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941B1 - 현수컨베이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수컨베이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941B1
KR100294941B1 KR1019930015118A KR930015118A KR100294941B1 KR 100294941 B1 KR100294941 B1 KR 100294941B1 KR 1019930015118 A KR1019930015118 A KR 1019930015118A KR 930015118 A KR930015118 A KR 930015118A KR 100294941 B1 KR100294941 B1 KR 100294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ystem
rail
suspension
transmission
cas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478A (ko
Inventor
요한로브
로비엔데르레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힌터라이트너
더블류에프 로지스틱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힌터라이트너, 더블류에프 로지스틱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힌터라이트너
Publication of KR94000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65G19/025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for suspen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 궤도부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를 가지며 궤도 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수단(3)을 구비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전송되는 물체를 위하여 지지 요소에 연결된 베어링 요소(11)와, 상기 베어링 요소(11)상에 대칭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캐스터(12a, 12b)를 구비하고 있다. 궤도 레일(2)는 상기 캐스터(12a, 12b) 중의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것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속 궤도(7)을 가진다.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더욱 더 간단히 하고,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칭면(13)에서 연장하는 베어링 요소(11)와, 베어링 요소(1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캐스터(12a, 12b)를 구비하고, 컨베이어 수단(3) 및 궤도 레일(2)은 직선 궤도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에 대한 이동을 위해 측면 현수 모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대칭면(13)은 컨베이어 수단(3) 및 궤도 레일(2) 사이에 제공된 지지 수단에 의해 반드시 수직으로 유지되며, 상기 컨베이어 수단(3)은 단지 하나의 연속 궤도(7)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연속 궤도(7)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는 대칭면(13)의 일측면상 또는 다른 일측면상에 선택적으로 배열되고, 대칭면(13, 213)의 각각의 반대 측면상에 배열된 자유 캐스터(12b, 12a)는 연속 궤도(7)와 맞물리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부분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영역 Ⅱ-Ⅱ에 따른 컨베이어 수단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영역 Ⅲ-Ⅲ를 보이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의 전송 수단에 대한 개략도,
제5도는 부가적인 전송 수단에 대한 개략도,
제6도는 부가적인 컨베이어 수단의 개략도,
제7도는 부가적인 전송 수단의 개략도,
제8도는 제7도를 위에서 본 도면,
제9도는 제2도의 컨베이어 수단과 유사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 및
제10도는 제9도의 영역 X-X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이 관한 것으로, 전송되는 물체를 위하여 지지 요소에 연결된 베어링 요소와, 상기 베어링 요소상에 대칭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캐스터(caster)와, 상기 캐스터 중의 하나가 이동하는것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속 궤도를 가지는 궤도 레일을 구비하는, 직선 궤도부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를 가지며 상기 궤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구비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독일 특허번호 DE-A-36 37 287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수단에는 C자 형태의 보우(bow)와, 상기 보우의 두개의 자유 단부의 각각에서 회전 가능토록 지지되는 내향 돌출 캐스터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캐스터에 의하여 공지의 컨베이어 수단은 서로 지붕 형태로 접해 있는 두개의 연속 궤도를 가지며 측면으로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지붕 형태의 슬라이딩 레일상의 중심에 현수된 위치에서 동작하는 동안, 두개의 캐스터 사이의 대칭면은 반드시 수직으로 연장한다. 가파른 굴곡부를 통과하는 동안이라도 흔들림을 가능한 가장 적게 하여 공지의 컨베이어 수단을 전송하기 위하여, 캐스터 사이의 대칭면이 둔각으로 연장하고 캐스터중의 하나가 수평으로 연속 궤도를 따라 이동되게끔 전송 방향으로 연장된 축에 대하여 컨베이어 수단을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는 변환 장치가 제공된다. 또다른 캐스터의 경우, 중력의 영향으로 인하여 컨베이어 수단이 원래의 위치로 다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가적인 연속 궤도가 제공되어 이에 의해 캐스터가 지지된다. 작업 범위가 공지의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변환 장치에 의하여 크게 개선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이 아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또한, 독일 특허 번호 DE-A-22 55 251은 측면 현수 모드에서만 동작할 수 있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공지의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컨베이어 수단은 일측면으로부터 레일 주위에 연장된 거의 C자 형태의 베어링 요소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베어링 요소의 자유 단부 중의 하나는 그 위에 배열된 단일 캐스터를 가지며, 또다른 자유 단부에는 전송되는 물체에 대한 고정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캐스터의 원주 표면에는 내측면에 제공되며, 이는 측면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레일의 외측면에 의해 맞물리도록 된다. 이러한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사용 영역은 제한된다. 궤도 레일에 절환부가 제공되는 경우, 베어링 요소는 레일의 동일 측면상에 반드시 배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렇지 않을 경우, 베어링 요소는 절환부와 충돌하기 때문이다. 더우기 공지의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 수단이 동일 레일 상에서 전진 또는 후퇴 전송되는 경우, 특수한 구조적 형태를 가지는 절환부를 요구한다.
미국 특허 번호 US-A-3 777 872는 베어링 요소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두개의 캐스터와 더불어 두개의 캐스터 사이의 대칭면에 배열된 상기 베어링 요소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지된 컨베이어 수단은, 베어링 요소가 연장되는 곳을 통하여 중앙 개구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중앙 개구의 어느 일측면상에 배열된 두개의 연속 궤도를 가지는 측면으로 형성된 레일의 내부에서 이른바 내부 캐스터로서 동작한다. 각 컨베이어 수단의 캐스터는 항상 두개의 연속 궤도와 맞물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부 캐스터를 위한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은 비교적 복잡한 절환부를 요구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독일 특허 번호 DE-A-29 10 780 또는 프랑스 특허 번호 FR-A-2 142 980은 하나의 전송 궤도로부터 또다른 전송 궤도로 전송하기 위한 분리 캐스터를 제공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캐스터는 측면 현수 모드에서 직선 궤도부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를 가지는 궤도 레일을 따라 컨베이어 수단을 전송하는데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형태의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를 간단히 하고, 동작에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상기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 요소(11, 211)는 대칭면(13, 213)에서 연장되고, 캐스터(12a, 12b, 212a, 212b)는 베어링 요소(11, 12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컨베이어 수단(3, 103, 203) 및 궤도 레일(2)은 직선 궤도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에 대한 이동을 위해 측면 현수 모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대칭면(13, 213)은 컨베이어 수단(3, 103, 203) 및 궤도 레일(2) 사이에 제공된 지지 수단(16a, 16b, 232)에 의해 반드시 수직으로 유지되며, 상기 컨베이어 수단(3, 103, 203)은 단지 하나의 연속 궤도(7, 207)를 따라 항상 이동하며, 상기 연속 궤도(7, 207)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는 선택적으로 대칭면(13, 213)의 일측면상 또는 다른 일측면상에 배열되는 캐스터(각각 12a, 212a 그리고 12b, 212b)이고, 반면에 대칭면(13, 213)의 각각의 반대 측면상에 배열된 캐스터(각각 12b, 212b 그리고 12a, 212a)는 연속 궤도(7, 207)와 맞물리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대칭적으로 배열된 캐스터를 가지는 컨베이어 수단과, 단지 하나의 연속 궤도만이 제공된 비대칭 레일을 결합하며, 상기 컨베이어 수단은 당해 형태의 궤도 레일상의 측면 현수 모드에서 이동한다. 또한, 연속 궤도와 맞물리게 되는 각 캐스터를 변화시키는 가능성에 근거하여 절환부 또는 분기부는 매우 간단한 구조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더우기, 궤도 레일의 거의 모든 지점에서 컨베이어 수단은 레일로부터 용이하게 들어올려 질 수 있으며, 또한 궤도 레일의 거의 모든 지점에서 컨베이어 수단은 동일한 방향으로 또는 180도 회전되어 연속 궤도와 재결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레일 상으로 또는 레일 내로의 시간이 소비되는 위치 이동은 없어진다.
비록 단지 하나의 캐스터가 연속 궤도와 맞물리지만, 한편으로는 레일 상의 컨베이어 수단을 신뢰성있게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또다른 한편으로는 컨베이어 수단이 가파른 굴곡부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컨베이어 수단의 곡선 진행 특성을 상당히 개선시키는 또 다른 실시예의 캐스터와 연속 궤도가 본원 클레임 제2-5항에서 개시된다.
클레임 제6항 및 제7항은 부가적인 지지 수단의 실시예를 기재하고 있다.
클레임 제8-10항에 따른 지지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적절한 방식으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클레임 제11항 및 제12항에 따른 제2전송 시스템은 캐스터에 부가적으로 제공되어 사용 영역을 더욱 확대한다.
클레임 제13항에 따른 기울기 방지 장치는 측면으로부터 밀침이 있거나 강풍에 놓이게 되는 경우, 레일로부터 컨베이어 수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클레임 제14-20항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에 사용되며, 특히 아주 간단한 구조적 형태를 가지는 절환부 또는 분기부를 기재하고 있다 특히, 클레임 제17-19항에 따른 전송 수단은 매우 짧은 절환 시간을 허용함으로서 잇달아 도달하는 일련의 컨베이어 수단으로부터 각각의 컨베이어 수단을 의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매우 짧은 절환 시간은 상술한 어떠한 종래 기술의 절환부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없었다.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의 절환부는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송되는 컨베이어 수단 및 먼저 전송된 컨베이어 수단과 그 이후에 전송되는 컨베이어 수단 사이의 더 큰 거리를 요구한다.
클레임 제21-25항에 따른 실시예에 근거하여, 매우 가파른 굴곡부의 반경이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1캐스터 또는 제1캐스터의 어느 하나에서만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볼때, 클레임 제26항에 개시된 두개의 레일 원 사이의 컨베이어 수단의 직접적인 전송이 구조적으로 아주 간단한 수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클레임 제27항에 따른 마찰 벨트를 위한 가이드 수단의 구조에 근거하여, 상기 마찰 벨트는 상기 마찰 벨트를 둔각 조건으로 유도한 후 상기 가이드 수단과 접촉되게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이드 수단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상술한 순서를 역으로 수행함으로서 상기 가이드 수단으로부터 마찰 벨트는 제거될 수 있다.
클레임 제28-30항에 기재되어 있고 그 형태가 변화될 수 있는 몸체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 수단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컨베이어 수단과 마찰 벨트와의 구동 맞물림으로부터 컨베이어 수단을 벗어나게 한다.
클레임 제31-33항에 따라 제공된 마찰 재료는 마찰 벨트 구동의 구동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궤도 레일 2와 컨베이어 수단 3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 수단 3은 상기 궤도 레일 2를 따라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궤도 레일 2는 제1레일 원 2a와 제2레일 배열부 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레일 원 2a가 고려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직선 전송에 사용되는 레일 4의 일부와, 모서리를 돌기 위한 테일 드럼(tail drum)와, 전송 수단 6이 보여지고 있다. 상기 전송 수단 6은 절환부로 작용하며, 도시된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레일 원 배열부 2b는 직선 전송에 사용되는레일 4b와 함께 상기 테일 드럼 5에 접선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레일 배열부 2b의 구조는 중요하지 않다. 도시된 도면에 있어서, 제2레일 배열부 2b는, 예를 들어 다른 레일로의 선형 전송 또는 운반에만 사용되거나, 컨베이어 수단 3의 완전한 순환을 위하여 제1레일 원 2a와 유사하게 테일 드럼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궤도부 그리고 다른 궤도부 즉, 예를 들어 굴곡부등의 레일 4는, 비대칭적으로 구성되며, 컨베이어 수단 3을 위한 연속 궤도 7이 제공된다. 연속 궤도 7은 현수 캐리어 8을 통하여 천장 또는 분리된 프레임으로부터 현수되고, 적어도 그 너비의 일부를 교차하여 현수 캐리어 8로부터 둔각으로 상향 및 외향 연장되고, 원형 선단부 7a에서 끝이 난다 연속 궤도 7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배열된 마찰 벨트 10이 연장하는 가이드 수단 9가 제공된다.
컨베이어 수단 3은 원추 형태의 캐스터 12a, 12b가 각각 양 측면상에서 돌출하는 곳으로부터 수직 지지된 형태의 베어링 요소 11을 구비하고 있다. 캐스터 12a, 12b는 상기 베어링 요소 11의 세로 방향의 중심선 13을 통하여 연장하는 수직 대칭선 13에 대하여 대칭적이며, 캐스터 12a, 12b는 수평 회전축을 가지는 상기 베어링 요소 11의 반대 측면상에 지지된다. 캐스터 12a, 12b의 각각은 원추 형태의 더 협소한 단부에 의해 베어링 요소 11과 접한다. 이 지점에는 각각 챔퍼(chamfer) 14a, 1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챔퍼에 의해 연속 궤도 7의 선단부 7a 상에 캐스터가 놓여 있다. 캐스터 12a, 12b의 표면선과 대칭선 13가 이루는 각 α는 바람직하게는 45도 이다. 또한 연속 궤도 7의 경사진 부분은 이 각도로 연장된다. 캐스터 12a, 12b 각각의 넓은 단부에는 원통부 15a, 15b가 뒤따라 위치한다.
캐스터 12a, 12b의 하부에서, 마찰 벨트 10의 영역 내에 있는 베어링 요소 11로부터 마찰 표면 16a, 16b가 돌출하며, 상기 마찰 표면 16a, 16b는 상기 대칭면 13과 간격을 두고 대칭 관계를 가지며 배열되고 전송 방향 A와 평행하게 연장된다(제1도 참조). 마찰 표면 16a, 16b는 컨베이어 수단 3을 구동하기 위하여 마찰 벨트 10과 맞물리게 된다.
대칭면 13을 따라 연장하는 베어링 요소 11의 하단부는 전송되는 물체에 대한 고정 수단으로 사용되는 후크 17을 가지며, 본 발명에 있어서 도시된 물체는 옷걸이 18의 일부이다. 대칭면 13 내에 그리고 마찰 벨트 16a, 16b 하부의 후크 17을 배열함으로 인하여, 마찰 표면 16b는 제2도에 도시된 컨베이어 수단 3의 위치에서 마찰 벨트 10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지며, 이는 한편으로는 마찰 벨트 10이 이동하는 동안 컨베이어 수단 3이 효과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보장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컨베이어 수단 3이 레일 4에 의하여 부가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캐스터 12a, 12b의 상부에 있어서, 또다른 전송 시스템 19가 캐스터 12a, 12b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컨베이어 수단 3 상에 제공되어 있다. 또다른 전송 시스템 19는 대칭면 130 대하여 서로 대칭이며 하향인 두개의 수평 슬라이딩 표면 20a, 20b를 가진다. 슬라이딩 표면 20a, 20b는 대칭면 13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며 베어링 요소 1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는 두개의 가로판 21a, 21b의 각각의 하부 표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가로판 21a, 21b의 하부에는 그 크기가 가로판 21a, 21b의 크기와 거의 상응하는 제2교차판 23a, 23b가 배열되고, 간격 22a, 22b는 상기 상부 가로판 및 하부 가로판 사이에 제공된다. 하부의 가로판 23a, 23b는 기울기 방지 수단으로 작용한다.
대칭면 13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평행하게 외향 돌출하는 두개의 돌출부 24a, 24b의 형태로 된 또다른 기울기 방지 수단이 마찰 구동의 마찰 표면 16a, 16b의 하부에 있는 베어링 요소 11 상에 제공되어 있다. 평행하게 외향 돌출하는 돌출부 24a, 24b는 레일4의 하부 지점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길다.
베어링 요소 11의 상부 표면에는 전송 방향 A로 연장하며 대칭면 13에 위치하는 세로 방향의 플랜지(flange)25가 형성된다. 상기 세로 방향의 플렌지 25는 대칭면 13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면으로 향하는 두개의 표면 25a, 25b를 가진다.
제3도 및 제4도는 전송 수단 6의 영역 내에 있는 테일 드럼 5의 개략적인 확대도면을 보이고 있다.
테일 드럼 5에는 마찰 벨트 10이 이동하는 구동 플랜지 26이 제공된다. 구동 플랜지 26의 상부 표면 26a는 수평으로 연장하며 평평하게 되어 있고, 도달하는 컨베이어 수단의 캐스터의 원통부 15a, 15b와 일치하는 레벨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부의 하부로 연장되는 레벨로 배열되어 있다.
구동 플랜지 26의 상부에 있어서, 전송 플랜지 27은 테일 드럼 5의 원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전송 플랜지 27의 직경은 구동 플랜지 26의 직경보다는 더 크다. 또한, 전송 플랜지 27의 상부 표면 27a는 컨베이어 수단 3의 슬라이딩 표면 20a, 20b와 상응하는 슬라이딩 표면으로 구성된다. 전송 플랜지 27은 컨베이어 수단 3이 테일 드럼 5에 도달할때 각각의 가로판 21a, 23a 그리고 21b, 23b 사이의 간격 22a, 22b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전송 플랜지 27은 테일 드럼 5의 수직 축에 대하여 회전하며, 상기 전송 플랜지 27 위에 놓여진 컨베이어 수단 3을 각각의 인접하는 슬라이딩 표면 20a, 20b로써 이동시킨다.
전송 플랜지 27의 상부에 있어서, 고정 가이드 리지(guide ridge) 28은 테일 드럼 5의 원부 부근에서 대략 마찰 벨트 10이 구동 플랜지 26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마찰 벨트 10이 구동 플랜지 26을 떠나는 지점까지 연장되며 거의 반구형 형태로 제공되고, 하향 돌출한다. 가이드 리지 28의 내부 표면 28a는 컨베이어 수단 3의 세로 방향의 플랜지(flange) 25의 표면 25a, 25b를 위한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되고, 원심력 또는 그외의 다른 힘에 대하여 테일 드럼 5상에서 컨베이어 수단 3을 유지시킨다. 가이드 리지 28은 전송 수단 6의 영역 내에서 단속된다(제4도 참조). 동일한 지점에서, 제2전송 배열부 2b의 레일 4b에는 차단 영역 29가 제공되고, 차단 영역 29는 레일 4b의 연속 표면 7의 적어도 둔각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충분히 깊이 차단되어 있다.
전송 수단 6에는 두개의 하향 돌출 웨브(web) 30a, 30b를 가지는 푸셔(pusher)가 제공되고,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응된다(제3도 참조). 제4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3도의 우측의 웨브인 웨브 30b가 테일 드럼 5 내의 가이드 리지 28 내의 간격을 차단도록 전송 수단 6의 푸셔 30의 이동이 수행되어 컨베이어 수단 3은 테일 드럼 5를 돌아서 유도된다. 가이드 리지 28과 푸셔 30의 웨브 30b 상에 인접하며 회전축 5a에 대하여 외부 표면인 컨베이어 수단 3의 세로 방향의 플랜지 25의 표면 25a 그리고 푸셔 30의 웨브 30a는 세로 방향의 플랜지 25의 경로를 벗어나 이동한다.
푸셔 30의 제2종단 위치에서, 테일 드럼 5의 회전축 5a에 면해 있는 푸셔 30의웨브 30a는 상기 회전축 5a에 면해 있는 세로 방향의 플랜지 25의 표면 25a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웨브 30a는 또한 컨베이어 수단 3을 레일 4b로 향하여 이동하도록하여, 컨베이어 수단 3이 이때까지 맞물리지 않은 캐스터 12a에 의해 차단 영역 29를 통하여 레일 4b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컨베이어 수단은 전송 플랜지 27과 맞물리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레일 4b 상에 유지되며, 그와 반면에 상기 전송 플랜지 27은 계속하여 회전한다. 레일 4b 상에서, 컨베이어 수단 3은 마찰 벨트 10의 구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는 레일 4b의 마찰 벨트 10과 맞물리게 되며, 컨베이어 수단은 상기 마찰 벨트 10b에 의하여 상기 차단 영역을 벗어나 이동한다.
푸셔 30은 바람직하게는 수직축에 대하여 이동하지만, 선형 이동도 또한 가능하다.
제5도는 전송 수단 6에 비하여 푸셔 대신 약간 변형된 컨베이어 수단 103의 전송 경로 내로 상부로부터 선회하도록 적응되는 경사 가이드 수단 130이 제공된 것만이 다른 전송 수단 106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보인다. 컨베이어 수단 103은 제1-4도에 따른 컨베이어 수단 3과는 세로 방향의 플랜지 대신 세로 방향의 그루브 125가 제공되는 것만이 다르다. 상기 세로 방향의 그루브 125는 컨베이어 수단 103이 테일 드럼 5의 전송 플랜지 27 상에서 전송되는 동안 경사 가이드 수단 130의 가이드 리지 130a에 의해 맞물리도록 적응된다. 경사 가이드 수단 130의 가이드 리지 130a가 세로 방향의 그루브 125 내로 선회할 때, 컨베이어 수단 103은 레일 4b 상에서 억제되고 상기 레일 4b의 마찰 벨트와 맞물리게 되며, 반면에 전송 플랜지 27은 계속하여 이동한다. 만일, 가이드 리지 130a가 세로 방향의 그루브 125와 맞물리지 않게 되면, 전송 플랜지 27에 의하여 전송 수단 103은 테일 드럼 27을 돌아서 이동하며, 가이드 리지 28 다음에 제공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이 동작할때, 컨베이어 수단 및 103은 제1도에 도시된 제1레일 원 2a의 레일 4a 상에서 각각 이동하며, 이때 캐스터 12b는 레일 4a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반대편 캐스터 12a는 자유롭다.마찰 벨트 10과 맞물려 있으며 동시에 대칭 면 13을 반드시 수직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마찰 벨트 16b를 통하여 구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마찰을 감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속 궤도 7의 선단부 7a는 캐스터 12b의 챔퍼 14b 내에서 동작하여야 하므로, 접촉 표면으로 작용하는 마찰 표면 16b를 챔퍼 14a, 14b 보다는 대칭면 13으로부터 조금 더 짧은 거리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따라서 베어링 요소 11 및 111은 각각 약간의 경사를 가지게 되고, 캐스터 12b의 원주 표면은 연속 궤도로부터 약간 들리워진다.
컨베이어 수단 3, 103이 테일 드럼 5의 영역에 도달할때, 전송 플랜지 27은 두개의 교차판 21b, 23b 사이의 간격 22b로 하강한다. 그 다음 캐스터 12b가 레일 4a로부터 구동 플랜지 26의 상부 표면 26a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딩 표면 20b는 위로부터 전송 플랜지 27의 전송 표면 27a와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전송 플랜지 27이 회전하는 동안 컨베이어 수단 3, 103은 이동하게 된다.
컨베이어 수단 3이 궤도 레일 2의 제1영역 2a로부터 궤도 레일 2a의 제2영역 2b로 이동하게 되면, 푸셔 30은 상기 푸셔 30의 웨브 30a가 컨베이어 수단 3이 테일 드럼 5를 돌아서 이동하게 되는 진로를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세로 방향의 플랜지 25의 표면 25b가 웨브 30a와 맞물리게 되어 컨베이어 수단 3은 전송 플랜지 27에 의하여 외향 이동하며, 또한 이때까지 맞물리지 않은 자유로운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자유로운 캐스터 12a는 차단 영역 29로 들어가게 되고, 제2레일 4b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차단 영역 29의 반경은 바람직하게는 테일 드럼 5의 반경과 적응토록 되어, 컨베이어 수단 3은 제2레일 4b 상에 위치하고, 이 위치에서 컨베이어 수단 3은 제2전송 시스템 19가 전송 플랜지 27로부터 벗어나자마자 상기 제2레일 4b의 둔각의 연속 궤도에 의해 지지된다. 마찰 표면 16a는 제2레일 4b의 마찰 벨트 10b와 또한 맞물리게 되어, 상술한 방법과 같이 제2레일 4b 상에서 전송된다.
만일, 이러한 이동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푸셔 30은 웨브 30b가 테일 드럼 5의 가이드 리지 28의 두 영역 사이의 간격을 차단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컨베이어 수단은 테일 드럼 5 주위의 제2전송시스템 19를 통하여 부가적인 직선 레일이 뒤따르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 직선 레일 상에서 컨베이어 수단은 동일한 캐스터 12b를 통하여 전송된다.
제6도는 이미 상술한 컨베이어 수단과 같은 또다른 컨베이어 수단 203의 실시예를 보이며, 대칭면 213에 대하여 측면상에서 대칭적으로 돌출하는 두개의 캐스터 212a, 212b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베어링 요소 211을 포함하고, 베어링 요소 211은 캐스터 212a, 212b의 대칭면에서 연장한다. 캐스터 212a, 212b는 원통형이고, 회전축을 통하여 베어링 요소 211 상에서 회전가능토록 지지된다. 또한 캐스터 212a, 212b는 하향하며, 대칭면 213과 각α를 이루고 있다.
컨베이어 수단 203은 레일 204 상에서 이동하며, 레일 204는 조금 더 큰 너비를 가진다는 점에 관해서만 레일 4와 다르며, 이는 충분히 자유로운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원통형 캐스터 212a, 212b가 레일을 따라 회전한다. 또한 레일 204는 각α의 둔각으로 연장되는 연속 궤도 207을 구비하고, 이를 따라 각각의 캐스터 212a, 212b는 회전한다. 레일 204는 비대칭적이며, 캐리어 208을 통하여 현수된다. 캐리어 208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며 베어링 요소 211을 향하여 면하는 측면상에서, 레일 204는 대칭면 213에 대하여 반드시 평행하게 연장하는 지지표면 231을 구비하고, 지지표면 231을 따라서 원통형 지지 캐스터 232가 회전한다. 상기 원통형 지지 캐스터 232는 수직의 회전축을 가지며 베어링 요소 211 상에서 지지된다. 지지표면 231을 따라서 회전하는 캐스터 232는 이미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마찰 표면 및 마찰 벨트를 결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생하며, 이는 즉, 컨베이어 수단이 레일을 따라서 이동할때 대칭면 213을 수직방향으로 유지시키도록 한다. 또한, 베어링 요소 211에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돌출부 225와 더불어 전송되는 물체를 매달기 위한 후크 217이 제공되며, 예를 들어 모서리를 돌아가는 동안 가이드 돌출부 225는 컨베이어 수단 203을 고정하기 위하여 가이드 수단 내로 유도된다.
제7도 및 제8도는 전송 수단 206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이며, 이는 제6도의 컨베이어 수단 203과 연결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컨베이어 수단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 수단 206은 컨베이어 수단 203을 제1직선 레일 204로부터 제2직선 레일 204b로 전송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의 각도로 상기 제1레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레일 204와 동일한 레벨상에 배열된다. 전송 수단 206은 레일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절환 레그(leg) 233을 포함하고, 이를 따라 상기 컨베이어 수단 203이 회전하며, 상기 절환 레그 233은 레일 204와 동일하게 각α로 경사진 연속 궤도 234를 구비하고 있다. 절환 레그 233은 제1레일 204a의 방향으로부터 제2레일 204b로 향하여 연장되며, 제1자유 단부 233a는 제1레일 204a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2자유 단부 233b는 제2레일 204b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절환 레그 233은 상기 절환 레그 233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컨베이어 수단 203의 상부의 동작 비효과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절환 레그의 각각의 자유 단부 233a, 233b가 상기 제1 및 제2레일 204a, 204b와 마찬가지로 대칭면 213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 있는 컨베이어 수단 203의 경로로 돌출하는 제2위치까지 수직 가이드 로드(rod) 235를 통하여 하향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좌측 캐스터 212a와 함께 제1레일 204a 상에서 전송 방향 A로 전송 수단 206의 영역으로 전송되는 컨베이어 수단 203은 우측 캐스터 212b와 함께 절환 레그 233의 자유 단부 233a로 반드시 이동하게 된다. 절환 레그 233의 자유 단부 233a는 상승 경사로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자유 단부 233a는 좌측 캐스터 212a가 연속 궤도 207의 최상부 영역 위로 들어올려질 때까지 컨베이어 수단 203을 상향 이동하므로, 컨베이어 수단 203이 제1레일 204a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절환 레그 233으로 전송된다. 절환 레그 233 상에서, 컨베이어 수단 203은 제2레일 204b의 방향으로 재순환되며, 이에 의해 전송 수단 203은 하강 경사로로 작용하는 제2자유 단부 233b 상으로 이동한다. 하강 경사로 233b 상에서, 컨베이어 수단 203은 좌측 캐스터 212a가 제2레일 204b의 연속 궤도 207과 맞물리게 될때까지 하향 안내된다. 결과적으로, 제8도에서 컨베이어 수단 203은 화살표로 표시된 전송 방향 A'의 방향으로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8도에서, 전송 수단 203이 레일 204b 상의 우측으로부터 도달할때, 컨베이어 수단 203은 유사한 방법으로 제1레일 204a로 전송된다. 제2레일 상에 도달하는 컨베이어 수단 203이 상기 제2레일 204b 의 단부에서 궤도 레일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환 레그 233의 자유 단부 233b는 매우 길고 아주 큰 둔각의 형태를 가지며, 이에 의해 절환 레그 233이 들어올려진 위치 즉, 동작 비효과 위치를 점유하더라도, 상기 자유 단부 233b는 제2레일 204b 상의 컨베이어 수단 203의 경로 내로 여전히 돌출하여, 그 때에 제2레일 204b와 맞물리지 않은 컨베이어 수단 203의 캐스트는 반드시 이 자유 단부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절환 레그 233은 그곳으로 인가되는 평형추 236의 부하를 가지도록 현수된다. 상기 평형추 236은 절환 레그 233이 레일 204b 상으로부터 제2자유 단부 233b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수단 203의 무게에 의해 절환 레그 233이 그의 동작 효과 위치로 하향 이동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동작 효과 위치 내에서, 제1자유 단부 233a는 제1레일 204의 레벨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부착된 평형추 236을 가지는 절환 레그 233이 레일 204a에 도달하는 컨베이어 수단 203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절환 레그 233을 손으로 하향 이동하는 것을 충분하게 한다. 컨베이어 수단 203이 절환 레그 233에 도달하자마자, 상기 절환 레그 233은 상기 전송 수단 203의 무게에 의해 효과 동작 위치 내에서 지지된다. 컨베이어 수단 203이 절환 레그 233을 벗어날때, 상기 절환 레그는 평형추 236의 영향으로 동작 비효과 위치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대칭적인 컨베이어 수단과 비대칭 레일의 결합은 어떠한 큰 구조적 비용 없이도 다수의 다른 방향으로 컨베이어 수단을 이동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8자의 형태로 된 두개의 폐 전송 원, 제1전송 원 내의 캐스터 및 제2전송 원 내의 다른 캐스터 상을 이동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인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테일 드럼 5와 전송 수단 6, 106의 결합에 의하여, 컨베이어 수단은 각각의 상기 전송 원 내에서 개별적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컨베이어 수단은 제1전송 원으로부터 제2전송 원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 수단 6 및 106은 특히 짧은 전송 시간을 제공하므로, 하나의 또다른 컨베이어 수단이 매우 근접된 관계로 연속하는 다수의 컨베이어 수단의 전송 순회 경로로부터 개별적인 컨베이어 수단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컨베이어 수단을 제1캐스터 또는 제2캐스터 상에서 컨베이어 수단을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가능성에 근거하여, 현재의 궤도 레일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절환부의 경우에서와 같이 현재의 궤도 레일로부터 레일의 일부를 제거할 필요없이 현재의 궤도 레일 내에 부가적으로 분기부를 삽입할 수 있다. 절환 기능을 가지지 않는 간단한 분기부에 있어서, 절환 레그와 유사하게 곡선 경로를 따라 분기 레일을 제1레일까지 유도하는 것과, 적어도 제1레일로부터 컨베이어 수단을 들어올리는 데 필요한 거리를 따라 상기 제1레일과 평행하게 분기 레일을 안내하는 것을 충분하게 한다.
제9도는 제2도의 컨베이어 수단을 보이며, 동일하거나 비교될만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제1도의 레일 4와는 편향 가이드 수단 309에 관해서만 다른 레일 304가 제공된다. 가이드 수단 309에는 마찰 벨트 10에 대한 수용 공동부 309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 공동부 309a는 컨베이어 수단 3의 방향으로 상부 경계 프랜지 309b와 하부 경계 플랜지 309c에 의하여 경계가 형성된다. 플랜지 309b 및 309c는 수용 공동부 309a의 전체 길이를 넘어 서거나 또는 단지 그의 소정 영역 내에서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한다. 컨베이어 수단 3의 대칭면 13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마찰 벨트 10의 너비 방향으로, 상부 플랜지 309b는 하부 플랜지 309c 보다 더 높게 위치한다. 이 방향에서, 수용 공동부 309a는 마찰 벨트의 너비와 하부 플랜지 309c의 높이를 더한 것과 거의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므로, 가이드 수단 309 상의 상기 수용 공동부 309a의 하부 단부 상에서 상기 마찰 벨트 10이 중력의 영향으로 가이드 수단 309에 수용되고 인접하게 될때 양 플랜지 309b 및 309c는 마찰 벨트 10의 세로 방향의 모서리를 넘어서 연장한다. 그러나 만일 마찰 벨트 10이 연속 궤도 7의 방향으로 상향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마찰 벨트 10의 하부의 세로 방향의 모서리는 하부 플랜지 309c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마찰 벨트의 상기 하부의 세로 방향의 모서리는 상기 하부 플랜지 309c를 넘어서 외향 경사진다. 이에 의해 상기 마찰 벨트 10은 상부 플랜지 309b의 하부에서 벗어나게 된다. 마찰 벨트 10을 삽입하기 위한 위해서는 상기 동작이 역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비록 상기 마찰 벨트가 소정 위치 내에서 안전하게 유지되더라도, 동작 중에 가이드 수단 309로부터 마찰 벨트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찰 벨트 10을 위한 가이드 수단 309의 하부에서, 레일 304는 컨베이어 수단 309의 방향으로 개방되며, 그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recess) 340을 가지고 있다. 이 레일은 그 내부에 삽입되며 형태가 변할 수 있는 몸체 341을 가지고 있다. 상기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팽창 가능한 호스(hose)이다. 느슨한 조건에서, 상기 호스는 컨베이어 수단과 맞물리지 않는다. 만일 상기 호스 341이 팽창하게 되면,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까지 상기 호스는 팽창하고 컨베이어 수단 3과 접촉하게 되어, 이에 의해 마찰 벨트 10으로부터 상기 컨베이어 수단 3을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까지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 수단 3은 이러한 과정에서 캐스터 12의 회전축에 근접한 곳에 위치하는 동작 중심에 대하여 전송 방향으로 횡단하여 기울어진다. 이러한 위치에서, 전송 수단 3은 마찰 벨트 10에 의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송 수단 3을 손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가 있다. 팽창 가능한 호스 341은 단지 소정 영역 내의 적절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체 전송 경로를 통하여 팽창할 수 있다.
제10도는 제9도에 개시된 전송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마찰 재료 영역 342a 및 342b가 마찰 벨트 16a 및 16b 상에 부가적으로 더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마찰 재료 영역 342a 및 342b는 잠금 클립의 형태로 구성되고, 베어링 요소 11 상의 그루브 343 내에 해제 가능토록 잠기어 있는 상태이다. 마찰 재료 영역 342a 및 342b는 바람직하게는 마찰 벨트 16a 및 16b의 전면을 감싸고 있으며, 컨베이어 수단 3 및 마찰 벨트 10 사이의 마찰 맞물림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는 예를 들어 하강 및 상승 경로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직으로 변위된 평면을 따라 연장된 전송 경로 상에서 유리하게 된다. 컨베이어 수단 3이 이러한 형태의 전송 경로를 위하여 특별히 구성되는 경우, 마찰 재료 영역은 컨베이어 수단에 고정되어 연결된다. 만일 컨베이어 수단이 하강 또는 상승 경로부에 대하여 동일한 캐스터에 유도 되는 경우, 부가적인 마찰 재료 영역은 두개의 마찰 표면 중의 단지 하나의 마찰 표면상에만 제공된다.
이미 상술한 설명과 도면에 기초하여 여려 가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도에 따른 컨베이어 수단에는 경사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6도에따른 캐스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굴곡면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캐스터의 원주 표면은 약간 볼록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6도에 따른 컨베이어 수단에는 또한 제2전송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수단으로써 후크 대신에 두개의 컨베이어 수단을 교차 바(bar)에 의해 공지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전송 캐리지(carriage)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3)

  1. 전송되는 물체를 위하여 지지 요소에 연결된 베어링 요소와, 상기 베어링 요소상에 대칭면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 중의 하나가 이동하는 것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연속 궤도를 가지는 궤도 레일을 구비하는, 직선 궤도부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를 가지며 상기 궤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컨베이어 수단을 구비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베어링 요소(11, 211)는 대칭면(13, 213)에서 연장되고, 캐스터(12a, 12b, 212a, 212b)는 베어링 요소(11, 121)의 양측면으로부터 외향 돌출하고, 컨베이어 수단(3, 103, 203) 및 궤도 레일(2)은 직선 궤도부, 곡선부 그리고/또는 절환부에 대한 이동을 위해 측면 현수 모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대칭면(13, 213)은 컨베이어 수단(3, 103, 203) 및 궤도 레일(2) 사이에 제공된 지지 수단(16a, 16b, 232)에 의해 반드시 수직으로 유지되며, 상기 컨베이어 수단(3, 103, 203)은 단지 하나의 연속 궤도(7, 207)를 따라 항상 이동하며, 상기 연속 궤도(7, 207)를 따라 이동하는 캐스터는 선택적으로 대칭면(13, 213)의 일측면상 또는 다른 일측면상에 배열되는 캐스터(각각 12a, 212a 그리고 12b, 212b)이고, 반면에 대칭면(13, 213)의 각각의 반대 측면상에 배열된 캐스터(각각 12b, 212b 그리고 12a, 212a)는 연속 궤도(7, 207)와 맞물리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캐스터(12a, 12b, 212a, 212b)의 적어도 일부의 원주 표면의 표면선은 대칭면(13, 213)과 예각( α)을 이루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연속 궤도(7, 207)은 컨베이어 수단(3, 103, 203)으로부터 떨어져 상응하는 각 α로 하향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캐스터(12a, 12b)는 원뿔대로서 구성되고, 상기 캐스터의 좁은 단부는 대칭면(13)에 면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캐스터(212a, 212b)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캐스터의 회전축이 대칭면(213)에 관하여 예각(α)로 경사지도록 베어링 요소(211)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수단은 베어링 요소(211) 상에서 회전가능토록 배열된 지지 캐스터(232)와, 궤도 레일(2) 상에 배열된 지지 표면(23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3, 103)과 궤도 레일(2) 상에 각각 배열된 지지 표면(16a, 16b, 1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 수단은 컨베이어 수단(3, 103)의 구동을 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구동은 궤도 레일(2)에 평행한 전송 방향(A)로 연장하는 마찰 벨트(10)와 컨베이어 수단(3, 103) 상에 배열된 마찰 표면(16a, 16b)을 구비하는 마찰 구동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마찰 표면(16a, 16b)은 대칭면(13)과 측면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또한 대칭면(13)과 평행하게 베어링 요소(11) 상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수단(3)에는 캐스터(12a, 12b)와 측면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궤도 레일(2) 상에서 상응하는 전송 표면(27a)와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부가적인 전송 시스템(19)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전송 시스템(19)에는 대칭면(13)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배열되며 궤도 레일(2) 상의 상응하는 상향의 전송 표면(27a)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적응되는 두개의 하향하는 슬라이딩 표면(20a, 20b)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수단(3, 103, 203)에는 기울기 방지 수단(23a, 23b, 24a, 24b)가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전송 수단(6, 106, 206)는 궤도 레일(2)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전송 수단은 제1레일(4a, 204a)로부터 제2레일(4b, 204b)으로 컨베이어 수단(3, 103, 203)을 전송하는데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송 수단(206)은 소정 위치로 그리고 상기 소정 위치로부터이동되도록 적응되는 절환 레그(233)을 구비하며, 상기 소정 위치 내에서 절환 레그(233)의 하나의 자유 단부(233a, 233b)는 레일(204a, 204b) 상에 도달하는 컨베이어 수단(203)의 자유 캐스터(212a, 212b)의 전송 경로로 돌출하며, 상기 소정 위치 내에서 또다른 자유 단부(233b, 233a)는 부가적인 레일(204b, 204a)과 인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절환 레그(233)의 자유 단부(233a, 233b)는 컨베이어 수단(203)을 각각 분리 그리고 하강시키기 위한 상승 및 하강 경사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전송 수단(6. 106)은 컨베이어 수단(3, 103)을 안내하기 위한 한정된 가이드 수단(30, 13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한정된 가이드 수단은 대칭면(13)으로 횡단하여 이동하도록 적응되는 푸셔(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한정된 가이드 수단(30)은 그루브와 맞물리는 돌출부(25)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5)의 하나는 컨베이어 수단(3) 상에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돌출부는 궤도 레일(2) 상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0. 제17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한정된 가이드 수단(30, 130)은 부가적인 전송 시스템(19)를 위하여 전송 궤도(27a)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전송 방향을 변화하기 위한 재순환 지점이 궤도 레일(2)에 제공되고, 상기 재순환 지점은 부가적인 전송 시스템(19)를 위하여 전송 표면(27a)을 가지는 테일 드럼(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전송 표면(27a)는 테일 드럼(5)의 테일 드럼(5a)의 축에 대하여 회전하며, 컨베이어 수단(3, 103)은 슬라이딩 표면(20a, 20b)을 가지는 전송 표면(27a) 상에 놓이며, 슬라이딩 표면에 의하여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 수단(3, 103)을 위한 가이드 리지(28)는 테일 드럼(5a)의 영역 내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4. 제21항 내지 제2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송 수단(6, 106) 중의 하나는 테일 드럼(5a)의 영역 내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전송 수단(6, 106)은 두개의 웨브(30a, 30b)를 구비하는 한정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며, 두개의 웨브(30a, 30b)는 푸셔(30) 상에 배열되며, 테일 드럼(5)에 의하여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테일 드럼(5)로부터 제2레일(4b)로 이동되도록 테일 드럼(5)의 가이드 리지(28)에 관하여 선택적으로 방향을 가가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궤도 레일(2)은 전송 수단(6, 106)과더불어 컨베이어 수단(6, 106)의 폐경로를 위한 적어도 두개의 레일 원(2a, 2b)를 구비하며, 전송 수단(6, 106)은 상기 레일 원 사이에 배열되고 하나의 레일 원(2a, 2b)으로부터 그 다음 레일 원까지 컨베이어 수단을 전송하며 또한 이러한 전송 과정 동안 캐스터(12a, 12b)는 변화하는 연속 트랙(7)과 맞물려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7. 제9항에 있어서, 마찰 벨트(10)은 가이드 수단(309)의 수용 공동부 내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수용 공동부(309a)의 경계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지지 플랜지(309b, 309c)를 구비하며, 수용 공동부(309a)의 너비는 세로 방향의 모서리 사이의 마찰 벨트의 너비보다도 더 크고, 지지 플랜지(309b, 309c) 사이의 거리는 세로 방향의 모서리 사이의 마찰 벨트의 너비보다는 더 작으며, 상부 지지 플랜지(309b)는 하부 플랜지(309c) 보다 더 넓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형태가 변할 수 있는 몸체부(341)가 드라이브(10)로부터 컨베이어 수단을 들어 올리기 위하여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41)는 팽창 가능한 호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형태가 변할 수 있는 몸체부(341)는 연속 트랙(7)의 하부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31. 제9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마찰 재료(342a, 342b)는 컨베이어 수단(3)과 마찰 벨트(10) 사이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재료(342a, 342b)는 해제가능토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마찰 재료(342a, 342b)는 컨베이어 수단(3) 상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컨베이어 시스템.
KR1019930015118A 1992-08-06 1993-08-04 현수컨베이어시스템 KR100294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210549U DE9210549U1 (de) 1992-08-06 1992-08-06 Hängefördereinrichtung
DEG9210549.1 1992-08-06
DE93108022.0 1993-05-17
EP93108022A EP0582047B1 (de) 1992-08-06 1993-05-17 Hängefördereinrichtung
EP93108022.0 1993-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78A KR940005478A (ko) 1994-03-21
KR100294941B1 true KR100294941B1 (ko) 2001-10-24

Family

ID=688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118A KR100294941B1 (ko) 1992-08-06 1993-08-04 현수컨베이어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582047B1 (ko)
KR (1) KR100294941B1 (ko)
AT (1) ATE141237T1 (ko)
DE (2) DE9210549U1 (ko)
ES (1) ES209331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4183U1 (de) * 1994-03-14 1995-07-20 Fredenhagen Kg Kreis- bzw. Schleppkreisförderer
DE19500612C2 (de) * 1995-01-11 1996-12-12 Duerkopp Adler Ag Codierbarer Adapter zur Verwendung mit einer Hängeförderanlage
DE29511555U1 (de) * 1995-07-18 1995-10-19 Rsl Logistik Gmbh & Co Hängefördereinrichtung
DE29513249U1 (de) * 1995-08-17 1995-10-26 Gaertner Franz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Hängefördervorrichtung
DE29519285U1 (de) * 1995-12-05 1996-02-22 Rsl Logistik Gmbh & Co Fördereinrichtung
DE29519284U1 (de) * 1995-12-05 1996-01-25 Rsl Logistik Gmbh & Co Fördereinrichtung
DE19800630A1 (de) 1998-01-09 1999-07-15 Wf Logistik Gmbh Fördereinrichtung mit einem Übernahmeförderer zur Übernahme von Fördergutträgern von einem Hängeförderer
DE19801193A1 (de) * 1998-01-15 1999-07-22 Iwk Verpackungstechnik Gmbh Fördervorrichtung in einer Verpackungsmaschine
DE19825955C2 (de) * 1998-06-10 2000-06-29 Wf Logistik Gmbh Fördereinrichtung, insbesondere Hängefördereinrichtung, und zugehörige Bauteile
DE29810942U1 (de) * 1998-06-18 1999-10-28 Wf Logistik Gmbh Umlenkeinrichtung
DE19834451A1 (de) * 1998-07-30 2000-02-10 Wf Logistik Gmbh Fördereinrichtung und zugehörige Linear-Antriebseinheit
ITBO20020345A1 (it) * 2002-06-03 2003-12-03 M A Srl Sistema di movimentazione di carrelli scorrevoli su binari congruentivincolanti
DE102004031444A1 (de) * 2004-06-29 2006-01-26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Fördervorrichtung mit Weiche bei Übereinanderanordnung der Laufbahnen
DE102005041524A1 (de) * 2005-08-31 2007-03-15 Castero Gmbh & Co. Kg Hängefördersystem
EP2117972B1 (de) 2007-02-16 2011-06-22 RSL Logistik GmbH & Co. KG Hängefördereinrichtung mit einer weichenvorrichtung
CN105800270A (zh) * 2016-04-25 2016-07-27 芜湖富春染织有限公司 纱线盘的集中放置装置
CN109987390B (zh) * 2017-12-29 2024-01-09 广东兴发铝业(河南)有限公司 一种铝型材卧式喷涂预处理及上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0783B2 (de) * 1971-06-22 1975-01-16 Pfalzstahlbau Gmbh, 6780 Pirmasens Kreisförderer
DE2910780C3 (de) * 1979-03-19 1982-01-28 Hajtómüvek és Festöberendezések Gyára, Budapest Gehängeübergabevorrichtung für die Lastgehänge einesHängekettenförder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2047B1 (de) 1996-08-14
ES2093314T3 (es) 1996-12-16
EP0582047A1 (de) 1994-02-09
ATE141237T1 (de) 1996-08-15
KR940005478A (ko) 1994-03-21
DE59303422D1 (de) 1996-09-19
DE9210549U1 (de) 199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941B1 (ko) 현수컨베이어시스템
US5404992A (en) Suspension conveyor system
CA1231665A (en) Accumulating conveyor
US4729466A (en) Distribution conveyor for products
US11225380B2 (en) Conveyor system for the transport of packaged food products
US5819906A (en) Suspension conveyor installation
US3854573A (en) Load carrier with dual pin suspension
US5000311A (en) Conveyor chain with detachable upper portion
EP0238150B1 (en) Conveyor
US5850902A (en) Transferring articles from a moving belt edge onto a normally disposed moving conveyor belt
US4144817A (en) Trolley conveyor
US3724391A (en) Overhead conveyor
US4561359A (en) Overhead conveyor systems
US6206178B1 (en) Carrier and discharging system for hangers
US3973669A (en) Endless cable conveyor with molded lugs
EP0487038B1 (en) Magnetically floating carrier system
US2782727A (en) Conveyor systems
US3603449A (en) Transition structure between conveyor and rotary elevator wheel
US2510318A (en) Vertical curve section for powerdriven and free-wheeling trolley conveyers
EP1201570B1 (en) Suspension rail
US20040245075A1 (en) Transport system, in particular airport baggage handling system, for transport of containers with articles, in particular bags
WO199301401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veyors
SU985675A1 (ru) Колосникова решетка конвейерных машин
KR910000559B1 (ko)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SU988682A1 (ru) Подвесной конвей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