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223B1 - 수신기 - Google Patents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223B1
KR100295223B1 KR1019970055881A KR19970055881A KR100295223B1 KR 100295223 B1 KR100295223 B1 KR 100295223B1 KR 1019970055881 A KR1019970055881 A KR 1019970055881A KR 19970055881 A KR19970055881 A KR 19970055881A KR 100295223 B1 KR100295223 B1 KR 10029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signal
variable gain
receiv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270A (ko
Inventor
테츠야 타카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3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5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bandpass amplifiers (H.F. or I.F.) or in frequency-changers used in a (super)heterodyne receiver
    • H03G3/3068Circuits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both R.F. and I.F.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Abstract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외하고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2개 이상의 간섭파가 존재할 때, 고-주파수 증폭기 및 주파수 변환기의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하는 혼합 변조 신호(cross modulation)에 의해 수신 감도의 노화가 제거된다. 안테나(11) 및 안테나 공용기(65)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최소 이득량을 갖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을 통해 전송되고, 증폭되며, 대역 통과 필터(17)를 통해 주파수 변환기(21)에 전송된다. 동시에, 발진 주파수가 제어된 국부 발진 신호가 또한 입력된다. 이들 신호는 혼합되고,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출력되는데, 복조기(75)의 입력 신호 전력 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이득이 제어되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에 대역 통과 필터(71)를 통해 출력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 제어 신호는 이득량으로서 전압 값이 된다. 제어 회로(81)는 제어 신호의 전압 값에 기초한 이득 제어량을 포착하고, 또한, 수신기의 각각의 블록에서 이득의 증가/감소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량을 포착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으로부터의 신호는 복조기(75)에 의해 복조되고,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A/D 변환이 행해진 이후에, 에러율 계산 수단(77)에 공급된다. 또한, 이득량 제어 수단(79)은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수신기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제외하고 2개 이상의 강한 간섭파가 동시에 존재할 때, 수신기의 비-선형성에 의해 합성된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야기되는 상호 변조가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폰,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소위, 페이저) 등으로 대표되는 무선 통신기에서 사용되는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희망파 신호(desired wave)를 제외하고 2개 이상의 강한 간섭파 신호가 동시에 존재할 때, 수신기를 구성하는 고주파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의 비-선형성에 의해 그들 간섭파 신호가 합성되고, 희망파 신호의 주파수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혼합 변조 또는 상호 변조(intermodulation)(이하, IM이라 칭함)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수신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IM 신호가 발생할 때는, 심지어 수신기가 열적 잡음에 대하여 충분히 큰 희망파 신호를 수신한다 할지라도, 수신기의 수신 특성이 저하된다. 그로 인해, 디지털 통신에 있어 에러율이 저하되거나, 아날로그 통신에 있어 SINAD(Signal+Noise+Distortion to Noise+Distortion ratio)이 저하된다.
여기에서, IM 신호의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수신기의 수신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5-335857호(이하, 제 1 종래의 기술이라 칭함)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7-212262호(이하, 제 2 종래의 기술이라 칭함)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제1도는 제 1 종래의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고-주파수 증폭기(13)에서 증폭되고, 가변 감쇠기(15)를 통과하며, 고-주파수(대역 통과) 필터(17)에서 필터 처리된다. 고-주파수 필터(17)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2개로 분기되어 주파수 혼합기(변환기)(19 및 21)에 전송되며, 국부 발진기(23)로부터 발진된 국부 발진 신호와 π/2 위상 시프트를 행하는 위상 시프터(π/2)(25)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후에, 주파수 혼합기(19 및 21)로부터 전송된 베이스 밴드 신호는 베이스 밴드 필터(27 및 29)를 각각 통과하고, 복조기(31)에서 디지털 신호로 복조된다. 프레임 동기 신호는 제어 회로(33)에서 검출된다. 프레임 동기 신호가 제어 회로(33)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검출되지 않은 경우, 스텝-아웃 신호(step-out signal)가 제어 회로(33)로부터 이득 제어 수단(35)에 전송되고, 이득 제어 수단(35)은 가변 감쇠기(15)의 감쇠량을 변경시킨다. 가변 감쇠기(15)가 감쇠량을 변경시킴으로써, 간섭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변조의 영향은 제거된다. 제어 회로(33)에서 프레임 동기 신호가 검출될 때, 이득 제어 수단(35)은 가변 감쇠기(15)의 감쇠량을 원래의 값으로 재설정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상, 주파수 혼합기(19, 21), 국부 발진기(23), 위상 시프터(25) 및, 베이스 밴드 필터(27 및 29)는 소위 베이스 밴드 신호 변환 수단이라 칭한다. 또한, 가변 감쇠기(15), 이득 제어 수단(35), 복조기(31) 및, 제어 회로(33)는 제어 수단(37)이라 칭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가변 감쇠기(15)의 감쇠량을 미리 고려한 후에, 제어 회로(33)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크게 됨에도 불구하고, 프레임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희망파 신호 이외의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희망파 신호의 신호 대역 내에서 혼합 변조가 일어나고, 가변 감쇠기(15)의 감쇠량이 제어되는 것이 결정된다. 따라서, 가변 감쇠기(15)의 후단에서 발생하는 혼합 변조 신호를 억제할 수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제 2 종래의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에 있어서,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추후에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공진 회로(39)를 통과하고, 감쇠기(41)를 통해 RF부(43)에 전송된다. RF부(43)에서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감쇠기(41)의 감소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고, 그로 인해, RF부(43)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세기가 일정 레벨로 되도록 감쇠기(41)를 제어한다. 따라서, 일정 레벨이 되도록 제어된 수신 신호는 RF부(43)에서 증폭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45)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이어서, 디지털 혼합기(47)에 전송된다. 또한, 디지털 혼합기(47)에서는 주파수 합성기(49)로부터 발진된 국부 발진 신호를 수신한다. 디지털 혼합기(47)에서는 A/D(45)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헤테로다인(heterodyne)과 같은 이미 공지된 처리에 의해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다. 제어부(51)는 주파수 합성기(49)로부터 나오는 주파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수신기의 전단부(front end)에 제공된 공진 회로(39)의 공진 주파수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공진 회로(39)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공진 회로(39)에서는, 가변 인덕터(58) 및 고정 캐패시터(55)로 구성되는 병렬 LC 공진 회로(57)와, 가변 인덕터(59) 및 고정 코일(61)로 구성되는 병렬 LC 공진 회로(63)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가변 인덕터(53 및 59)는 제어부(51)(제2도 참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인덕턴스 값들을 각각 갖는다. 병렬 LC 공진 회로(57 및 63)의 공진 주파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병렬 LC 공진 회로(57 및 63)의 주파수 특성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병렬 LC 공진 회로(57 및 63)의 주파수 특성은 회로들의 각각의 공진 주파수에서 50dB 이상의 감쇠를 일으키고, 공진 주파수 이외의 주파수 대역에서 거의 감쇠를 일으키지 않는 종래의 기술로 공지되어 있는 노치 필터(notch filters)로서 동작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수신기의 희망파 주파수를 제외하고 2개 이상의 간섭파가 존재하고, 수신된 신호의 전계 강도가 큼에도 불구하고, 수신 감도가 나쁘게 된 경우에, 희망파 주파수의 대역에서 혼합 변조에 의해 간섭파가 야기되고, 병렬 LC 공진 회로(57 및 63)의 공진 주파수를 간섭측의 주파수에 적응시켜 간섭파를 제거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혼합 변조로 인하여 수신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첫 번째 문제점은, 프레임 동기 신호가 수신된 프레임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수신된 주파수 이외의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변조에 따른 수신 감도의 저하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간섭파에 의하여 혼합 변조가 야기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북미에서, TIA·IS95라는 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시스템과의 동기를 얻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 프레임 동기를 얻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동기 채널 및, 음성 등의 다른 정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로 구성된 다수의 채널을 갖는다. 또한, 기지국에서의 각각의 채널의 송신 전력비는 파일럿 채널 : 동기 채널 : 트래픽 채널 = 3 : 1 : 1이 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르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혼합 변조를 일으키는 강한 다수의 간섭파가 존재하고, 간섭파에 의해 생성된 혼합 변조 신호는 희망파 주파수의 대역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기가 파일럿 채널을 통해 기지국과의 동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할지라도, 트래픽 채널을 수신하는 시점에서, 2개 이상 간섭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변조 신호는 희망파 주파수의 수신 대역으로 떨어지고, 수신 감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수신기가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프레임 동기 신호를 취하고, 프레임 동기 신호의 검출을 이용하여,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변조에 의해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북미의 TIA · IS95와 같이, 다수의 채널을 이용하는 기지국과의 동기 신호를 교환하는 시스템인 경우에 있어서, 수신기는, 프레임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지의 여부를 단지 결정함으로써,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서 야기되는 혼합 변조에 의해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되는 것을 판단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두 번째 문제는, 수신기의 전단부에 삽입된 가변 감쇠기(15)를 이용하여,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 변조 신호뿐만 아니라, 희망파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의 전계 강도가 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복조기(31)에 전송되는 복조 신호의 입력 전력 레벨은 일정하지 않고, 복조기(31)에는 매우 큰 입력 동적 범위가 필요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혼합 변조가 발생될 때, 가변 감쇠기(15) 내에서 또는 가변 감쇠기(15)의 후단부에 혼합 변조를 억제하기 위해서, 가변 감쇠기(15)의 감쇠량은 큰 감쇠가 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 변조가 억제됨과 동시에, 복조기(31)에 전송되는 희망파의 수신 전력 레벨도 억제되고, 복조기(31)의 입력 전력 레벨은 감소된다. 또한, 혼합 변조를 일으키는 다수의 간섭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가변 감쇠기(15)의 감쇠량을 적은 감쇠가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복조기(31)에 전송되는 수신 전력 레벨은 간섭파가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크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 2 종래의 기술이 갖는 첫 번째 문제점은, 혼합 변조를 일으키는 다수의 조합된 간섭파가 존재할 때,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공진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는 노치 필터가 수신기의 전단부에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심지어 다수의 가변 노치 필터가 제공되어도, 혼합 변조를 일으키는 다수의 간섭파의 주파수들 각각에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동기되어야 한다. 따라서, 공진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은 매우 복잡하게 된다.
이는 혼합 변조를 일으키는 간섭파의 주파수가 통상적으로 수신기를 구성하는 고-주파수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해 발생되는 3-차원 변형 성분으로서 고려되기 때문이다. 희망파의 주파수가 fc로 설정되고, 혼합 변조를 일으키는 간섭파의 주파수가 임의의 주파수를 fl로 설정되면, fc+fl과 fc+2fl 또는, fc-fl 및 fc-2fl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간섭파의 주파수의 조합은 무한 수로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간섭파의 주파수들에 대해 동기될 수 있는 노치 필터들을 제공한다는 것은 어렵다. 또한, 모든 간섭파의 주파수에 대해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 및 동기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수신기를 구성하는 고-주파수 증폭기, 주파수 혼합기 등의 비-선형성에 의해 생성되는 n(n≥2)-차원 변형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간섭파가 존재할 때 일으키는 혼합 변조에 따른 수신 감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수신기를 구성하고 있는 고-주파수 증폭기, 주파수 혼합기 등의 비-선형성에 의해 일으키는 n(n≥2)-차원 변형 성분이 전계 강도가 αdB 증가 또는 감소할 때 비례적으로 n α dB 증가 또는 감소하는 특성을 갖는 것에 착안하였다. 수신기의 전단부에는 이득량을 제어할 수 있는 가변 이득 수단이 제공된다. 수신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은 제어되고,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은 αdB 감쇠된다.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이 βdB 이하인 경우에, 간섭파에 의해 일으키는 혼합 변조가 발생하지 않고, 가변 이득 수단이 제어되지 않는다. 그러나,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이 αdB 감쇠되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이 βdB(α<β) 이상 감쇠되는 경우에, 다수의 간섭파에 의해 혼합 변조가 발생하고, 또한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이 제어된다. 수신된 신호의 비트 에러율이 혼합 변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값에 도달할 때까지,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은 증가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수신기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 중 희망파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폭을 갖는 제 1 필터링 수단, 무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과, 수신기에 수신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면서 수신된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에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수단과,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어될 수 있는 이득을 갖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이 제공된다.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에는 복조 수단에 의해 이득이 제어되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수신기에 있어서,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에는, 무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수단, 주파수 변환 수단에 접속되고, 무선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될 때에 사용되는 국부 신호를 발진하기 위한 국부 신호 발진 수단과, 제 1 가변 이득 수단과 복조 수단의 사이에 제공되고,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1채널 분의 대역폭을 갖는 제 2 필터링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신기에 있어서, 제어 수단에는 복조 수단의 복조 결과로부터 수신 신호의 에러율을 계산하기 위한 에러율 계산 수단과,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량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하여 복조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제어량과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하여 이득량 제어 수단으로 부터 전송된 제어량으로부터, 현재 수신되고 있는 수신 신호의 전력량을 바람직하게 얻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수신 신호의 대역과 전송된 신호의 대역을 분리하는 안테나 공용기 사이에 제 1 가변 이득 수단을 갖는다. 또한, 수신기는 복조기, 수신된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계산하는 비트 에러율 계산 수단과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이득량 제어 수단을 갖는 제어 회로 및, 복조기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을 갖는다.
또한, 수신기에 있어서,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은 최소의 이득량으로 미리 설정된다.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이 변경된다.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adBm이라 가정)은 복조기에 의해 만족하게 되는 입력 레벨까지 설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복조기로부터 제 2 가변 이득 수단에 전송되는 이득 제어 신호는 이득 변화량에 비례하는 전압값이 된다. 이득 제어 이전의 이득 제어 신호를 이득 제어 이후의 이득 제어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제어 수단은 제 2 가변 이득 제어 수단의 이득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을 αdB 감쇠시키고, 다시,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을 제어함으로써, 복조기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은 adBm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에,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 변화량이 βdB 이상이면,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가 발생되는 것으로 결정되고, 이득량 제어 수단을 이용하여,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을 더 증가시킨다. 그리고 수신 신호의 비트 에러율은 비트 에러율 계산 수단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수신 전계 레벨에 관계하여, 계산된 비트 에러율이 어떤 임계값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의 영향이 제거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을 더 증가시킨다. 이러한 방법을 반복함으로써, 간섭파로 인하여 혼합 변조에 의해 발생되는 수신 감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1도는 제 1 종래의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제 2 종래의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의 수신기를 구성하는 공진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공진 회로의 주파수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7 : 이득 수단 73 : 제 2 가변 이득 수단
75 : 복조기 77 : 에러율 계산 수단
79 : 이득량 제어 수단 81 : 제어 회로
83 :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수신기는 슈퍼-헤테로다인 방식으로 되어 있다. 수신기에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으로서 안테나(11), 수신 또는 전송된 무선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전송된 신호로부터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으로서 안테나 공용기(65); 혼합 변조에 의한 수신 감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된 제 1 가변 이득 수단(67); 수신기 전체의 잡음 지수를 감소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이득을 갖는 주파수 대역 증폭 수단으로서 고주파 증폭기(69); 무선 주파수 대역에 사용되는 수신 신호에 따라 대역폭을 가지며, 목적의 희망파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 1 필터링 수단 또는 제 2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으로서 대역 통과 필터(17); 무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로 변환할 때에 이용되는 국부 발진 신호를 발진하는 국부 신호 발신 수단으로서 국부 신호 발진기(23); 국부 신호 발진기(23)에 의해 발진된 국부 발진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 수단으로서 주파수 변환기(21);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해, 1채널 분의 대역폭을 갖는 제 2 필터링 수단 또는 필터링 대역 통과 수단으로서 대역 통과 필터(71);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 2 가변 이득 수단(73); 중간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베이스 밴드 대의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또한 변환하는 복조 수단으로서 복조기(75); 복조된 디지털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계산하기 위한 에러율 계산 수단(77)과;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량 제어 수단(79)을 포함한다.
복조기(75), 에러율 계산 수단(77) 및, 이득량 제어 수단(79)은 전체 수신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8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회로(81)와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은 제어 수단(85)을 구성한다. 또한, 주파수 변환기(21), 대역 통과 필터(71), 제 2 가변 이득 수단(73) 및, 국부 신호 발진기(23)는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83)으로 구성된다.
안테나(11)는 제 3 필터링 수단인 안테나 공용기(65)의 전송 및 수신에 대해 공통인 입력/출력단에 접속되고, 안테나 공용기(65)의 수신측 출력단은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입력에 접속된다.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은 제어 회로(81)의 이득량 제어 수단(79)으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로 이득량을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공용기(65)의 송신측 입력단은 전송이 큰 이득 증폭기(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출력은 고-주파수 증폭기(69)의 입력에 접속되고, 고-주파수 증폭기(69)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17)의 입력에 접속된다. 대역 통과 필터(17)의 출력은 주파수 변환기(21)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주파수 변환기(21)의 국부 발진 신호의 다른 입력단에는 국부 신호 발진기(23)의 출력이 접속된다. 국부 신호 발진기(23)의 발진 주파수는 제어 회로(81)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변환기(21)의 출력단은 대역 통과 필터(71)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대역 통과 필터(71)의 출력단은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은 제어 회로(81)의 복조기(75)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로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출력단은 제어 회로(81)의 복조기(75)의 입력에 접속되고, 복조기(75)의 복조 출력은 에러율 계산 수단(77)에 접속된다. 복조기(75)로부터 출력되어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에러율 계산 수단(77)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이득량 제어 수단(79)에 연결된다.
다음은, 다시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수신기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최소 이득량이 되도록 설정한다.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안테나 공용기(65)를 통과하고,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에 전송된다.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을 통과한 신호는 고주파 증폭기(69)에 전송되고, 고-주파수 증폭기(69)에서 고-주파수 증폭기(69)가 갖는 이득량 만큼 증폭되며, 대역 통과 필터(17)에 전송된다. 이어서, 대역 통과 필터(17)를 통과한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21)에 입력된다. 주파수 변환기(21)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대역의 입력된 수신 신호와 국부 신호 발진기(23)로부터의 국부 발진 신호를 혼합되고,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된다. 주파수 변환기(21)에 의해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된 수신 신호는 대역 통과필터(71)를 통해하고,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에 전송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으로부터 출력된 수신 신호는 제어 회로(81)내의 복조기(75)에 전송된다. 복조기(75)는 입력된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에 따라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복조기(75)에 출력하고,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이 제어되어,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전력 레벨은 일정하게 된다. 이 경우에, 복조기(75)로부터 출력되어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제어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는 전압값이 된다. 제어 회로(81)에 있어서, 제어 신호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현재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에 전송되는 전력 레벨을 판별할 수 있고, 전체 이득의 증가/감소레벨로부터, 안테나(11)에 전송되어 수신된 전력 레벨을 판별할 수 있다. 복조기(75)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동시에, 수신된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복조기(75)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에러 계산 수단(77)으로 기지국에서 적용된 베이스 밴드의 디지털 처리가 실행되고, 수신된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계산한다.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간섭파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 변조 신호는 수신기를 구성하는 고-주파수 증폭기(67) 및 주파수 변환기(21)의 비-선형성에 의해 생기는 n-차원 변형 성분이다. 이 변형 성분은 혼합 변조 신호의 전력이 αdB 증가 또는 감소할 때, 이에 비례하여 n α dB 증가 또는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이후에,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을 제어하고, 복조기(75)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동시에, 현재 안테나(11)의 단부에서 수신하고 있는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제어 회로(81)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αdB 감쇠하기 위해 이득량 제어 수단(79)을 이용하여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하고, 복조기(75)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입력 전력 레벨을 αdB 감쇠시킨다. 그러면, 복조기(75)는 자신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동작하고, 그로 인해,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의 변화량이 βdB 이내이면, 예를 들어,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1dB 감쇠된다. 이 경우에, 복조기(75)로부터 발생되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전력 레벨의 변화량이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을 1dB 증가시키는 변화량에 대응하는 경우에, 제어 회로(81)는 다수의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 신호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이득량 제어 수단(79)을 통해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초기 이득량으로 복귀하도록 제어된다. 특히,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1dB 증가된다.
그러나,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의 변화량으로서 βdB를 초과하는 이득의 변화량이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면,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1dB 감쇠된다. 이 경우에, 복조기(75)로부터 발생되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전력 레벨의 변화량이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의 변화량이 2dB를 초과하는 변화량에 대응하는 경우에, 제어 회로(81)는 다수의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가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에서 또는 그 수단의 이후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제어되고,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이득량 제어 수단(79)을 통하여 더 증가된다. 특히, 제어 회로(81)는 이득량 제어 수단(75)을 통해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이 또한 αdB 감쇠되도록 제어한다. 그 이후에, 수신 신호는 복조기(75)에 의해 복조되고, 베이스 밴드의 신호로 변환되며,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이후에, 에러율 계산 수단(77)은 수신 신호의 비트 에러율을 계산한다. 복조기(75)가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의 이득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 회로(81)는 현재 수신기에 의해 수신하고 있는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을 알 수 있다. 수신기 자체의 열적 잡음 레벨과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로부터, 제어 회로(81)는 에러율 계산 수단(77)에 의해 계산된 비트 에러율이 간섭파에 의해 야기되는 혼합 변조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 즉 혼합 변조에 의해 수신기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그 결과, 제어 회로(81)에 의해 수신기의 수신 감도가 저하된다고 결정한 경우에, 제어 회로(81)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이득량 제어 수단(79)을 통해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또한 감쇠시키고,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제어 회로(81)에 의해 수신기의 수신 강도가 저하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된 경우에,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제어는 정지되고, 선정된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된다.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다시 αdB 감쇠되고,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이 제어된다. 복호기(75)에 대한 입력 전력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에 필요한 이득의 변화량이 조사되고, 다수의 간섭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간섭파가 계속하여 존재하고 있는 경우, 즉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이 βdB 이상의 이득의 변화량을 필요로 한 경우,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αdB 감쇠된다. 상술한 처리는 반복된다.
또한, 간섭파가 존재하지 않고, 혼합 변조에 의한 수신기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지 않는다고 결정되었을 때, 즉, 제 2 가변 이득 수단(73)이 βdB 이내의 이득 변화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제어 회로(81)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제어하는 이득량 제어 수단(79)을 통해,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어 회로(81)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을 다시 제어하여, 제 1 가변 이득 수단(67)의 이득량은 초기 이득량으로부터 αdB 감쇠된다. 제어 회로(81)는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 신호의 발생의 유무를 조사한다.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신기에 의하면, 혼합 변조 신호는 수신기를 구성하고 있는 고-주파수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의 비-선형성에 의한 n-차원 변형 성분이고, 전계 세기가 αdB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 비례하여 αdB 증가 및 감소하는 특성을 갖는다. 수신기의 전단부에서는 이득량이 제어될 수 있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이 제공되고, 복조기의 전단에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이 제공된다. 수신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이 제어되고, 복조기에 대한 입력 전력 레벨은 복조기에 의해 충분히 만족하게 될 수 있는 전력 레벨까지 설정된다. 그 이후에, 수신기의 전단부에 제공된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은 αdB 감쇠되고, 그후에,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은 다시 제어된다. 이 경우에, 복조기에 전송되는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을 상기 처리에서 적용된 전계 레벨로 설정하기 위하여, 제 2 가변 이득 수단에 대해서 βdB 이상의 이득 변화량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이 수신기의 전단부에서 1dB의 감쇠되고, 복조기의 전단에서 2dB 이상의 감쇠가 발생된 경우에, 2개 이상의 간섭파에 의해 혼합 변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다. 또한,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은 수신된 신호의 비트 에러율이 현재 수신되는 전계 레벨에 대해서 충분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된다. 따라서, 복잡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혼합 변조 신호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혼합 변조 신호에 의해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개 이상 다수의 간섭파가 존재하여, 혼합 변조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혼합 변조 신호에 의해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신기의 전단부에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이 제공된다. 또한, 제 2 이득 제어 수단은 2개 이상의 간섭파에 의한 혼합 변조 신호를 발생하기 쉬운 고-주파수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의 후단에 제공된다. 제 2 가변 이득 수단은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은 증가되고, 수신 신호의 전력 레벨이 감소되기 때문에,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후단에 제공된 고-주파수 증폭기 및 주파수 혼합기에서 혼합 변조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수신 전력을 일정 레벨로 유지한다. 따라서, 심지어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량이 큰 값으로 설정되어도, 수신된 신호는 일정한 레벨의 수신 전력으로 복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신기에 따라, 수신기를 구성하는 고-주파수 증폭기, 주파수 혼합기 등의 비-선형성에 의해 생성되는 n(n≥2)-차원 변형 성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간섭파로 인한 혼합 변조에 따른 수신 감도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14)

  1.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들 중 희망파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폭을 갖는 제 1 필터링 수단, 무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과,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면서 상기 수신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으로부터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 수단과, 상기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의 전단에 제공되고, 제어될 수 있는 이득을 갖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은 상기 복조 수단에 의해 이득이 제어되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 추출 수단에는 무선 주파수 대역의 상기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상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수단, 상기 무선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상기 신호로 변환될 때 사용되는 국부 신호를 발진하기 위한 국부 신호 발진 수단과,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과 상기 복조 수단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상기 수신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1채널 분의 대역폭을 갖는 제 2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복조 수단의 복조 결과로부터 상기 수신 신호의 에러율을 계산하기 위한 에러율 계산 수단과,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량 제어 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조 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량과, 상기 이득량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량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수신 신호의 전력량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최대 이득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복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가변 이득 제어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여, 상기 복조 수단의 입력 전력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αdB 감소시킬 때, 상기 복조 수단에 대해 입력 전력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조 수단은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을 다시 제어하고,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 변화량으로서 βdB 이내의 변화량이 필요한 경우에, 혼합 변조 신호가 상기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은 제어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은 초기 상태로 재설정되며,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 변화량으로서 βdB를 초과하는 변화량이 필요한 경우에, 혼합 변조를 발생하는 2개 이상의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복조기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에러율은 상기 에러율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되고, 현재 수신된 전력량 및 상기 계산된 에러율로부터, 혼합 변조에 의한 상기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은 더 감소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기의 에러율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도 작게 될 때까지 제어를 반복하는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혼합 변조에 의한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때, 상기 제어 수단은 제 1 가변 이득 수단을 제어하지 않고,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다시 αdB 감소시키고, 혼합 변조에 의한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신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변화량(α 및 β)은 2α=β의 관계를 갖는 수신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변조에 의한 수신 감도 저하의 결정에 있어서, 현재 수신된 전력량이 선정된 값보다도 크지만, 상기 에러율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에러율이 선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 감도 저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수신기.
  9. 제3항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대역 증폭 수단은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후단에 제공되고, 상기 수신기의 잡음량 전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비교적 큰 일정한 이득을 갖고, 상기 선정된 주파수 대역은 중간 주파수 대역이며, 상기 복조 수단은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 복조기인 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들 중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희망파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폭을 갖고,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입력단에 접속된 출력단을 갖는 제 3 필터링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필터링 수단은 대역 통과 필터로 되어 있고, 상기 제 3 필터링 수단은 안테나 공용기로 되어 있는 수신기.
  11. 무선 통신을 행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접속된 입력단을 갖고, 상기 무선 통신에 이용된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들 중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 신호 중 희망파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폭을 갖는 제 1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 상기 제 1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어될 수 있는 이득을 갖는 제 1 가변 이득 수단, 상기 수신기에서 잡음량 전체를 감소시키기 위한 비교적 큰 일정한 이득을 갖는 무선 주파수 대역 증폭 수단, 상기 무선 주파수 대역 증폭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들 중 희망파만을 통과시키는 대역폭을 갖는 제 2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 상기 제 2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된 무선 주파수 대역 신호의 입력단을 갖고, 무선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변환 수단,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의 국부 신호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무선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될 때 사용되는 국부 신호를 발진하기 위한 국부 신호 발진 수단,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주파수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중간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통과시키며, 1채널 분의 대역폭을 갖는 제 3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 상기 수신기의 비교적 후단부에 제공되고, 1채널 분의 대역폭을 갖는 제 3 대역 통과 필터링 수단에 접속되며, 제어될 수 있는 이득을 갖는 제 2 가변 이득 수단,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수신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는 복조 수단, 상기 복조 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복조 수단의 복조 결과로부터 수신 신호의 에러율을 계산하는 에러율 계산 수단과,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량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복조 수단으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량과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량으로부터, 현재 수신되고 있는 수신 신호의 전력량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는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최대 이득으로 처음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 한 이후에, 상기 복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가변 이득 제어 수단의 이득을 제어하며, 상기 복조 수단의 입력 전력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다음에,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이 αdB 감소될 때, 상기 복조 수단에 대한 입력 전력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복조 수단은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을 다시 제어하고,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 변화량으로서 βdB 이내의 변화량이 필요한 경우, 혼합 변조 신호가 상기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이 제어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이 초기 상태로 재설정되고, 상기 제 2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의 변화량으로서 βdB를 초과하는 변화량이 필요한 경우, 혼합 변조를 발생하는 2개 이상의 간섭파가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복조기에 의해 복조된 신호의 에러율은 상기 에러율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되고, 현재의 수신된 전력량 및 상기 계산된 에러율로부터, 혼합 변조에 의해 상기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수신기의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은 더 감소되고, 상기 수신기의 에러율이 선정된 값보다 작게 될 때까지 제어가 반복되고, 또한, 상기 수신기가 혼합 변조에 의해 수신 감도 열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은 제어되지 않고, 선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 1 가변 이득 수단의 이득을 다시 αdB 감소시키고, 혼합 변조에 의해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변화량(α 및 β)은 2α=β의 관계를 갖는 수신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변조에 의한 수신 감도의 저하를 결정할 때, 현재 수신 전력량이 선정된 값보다 크지만, 에러율이 선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신 감도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수신기.
KR1019970055881A 1996-10-23 1997-10-23 수신기 KR100295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80742 1996-10-23
JP8280742A JP2993558B2 (ja) 1996-10-23 1996-10-23 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270A KR19980033270A (ko) 1998-07-25
KR100295223B1 true KR100295223B1 (ko) 2001-09-17

Family

ID=1762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881A KR100295223B1 (ko) 1996-10-23 1997-10-23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32031A (ko)
EP (1) EP0838896B1 (ko)
JP (1) JP2993558B2 (ko)
KR (1) KR100295223B1 (ko)
AU (1) AU738168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3123B4 (de) 1997-09-30 2005-11-2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Xsys Division) Gmbh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Auswahl eines von mehreren Empfängern einer Diversity-Empfangsanlage
US6445732B1 (en) * 1998-09-23 2002-09-03 Conexant Systems, Inc. Dynamic range reduction circuitry for a digital communications receiver
KR100377513B1 (ko) 1998-11-10 2003-03-2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주파 무선 회로장치
US6735423B1 (en) * 1999-05-18 2004-05-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optimal performance in a receiver
JP3551841B2 (ja) 1999-06-09 2004-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機及びその利得制御方法
JP2001077714A (ja) * 1999-09-03 2001-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受信機、無線受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1168748A (ja) * 1999-12-14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信号受信装置
US20070111689A1 (en) * 2000-07-24 2007-05-17 Hermann Link Apparatus for selecting a receiver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s in a diversity receiver system based upon automatic gain correction
EP1213832A1 (en) * 2000-12-05 2002-06-12 Semiconductor Ideas to The Market (ItoM) BV AM receiver with audio filtering means
US6535111B2 (en) * 2001-07-26 2003-03-18 Ching-Tien Tsai Wave-discriminating inductive electronic device
US7203474B2 (en) * 2001-10-24 2007-04-10 Rohm Co., Ltd. Receiver system
JP2003234977A (ja) * 2002-02-12 2003-08-22 Pioneer Electronic Corp Agc機能付き受信装置
US7127211B2 (en) * 2002-02-21 2006-10-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intermodulation distortion in a radio transceiver
US6996399B2 (en) * 2003-01-13 2006-02-07 Micrel, Inc. Wireless device and method using frequency hopping and sweep modes
JP4368592B2 (ja) * 2003-02-19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用チューナ及びこれを備えた受信装置
EP1618655B1 (en) * 2003-04-17 2007-06-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ront-end sensitivity booster
US7596798B2 (en) * 2003-06-16 2009-09-29 Bertonis James G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DOCSIS cable modem service over wireless links
JP2005094502A (ja) 2003-09-18 200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回路
JP2007110685A (ja) * 2005-09-16 2007-04-26 Oki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およびその妨害信号減衰方法
JP4579319B2 (ja) * 2008-07-28 2010-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ジタル復調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デジタル受信装置
US10368318B2 (en) * 2010-12-30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operation in very high density environments
CN106849970B (zh) * 2016-12-29 2019-10-18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源互调抑制方法以及无源互调抑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250B2 (ko) * 1974-10-02 1978-12-05
US4013964A (en) * 1975-10-22 1977-03-22 Motorola, Inc. Automatic gain control means for a single sideband radio receiver
FR2559629B1 (fr) * 1984-02-15 1986-06-13 Telediffusion Fse Systeme de radiodiffusion de donnees, notamment vers des postes mobiles
DE3447282A1 (de) * 1984-12-24 1986-07-10 Telefunken electronic GmbH, 7100 Heilbronn Funkempfaenger
JPH0812979B2 (ja) * 1989-11-21 1996-02-07 日本電気株式会社 自動利得制御装置
JPH03214931A (ja) * 1990-01-19 1991-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
JP3218474B2 (ja) * 1991-10-31 2001-10-15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受信用agc回路
JP3207513B2 (ja) * 1992-05-29 2001-09-1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5548830A (en) * 1993-12-27 1996-08-20 Ford Motor Company Dual-band frequency-selective attenuator for automatic gain control
JP3505790B2 (ja) * 1994-06-29 2004-03-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ジタル無線受信機
US5697081A (en) * 1995-09-12 1997-12-09 Oki Telecom, Inc. Intermodulation distortion reduction circuit utilizing variable atte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93558B2 (ja) 1999-12-20
EP0838896B1 (en) 2004-06-02
EP0838896A2 (en) 1998-04-29
AU738168B2 (en) 2001-09-13
KR19980033270A (ko) 1998-07-25
AU4276997A (en) 1998-04-30
EP0838896A3 (en) 2000-03-29
JPH10126301A (ja) 1998-05-15
US6032031A (en) 2000-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5223B1 (ko) 수신기
JP3137181B2 (ja) 受信機及びその受信方法
EP0117654B2 (en) Multistage amplifier
JP3180682B2 (ja) 受信機
US20050147192A1 (en)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EP0806841B1 (en) Elimination of D.C. offset and spurious AM suppression in a direct conversion receiver
US7272371B2 (en) Radio receiver and radio receiving method
KR20010041252A (ko) 제어형 수신 장치와 그 제어 방법
KR19980042507A (ko) 무선 수신 장치
JPH0544209B2 (ko)
JP3551841B2 (ja) 受信機及びその利得制御方法
KR20010038737A (ko) 자동 이득제어 시스템의 비선형 왜곡 제거 장치 및 방법
US6356746B1 (en) Direct converting receiver
US6959170B2 (en) Communications receivers and methods therefor
US6965658B1 (en) Method and means for telecommunication
KR100213301B1 (ko) 휴대전화기의 수신회로용 ic
US5230098A (en) Relay receiver having a variable bandwidth
JP3689625B2 (ja) 受信装置
KR20000017109A (ko) Qpsk변조 신호 수신유닛
KR1003017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장치 및 그 수신장치의 스퓨리어스 제거방법
KR100249529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 단말기를 위한 수신 회로및 수신 방법
KR19990085914A (ko) 자동이득제어 기능을 갖는 무선 수신기
CN115276694A (zh) 一种跳频接收机及其增益自动控制方法
JPH11163829A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KR2001009128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