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2960B1 - 고공천공장치 - Google Patents

고공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960B1
KR100292960B1 KR1019990019252A KR19990019252A KR100292960B1 KR 100292960 B1 KR100292960 B1 KR 100292960B1 KR 1019990019252 A KR1019990019252 A KR 1019990019252A KR 19990019252 A KR19990019252 A KR 19990019252A KR 100292960 B1 KR100292960 B1 KR 10029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ydraulic cylinder
plate
boom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4950A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남 filed Critical 김동남
Priority to KR101999001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960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4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inclined terrain; having means for stabilizing the vehicle while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은 축대나 암벽을 붕괴의 위험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수보강하여 주는 드릴링작업을 높은 곳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천공기를 탑재시킨 작업대를 크레인의 붐포인트에 체결하여 작업대에 작업자를 탑승시킨 상태 그대로 높이 올려 그 위에서 작업자가 작업대의 위치변화를 임의로 조작하여 가면서 드릴링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게한 고공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공천공장치{SKY PIERCING EQVIPMENT}
본 발명은 구멍을 뚫어주는 천공기(Pierc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붕괴(崩壞)의 위험성이 높은 축대(築臺)나 또는 암벽(岩壁)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으로 철근(鐵筋)과 모르타르(Mortar)를 삽입충진시켜 응고(凝固)되게 하므로서 축대나 암벽이 붕괴되지 않도록 보수보강(補修補强)하여 주는 고공천공장치(高空穿孔裝置)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래된 축대나 경사가 가파른 암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건설장비로는 '드릴링 머신(Drilling Ma-chine)'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드릴링 머신으로는 비교적 축대의 높이가 낮거나 암벽의 아래쪽만을 보수 보강할 수 있도록 불도저(Bulldozer)위에 작업대를 설치하고 이에 모우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릴척에 드릴을 끼워서 작동시키는 천공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축대나 암벽에 뚫어주어야 하는 천공위치의 고저(高低)변화를 한정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즉 불도저위에 설치된 천공기는 드릴의 각노(角盧)를 상향조절하더라도 그 이상의 높이를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이 덤프트럭위에 천공기가 설치된 블도저 자체를 그대로 탑재시켜 이들이 갖는 지상으로 부터의 높이만큼 높은 축대나 암벽에 천공작업을 횡방향으로 트럭을 이동시켜 가면서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축대의 높이가 매우 높거나 암벽의 상층부를 붕괴의 위험성으로부터 보호방지하기 위한 보수보강작업을 실시할때는 부득히 철재파이프로 된 버팀목을 설치하고 그위에 천공기를 고정시켜 축대나 암벽의 구멍을 뚫은후 여기에 철근과 모르타르을 삽입충진시켜 주는 드릴링(Drilling)을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의 저조와 인건비의 상승 및 공기를 길게하므로 인해 시공단가를 높이함과 동시에 사고의 위험성을 항시 수반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낮은 축대나 암벽의 아래쪽으로부터 비교적 높은곳까지도 보수보강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본 발명은 공지한 크레인의 붐포인트(Boompoint)에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상에 유압 모우터로 감속구동하는 구동기어축에 지지대로 설치한 지지판상에 작업대를 전후진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를 그 저면으로 장착한 구성과; 상기의 작업대상에서 레일을 따라 이에 탑재시킨 천공기를 진퇴되게 한 체인을 천공기와 연설시켜 천공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기기의 작동을 작업대에서 조작실시할 수 있게함과 동시에 고공으로 까지 신축자재가 용이한 크레인의 붐에 의해 천공기가 탑재된 작업대를 고공(高空)으로 신장 상승시켜 비교적 축대나 암벽의 높은 곳까지도 드릴링에 의한 보수보강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고공천공장치(苦空穿孔裝置)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내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4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대의 회전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4b)도는 본 발명에 설치한 천공기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4c)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저수평상태의 조절을 보인 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크레인 2-붐(Boom) 3-체결부
4-유압 실린더 5-지지체 5'-보울트
6-힌지 7-승강판 8-작업대
9-지지판 10-지지대 11-유압 실린더
12-천공기 13-레일 14-체인
15,15'-스프로 킷 16-유압탱크 17-운전대
18,18',18'-유압호스 M-유압 모우터 G-감속기어
G'-구동기어 B-기어박스 S-구동기어 축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크레인(1)의 붐(Boom)(2)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붐포인트의 체결부(3)로 유압 실린더(4)가 입설된 지지체(5)를 보울트(5')로 착탈가능토록 체결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4)의 로드(4')상간은 지지체(5)의 상측 모서리에 힌지(6)로 구성한 승강판(7)의 저부로 당접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의 승강판(7)상에는 유압 모터(M)로 구동하는 감속기어(G)와 치합된 구동기어(G')를 구비하는 기어박스(B)와 이 기어박스(B)내의 구동 기어축(S)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정역회동되게 하는 작업대(8)의 저면 지지판(9)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10)를 가지며 상기의 지지판(9)상에는 작업대(8)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11)가 장착되고 또 작업대(8)상에 탑재한 천공기(12)를 천공심도(穿孔深度)에 따라 레일(13)상에서 진퇴되게 한 체인(14)에 연설고정시켜 스프로킷(15)(15')을 따라 전후로 왕복작동되게한 제작동을 작업대(8)상에 구성한 유압탱크(16)의 운전대(17)로 조작하므로서 각각 연결된 유압호스(18)(18')(18')로 흐르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9, 19'는 고정지지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축대나 암벽을 보수보강시켜 주기 위해 천공부위가 비교적 낮은 곳에는 종래의 방법으로 드릴링 작업을 실시하지만 천공기를 탑재한 블도저를 덤프트럭위에 상차시킨 지상으로 부터의 높이 이상의 축대나 암벽의 드릴링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천공기(12)와 유압탱크(16)를 장착설치하고 있는 작업대(8)를 매우 높은 고공으로 까지 올릴 수 있는 크레인(1)의 붐포인트 체결부(3)에 보울트(5')로 체결하여 높은 곳에서 드릴링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고공천공장치는 비교적 고공으로 까지 신장되는 붐(2)에 의해 작업대(8)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유압 탱크(16)에 형성한 각각의 운전대(17)를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작해 가면서 축대나 암벽의 천공위치를 좌우상하로 바꿀수 있는 것인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대(8)의 앞부분을 상하로 변화시킬때는 지지체(5)에 설치한 유압 실린더(4)를 작동시키면 로드(4')의 신축에 의해 지지체(5)에 힌지(6)로 구성한 승강판(7)이 승강되므로 인해 기어박스(B)의 지지대(10)와 지지판(9)으로 설치된 작업대(8)를 상하로 작동되는 것이며 또 작업대(8)의 전방향을 좌우 일정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유압모터(M)를 작동시키면 구동하는 감속기어(G)와 치합하고 있는 구동기어(G')의 회동에 의해 작업대(1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대(8)를 보다 앞방향으로 밀어내거나 반대로 후진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작업대(8)의 저부로 구성한 유압 실린더(11)에 의해 용이하게 해결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천공기(12)에 의한 천공심도의 조절은 천공기(12)의 저부에서 전후 스크로킷(15)(15')으로 왕복작동하는 체인(14)에 천공기(12)를 연결하고 있어서 이는 기존의 구성과 동일하게 천공기(12)를 서서히 전진 또는 후진하는 작용을 레일(13)상에서 행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축대가 낮거나 암벽의 아래쪽은 물론 높은 곳까지도 축대나 암벽을 붕괴의 위험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수보강하여 주기 위한 천공기에 의한 드릴링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천공기를 탑재한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고공으로 올릴 수 있는 크레인 붐 포인트에 상기의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천공위치의 변화에 따라 자유자재로 작업대를 작업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능률의 향상과 안전성을 기함은 물론 공기 단축에 따른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와 안전성을 매우 높이는 등의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공지한 크레인(1)의 붐(2)을 이용하는 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 포인트의 체결부(3)에 유압 실린더(4)가 입설된 지지체(5)를 보울트(5')로 착탈 가능토록 체결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4)의 로드(4')상단은 지지체(5)의 상측 모서리에 힌지(6)로 구성한 승강판(7)의 저부로 당접시키는 한편 상기 승강판(7)상에는 유압 모터(M)로 구동하는 감속기어(G)와 치합된 구동기어(G')를 갖는 기어박스(B)와; 이 기어박스(B)내의 구동 기어축(S)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정역회동되게 하는 작업대(8)의 저면 지지판(9)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10)를 가지며, 상기의 지지판(9)상에는 작업대(8)를 전후진 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11)가 장착되고 또 작업대(8)의 저면에는 이에 탑재시킨 천공기(12)가 레일(13)을 따라 전후진되게 한 체인(14)이 스프로킷(15)(15')에 의해 왕복작동되게 한 구성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고공천공장치.
KR1019990019252A 1999-05-27 1999-05-27 고공천공장치 KR10029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252A KR100292960B1 (ko) 1999-05-27 1999-05-27 고공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252A KR100292960B1 (ko) 1999-05-27 1999-05-27 고공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50A KR19990064950A (ko) 1999-08-05
KR100292960B1 true KR100292960B1 (ko) 2001-06-15

Family

ID=3752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252A KR100292960B1 (ko) 1999-05-27 1999-05-27 고공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84A (ko) * 2002-08-26 2004-03-05 주식회사 동양굴착산업 리다 회동이 자유로운 드리프터 보링기
KR20040019182A (ko) * 2002-08-26 2004-03-05 주식회사 동양굴착산업 굴착기의 브레이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5033A (zh) * 2016-08-24 2017-01-18 浙江宏泰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设望远镜的升降隔震止脱式建筑检测用打孔机
CN106761397B (zh) * 2017-01-05 2019-01-04 河北国峰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钻井设备
CN109736703A (zh) * 2019-02-21 2019-05-10 代晓劲 一种隧道打孔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184A (ko) * 2002-08-26 2004-03-05 주식회사 동양굴착산업 리다 회동이 자유로운 드리프터 보링기
KR20040019182A (ko) * 2002-08-26 2004-03-05 주식회사 동양굴착산업 굴착기의 브레이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950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5343A (en) Rotary drilling machine
AU701321B2 (en) Displaceable work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boom
CN107288171B (zh) 钻撑一体式竖井成孔装置
CN210975812U (zh) 一种水下桩体切割装置
KR20120053396A (ko) 2중 마스트 다각도 시추기
US20060032644A1 (en) Soil work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567674A (zh) 煤矿井下履带式高转速螺旋钻进钻机
KR100292960B1 (ko) 고공천공장치
JP4315842B2 (ja) ロックボルト打設機
RU53317U1 (ru) Траншейный экскаватор для вскрытия и подкоп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188182Y1 (ko) 고공천공장치
CN108202162B (zh) 一种柔性多孔钻孔机及对支撑梁的切割方法
JP2797244B2 (ja) 立坑掘削装置及び、立坑の構築方法
CN210151543U (zh) 一种用于道路修补的道路铲除装置
CN211474150U (zh) 一种多功能隧道掘进支护机
JP5851774B2 (ja) フィードストロークを変更可能な低空頭用掘削装置
JP4230231B2 (ja) 水中連続コア削孔工法
KR100481135B1 (ko) 강관 말뚝 내부 토사 제거 장치
CN210152551U (zh) 回旋钻机
CN215392651U (zh) 一种便于加工自动化锚杆机的转接板的加工装置
CN217233417U (zh) 振动加压式旋挖钻机
CN220226736U (zh) 龙门三臂钻锚系统
JP3844166B2 (ja) 法面さく孔機及び法面さく孔方法
CN215925975U (zh) 液压扩张式软基处理装置
CN213980633U (zh) 一种用于水库除险加固工程的定向爆破施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