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330B1 - 6분력힘/모멘트센서 - Google Patents

6분력힘/모멘트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330B1
KR100295330B1 KR1019980021560A KR19980021560A KR100295330B1 KR 100295330 B1 KR100295330 B1 KR 100295330B1 KR 1019980021560 A KR1019980021560 A KR 1019980021560A KR 19980021560 A KR19980021560 A KR 19980021560A KR 100295330 B1 KR100295330 B1 KR 100295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ment
sensor
beams
force
for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346A (ko
Inventor
김갑순
강대임
Original Assignee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정명세
Priority to KR101998002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330B1/ko
Priority to JP10224347A priority patent/JP3044233B2/ja
Publication of KR2000000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3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개의 평판보들을 이용하여 힘(Fx,Fy,Fz)과 모멘트(Mx,My,Mz)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같은 크기의 평판보(1~4)를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힘 Fz 및 모멘트 Mx와 My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30)와; 같은 크기의 평판보(5~12)를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힘 Fx와 Fy를 감지하며 같은 크기의 평판보(13~16)를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힘 Fx, Fy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40)로 구성되어 고정블록(B1~B8)으로 몸체(50)와 각각의 보(1~16)를 고정하여 한 몸체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6분력 힘/모멘트 센서(6-component force/moment sensor)
본 발명은 여러개의 평판보들을 이용하여 힘(Fx,Fy,Fz)과 모멘트(Mx,My,Mz)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힘/모멘트 감지센서로서, Yabuki(참고문헌 : A. Yabuki, "Six-axis force/torque sensor for assembly robots,"Fujitsu Sci. Tche. J., 26, 1, pp. 41-47, April 1990)는 8개의 병렬 리프(leaf)스프링으로 구성된 직교형 탄성체 구조를 고안하였다. 이 구조에서는 24개의 박 스트레인 게이지로 6개의 휘스톤 브리지가 구성되며 산술적인 계산 없이 힘 및 모멘트 성분을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이 센서의 상호간섭오차는 힘 성분인 경우 2%이고, 모멘트인 경우 3~6%이다.
Hatamura(참고문헌 : K. Ozo and Y. Hatamura, "A new design for 6-component force/torque sensor", Pro. of the 11th Int. con. on measurement of force and mass, Amsterdarm, The Netherlands, pp. 39-48, May 1986. and US Patent 4,485,681 and 4,674,339)는 힘성분을 측정하는 병렬평행판(parallel plate)과 모멘트를 측정하는 병렬방사판(radial plate)을 이용하여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고안하였다. 여러 번에 걸쳐 병렬평형판과 병렬방사판을 이용하여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최종 모델인 경우 상호간섭오차가 37%이었다. 그래서 개발한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실제 사용할 때 상호간섭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보상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보상시간이 소요되므로 로봇, 공작기계 등의 정밀한 힘제어에 사용할 수 없다.
Dietrich(미국특허 7,763,531)는 외부 실린더와 내부 허브(hub) 사이에 4개의 빔을 90°간격으로 연결하여 상부구조를 구성하였고, 하부구조도 상부구조와 마찬가지로 외부 실린더와 내부 허브(hub) 사이에 4개의 빔을 90°간격으로 연결하여 구성하였으며, 이들 상부와 하부구조의 허브를 보올트로 체결하여 6분력 힘/모멘트센서를 고안하였다. 이 6분력 힘/모멘트 센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가공은 용이하나 센서에 힘 혹은 모멘트가 가해졌을 때 조립 부분에서 큰 변형이 발생되며, 또한 이 구조는 병렬평판과 달리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개별적으로 변형되므로 변형량이 크다. 따라서 힘 혹은 모멘트가 가해졌을 때 본 센서의 총 변형량은 위의 두 가지 변형량을 합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변형량이 큰 센서는 로봇 및 공작기계의 힘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없다. 본 센서의 상호간섭오차는 상부와 하부구조의 조립에서 x, y, z측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없으므로 일체형으로 설계된 센서보다 매우 크게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6분력 힘/모멘트 센서에 있어서, 첫째; 선진국에서 개발하여 사용중인 기존의 6분력 힘/모멘트 센서는 센서의 정밀정확도를 나타내는 상호 간섭오차가 3~37% 정도이다. 이와 같이 상호간섭오차가 큰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보상하여야 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보상할 경우에는 보상하는 시간이 소요되므로 로봇이나 공작기계 등과 같이 빠르고 정밀한 제어를 할 경우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둘째; 병렬평행판이나 병렬방사평판을 이용하여 설계한 6분력 힘/모멘트 센서는 힘 Fx가 가해질 경우 모멘트 My, 그리고 힘 Fy가 가해질 경우 모멘트 Mx가 발생할 때 상호간섭오차가 5% 이상 크게 발생하며, 또한 같은 힘과 모멘트의 용량에서 처짐이 크게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같은 힘과 모멘트의 용량에서 상호간섭오차와 처짐을 기존의 6분력 힘/모멘트 센서보다 작게 하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같은 크기의 평판보를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 블록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힘 Fz 및 모멘트 Mx와 My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와; 같은 크기의 평판보를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힘 Fx와 Fy를 감지하며, 같은 크기의 평판보를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힘 Fx, Fy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로 구성되어 블록으로 몸체와 각각의 보를 고정하여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제공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감지부의 구성도.
도 2는 보(1)과 보(2)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에 힘 Fz를 -z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
도 3는 보(3)과 보(4)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에 모멘트 Mx를 x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
도 4는 보(5) 내지 보(16)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에 힘 Fy를 -y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
도 5는 보(5)과 보(16)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에 모멘트 Mz를 -z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
도 6은 몸체와 고정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센서를 구성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위치
도 8은 선정된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이용하여 구성한 완전결선회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6 : 평판보
B1~B8 : 고정블록
S1~S56 : 스트레인 게이지
24, 24' : 하중전달블록
30 : 힘 Fz와 모멘트 Mx, My를 감지하는 감지부
40 : 힘 Fx, Fy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감지부
50 : 몸체
51 : 몸체와 보의 간격
60, 70 : 상, 하부 케이스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평판보들을 이용하여 힘 Fx,Fy,Fz 모멘트 Mx,My,Mz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힘 Fz 모멘트 Mx,My를 감지하는 감지부(30)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상부에 위치하며, 4개의 평판보(1~4)를 z방향과 수직으로 눕혀서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구성하였다.
힘 Fx,Fy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감지부(40)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하부에 위치하며, 힘 Fx와 Fy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8개의 평판보(5~12)를 z방향으로 세워서 사각형 모양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힘 Fx와 Fy의 감지부를 구성한 사각형 안에 4개의 평판보(13~16)를 z방향으로 세워서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힘 혹은 모멘트를 감지하는 평판보(1~16)에 스트레인 게이지 4개를 부착하고 휘스턴 브리지를 구성하여 각각의 센서를 제작하였다.
각각의 힘과 모멘트 측정은 우선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고정하고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에 힘 혹은 모멘트를 개별적으로 혹은 동시에 가한다. 가해진 힘과 모멘트를 각 힘과 모멘트를 감지하는 센서로 측정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힘 Fz 및 모멘트 Mx와 My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평판보(1~4)를 수평으로 눕혀서 구성하고, 힘 Fx와 Fy 및 모멘트 Mz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평판보(5~16)를 수직으로 세워서 구성하여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감지부를 도 1과 같이 한 몸체로 모델링하였다.
힘 Fz 및 모멘트 Mx와 My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30)는 같은 크기의 평판보, 즉 보의 보의 길이(l1), 보의 폭(b1), 보의 높이(h1)가 서로 같은 보(1~4)을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 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힘 Fx와 Fy 및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40)에 있어서, 힘 Fx와 Fy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는 같은 크기의 평판보, 즉 보의 길이(l2), 보의 폭(b2), 보의 높이(h2)가 서로 같은 평판보(5~12)를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는 같은 크기의 평판보, 즉 보의 길이(l3), 보의 폭(b3), 보의 높이(h3)가 서로 같은 평판보(13~16)를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에서 보 (1)과 (2)는 힘 Fz과 모멘트 My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사용되고 보 (3)과 (4)는 모멘트 Mx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사용된다. 보 (5~8)은 힘 Fx, 보 (9~12)는 힘 Fy, 보 (13~16)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감지부이다. 그리고 하중전달블록(24,24')은 케이블 인출구(52)를 형성한 몸체(50)와 각각의 보(1~16) 들을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50)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감지부(30,40)는 하중전달블록(24,24')이 몸체(50)와 연결되고 각각의 평판보(1~16)은 몸체(50)와 떨어져 일정한 간격(51)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보 (1)과 (2)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24)에 힘 Fz를 -z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이며,
도 3는 보 (3)과 보(4)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24)에 모멘트 Mx를 x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이며,
도 4는 보 (5)과 보(16)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24')에 힘 Fy를 -y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이며,
도 5는 보 (5)과 보(16) 사이에 있는 하중전달블록(24')에 모멘트 Mz를 -z방향으로 가했을 때 변형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각각 하부 하중전달블록과 상부 하중전달블록을 포함한 몸체와 고정되는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60)와 하부 케이스(70)로 구분되어 감지부가 고정된 몸체(50)에 조립되는 것으로, 각각 중앙부위로 조립공(21)이 형성되며 바깥쪽으로는 외부기기와 체결되는 체결공(22) 및 핀 홀(23)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공(21)을 통하여 고정수단으로 몸체(50)의 하중전달블록(24,24')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부착하여 센서를 구성할 수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 부착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센서를 구성하는 스트레인 게이지는 Fx 감지용 센서인 경우 S17, S19, S21, S23, Fy인 경우 S25, S27, S29, S31, Fz인 경우 S9~S12, MX인 경우 S5~S8, My인 경우 S1~S4, Mz인 경우 S33~S36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스트레인 게이지들을 이용하여 도 8과 같이 완전결선회로를 구성하여 각각의 센서를 제작하였다. 즉 C1은 S17, S25, S9, S5, S1, S33, C2는 S19, S27, S10, S6, S2, S34, T1은 S21, S29, S11, S7, S3, S35, T2는 S23, S31, S12, S8, S4, S36으로 구성되어 진다.
6분력 힘/모멘트 센서를 이용한 힘 및 모멘트 측정은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고정하고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에 힘 혹은 모멘트를 개별적으로 혹은 동시에 가한 후 가해진 힘과 모멘트를 각 힘과 모멘트를 감지하는 센서로 감지한다.
표 1은 상호간섭오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보이고 있다. 각각의 힘 혹은 모멘트가 가해졌을 경우 가장 큰 상호간섭오차는 힘 Fx가 가해졌을 경우에는 Mz 감지용 센서가 1.7%, 힘 Fy인 경우에는 Mx 감지용 센서가 2.0%, 힘 Fz인 경우에는 My 감지용 센서가 1.7%, 모멘트 Mx인 경우에는 Fz 감지용 센서가 0.8%, 모멘트 My인 경우에는 Mx 감지용 센서가 0.6%, 모멘트 Mz인 경우에는 Fy 감지용 센서가 1.5%이 었다. 특히 병렬평행판과 방사평판에서 상호간섭오차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 즉 힘 Fx가 가해졌을 때 모멘트 My 감지용 센서와 힘 Fy가 가해졌을 때 모멘트 Mx 감지용센서의 경우 각각 1.5%와 2.0%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한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상호간섭오차는 최대 2.0% 이내로 현재 선진국에서 개발되어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상호간섭오차 3% 이상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6분력 힘/모멘트 센서는 상호간섭오차가 2%이내로 정밀한 6분력의 힘과 모멘트를 측정할 수 있으며, 로봇 등 빠르고 정밀도가 높은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같은 크기의 평판보(1~4)를 상부에 위치한 하중전달 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힘 Fz 및 모멘트 Mx와 My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30)와; 같은 크기의 평판보(5~12)를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힘 Fx와 Fy를 감지하며, 같은 크기의 평판보(13~16)를 하부에 위치한 하중전달블록(24')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힘 Fx, Fy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부(40)로 구성되어 각각의 평판보(1~16)는 하중전달블록(24,24')에 고정되며, 고정블록(B1~B8)이 몸체(50)와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보(1,2)는 힘 Fz과 모멘트 My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사용되고, 보(3,4)는 모멘트 Mx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사용되며, 보(5~8)은 힘 Fx, 보(9~12)는 힘 Fy, 보(13~16)은 모멘트 Mz를 감지하는 감지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힘과 모멘트를 감지하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평판보(1~16)는 몸체(50)에 직접 고정되지 않도록 일정간격(5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
  4.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60)와 하부 케이스(70)로 구분되어 감지부(30,40)가 고정된 몸체(50)와 조립되는 것으로, 각각 중앙부위로 조립공(21)이 형성되며 바깥쪽으로는 외부기기와 체결되는 체결공(22) 및 핀 홀(23)이 형성되어 상기 조립공(21)을 통하여 고정수단으로 몸체(50)의 하중전달블록(24,24')에 체결되어 감지부(30,40)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분력 힘/모멘트 센서의 케이스.
KR1019980021560A 1998-06-10 1998-06-10 6분력힘/모멘트센서 KR100295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560A KR100295330B1 (ko) 1998-06-10 1998-06-10 6분력힘/모멘트센서
JP10224347A JP3044233B2 (ja) 1998-06-10 1998-08-07 6分力・力/モーメントセンサー及びその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1560A KR100295330B1 (ko) 1998-06-10 1998-06-10 6분력힘/모멘트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346A KR20000001346A (ko) 2000-01-15
KR100295330B1 true KR100295330B1 (ko) 2001-11-22

Family

ID=19538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560A KR100295330B1 (ko) 1998-06-10 1998-06-10 6분력힘/모멘트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44233B2 (ko)
KR (1) KR100295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9246B2 (ja) * 2001-06-28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作用力検出装置
KR100753755B1 (ko) * 2006-02-22 2007-08-3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로봇팔목 6축 힘/모멘트 센서
CN114199444A (zh) * 2021-11-23 2022-03-18 内蒙航天动力机械测试所 一种固体姿轨控发动机六分力传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3270A (en) * 1976-04-30 1977-11-08 Yamato Scale Co Ltd 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JPS57169643A (en) * 1981-04-13 1982-10-19 Yamato Scale Co Ltd Load cell for multiple components of force
FR2545606B1 (fr) * 1983-05-06 1985-09-13 Hispano Suiza Sa Capteur de torseur de forces
JPH01321330A (ja) * 1988-06-24 1989-12-27 Nec Corp 6軸力覚センサ
JPH0516091A (ja) * 1991-07-11 1993-01-26 Fujitsu Ltd ロボツト用力検出器
JP2722171B2 (ja) * 1994-05-20 1998-03-04 財団法人日本自動車研究所 歩行者の脚部保護試験に用いるダミー脚部用センサー
JP2684538B2 (ja) * 1995-12-01 1997-12-03 株式会社昭和測器 荷重変換器
KR100199691B1 (ko) * 1997-05-19 1999-06-15 김동진 6분력 로드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09564A (ja) 2000-01-14
KR20000001346A (ko) 2000-01-15
JP3044233B2 (ja) 200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691B1 (ko) 6분력 로드셀
US3771359A (en) Load cell
KR102183179B1 (ko) 스트레인게이지 방식의 다축 힘토크센서
JP2767766B2 (ja) 6軸力覚センサ
KR100753755B1 (ko) 로봇팔목 6축 힘/모멘트 센서
KR100295330B1 (ko) 6분력힘/모멘트센서
CN112665765A (zh) 一种基于并联分载原理的机器人高刚度关节力矩传感器
KR100347334B1 (ko) 고정밀 6축 힘/모멘트 감지센서
KR100295331B1 (ko) 3분력힘/모멘트센서
KR101455307B1 (ko) 감지부 분리형 6축 로드셀
US20050120809A1 (en) Robotic force sensing device
EP3295141B1 (en) Multi axis load cell body
KR100760123B1 (ko) 인간형 로봇의 발목 6축 힘/모멘트 센서
KR101759102B1 (ko) 회전 중 방향성 성능을 향상시킨 6축 휠 동력계
KR20080016995A (ko) 플랫폼 밸런스
KR100471642B1 (ko) 소형 6축 힘/모멘트 센서
CN114136584A (zh) 一种轮毂式结构的六分量铰链力矩天平
US4685338A (en) Device for mounting a relative displacement sensor on a beam having radial lugs
CN219956761U (zh) 具有良好测量各向同性和灵敏度的六维力传感器
CN215984976U (zh) 十字梁弹性件、六维力传感器和工业机器人
SU1216680A1 (ru) Силомоментный датчик
JPH0676932B2 (ja) 荷重検出器
JPS62150647U (ko)
JPH02122231A (ja) 荷重計
KR20070084803A (ko) 지능형 그리퍼용 소형 3축 힘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