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195B1 -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195B1
KR100294195B1 KR1019930011335A KR930011335A KR100294195B1 KR 100294195 B1 KR100294195 B1 KR 100294195B1 KR 1019930011335 A KR1019930011335 A KR 1019930011335A KR 930011335 A KR930011335 A KR 930011335A KR 100294195 B1 KR100294195 B1 KR 10029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panel
frame
assembly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824A (ko
Inventor
최성봉
임채복
조시연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3001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195B1/ko
Publication of KR95000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4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of non-emitt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패널을 중심으로한 막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새도우마스크 조립공정중 객관적으로 Q치를 관리할 수 있는, 즉 패널의 내면을 측정하여 그 굴곡에 따라 프레임과 스프링을 조립한후 이 스프링과 프레임 조립체를 새도우마스크에 용접하고 이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이미 성정된 Q치와 비교해 가면서 패널에 결합하는 새도우마스크의 자동조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코너스프링과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로 이루어지는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을 결합함에 있어서: 패널이 패널내면 측정기에 로드(load)되면 보조제어기에서 이를 인지하게되고 패널내면 측정용 센서가 그 내면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데이타를 주제어기로 보내고, 이 주제어기에서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보정치의 데이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데이타를 바탕으로 프레임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스프링홀을 기준으로 조립하는 과정과; 조립된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패널과 결합한후 새도우마스크와 패널내면과의 거리를 설정된 Q치과 비교하여 그 데이타를 다시 주제어기에 보내어 오차를 감지하고 그것에 맞추어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의 자동조립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과의 결합시까지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과의 결합시까지의 전체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블럭도.
제3도는 종래의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과의 결합시까지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블럭도.
제4도는 통상의 음극선관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의 자동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브라운관의 대형, 고정세화의 추세에 따라 부품의 정밀도와 조립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패널내면의 오차에 따라 스프링과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의 조립위치를 결정, 조립하므로서 새도우마스크와 패널내면의 간격을 규격치내에서 정밀하게 관리 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의 자동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음극선관을 제작함에 있어서, 새도우마스크를 현수설치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는 바, 이때 새도우마스크는 패널 내측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때 패널내면에서 새도우마스크 외면까지의 거리, 즉 Q치는 음극선관의 설계에서 제품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제4도는 통상의 음극선관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도우마스크(S)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스프링을 통해 프레임(B)에 현수되고, 프레임(B)은 외주에 뚫려진 장착공을 패널(C)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된 코너핀스프링(D)에 끼워마춤으로써 새도우마스크(S)는 패널(C)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P)를 두고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립공정을 제3도의 블럭도와 함께 설명하면, 프레임(B)를 코너핀스프링(D)에 접합 조립한후, 다시 프레임과 코너핀스프링의 조립체를 적당한 지그상에서 새도우마스크(S)와 상호 조립연결한다음 패널(C)과 조립되어진다.
이 경우에 새도우마스크(S)와 프레임(B)의 조립에는 양자간의 조립위치를 유지하여 주는 지그가 사용됨이 통상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 새도우마스크(S)와 패널(C)의 내측면 사이간격(Q)은 정밀도를 유지할 수 없게되어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다시말하면, 상기한 패널(C)의 내측면에서 코너스프링(D)까지의 거리(L)은 일정하므로, 새도우마스크(S)가 프레임(B)와 겹쳐져서 조립되는 경계(E)에 의해 간격(Q)이 결정되는 것이나, 이 경계(E)는 통상 설계 당시에 결정되어 각 부품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조립과정에서 쉽게 오차가 생기게 되고 그 결과로 간격(Q)을 정밀한 칫수로 선정하여 놓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간격(Q)은 패널내면의 굴곡에 의해서도 상당히 변화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패널내면의 굴곡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Q치를 관리하여 왔었다.
또한 상기의 조립이 이러한 오차를 무시하고 조립한후 샘플링으로 Q치를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오차관리가 되지 못하여 품질의 균일성을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음극선관의 패널을 중심으로한 막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가장 기본이 될 수 있는 새도우마스크 조립공정중 객관적으로 Q치를 관리할 수 있는, 즉 패널의 내면을 측정하여 그 굴곡에 따라 프레임과 스프링을 조립한후 이 스프링과 프레임 조립체를 새도우마스크에 용접하고 이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이미 설정된 Q치와 비교해 가면서 패널에 결합하는 새도우마스크의 자동조립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너스프링과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로 이루어지는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을 결합함에 있어서 : 패널이 패널내면 측정기에 로딩되면 보조제어기에서 이를 인지하게되고 패널내면 측정용 센서가 그 내면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데이타를 주제어기로 보내고, 이 주제어기에서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보정치의 데이타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보정데이타를 바탕으로 프레임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스프링홀을 기준으로 조립하는 과정과; 조립된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패널과 결합한후 새도우마스크와 패널내면과의 거리를 설정된 Q치와 비교하여 그 데이타를 다시 주제어기에 보내어 오차를 감지하고 그것에 맞추어 거리를 조절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 용]
패널의 내면 굴곡을 센서수단에 의해서 측정하여 그 데이타에 의해서 프레임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스프링 홀을 기준으로 조립한후 다시 패널과 결합후 그 거리를 설정된 Q치와 비교하여 작업공정중에 조절하게 함으로서 정밀한 Q치관리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의 음극선관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과의 결합시까지의 전체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는 블럭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공정의 흐름도는, 우선 패널의 내면 측정기에 의해서 패널 내면의 굴곡을 측정하여 데이타를 형성하고 그 데이타가 보정용 제어기에 보내져 그 데이타에 따라 코너핀 스프링과 프레임의 조립및 이 프레임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조립하고, 이 조립된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패널면에 결합한후 설정된 Q치와 패널내면에서 새도우마스크 까지의 거리를 측정 대비하여 조절한후 조립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종래의 코너스프링과 프레임을 조립하고 일정한 지그상에서 새도우마스크와 상기 스프링과 프레임조립체를 조립한후 이 마스크 프레임조립체를 패널과 연결한다음 일정량만 샘플링한후 Q치를 측정해보는 종래의 조립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모든 제품의 조립위치를 제어해가면서 조립, 결합하기 때문에 이미 설정된 규격의 Q치 근방에서 새도우마스크와 패널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도를 제2도의 블럭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이 패널 내면 측정기에 로딩되면 보조제어기에서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내면 측정용 센서를 이용하여 내면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된 데이타는 측정용 센서 유닛을 거쳐 주제어기로 전달되어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보정치를 모니터로 출력하게 된다.
부품공급장치로 부터 공급된 프레임과 스프링이 자동으로 조립된후, 이 스프링과 프레임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 새도우마스크를 조립하는 조립기는 상기 주제어기로 부터 연산된 보정치의 데이타를 보조제어기를 거쳐서 전달받은 조립제어기에 의해서 상기 데이타에 따라 상기 프레임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이 조립치는 다시 보조제어기로 피드백되어 상기 주제어기로 부터 나오는 상기 보정치와 다시 비교된후 이 비교값을 보정모터 제어 유닛으로 보낸후 이 보정용 모터 제어유닛에서 보정용 모터로 그 비교치가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기는 보정용 모터에 의해서 조정되어 가며 프레임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스프링 홀을 기준으로 조립하게된다.
이렇게 조립된 프레임과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는 패널과 결합되게 되는데 이때 패널내면과 새도우마스크간의 거리를 Q치 측정기의 측정용 센서에 의하여 측정한후 이를 Q치 측정용 센서 제어유닛을 거쳐서 주제어기로 보낸후 이미 설정된 Q치와 비교한후 이 비교치를 보조제어기를 통하여 다시 피드백시켜 그 비교치에 따라서 패널내면과 새도우마스크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조립공정중에 모든 오차를 미리 감지하여 새도우마스크와 패널의 간격을 이미 설정된 Q치에 가깝게 설계치를 제어해 가면서 조립이 완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와 각 부품과의 인터페이서 역활과, 전체 시스템을 제어 및 통신기능과, 시스템의 자기진단과 변수관리 역할과, 그리고 Q치조정 알고리듬계산을 하는 역할을 하는 주제어기와: 주제어기와 기기간의 인터페이스 및 통신기능과, 수동모드시에 독자운영체계로 운영되는 보조제어기와; 패널의 내면을 측정하는 패널내면 측정기와; 스프링 그리고 프레임과 새도우마스크의 위치를 결정 조립하는 조립기와, 프레임과 마스크의 위치를 결정하는 Q치 측정기를 구성하여 각 부품의 오차를 제어해 가면서, 즉 스프링과 프레임의 조립 그리고 이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와의 조립과정이 오차를 제어해 가면서 이루어지고 이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패널에 이미설정된 Q치에 맞도록 조절해가면서 조립하게 된다.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품단위로 결정된 설계 도면에 의하여 부품을 제작하고 단순 조립 및 마춤을 수행한후 간이적으로 샘플링하여 Q치를 관리하는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부품단위의 오차관리 뿐만 아니라 조립체 단위의 오차관리를 동행하며 조립공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규격치내의 정밀한 부품관리를 이룰 수 있어 개선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코너스프링과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로 이루어지는 새도우마스크 조립체와 패널을 조립함에 있어서: 패널이 패널내면 측정기에 로드(load)되면 보조제어기에서 이를 인지하게 되고 패널내면 측정용 센서가 그 내면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데이타를 주제어기로 보내고, 이 주제어기에서 퍼지연산을 수행하여 보정치의 데이타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데이타를 바탕으로 프레임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를 스프링홀을 기준으로 조립하는 단계와; 조립된 새도우마스크 조립체를 패널과 결합한후 새도우마스크와 패널내면과의 거리를 설정된 Q치과 비교하여 그 데이타를 다시 주제어기에 보내어 오차를 감지하고 그것에 맞추어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과 스프링의 조립이 위치 결정에 의한 보정데이타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과 프레임 조립체와 새도우마스크의 조립은 상기 주제어기로 부터 연산된 보정치의 데이타를 보조제어기를 거쳐서 전달받는 조립기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기는 조립치와 보정치를 주제어기에서 비교하여 그 비교값이 전달된 보정용 모터의 작용에 따라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설정된 Q와 새도우마스크와 패널사이의 간격의 비교는 보조제어기로부터 명령을 받은 Q치 측정기의 측정용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어 Q치 측정용 센서 제어유닛으로 전달된 후 주제어기로 보내져 연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코너스프링, 프레임 그리고 새도우마스크 조립방법.
KR1019930011335A 1993-06-21 1993-06-21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KR10029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335A KR100294195B1 (ko) 1993-06-21 1993-06-21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335A KR100294195B1 (ko) 1993-06-21 1993-06-21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824A KR950001824A (ko) 1995-01-04
KR100294195B1 true KR100294195B1 (ko) 2001-10-24

Family

ID=3752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335A KR100294195B1 (ko) 1993-06-21 1993-06-21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41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774A (en) * 1976-07-28 1979-02-13 Hitachi, Ltd. Panel positioning apparatus
KR930009654U (ko) * 1991-10-17 1993-05-26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774A (en) * 1976-07-28 1979-02-13 Hitachi, Ltd. Panel positioning apparatus
KR930009654U (ko) * 1991-10-17 1993-05-26 삼성전관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824A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53871A1 (en) Method for measuring a rotary axis of a machine tool system
JPH02275305A (ja) 管寸法測定方法と装置
US7059245B2 (en) Method of controlling printing presses
EP0381421A2 (en) Adjusting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 equipment
KR100294195B1 (ko) 음극선관의코너스프링,프레임그리고새도우마스크의자동조립방법
JPH03114125A (ja) 電子線描画装置
US61089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funnel assembly of cathode ray tube
US8166874B2 (en) Vibration severity monitor to control press operating shutheight and process operating conditions
WO2023097711A1 (zh) 一种新型智能机床加工系统
JPS6137562B2 (ko)
JP2000340168A (ja) プラズマイオン源質量分析装置及びイオン源位置調整方法
JPH07155949A (ja) スパイラル鋼管自動溶接方法
JPH0712552A (ja) 内径測定装置
KR19980047063A (ko) 음극선관의 마스크프레임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CN220982593U (zh) 一种执行器气密检测设备
JP7312927B1 (ja) 基板搬送機構の動作判定方法
CN212083170U (zh) 一种可统一稀释比的烟道烟气分区测量系统
KR0182515B1 (ko) 음극선관의 휘도조정장치 및 휘도조정방법
KR0141557B1 (ko) 퍼지-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한 아이 티 씨(itc) 보정위치 표시장치
JPH0227635A (ja) 電子銃組立装置
KR930011245B1 (ko) 음극선관의 패널과 새도우마스크의 고정방법 및 장치
CN117382183A (zh) 粉末材料3d打印多喷头融合控制系统
JPH06176695A (ja) 陰極線管の画像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CN117804519A (zh) 一种x射线检测设备重复定位精度调整设备及方法
KR19990013695U (ko) Usb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자동 생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