련된 횡단구멍을 갖춘 이러한 핀(37)은 또한 장착지지부(33)에 베이스(6)를 삽입하기 위한 위치로 이용된다.
제5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토션 스프링조인트(7) 및 피벗베어링(34)과 지지부(33)를 갖춘 베이스(6)는 캡슐로 보호된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마모 촉진입자 예컨대, 분탄이나 그와 같은 것의 침투를 방지한다.
시스템캐리어(3)로 부터 벨트분리요소(4)를 분리할 때, 나사(36)는 느슨해지고 핀(37)은 외부에서 리세스안으로 눌러진다. 그리고 나서 베이스(6)를 갖춘 벨트분리요소(4)를 장착지지부(33)의 밖으로 끌어낼 수 있다. 벨트분리요소(4)는 장착지지부(33)에서의 베이스(6)와 역순서로 삽입될 수 있으며 나사(36)와 다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개별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피벗베어링(34)의 외부에 판지지부(9)를 이끌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벨트분리요소(4)의 제2실시예의 제5도 내지 제7도에 따른 피벗베어링(34)은 튜브소켓(5), 중간슬리브(38)와 상부 및 저부 베어링부시(39,4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경우, 상부 및 저부 베어링부시(39,40)는 중간슬리브(38)의 정면에서 정지하는 플랜지에지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부시(39,40)는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분리판(8)을 마주하는 단부영역을 가진 판지지부(9)는 베어링부시(39,40)에 배치되고, 상기 단부영역은 정지부(42)를 가진 저널(41)처럼 구성된다. 정지부(42)는 상부 베어링부시(39)의에서 정지함으로써, 판지지부(9)는 또한 축의 방향으로 장착된다.
튜브소켓(35)과 중간슬리브(38)는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베어링부시(39,4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그 외부표면에서, 중간슬리브(38)는 축의 방향으로 방향지워진 그루브(43)에 제공되며, 제 7 도에서 추측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루브(43)는 제한된 길이를 가진 소켓(35)안으로 끼워진 나사(44)를 맞물린다. 나사(44)의 안전한 설치는 튜브소켓(35)이 끼워진 나사(44)안에 가는 줄은 가진 연결부(45)를 구비하는 것을 보장한다.
높이방향으로 축(A)을 따라 축의 방향으로 분리판(8)과 함께 축(A)에 대하여 선회하는 판지지부(9)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나사의 단부(46)가 그루브(43)의 저부에서 방출될 정도의 넓이까지 나사(44)를 느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계속해서 중간슬리브(38), 베어링부시(39,40) 및 저널(41)은 그루브(43)의 신장에 대응하는 최대까지 축(A)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나사(44)가 다시 조여짐으로써, 중간슬리브(38)는 튜브소켓(35)에 대하여 다시 고정된다.
판지지부(9), 분리판(8), 저널(41), 베어링부시(39,40) 및 중간슬리브(38)로 이루어진 완전한 유니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나사(44)의 단부(46)가 더이상 그루브(43)에서 맞물리지 않으며 그안에 위치된 부분과 함께 중간슬리브(38)가 튜브소켓(35)의 외부로 끌어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연결부(45)에서 나사(44)를 뽑아낼 필요가 있다.
저널(41)이 방사상으로 확장하는 연장된 슬롯(47)을 가지는 것을 제 7 도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연장된 슬롯은 중간슬리브(38)에 연결된 핀(48)을 맞물린다.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나사(44)가 앞서 공지된 방식으로 느슨해질 때, 단지 공동으로 축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저널(41)위에서 중간슬리브(38)를 유지한다. 따라서, 피벗베어링(34)안에 판지지부(9)의 비틀림각도는 25° 의 각도(α)로 제한된다.
중간슬리브(38)의 저부 표면은 플러그(49)에 의하여 폐쇄되고 캡슐로 싸여있고, 그 직경은 중간슬리브(38)의 외부직경과 일치하거나 혹은 후자보다 적다. 따라서, 그 위치에 놓여진 플러그(49)는 중간슬리브(38)과 그 안에 위치된 부분으로서 밖으로 끌어내어질 수 있다.
제 8 도는 벨트분리요소(4)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제5도 내지 제7도에 따른 제2실시예와 일치한다. 단지 튜브소켓(35)만이 아래로 길어지고 단부벽(50)에 제공된다. 단부벽(50)에 있어서, 축(A)에 대하여 동축인 끼워진 구멍이 있으며, 멈춤나사(51)를 맞물린다. 플러그(49)에 의하여, 나사(51)의 단부는 저널(41)의 아래에서 맞물린다. 따라서, 제 7 도의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판지지부(9)의 수직조정의 경우에 있어서, 저널(41)은 나사(44)를 느슨하게 할때 정지하자 않도록 한다. 왜냐하면. 분리판위에서 맞물리는 콘베이어벨트(2)의 중량에 따라서, 판지지부(9)와 저널(41)이 아래로 눌러지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저널(41), 베어링부시(39,40), 중간슬리브(38) 및 플러그(49)는 멈춤나사(51)에 의해 정지된다. 느슨해진 나사(44)에서, 완전한 유니트는 멈춤나사(51)를 회전함으로써 계속하여 상방 혹은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나사(44)에 의해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제 9 도에 도시한 벨트분리요소(4)의 제 4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르다. 즉, 저널(41)을 갖춘 지지부(9)는 튜브소켓(35)에서 축(A)에 대하여 직접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판지지부(9)는 나사(44)를 삽입하고 조임으로써 그리고 튜브소켓(35)에서의 저널(41)올 클램핑하는 결과에 의해 예정된 피벗위치로 고정된 수 있다는 것이다. 분리판(8)의 수직조정은 나사(44)를 느슨하게 하고 축(A)을올 따라 저널(41)을 움직임으로써 일어난다. 그러면, 나사(44)는 다시 조여지고 저널(41)은 나사(44)에 의해 튜브소켓(35)에 고정된다. 저널(41)의 윈주위에 나사(44)의 단부(46)를 맞물리는 잠그는 힘은 여기에서와 저널(41)의 윈주위에 주름 혹은 그와 같은 것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서 효과적으로 재보강될 수 있다.

Claims (33)

  1. 콘베이어벨트의 방출단부용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되며, 콘베이어벨트 위에 벨트분리방식으로 맞물리는 시작직전 동작위치에 있는 분리판, 상단부가 분리판에 고정된 판지지부, 피벗가능하게 안내되며 수평축에 대하여 스프링하중을 받는 판지지부에 토션 스프링조인트, 토션 스프링조인트 위에 고정된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된 베이스, 제 1 축을 따르는 분리판의 수직조정에 필요한 수직조정장치 및, 콘베이어벨트에 대하여 분리판의 분리에지를 평행하게 설치하며, 분리판 위에 움직이는 콘베이어벨트부와 90° 보다 적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축에 대하여 분리판을 피벗하기 위한 피벗베어링을 가지는 벨트분리요소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의 제 1 축과 피벗베어링의 제 2 축은 동일선상에 있고, 피벗베어링은 시스템캐리어에 연결되고 튜브소켓 안에 회전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된 베어링부시와 베어링부시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판지지부와 분리판에 연결된 베이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는 베어링부시에 대하여 베이스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판지지부에서 떨어진 측면위에 잠금나사는 튜브소켓에서의 상기 부시를 종방향으로 고정하는 측에 필요한 베어링부시 안으로 조여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4. 제 1 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시와 튜브소켓은 회전하지 않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 상호연결되며, 베어링부시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그 상부에지에서 돌출부와 연결된 리세스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5. 제 3 항에 있어서, 잠금나사의 에지는 튜브소켓의 내부직경보다 다소 적은 직경을 가지며, 잠금나사 및 베어링부시는 0-링에 의해 채워진 원뿔형 압착표면을 형성하고, 잠금나사가 조여질 때, 0-링은 튜브소켓의 내부벽에 대하여 눌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6. 제 5 항에 있어서, 잠금나사가 조여질 때, 0-링에 유도된 그루브가 튜브소켓의 내부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7. 제 3 항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는 잠금나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멈춤나사를 밀봉하며, 그 고정은 마찰 맞물림에 의해 조정부 외부에서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8. 제 7 항에 있어서, 멈춤나사는 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지만 베어링부시에서 회전하지 않는 방식으로, 조정부시에서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9. 제 8 항에 있어서, 조정부시는 노우즈를 가지며, 베어링부시는 종방향 그루브를 가지고, 노우즈는 종방향 그루브에서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0. 제 9 항에 있어서, 종방향 그루브는 특히, 핀의 형태로 조정제한을 가지며, 축방향으로 횡단하는 베어링부시 안으로 움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 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1. 제 7 항에 있어서, 멈춤나사는 회전가능하지만, 잠금나사에 축의 방향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2. 제 7 항에 있어서, 멈춤나사 및 잠금나사는 각각의 경우에 원형에지로 된 소켓헤드 나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3.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판은 피벗베어링에 의해 제2축에 대하여 각도로 제한된 자유자재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 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도는 15 내지 30° 사이의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5. 제 13 항에 있어서, 조정부시는 연장된 홀을 구비하며 같은 높이에 있는 베이스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핀이 연장된 홀과 관통구멍을 통과함으로써, 베이스는 조정부시에 대하여 제한된 양으로 선회할 수 있으나, 축방향으로 충분히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6. 제 1 항에 있어서, 베어링부시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7. 제 1 항에 있어서, 설치된 위치에서, 베이스는 콘베이어벨트 이동방향에 사실상 평행하게 확장하며 토션 스프링조인트는 베이스의 개방단부에 대한 한 스프링단부에 의해 고정되며, 다른 스프링에서 토선 스프링조인트는 판지지부를 가진 피벗베어링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설치된 위치에서, 피벗베어링은 토션 스프링조인트위에 베이스의 중심축에 대하여 측면으로 변위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19. 제 1 항에 있어서, 판지지부는 제 2 축에 대하여 예정된 피벗위치로 피벗베어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0. 제 1 항에 있어서, 튜브소켓에서 변위 가능한 중간슬리브를 또한 포함하며, 이 슬리브는 튜브소켓과 베어링부시 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1. 제 20 항에 있어서, 튜브소켓과 중간슬리브는 금속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2. 제 20 항에 있어서, 나사는 튜브소켓의 벽에 있는 끼워진 구멍의 외부에서 내부로 방사상 조여지고, 그 내부단부는 소켓에 대하여 중간슬리브를 위치시키며,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그리고 외부로 움직이는 그루브에 맞물리고, 그루브의 저부를 눌러서 튜브소켓에 중간슬리브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3. 제 22 항에 있어서, 그루브의 길이는 튜브소켓 안에서 중간슬리브가 축변위할 수 있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와 퍼벗베어링은 튜브소켓에서 구조적인 유니트의 형태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5. 제 1 항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는 베어링부시에 대하여 저널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6.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의 장착 지지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벨트분리요소로서, 베이스가 고정수단에 의해 장착 지지부내에 고정되고, 베이스는 장착 지지부의 잠금수단과 공동 작용하여 장착 지지부에 대한 베이스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는 요소를 구비하며, 베이스는 리세스 내에 배치된 스프링이 장착되고, 가로방향으로 향하며 방사상으로 변위할 수 있는 핀을 구비하며, 이 핀은 장착 지지부 내의 잠금수단의 일부로서 구멍 내에 결합되고, 설치 위치에서는 그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요소.
  27. 콘베이어벨트의 방출단부용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되며, 콘베이어벨트 위에 벨트분리방식으로 맞물리는 시작직전 동작위치에 있는 분리판, 상단부가 분리판에 고정된 판지지부, 피벗가능하게 안내되며 수평축에 대하여 스프링하중을 받는 판지지부에 토션 스프링조인트, 토션 스프링조인트 위에 고정된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된 베이스, 제 1 축을 따르는 분리판의 수직조정에 필요한 수직조정장치 및, 콘베이어벨트에 대하여 분리판의 분리에지를 평행하게 설치하며, 분리판 위에 움직이는 콘베이어벨트부와 90° 보다 적은 각도를 형성하는 제 2 축에 대하여 분리판을 피벗하기 위한 피벗베어링을 가지는 벨트분리요소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의 제 1 축과 피벗베어링의 제 2 축은 동일선상에 있고, 피벗베어링은 시스템캐리어에 연결되고 튜브소켓 안에 회전하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된 베어링부시와 베어링부시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판지지부와 분리판에 연결된 저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8. 제 27 항에 있어서, 판지지부에서 떨어진 측면위에 잠금나사는 튜브소켓에서의 상기 부시를 종방향으로 고정하는 축에 필요한 베어링부시 안으로 조여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29. 제 27 항에 있어서, 튜브소켓에서 변위 가능한 중간슬리브를 또한포함하며, 이 중간슬리브는 튜브소켓과 베이링부시 사이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30. 제 29 항에 있어서, 중간슬리브, 베어링부시 및 저널은 중간슬리브의 하단부에서 플러그에 의해 감싸여지고, 플러그의 직경은 중간 슬리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31. 제 30 항에 있어서, 수직조정장치는 튜브소켓내의 나사가 형성된 구멍 내에 결합되는 멈춤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멈춤나사를 통해 저널이 제 1 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32. 제 31 항에 있어서, 멈춤나사는 플러그 위에서 결합되고, 중간슬리브는 베어링부시 및 저널과 함께 멈춤나사를 통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33. 제 27 항에 있어서, 저널은 중간슬리브에 연결된 핀이 연장되는 가늘고 긴 방사상 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분리장치의 시스템캐리어 위에 배치하기 위한 벨트분리요소.
KR1019940701999A 1992-10-13 1993-10-09 벨트분리장치를지지하는시스템에장착된벨트분리요소 KR100296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G9213788.1U 1992-10-13
DE9213788U DE9213788U1 (de) 1992-10-13 1992-10-13 Abstreifelement an einem Abstreifer
DEG9308826.4U 1993-06-15
DE9308826U DE9308826U1 (de) 1993-06-15 1993-06-15 Abstreifelement an einem Abstreifer
PCT/EP1993/002764 WO1994008877A1 (de) 1992-10-13 1993-10-08 Abstreifelement zum anordnen an einem systemträger einer abstreif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406B1 true KR100296406B1 (ko) 2001-10-24

Family

ID=2596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999A KR100296406B1 (ko) 1992-10-13 1993-10-09 벨트분리장치를지지하는시스템에장착된벨트분리요소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518107A (ko)
EP (1) EP0629171B1 (ko)
JP (1) JP3428647B2 (ko)
KR (1) KR100296406B1 (ko)
AT (1) ATE165582T1 (ko)
AU (1) AU677049B2 (ko)
BR (1) BR9305669A (ko)
DE (1) DE59308474D1 (ko)
DK (1) DK0629171T3 (ko)
ES (1) ES2115230T3 (ko)
RU (1) RU2119884C1 (ko)
WO (1) WO1994008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5230T3 (es) * 1992-10-13 1998-06-16 Schwarze Hans Otto Elemento de rascado montado en un sistema que soporta un dispositivo de rascado.
DE9400258U1 (de) * 1994-01-12 1995-05-18 Schwarze Hans Otto Vorrichtung zum Abstreifen von Verunreinigungen von Gurtbändern im Bereich einer Antriebs- oder Umlenkrolle
US5647476A (en) * 1994-07-01 1997-07-15 Martin Engineering Company Conveyor belt scraper blade
US5797477A (en) * 1994-07-01 1998-08-25 Martin Engineering Company Conveyor belt scraper blade
GB2315724B (en) * 1996-08-01 1999-12-15 Slic Trading Co Limited Conveyor belt scraper
AU738112B2 (en) * 1997-07-25 2001-09-06 Scorpio Conveyor Products (Proprietary) Limited Conveyor scraper and mounting of scraper blade
EP1071624A4 (en) * 1997-12-23 2002-04-17 Flexible Steel Lacing Co CONVEYOR BELT CLEANER
ZA986566B (en) 1998-07-23 2000-02-11 Brelko Patents Proprietary Ltd Torsion holder for conveyor belt scraper. Torsion holder for conveyor belt scraper.
US6439373B1 (en) * 1998-11-09 2002-08-27 Martin Engineering Company Constant angle and pressure conveyor belt cleaner and tensioning arrangement
US6296105B1 (en) * 1999-12-21 2001-10-02 Shaun K. Carnes Belt scraper
EP1567430B1 (en) * 2002-10-15 2018-09-12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belt cleaning system
US6823983B2 (en) * 2002-10-15 2004-11-30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belt cleaner
US6766896B1 (en) * 2003-03-27 2004-07-27 China Steel Corporation Scraping device
US20060049023A1 (en) * 2004-09-09 2006-03-09 Dietsch Phillip E Rotary conveyor belt cleaner
US7584835B2 (en) * 2005-03-11 2009-09-08 Asgco Manufacturing, Inc. Adjustable V-plow apparatus for deflecting material carried on a belt
DE102007042653A1 (de) * 2007-09-10 2009-03-12 HOSCH-FöRDERTECHNIK RECKLINGHAUSEN GMBH Vorrichtung zum Abstreifen von Verunreinigungen eines Gurtbandes von Förderbandanlagen
CN104039668B (zh) * 2012-01-09 2016-02-17 泰加工业有限公司 改进的输送带刮刀支架
US8776990B2 (en) * 2012-01-24 2014-07-15 Superior Industries, Inc. Dual belt cleaner
DE102013006821B4 (de) 2013-01-07 2016-05-04 Hans-Otto Schwarze Gurtabstreifer mit Winkelhöhenverstellung
DE102014006281A1 (de) * 2014-05-02 2015-11-05 Hans-Otto Schwarze Gurtabstreifer mit Modulschrägstellung
USD747838S1 (en) 2014-05-30 2016-01-19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Scraper blade for conveyor belts
US9586765B2 (en) 2014-06-12 2017-03-07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belt cleaner with removable cleaner assembly
AU2015283906B2 (en) 2014-07-04 2020-07-09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Conveyor belt cleaner
DE202014008553U1 (de) * 2014-10-29 2016-02-01 F.E. Schulte Strathaus GmbH & Co. KG Fördertechnik Dichtungssysteme Abstreifsegment für eine Abstreifvorrichtung
US9376264B1 (en) * 2014-12-17 2016-06-28 Shawn Michael Foley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USD779769S1 (en) 2015-01-13 2017-02-21 Flexible Steel Lacing Company Scraper blade for conveyor belts
WO2017003686A1 (en) * 2015-06-29 2017-01-05 Laitram, L.L.C. Self-biasing scraper for a conveyor belt
US9738456B1 (en) 2016-08-02 2017-08-22 Superior Industries, Inc. Conveyor belt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9150A (en) * 1980-05-09 1982-11-16 Martin Engineering Company Conveyor belt cleaner
US4535883A (en) * 1983-03-09 1985-08-20 Material Control, Inc. Shock mount telescoping conveyor belt cleaner
US4533035A (en) * 1984-01-04 1985-08-06 Material Control, Inc. Conveyor belt cleaner
ZA843205B (en) * 1984-04-30 1984-10-22 Hosch-Foerdertechnik Gmbh. Mounting for a conveyor belt scraper assembly
US4633999A (en) * 1985-08-30 1987-01-06 Perneczky George C Self-adjusting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DE3626131C2 (de) * 1986-08-01 1997-12-04 Schwarze Hans Otto Abstreifvorrichtung für den Rücklaufbereich von Förderbändern
DE3620960C2 (de) * 1986-06-23 1995-08-17 Hoesch Foerdertech Halterung an einem Förderbandabstreifer für einen mit Abstreiferelementen versehenen Träger
DE3624754A1 (de) * 1986-07-22 1988-01-28 Hackforth Gmbh & Co Kg Abstreifvorrichtung fuer foerderbandanlagen
US5016746A (en) * 1988-06-20 1991-05-21 Asgco Manufacturing, Inc. Conveyor belt scraping apparatus
US5011002A (en) * 1989-12-26 1991-04-30 Asgco Manufacturing, Inc. Scraper apparatus for conveyor belts
ES2115230T3 (es) * 1992-10-13 1998-06-16 Schwarze Hans Otto Elemento de rascado montado en un sistema que soporta un dispositivo de rasca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77049B2 (en) 1997-04-10
AU6457694A (en) 1994-12-22
DK0629171T3 (da) 1999-02-01
RU2119884C1 (ru) 1998-10-10
BR9305669A (pt) 1995-05-16
WO1994008877A1 (de) 1994-04-28
DE59308474D1 (de) 1998-06-04
JPH07506324A (ja) 1995-07-13
EP0629171A1 (de) 1994-12-21
JP3428647B2 (ja) 2003-07-22
ES2115230T3 (es) 1998-06-16
ATE165582T1 (de) 1998-05-15
EP0629171B1 (de) 1998-04-29
US5518107A (en) 199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406B1 (ko) 벨트분리장치를지지하는시스템에장착된벨트분리요소
US5082106A (en) Stripping device for the return run of conveyor belts
CA1205774A (en) Conveyor belt cleaner
US4254550A (en) Lawn trimmer
JPH03166115A (ja) コンベヤベルトを清掃するかき取り装置
US5944171A (en) Conveyor and support rollers around curved traveling portion
US4733672A (en) Separating and cleaning arrangement for a self-propelled harvester thresher
KR100251659B1 (ko) 펠릿 분쇄기의 다이 고정구 및 로울러/다이의 신속 교체 시스템
US6601692B2 (en) Device for cleaning endless conveyors
US4688660A (en) Winch for elevator
AU2003200009A1 (en) Low-profile Tensioner for a Conveyor Belt Scraper
CA2511108C (en) Adjustable foot for setting up equipment in alignment
EP1028053B1 (en) Strap tensioning tool
CN1049194C (zh) 安置在传送带出料端处的剥离装置上的剥离元件
US6116565A (en) Horizontal glide damper
US4433878A (en) Self-aligning bearing assembly
US20060237622A1 (en) Combination of an height-adjustable foot and an adjusting tool
CN216742670U (zh) 一种用于皮带传动的张紧轮装置
RU2805597C1 (ru) Скребков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ерной ленты с простым техническим обслуживанием
KR940002668A (ko) 일체형 브라켓 구조를 갖는 분리급지기구
KR101118299B1 (ko)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950003337Y1 (ko) 클리닝 기구를 구비한 분리급지 장치
US20080236310A1 (en) Motor mount which allows movement of the motor only in a belt tensioning direction
KR100566521B1 (ko) 연사기용 텐션롤러
KR900009828Y1 (ko) 현미기의 고무로울러 간격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