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134B1 - 벤딩용규정선이있는플라스틱시이트 - Google Patents

벤딩용규정선이있는플라스틱시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134B1
KR100294134B1 KR1019930003661A KR930003661A KR100294134B1 KR 100294134 B1 KR100294134 B1 KR 100294134B1 KR 1019930003661 A KR1019930003661 A KR 1019930003661A KR 930003661 A KR930003661 A KR 930003661A KR 100294134 B1 KR100294134 B1 KR 100294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sheet
line
sheet
bend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519A (ko
Inventor
하시모토타다시
Original Assignee
미야베 요시까즈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8561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28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856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515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8570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2892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야베 요시까즈,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베 요시까즈
Publication of KR930019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65D65/12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formed with crease lines to facilitate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31B50/252Surface scor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31B50/256Surface scoring using tools mounted on a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31F1/10Creasing by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플라스틱 시이트는 플라스틱 시이트 한면 이상에 규정선으로써 홈을 가지고 있고, 그 안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절삭부나 홈의 세로방향의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로 구성되있고, 0.05 ∼ 1 mm 곡률 반경을 가진 챔퍼부는 얕은 오목부의 바닦의 세로방향의 양단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시이트에 형성된 벤딩용 규정선에 따른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플라스틱 시이트에 형성된 벤딩용 규정선에 따른 단면도.
제 3 도는 플라스틱 시이트내의 규정선 형성용 날부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성형부를 갖는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제 4 도의 선V-V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 6 도는 규정선이 있는 종래의 플라스틱 시이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7 도는 규정선을 따라 벤딩된,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도시가 부분적으로 생략된 투시도.
제 8 도는 플라스틱 케이스의 실시예의 투시도.
제 9 도는 제 8 도에서 도시된 플라스틱 케이스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 10 도는 플라스틱 케이스의 접착부에서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 11 도는 플라스틱 시이트에 형성된 벤딩용 규정선의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투시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선 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선 II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3 도에 도시된 부분의 벤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3 도의 선 V-V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제 16 도는 제 15 도에 도시된 부분의 벤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17 도는 본 발명에 의한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18 도는 규정선 형성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 19 도는 규정선 형성장치의 측면도.
제 20 도는 규정선 형성장치의 또다른 실시의 단면도.
제 21 도는 제 20 도의 선 II-II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 22 도는 시이트 재료의 타발작업과 규정선 형성을 수행하는 프레스 다이 (die) 를 도시한 단면도.
제 23 도는 규정선 형성용 날부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
제 24 도는 시이트재료의 벤딩과 접착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5 도는 시이트재료의 벤딩과 접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6 도는 시이트 재료의 벤딩에 의해 형성되는 상자의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도.
제 27 도는 전개 상태에 있는 상자 형성용 플라스틱 시이트의 평면도.
제 28 도는 규정선 형성과 시이트재료의 타발작업을 수행하는 종래의 프레스다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 29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생략된 투시도.
제 30 도는 제 29 도의 선 II - II 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 31 도는 제 29 도의 선 III-III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 3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또다른 실시예의 투시도.
제 33 도는 제 32 도의 선 V-V에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 34 도는 타발작업후 플라스틱시이트의 제품 분리용 장치의 단면도.
제 35 도는 제 34 도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
제 36 도는 타발작업 후의 플라스틱 시이트 재료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 37 도는 타발작업 후의 플라스틱 시이트의 제품을 분리하는 종래의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규정선 14 : 챔퍼부
21 : 벤딩용 규정선 24 : 챔퍼부
41 : 플라스틱 시이트 42 : 성형부
210 : 플라스틱 시이트 240 : 규정선
250 : 후크 (hook) 310 : 플라스틱 시이트
360 : 하방롤러 410 : 플라스틱 시이트
411 : 규정선 520 : 규정선
534 : 절단부 6111 : 연결부분
620 : 이송롤러 (feeding roller) 621 : 누름 롤러 (pushing roller)
630 : 취득롤러 640 : 해머
본 발명은 벤딩용 규정선을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라스틱 시이트가 벤딩될 때 벤딩부를 형성하는 규정선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포장용기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할 때, 시이트에 벤딩용 규정선을 만들고, 규정선을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보통 한 면에 규정선을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가 사용되어 왔다.
한면에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종래의 플라스틱 시이트에는 규정선의 폭방향의 코너부가 벤딩될 때 플라스틱 시이트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시이트를 벤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규정선의 폭을 넓히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시이트에 넓고 깊은 규정선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규정선을 형성하는 프레스 모울드가 플라스틱 시이트에 고압하에 눌러져야 하며, 이는 시이트의 물리적인 특성에 따라 시이트를 파손시킬 수 있다. 또한 넓은 규정선이 형성될 때 플라스틱 시이트는 횡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소형 상자가 이러한 플라스틱 시이트로 제조될 때 규정선이 교차하는 부분에 주름이나 파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6 도에서 도시된 규정선을 갖춘 플라스틱 시이트가 제안된다. 즉, 플라스틱 시이트는 벤딩을 위한 규정선으로서 홈을 가지며, 여기서 얕은 오목부 (2) 와 깊은 오목부 (3) 는 요철부나 불연속적인 구멍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제 9345/1992) 을 제공함으로써 홈의 바닥부의 종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가 용이한 벤딩 특성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플라스틱 시이트가 규정선 (1) 을 따라서 벤딩될 때, 얕은 오목부 (2) 의 바닥의 양단부 (2a,2a) 는 제 7 도에 사시도로 도시된 것처럼 날카로운 융기부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부분들에 대한 접촉감이 좋지 않고, 만약 플라스틱 시이트로 제작된 용기내에 옷감 등이 놓여진다면, 옷감의 올이 규정선의 날카로운 융기부에 걸리기 때문에 옷감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본발명의 목적은 시이트가 벤딩될 때 뛰어난 벤딩 특성을 제공하고 날카로운 모서리를 갖지 않는 벤딩용 규정선을 갖춘 플라스틱 시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이상의 플라스틱 시이트면에 규정선으로서 홈을 갖는 벤딩용 규정선을 갖춘 플라스틱 시이트를 제공하며, 여기서 홈은 이 홈의 종방향으로 절단부 또는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로 이루어지며, 0.05 - 1 mm 의 곡률 반경을 갖는 챔퍼부 (charnfered portion) 는 얕은 오목부의 바닥의 종방향으로 양단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시이트의 구조에 따르면, 챔퍼부가 얕은 오목부 바닥의 양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시이트가 벤딩된 이후에도 접촉감이 뛰어나고, 규정선이 올을 잡는 일도 없으며, 우수한 포장용 용기가 얻어진다. 추가로, 챔퍼부에서, 플라스틱 시이트의 나머지 부분보다 수지가 더 압축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의 강도와 경도가 개선되었으며 이에 의해 그 부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 1 도는 플라스틱 시이트에 형성된 벤딩용 규정선(11)을 도시한다. 규정선 (11) 은 그 종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 깊은 오목부(12)와 얕은 오목부 (13) 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깊은 오목부(12) 는 한 면에서 다른 면으로 플라스틱 시이트를 통과하는 각각의 구멍들이다. 각각의 얕은 오목부 (13) 는 오목부 바닥의 종방향 양단부에 챔퍼부 (14)를 갖추고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벤딩용 규정선(21)은 요철구조이고, 그 안에 깊은 오목부 (22) 와 얕은 오목부 (23) 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챔퍼부 (24,24) 는 얕은 오목부 (23) 의 바닥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의 벤딩용 규정선(11) 또는 (21)은 제 3 도에 도시된 형상의 날부 (31) 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규정선 형성용 날부는 교대로 형성되는, 깊은 오목부 형성용 긴 날부 (32) 얕은 오목부 형성용 짧은 날부 (33) 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짧은 날부 (33) 의 양단은 챔퍼부 (14) 또는 (24) 를 형성하기 위한 곡선부 (34,34) 를 갖추고 있다. 벤딩용 규정선 (11) 또는 (21) 은 플라스틱 시이트를 편평한 판에 놓고 프레스기로 날부를 플라스틱 시이트에 누름으로써 형성된다. 긴 날부 (32) 가 눌러져 편평한 판에 도달하는 순간에, 제 1 도에 도시된 형상의 규정선(11)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 2 도에 도시된 형상의 규정선 (21) 은 날부 (31) 가 편평한 판에 닿기 직전에 멈춤으로써 형성된다.
챔퍼부 (14) 또는 (24) 의 곡률 반경이 0.05 - 1mm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 반경이 0.05 mm 보다 작으면 코너부에 미세한 각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감이 나쁘다. 다른 한편으로 곡률 반경이 1mm를 초과할 때는 프레스 다이에 너무 많은 누름력이 규정선을 형성하는데 필요하게 되고, 가공성이 감소하게 되고, 플라스틱 시이트의 강도는 얕은 오목부에서 감소된다.
그러므로 규정선의 종방향을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에 교번하는 방법으로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규정선을 형성하고, 얕은 오목부에 챔퍼부를 형성함에 의하여, 플라스틱이 벤딩될 때 양호한 접촉감이 규정선에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얕은 오목부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많은 압축력을 받기 때문에 얕은 오목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규정선 상에서 플라스틱 시이트의 한면에서 나머지 한면으로 관통함으로써 깊은 오목부가 만들어질지 아닐지에 대한 결정은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물리적 성질과 두께에 달려있다. 추가로, 벤딩 특성과 강도는 깊은 오목부의 남아있는 두께, 얕은 오목부의 깊이, 그리고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의 비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의 길이는 각각 0.3-1.5mm 범위에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길이가 상기 언급한 범위를 초과할 때는 규정선의 외관이 나쁘다. 한편, 길이가 범위에 미달할 때는, 규정선 형성용 날부 윗부분 가장자리가 약해지고, 특히 더 긴 날부분의 윗부분 가장자리가 변형되거나 깨질 수 있다. 날부 가장자리의 각도는 30°- 120°범위내에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날부의 형상은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두께와 물리적 성질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날부 가장자리의 각도는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간에 다를 수도 있다. 더구나, 규정선은 3 단계 이상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플라스틱 시이트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시이트나, 복합시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보통 플라스틱 시이트의 두께는 O.1-1.Omm범위내에있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시이트에서 벤딩용 규정선은 두단계 이상의 깊이를 가지는 규정선 형성용 날부를 플라스틱 시이트에 누름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의 두께가 상당히 고르지 않더라도 일정한 벤딩용 규정선이 얻어질 수 있었다. 즉,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것 처럼 플라스틱 시이트 (41) 가 진공방식으로 형성될 때, 성형부 (42) 근처의 일부분 (43) 의 두께는 진공 성형때문에 상당히 얇게 형성된다. 종래의 규정선 (44) 에서는, 깊이가 고르지 않다. 즉 선형 규정선이 형성될 때 규정선이 불연속하거나 플라스틱 시이트가 파단되는 일이 있다. 간헐적인 규정선의 경우에, 일정한 벤딩 특성은 시이트의 벽두께가 크기 때문에 얻어질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벤딩용 규정선에서는, 규정선 전 길이에 걸쳐 일정한 벤딩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벤딩용 규정선을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에서는, 규정선은 규정선 종 방향으로 절단 부분 또는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를 갖고 있는데, 여기서 0.05-1mm의 곡률반경을 가진 챔퍼부는 얕은 오목부 바닥의 종방향 양단에 형성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의 벤딩부에 우수한 접촉감을 제공한다. 포장용기에 옷감을 보관하여 옷감이 규정선 부분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올이 걸릴 위험이 없는 탁월한 포장을 할 수 있다. 또한, 규정선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압축되기 때문에 규정선 부분의 강도와 경도가 향상되어서 파손의 가능성도 더 적다.
제 8 도 - 제 10 도는 플라스틱 시이트로 제조된 용기를 도시한다. 플라스틱 용기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하고 시이트의 겹치는 부분에 접착제를 가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여기서 겹쳐진 부분위에 접착제를 가한 부분의 폭이나, 단위 면적 부분당 가한 접착제의 양은 다른 부분보다 크다.
플라스틱 케이스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하고, 접착제를 플라스틱 시이트가 접착될 부분에 입히고, 겹쳐진 부분을 서로 접착한다.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제품의 외관과 제작단계 또는 편리성을 고려하여 용기의 측면에 대응되는 면에 입히고, 플라스틱 시이트를 튜브 형상으로 벤딩하고, 접착제를 가한 부분이 서로 접착되게 한다.
튜브 형상의 케이스의 양단 부분에는 벤딩될 뚜껑이 있고, 이것은 물품이 케이스 안에 들여 보내진 후 케이스의 양단을 닫는데 쓰인다. 접착에 의해 제조된 플라스틱 시이트 케이스는 편평하게 접혀진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측에서 물품을 용기에 넣을때, 편평하게 접혀진 용기는 상자 기계에 의해 튜브 형상으로 열려진다. 바닥 커버가 닫혀지고 물품이 용기내로 넣어지고 상부 뚜껑이 용기의 상부 개구를 덮기 위하여 벤딩된다.
사용자측에서 종래의 플라스틱 케이스를 상자 기계에 의해 상자로 조립할 때 뚜껑 부분은 고속으로 90°각도로 벤딩된다. 따라서, 접착면의 끝부분에 응력이 가해진다. 만약 접착이 불충분하면, 그 부분이 분리된다. 한편, 환경과 조작조건의 관점에서 접착제의 양이 가능한한 적을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제 8 도 및 제 9 도에 도시된 것 처럼, 플라스틱 케이싱은 플라스틱 시이트 (210) 를 벤딩하고, 접착제 (230) 을 플라스틱 시이트(210) 에 접착될 면에 입히고, 그 시이트의 면 부분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여기서 접착될 부분 (220) 의 끝부분 (221) 가까이에 접착제를 가한 부분의 폭이나 가한 접착제 (230) 의 양은 피복될 나머지 부분보다 크다.
본 발명에 사용할 플라스틱 시이트로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규정선 (240) 은 벤딩될 선을 따라서 미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벤딩될 선을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는 튜브 형상으로 벤딩될 수도 있다. 튜브 형상으로 제작되어진 플라스틱 시이트의 대향 끝부분은 접착될 면 (220) 을 따라 겹쳐지도록 하면 충분하다.
사용될 접착제 (230) 로서, 열용해 접착제나 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접착제 (230) 의 피복법으로서 열용해 접착제 같은 접착제용으로 접착제 배출장치를 사용하면 접착될 양단부분 (221) 은 광전관과 전자 밸브를 조합하여 검출되며, 접착제의 배출량은 전자 밸브에 의해 접착제 배출장치의 배출구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될 수도 있다.
접착될 면에 용제형 접착제를 가하기 위해 피복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피복패턴을 가진 피복롤러가 접착될 면의 끝 부분 근처의 영역에 가한 접착제의 폭이 나머지 부분보다 길도록 사용된다.
접착제 (230) 를 가할 때에, 접착될 면의 끝 부분(221) 에 가해지는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의 피복양은 나머지 부분용 접착제의 피복양의 120 - 400 % 범위에 있는게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중앙부분에 가해진 접착제의 양을 종래 사용된 접착제 양의 50 - 80 % 의 양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접착제 양과 폭은 접착될 면의 끝부분(221) 에 충분한 박리강도를 보장한다.
양단부분의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의 양이 나머지 부분의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양의 120%보다 작을때, 나머지 부분의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의 양은 종래의 기준에서 80%를 초과한다. 따라서, 접착강도가 종래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 유지되는 동안 전체 피복양이 감소되는 기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양단부분의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의 양이 400 % 를 초과할때는 나머지 부분의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의 양은 종래 기준보다 50 % 가 적고, 이에 의해 접착강도는 불충분 해지고 외관은 나빠진다.
[실시예]
각면이 50 mm의 정육면체 형상을 하는 용기의 형상을 갖는 0.3 mm 두께의 딱딱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시이트는 압형이 형성되고, 여기서 8 mm의 폭을 갖는 접착면과 규정선 (240)이 형성된다. 열용해 접착제(230) 는 6 mm 길이와 6 mm 폭의 치수를 갖는 양단부분 (221) 과 36 mm 길이와 1.5 mm 폭의 치수를 갖는 중앙 부분에 피복되어 있다. 접착제의 총길이는 48mm이고 피복의 총량은 0.1g이었다.
비교예와 같이, 0.3mm 두께의 딱딱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시이트를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압형을 냈으며, 같은 접착제(230)를 48 mm 길이와 3 mm 폭치수의 접착면(220)에 피복했다. 피복총량은 0.14g 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플라스틱 시이트는 각각 접착되고 상자 기계의 적용전에 있는 편평하게 접힌 상태로 변환된다. 그 다음에, 1O mm 지름을 갖는 금속봉을 벤딩하여 형성된 후크 (hook) (250) 는 개방단부에서 15mm 까지 삽입된다. 후크의 끝은 용수철 저울에 부착되어 있다. 용수철 저울은 20 cm/min의 속도로 당겨졌고 접착면의 끝부분의 박리에 영향을 미칠 하중이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실시예의 인장강도는 4.6 kg 이었고, 비교예의 인장강도는 3.7 kg 이었다. 본 발명의 끝부분 (221) 의 접착 강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접착제 (230) 의 양이 비교예의 것보다 적음에도 즉, 실시예의 경우에는 0.1 g 이었고, 비교예의 경우에는 0.14 g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뛰어났다. 접착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피복되는 나머지 부분의 비가 커지기 때문에 접착제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하고 접착제로 접착될 면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 플라스틱 케이싱을 위해 제 8 도 - 제 10 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접착면의 끝부분 가까이의 접착제의 폭이나 단위 면적당 접착제의 양은 나머지 부분의 것보다 크다. 따라서 접착제의 양이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와 비교해 적음에도 불구하고 접착면의 끝부분에서 뛰어난 접착강도와 우수한 외관을 갖는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한다.
제 11 도 - 제 19 도는 본 발명의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라스틱 시이트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각면에 벤딩용 규정선으로서의 홈을 갖추고 있는데, 여기서 한면 이상에서의 홈은 그 홈의 종방향으로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함으로써 포장용 용기를 만드는 경우에, 플라스틱 시이트 벤딩용 규정선을 미리 형성하고 규정선을 따라 시이트를 굽히는 것이 보통이다.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종래의 플라스틱 시이트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한면에 규정선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벤딩될 때 규정선의 폭방향의 구석부분이 시이트 면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시이트를 굽히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규정선의 폭을 넓히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 그러나, 플라스틱 시이트에 규정선을 넓고 깊게 만들기 위해 규정선을 만들려고 고압으로 프레스 다이를 누를 것이 요구된다. 시이트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추가로, 넓은 규정선이 만들어질 때, 플라스틱 시이트는 측면 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소형 상자형 용기가 제조될 때 종방향의 규정선이 횡방향의 규정선을 교차하는 부분에서 시이트에 주름이나 파형이 생길 수도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플라스틱 시이트 (310)는 한면에 홈 (320) 을 갖추고 있고 다른 한면에는 홈 (330) 을 갖추고 있다. 홈 (320) 은 그 종방향으로 깊은 오목부 (321) 과 얕은 오목부(322) 를 포함한다. 홈 (330) 은 홈 (320) 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플라스틱 시이트 (310) 로서 여러 종류의 시이트가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같은 재료의 경질의 플라스틱 시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시이트(310)은 바람직하기로는 약 0.1-1.0mm두께를 갖는다.
홈 (320) 및 (330) 은 재료의 종류와 플라스틱 시이트의 두께에 따라 적당한 치수를 갖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나, 각 홈의 개구 폭이 사용되는 시이트의 두께의 약 0.5-3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 폭이 상기 언급한 값보다 작을 때, 벤딩 특성이 나쁘다. 한편 개구의 폭이 더 클 때에는 홈을 형성하는 순간의 가공성이 나쁘다. 게다가 홈(320) 내의 깊은 오목부 (321) 와 얕은 오목부 (322) 의 길이는 각각 약 0.2 - 2 mm 이어야 한다. 깊은 오목부 (321) 은 플라스틱 시이트 (310) 를 윗면에서부터 아랫면으로 관통해 홈 (330) 과 통하게 하는 관통된 구멍일 수도 있다. 한편으로, 얕은 오목부의 깊이는 홈 (320) 과 시이트 (310) 의 아랫면에서 만들어진 홈 (330) 사이에 적당한 강도를 갖는 연결부분을 만들도록 결정됨이 필요하다. 즉, 얕은 오목부 (322) 의 깊이는 플라스틱 시이트 두께의 0.1-0.8 배 이어야 한다. 그러나, 얕은 오목부의 깊이는 플라스틱 시이트 (310) 의 두께에 따라 '0' 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플라스틱 시이트 (310) 의 양면에 벤딩용 규정선으로서 홈을 만듦으로서, 플라스틱 시이트 (310) 는 제 14 도에 도시된 것처럼, 홈 (320) 의 깊은 오목부는 시이트의 나머지 면에형성된 홈(330)과 통하는 부분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 13 도).
홈 (320) 의 얕은 오목부 (322) (제 15 도) 는 더 얇은 벽부분에서 벤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는 어느 한방향으로 쉼게 벤딩될 수 있으며 버어 (burr) 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6 도).
제17도에서 도시하듯이, 플라스틱 시이트 (310) 는 0 의 깊이를 갖는 얕은 오목부 (322) 및 (332) 그리고 플라스틱 시이트 (310) 의 양면에 교대로 만들어진 깊은 오목부 (321) 및 (331) 을 가질 수도 있다. 게다가, 양면의 깊은 오목부 (321) 및 (331) 는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또한 깊은 오목부 (321) 및 (331) 의 길이는 바뀔수도 있으며 또한 깊은 오목부는 3 단계를 갖는 오목부일 수도 있다.
제 18 도 및 제 19 도는 상기 언급한 구조를 갖는 규정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그 장치는 상방 롤러 (350) 과 하방롤러 (360) 를 포함한다. 상방 롤러 (350) 은 기어휠의 형상을 하며, 여기서 깊은 오목부 형성용 돌출부 (351) 와 얕은 오목부 형성용 오목부 (352) 가 교대로 갖추어져 있고, 돌출부 (351) 의 윗부분에는 V 형상 날부를 가진다. 하방 롤러 (360) 는 뒤집어진 V 형상 날부 또는 뒤집어진 U 형상 날부를 가진다. 상기 언급한 구조를 갖는 롤러 (350) 과 (360) 사이에 플라스틱 시이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제 11 도 및 제 12도에서 도시된 형상의 규정선이 얻어질 수 있다. 롤러 (350) 과 (360) 는 처리능력의 향상을 위해 가열될 수도 있다. 더구나, 양 롤러 (350) 과 (360) 는 제 17 도에서 도시된 홈구조를 갖는 규정선을 얻기 위해 기어 (gear) 휘일 (wheel) 의 형상일 수도 있다.
돌출부와 오목부의 치수, 그리고 양롤러의 날부의 형상과 롤러사이의 갭은 가공될 플라스틱 시이트의 물리적 성질과 벽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있다. 복수의 규정선은 병렬관계로 복수의 날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도시되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0.3 mm 두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시이트가 사용되고 제 18, 19 도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롤러가 폴리프로필렌 시이트에 규정선을 형성하는데 사용되었다. 70 mm 의 지름, 0.15 mm 의 높이 (깊이) 의 차이, 0.5 mm 의 오목부와 돌출부 사이의 길이와 70°의 날부 윗부분 각도를 갖는 상방롤러가 사용되었다. 70mm 의 지름과 윗부분의 각이 70°인 V 형상의 날부 상부각을 갖는 하방롤러가 사용되었다. 양 롤러의 날부 윗 부분 사이의 갭은 0 이었고 양롤러는 5m/분의 속도로 회전했고 폴리프로필렌 시이트는 롤러 사이로 이송되었다. 결과적으로,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도시된 홈 구조를 가지는 규정선이 얻어졌다. 폴리프로필렌시이트는 규정선을 따라 양방향으로 쉽게 벤딩될 수 있었다. 더구나 버어는 발견되지 않았고 접촉감도 우수했다.
이렇게, 진술한 것처럼, 플라스틱 시이트는 그 양쪽 면에 홈을 갖는다. 따라서, 벤딩특성은 개선될 수 있고 버어는 생성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플라스틱 시이트로 만들어진 용기내에 옷감을 넣을 때에도 올이 잡힐 위험이 없다. 또한, 우수한 접촉감을 갖는 벤딩부를 얻을 수 있다.
제 20 도 - 제 27 도는 상자형상의 용기에 형성될 복수의 벤딩용 규정선을 갖는 용이하게 벤딩되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가 선의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규정선의 가장 깊은 부분은 플라스틱 시이트의 나머지 측면과 통하는 상태에 있고, 얕은 오목부의 길이는 얕은 오목부 및/또는 깊은 오목부의 깊이와 규정선의 길이에 따라 변한다.
제 26 도의 사시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자형상의 용기를 생산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함으로써, 복수의 벤딩용 규정선 (430a,430b,430c ...) 이 제 27 도의 전개도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형상으로 타발된 플라스틱 시이트 (420) 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고, 그 플라스틱 시이트는 벤딩용 규정선을 따라 시이트를 벤딩함으로써 상자로 형성된다.
규정선 (430a,430b,430c) 을 플라스틱 시이트 (420) 에 형성할 때, 플라스틱 시이트 (420) 의 벤딩특성은 규정선 (430a,430b,430c) 의 부분에서 시이트의 나머지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조정된다. 나머지 두께의 약간의 변화가 벤딩특성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규정선을 정확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비록 시이트의 나머지 두께가 같다고 해도, 벤딩특성은 규정선, 예를 들면 긴 규정선 (430a) 와 짧은 규정선(430b) 의 길이에 따라 변화된다. 즉, 같은 깊이를 가진 규정선을 형성할 때, 긴 규정선 (430a) 에서 플라스틱 시이트의 벤딩특성은 나빠지거나 짧은 규정선 (430b) 에서의 플라스틱 시이트의 강도가 약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규정선의 길이에 따라 각각의 규정선에 알맞은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이트가 O.1 - 1.Omm정도로 얇기때문에, 각 규정선에 알맞은 깊이를 헝성하는 것이 어렵다.
제 28 도에 도시된 것 처럼, 상자 형상의 용기 (410) 가 제작될 때, 여기서 절단 날부 (450) 와 규정선 날부 (460) 가 하나의 같은 다이 (die)에 형성되어진 톰슨형 날부 (470) 가 사용된다. 복수의 서로 다른 규정선들이 각 규정선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날부를 갖는 다이로 동시에 형성될 때, 만약 각 규정선에 대응하는 각각의 규정선 날부의 높이가 조정되면, 각 규정선 부분에의 가압력이 크게 바뀐다. 따라서 각 규정선의 깊이는 누르는 힘의 상호 영향에 따라 변하고, 규정선 날부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얕은 오목부의 깊이, 즉 얕은 오목부의 플라스틱 시이트의 남은 두께를, 벤딩용 규정선의 길이에 따라 바꿈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남은 두께를 긴 규정선에 대해서는 작게 만들고, 짧은 규정선에 대해서는 크게 만든다. 그렇지 않으면, 얕은 오목부 대 깊은 오목부의 길이의 비율을 바꾼다. 즉, 그 길이의 비를 긴 규정선에 대해서는 작게 만드는 한편, 짧은 규정선에 대해서는 크게 만든다. 이런 구성으로 일정한 벤딩 특성이 규정선 길이에 관계없이 얻어질 수 있다.
추가로, 관통 구멍이 가장 깊은 오목부에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잇점을 제공한다. 톰슨형 다이 (die) 가 동시에 복수의 규정선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때, 단지 날부의 윗부분이 플라스틱 시이트가 놓여진 편평한 테이블과 접촉하도록 만들면 충분하다. 가장 깊은 오목무를 형성하는 날부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는 없다.
제 20도 및 제 21 도에 도시된 것처럼, 벤딩용 규정선 (411) 은 플라스틱 시이트 (410) 에 형성된다. 규정선 (411) 은 규정선의 종방향으로 깊은 오목부 (412) 와 얕은 오목부 (413) 를 갖추고 있다. 규정선 (411) 은 편평한 테이블 (414) 상에 플라스틱 시이트 (410) 를 배치하고 깊은 오목부 (412) 와 얕은 오목부 (413) 에 대응하는 날부분을 포함하는 규정선 날부 (415) 로 시이트 (410) 를 누름으로써 형성된다.
규정선 (411) 의 깊은 오목부 (412) 는 플라스틱 시이트 (410) 가 실질적으로 타발된 상태, 즉 플라스틱 시이트 (410) 가 완전히 타발되거나, 플라스틱 시이트 (410) 가 깊은 오목부에서 매우 얇은 벽두께를 갖고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깊은 오목부 (412) 를 만드는 날부(415) 의 가장자리 (415a) 는 제 22 도에 도시하듯이 타발 날부 (416) 의 가장자리 (416a)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된다.
얕은 오목부(413)의 깊이, 즉 얕은 오목부의 남은 두께는 벤딩용 규정선 (411) 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제 26 도에 도시된 것 처럼 상자 형상의 용기 (410) 가 준비되면, 3 종류의 규정선, 즉 제 27 도에 도시된 것처럼 긴 규정선 (430a), 짧은 규정선 (430b) 그리고 간헐적인 규정선 (430c) 이 형성된다. 이 경우, 얕은 오목부 (413) 의 깊이는 긴 규정선 (430a) 용으로 크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이 부분의 남은 두께는 작게 된다. 한편, 얕은 오목부 (413) 의 두께는 짧은 규정선 (413b) 용으로 작게 만들어지고 이에 따라 이 부분의 남은 두께는 크게 된다.
실시예로서, 0.3 mm 두께의 투명한 폴리프로필렌 시이트가 사용되었다. 100 mm 길이의 규정선과 5 mm 길이의 규정선을 만들기 위해, 제 23 도에 도시된 것처럼 규정선 날부 (415) 가 준비되었고, 여기서 얕은 규정선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415b) 의 길이 (A) 와 깊은 규정선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415c) 의 길이 (B) 는 각각 O.7 mm 로 결정되고, 날부의 윗부분의 각도는 60°이다. 추가로, 얕은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 (415b) 과 깊은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분 (415c) 사이의 높이차는 길이 100 mm 의 규정선에는 0.17 mm 로, 길이 50 mm 의 규정선에는 0.2 mm 로 결정되었다. 100 mm 와 50 mm 의 규정선에서 폴리프로필렌 시이트를 벤딩한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같은 벤딩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규정선의 얕은 오목부의 깊이, 즉 규정선의 얕은 오목부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시이트의 남은 두께 부분을 규정선의 길이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같은 벤딩특성을 규정선의 길이와 관계없이 얻을 수 있다. 자동상자기계의 사용이 용이한 처리와 조립을 위해 가능하고, 탁월한 외관을 갖는 상자형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있어서 얕은 오목부의 길이 (A) 와 깊은 오목부의길이 (B) 는 같은 벤딩특성을 얻기위해 각각 O.7 mm 로 결정된다.
그러나, 길이 (A) 대 길이 (B) 의 비는 규정선 길이에 따라 80 % 내지 20 %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같은 벤딩특성이 규정선 길이에 관계없이 얻어진다.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함으로써 상자형상의 용기를 만들기 위해 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하는데는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용제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대신에, 열용해 접착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열용해 접착제를 사용하는데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용해상태의 열용해 접착제가 플라스틱 시이트에 피복될 때, 플라스틱 시이트는 용해된 열용해 접착제의 열에 의해 변형된다.
플라스틱 시이트의 변형을 제거하기 위해, 용해상태의 열용해 접착제 (H) 를 플라스틱 시이트를 굽힌 후 내측 가장자리 (410a) 및 (410b) 에 피복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후에 플라스틱 시이트의 외측 가장자리 (410c) 와 (410d) 에 겹쳐진다. 이런 방법으로, 눈에 띠는 외측 (410c) 및 (410d) 는 접착제가 있는 내측 가장자리 (410a) 및 (410b) 에 접촉하게 되고, 열용해 접착제의 열로 인해 내측 가장자리 (410a) 및 (410b) 에 곡선이나 파형이 생길지라도 접착제의 온도는 다소 감소된다. 따라서, 그 부분에 열변형을 야기하기가 어렵고, 상자형 용기의 외형을 아름다운 상태로 유지할수있다.
보통,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 같은 재료의 플라스틱 시이트에 열용해 접착제를 가한 직후의 이 접착제의 온도는 80 - 150℃ 범위 내에 있다. 그 온도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연화온도보다 훨씬 높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단계를 취함으로써 뛰어난 접착 특성과 외관을 가진 상자형상의 용기를 얻을 수 있다.
플라스틱 시이트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스티렌 시이트나 이들 재료의 복합 시이트가 폴리프로필렌 시이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여기서 각 규정선이 얕은 오목부와 같은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는 복수의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에서는, 오목부의 가장 깊은 부분은 플라스틱 시이트를 타발함으로써 형성되고, 얕은 오목부 대신 깊은 오목부의 비율은 규정선의 길이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같은 벤딩특성을 규정선 길이에 관계없이 얻을 수 있고, 뛰어난 외관을 갖는 상자형상의 용기를 자동 상자기계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규정선의 가장 깊은 오목부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타발해서 뚫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플라스틱 시이트의 절단과 규정선 형성이 동시에 처리되는 경우에 규정선 형성용 날부와 플라스틱 시이트 절단용 날부의 위치를 맞추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것은 날부 위치의 정확한 조정을 요구치 않는다. 더구나, 갖가지 형태의 규정선 형성용 날부를 준비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벤딩용 플라스틱 시이트를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제 29 도 - 제 33 도는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규정선은 그 종방향으로 배열된 상이한 오목부 또는 절단부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단순 형상의 돌출부와 오목부의 조합으로 형성된 규정선의 경우에, 용이한 벤딩을 얻기 위해 오목부를 깊게 형성하면, 플라스틱 시이트는 부러지기 쉽다. 한편, 오목부를 얕게 형성하면,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고정밀도가 요구된다.
제 29 도 - 제 32 도는 규정선 (520) 이 형성된 플라스틱 시이트 (510) 을 도시한다. 규정선 (520) 은 규정선 (520) 의 종방향으로 서로 다른 종류의 짧은 홈 (531,532,533) 이나 절단부 (534) 의 조합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런 조합을 알맞게 선택함으로써,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플라스틱 시이트 (510) 는 그 두께와 물리적 성질에 따라 유연한 벤딩특성을 갖고, 잘 안깨진다.
규정선 (520) 에는 여러종류의 오목부가 있다. 예를 들면, 큰 폭 (W1) 의 개구를 갖는 얕은 오목부 (531) 및 (533), 작은 폭 (W2) 의 개구를 갖는 깊은 오목부 (532) 및 (534) (관통형의 오목부일 수도 있다)가 있으며, 오목부 (533) 는 오목부의 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글자 W (제 32 도) 형상이 되도록 두 평행 홈을 포함하며, 오목부 (534) 는 복수의 작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도록 세 개의 평행홈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오목부들은 적당한 결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9 도 - 제 31 도에 도시된 규정선들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규정선들은 플라스틱 시이트 (510)면에 형성된 개구를 각각 가지고 있고 개구의 폭 (W1) 이 제 30 도에 도시된 것처럼 넓고 얕은 오목부(531)와, 개구의 폭(W2) 이 제 31 도에 도시된 것처럼 좁고 깊은 개구를 각각 갖고 있는 오목부(532)를 포함한다. 이 오목부(531)와 (532)는 제 29 도에 도시된 것처럼 병렬관계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오목부(531)의 각각이 얕기 때문에, 이 부분의 플라스틱 시이트(510)의 벽두께는 두껍고, 쉽게 깨지지 않는다. 또한, 개구의 폭(W1)이 인접한 오목부(532)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벤딩에 의해 발생하는 뒤틀림에 의한 응력이 큰 폭부분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벤딩되고 또한 깨지기 어렵다. 각각의 오목부(531)의 길이(L1)가 플라스틱 시이트(510)의 두께 (T) 보다 0.5 - 10 배의 범위에 있을 때 또한 플라스틱 시이트가 깨지는 것이 어렵고 벤딩은 쉽다.
그 오목부가 오목부(531)보다 더 좁은 개구의 폭(W2)을 갖기 때문에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함으로써 발생되는 응력은 오목부(531)의 폭 부분에 의하여 흡수되어질 수 있고, 깨어질 가능성이 적다. 또한, 오목부(532)가 깊이 때문에, 쉽게 벤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532)의 깊이(H2)가 플라스틱 시이트(510)의 두께 (T)의 80% 나 그 이상으로 결정되면, 플라스틱 시이트를 벤딩하는 것이 쉽다. 오목부들이 완전히 절단된 부분으로 형성될때, 그것들은 쉽게 더러워진다. 따라서, 오목부가 어떤 절단 부분도 없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0 도 및 제 31 도에서, 규정선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시이트가 화살표 (560) 의 방향으로 규정선을 따라 완전히 접혀지고, 그 후 그 플라스틱 시이트가 원래의 편평한 상태로 복원되었을 때, 오목부 (531) 의 개구의 폭은 제 30 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점선 (5311) 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넓고 얇아진다. 또한, 제 31 도에 도시된 것 처럼, 오목부(532) 의 바닥 부분은 절단되고 점선 (5321) 에 의해 지적된 것처럼 플라스틱 시이트는 변형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시이트를 쉽게 벤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온도 23℃에서 신장될 때의 파열시 100%나 그 이상의 신장율을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적절히 선택할 것이 필요하다. 신장율이 100 % 보다 낮을때 플라스틱 시이트는 시이트가 한번 접혀질 때 규정선에서 쉽게 파열된다. 플라스틱 시이트 (510) 로서, 5 % 나 그 이하의 결정화도 (degree of crystalization) 를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2 도 및 33도에 도시된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를 설명하겠다.
각각의 오목부 (533) 의 개구의 폭 (W1) 은 넓고 오목부 (533) 는 그 단면이 제 33도에 도시된것처럼, 글자 W 형상인 두개의 평행홈으로 형성된다. W형상의 오목부의 가운데 부분의 벽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파열되는 것이 어렵다.
절단부 (534) 의 개구의 폭 (W2) 이 작기 때문에, 절단부 (534) 의 종방향의 끝은, 인접한 오목부 (533) 의 큰 벽두께 부분에 접촉한다.
오목부 (533) 과 절단부 (534) 를 교대로 배열함으로써 규정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절단부 (534) 는 용이한 벤딩을 제공할 수 있고, 오목부(533) 의 중앙 부분은 강화 작용과 내파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조의 규정선이 규정선 날부로 플라스틱 시이트를 누름으로써 형성될 때, 절단부 (534) 에 대응하는 부분은 규정선 날부에 의한 쐐기 효과로 인해 화살표 (571) 방향의 팽창력을 받는다. 한편, 절단부 (534) 에 인접한 오목부 (533) 는 화살표 (제 33 도) 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 부분에서 수축력을 받고, 이에 의해 괭창력과 수축력이 소멸되고, 플라스틱 시이트가 규정선 날부에 의해 강하게 눌러질 때에도 플라스틱 시이트의 파열 가능성은 적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시이트에서, 벤딩용 규정선은 짧은 오목부나 종방향으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절단부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조합된 오목부나 절단부는 상호 보완되고 벤딩의 용이함과 파열의 어려움이 잘 균형을 이룬다.
제 34 도 - 제 36 도는 블랭크 시이트로부터 타발한 플라스틱 시이트 형상의 제품을 분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시이트 형상 제품은 블랭크 시이트로부터 타발되어, 시이트 형상의 제품과 블랭크 시이트 사이의 얇은 연결 부분을 떠나고, 타발된 제품은 블랭크 시이트로부터 그 제품의 일부분을 세우기 위해 곡선 상태의 이송롤러의 둥근면을 따라 이송되고, 그리고 블랭크 시이트로 부터 세워진 제품의 일부분은 이송롤러 바로 다음에 배열된 한쌍의 취득롤러에 의해 고정되고, 이에 의해 타발된 시이트 형상 제품이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종이나 플라스틱 시이트로 만들어진 상자형 용기는 톰슨형 다이에 의해 편평한 시이트 재료를 타발함으로써 (그리고 동시에 벤딩용 규정선을 형성함으로써), 타발된 시이트를 규정선을 따라서 벤딩하고, 가장자리부분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타발 작용이 수행될때, 연결부분(6111) 은 제품 (611) 이 블랭크 시이트 (612) 로 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 36 도의 평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타발 작용의 가공성을 고려해 블랭크 시이트 (612) 와 타발된 제품 (611) 사이에 형성된다.
타발 작업후에, 규정 크기로 잘리어진 많은 수의 블랭크 시이트 (610) 가제 37 도에 도시된 것처럼 쌓여지고, 작업자는 연결부분 (6111) 으로부터 타발된 제품을 분리하기 위해 해머 (640) 로 쌓여진 블랭크 시이트 (612)를 강하게 때린다. 이 경우, 작업자가 해머로 제품 (611) 의 일부분을 때려 이에 의해 결함이 있는 제품이 생산할 위험이 있다. 더구나, 몇 배의 시이트 재료가 있기 때문에 제품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다른 타발 제품의 분리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여기서 블탱크 시이트가 톰슨형 다이에 의해 얇은 연결 부분을 갖는 블랭크 시이트에서 제품이 떠나는 타발 작용을 받으며, 타발된 제품은 나중에 암수 다이의 사용으로 타발에 의해 분리된다. 이 방법은 암수 다이를 요구하고 소규모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다. 추가로 블랭크 시이트로 부터 타발된 제품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내의 암수 다이 내에서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블랭크 시이트 (610) 의 남은 부분 (612) 에서 타발된 제품 (611) 을 분리하는 방법은 제 34 도 - 제 36 도를 참고로 기술한다. 분리 방법에 있어서, 시이트 재료 (610) 는 그 시이트의 나머지 부분 (612) 으로부터 타발된 제품 (611) 의 일부분 (613) 을 세우기 위해 곡선 상태의 이송롤러 (620) 의 표면을 따라 이송되고 시이트의 나머지 부분에서 세워진 제품(611) 의 세워진 부분 (613) 은 이송롤러 (620) 바로 다음에 배열된 취득롤러 (630) 의 쌍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제품 (611) 이 얻어진다.
타발 작용을 받는 시이트 재료는 뒤집어진 U형 형상의 곡선형인 이송롤러 (620) 을 따라 이동된다. 이 경우, 제품 (611) 의 선단부 부분은 연결부분 (6111) 을 갖추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전에 타발된 제품(611)의 일부분(613)은 편평한 형상으로 그것의 탄성회복 능력에 기인해 만곡된 시이트 재료의 나머지 부분 (612) 으로부터 일어서려는 경향이 있다. 이 순간에, 제품 (611) 은 연결부분 (6111) 에 의해 그 시이트 재료의 나머지 부분 (612) 에 연결되어 있다. 취득롤러 (630) 의 쌍들은 부분 (613) 이 일어서는 위치에 배열되었기 때문에, 제품의 부분 (613) 이 잡힌다. 취득롤러 (630) 의 속도가 이송롤러 (620) 의 속도와 같거나 이 보다 빠를 때, 연결부분 (6111) 이 깨지고 제품 (61l) 이 시이트 재료의 나머지 부분 (612) 에서 분리된다. 분리된 제품은 춰득롤러의 앞에 준비된 테이블 (650) 에 떨어진다. 테이블은 분리된 제품을 필요한 위치까지 전송할 수 있는 벨트 운반기일 수도 있다. 시이트 재료의 전송은 집게 롤러 (nip roller) 에 의해 시이트 재료의 나머지 부분을 계속적으로 취함으로써 처리된다. 변경적으로, 시이트 재료는 양롤러 사이에서 시이트 재료의 나머지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해 이송롤러위에 누름 롤러(621)를 배치함으로써 전달된다.
제 34 도 및 제 35 도에 도시된 것처럼, 지름 20 mm 를 갖는 이송롤러(620)와 지름 50mm 를 갖는 상위 취득롤러 (630)와 하위 취득롤러 (630) 는 이송롤러 (620) 와 하위 취득롤러 (630) 사이의 중심거리가 30 mm, 이송롤러 (620) 와 상위 취득롤러 (630) 의 중심거리는 40 mm 가 되도록 배열했다. 이송롤러(620)와 취득롤러(630)는 각각 속도 20 m/분과 25 m/분으로 구동되었다. 각각이 길이 50 mm, 폭 30 mm, 그리고 높이 10 mm 를 갖는 상자용으로 사용되는 압형된 시이트형 제품이 제 36 도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되는 두께 0.2 mm, 폭 300 mm를 갖는 연속적인 비닐 클로라이드 시이트는 연속적인 분리작업을 수행하도록 롤러 사이에 이송되었다. 결과적으로, 제품(611)은 어떤 결함도 없이 시이트 재료(612) 로 부터 잘 분리될 수 있다.
시이트 재료로 부터 압형된 시이트 형상 제품을 분리하는 방법에서, 시이트 재료는 벤딩상태에서 이송룰러의 곡면을 따라 이송되고, 이에 의해 시이트 재료의 나머지 부분으로 부터 제품의 일부분이 일으켜 세워지고, 세워진 시이트 형상 제품의 윗 가장자리는 이송룰러 바로 다음에 배치된 취득롤러 한쌍에 의해 고정되고, 이에 의해 시이트 형상 제품만이 얻어진다. 이렇게 시이트 형상 제품을 제품의 재료와 형상에 관계없이 지그(zig)나 다이(die)를 요구치 않고 시이트 재료로 부터 고속으로 분리할 수 있다. 추가로, 암수 다이에 의해 시이트 형상 제품을 분리하는 종래의 방법에서 행해지는 바와 같이, 주형 짝맞추기 같은 처리작업을 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추가로, 쌓여진 시이트 재료에서 해머로 제품을 분리함으로써 야기되는 결함의 발생위험이 없다. 특히 본 발명의 분리 방법은 경질 비닐 클로라이드 시이트 같은 플라스틱 시이트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

  1. 플라스틱 시이트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있는 규정선으로서의 홈과, 그리고 얕은 오목부의 바닥의 종방향으로 양단에 형성된 0.05 - l mm의 곡률 반경을 갖는 챔퍼부(chamfered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홈의 종방향으로 절단부 또는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용 규정선이 있는 플라스틱 시이트.
KR1019930003661A 1992-03-24 1993-03-11 벤딩용규정선이있는플라스틱시이트 KR100294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66073 1992-03-24
JP4066073A JPH05262345A (ja) 1992-03-24 1992-03-24 プラスチックケース
JP23856192A JP3172891B2 (ja) 1992-09-07 1992-09-07 折り曲げ罫線入り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92-238567 1992-09-07
JP23856792A JP3151579B2 (ja) 1992-09-07 1992-09-07 折り曲げ罫線入り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23857092A JP3172892B2 (ja) 1992-09-07 1992-09-07 折り曲げシート材
JP92-238570 1992-09-07
JP92-238561 1992-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519A KR930019519A (ko) 1993-10-18
KR100294134B1 true KR100294134B1 (ko) 2001-09-17

Family

ID=1330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661A KR100294134B1 (ko) 1992-03-24 1993-03-11 벤딩용규정선이있는플라스틱시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262345A (ko)
KR (1) KR100294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4771B2 (ja) * 2006-09-29 2013-04-17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ケース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519A (ko) 1993-10-18
JPH05262345A (ja) 199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2435A (en) Plastic sheet with a ruled line for bending
US6332488B1 (en)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carton blanks
US6221192B1 (en) Method for and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carton blanks
US5981013A (en) Perforating blade/label perforating
CN1059869C (zh) 容器承载器
WO1997024221A1 (fr) Structure pliee en carton-fibre ondule
JPH0651487B2 (ja) 易開封加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機械
EP1731437A1 (en) Gussetted plastic bag
US3274047A (en) Locally deformed and locally delaminated scores an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11200817B2 (en) Label sheet assembly with improved printer feeding
US5765345A (en) Deep draw package and system for making sam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1096054A1 (en) Integral card and method of making
KR100294134B1 (ko) 벤딩용규정선이있는플라스틱시이트
EP0038918B1 (en) Means for creasing sheets of material while conveying them
CN106536179B (zh) 一种包装
US9701455B2 (en) Paper sleeve package
EP0792212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carton blanks
JP3917070B2 (ja) Ptp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ptpシートの製造装置
JPH0970905A (ja) 段ボール紙の折り曲げ罫線及びその形成装置
JPH0919898A (ja) 易開封性袋製造用の刃傷付与装置および易開封性袋の製造法
JP6109996B1 (ja) 伸び代部を設け、2本のクリーズ罫線の間隔の幅を両面段ボールシートの段山ピッチの間隔と等しい間隔とする打ち抜き方法
WO2003042067A1 (en) Proces of forming a virtual cutting edge on a carton blank, carton blank and dispenser carton comprising the cutting edge
CN210759655U (zh) 一种双坑瓦楞纸板
CN212288931U (zh) 一种防止包装盒的盒盖翘起的折痕结构
JP2843404B2 (ja) シートの打ち抜き加工後の製品分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