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697B1 -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 Google Patents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697B1
KR100291697B1 KR1019990008693A KR19990008693A KR100291697B1 KR 100291697 B1 KR100291697 B1 KR 100291697B1 KR 1019990008693 A KR1019990008693 A KR 1019990008693A KR 19990008693 A KR19990008693 A KR 19990008693A KR 100291697 B1 KR100291697 B1 KR 100291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xed
fishing
protruding end
fis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459A (ko
Inventor
박보국
Original Assignee
박보국
주식회사은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국, 주식회사은성사 filed Critical 박보국
Priority to KR101999000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6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459A/ko
Priority to JP29061199A priority patent/JP332883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통(中桶)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방형의 구멍 14가 형성된 후방경사부 10의 일측에는 낚시대에고정되기 위한 고정단 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경사부와 연결된 전방경사부 13의 하단에는 낚시대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낚시대의 상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돌출단 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경사부 10의 구멍 14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후방경사부 10과 일부분이 연결되며 상기 낚시줄 유도 링 5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줄 유도링 고정판 12가 상기 후방경사부의 하방에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 15가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돌출단 보호수단이 상기 돌출단의 전방에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FISHLINE INTRODUCTION GUIDE FOR OVAL FISHROD}
본 발명은 중통(中桶)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도입 가이드가 고정되는 해당 낚시대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할 때 도입 가이드의 유동 현상이 소멸되며 낚시줄의 마모현상 감소, 낚시줄 유도링의 마모현상 감소 및 원투성의 향상 등을 꾀할 수 있는 낙시줄 도입 가이드를 제공한다.
중통 낚시대는, 도 5a, 5b와 같이 릴 200으로부더 리와인딩된 낚시줄(a 또는b)이 낚시대 100의 안으로 통과하도록 된 낚시대를 말하는데 이때 낚시줄이 낚시대안으로 진입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낚시줄 도입 가이드이다.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낚시줄 도입 가이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세라믹 등으로 재료가 선택되고 그 형태는 주로 ''형태 혹은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판재를 프레스로 절곡하여서 제작되고 낚시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i)이 몸체와 전후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릴 쪽을 향하고 있는 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고 그 경사면의 중앙에는 세라믹으로 된 낚시줄 유도링(본 발명의 낚시줄 유도링 510과 거의 동일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i)은 통상의 적절한 고정수단에의해 낚시대 100에 고정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는, 판재를 프레스로 절곡한 타입이 아니고 저면만이 개방된 입체형상을 띠고 있는데 이 역시 낚시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ii)이 몸체와 전후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릴 쪽을 향하고 있는 면은 경사를 이루고 있고 그경사면의 중앙에는 세라믹으로 된 낚시줄 유도링(본 발명의 낚시줄 유도링 510과 거의 동일함)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ii)은 통상의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낚시대 100에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가이드들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가이드의 고정단(i 또는 ii)을 낚시대 100에 견고히 고정시킨 것이기 때문에 낚시대 100이 휨응력을 받았을 때양쪽의 고정단 사이에는 완만한 곡선이 유지되지 않고 직선을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낚시대 100에 하중이 걸리면 낚시대 100은 원만하게 휘어져서 라운딩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의 양쪽 고정단은 낚시대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고 특히 전후의 고정단과 몸체는 일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결국가이드는 낚시대 100이 원만하게 라운딩되려고 하는 작용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가 고정되어 있는 부분은 집중적으로 힘이 가해져서 부러질 염려가 있는 것이다. 더욱이 낚시대 100에는 낚시줄 유도링 500이 삽입고정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의 상측에 가이드가 위치하기 때문에(혹은 상기 구멍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 가이드가 위치하기 때문에) 큰 하중을 받았을 때 낚시대 전체가 원만한 라운딩을 이루지 못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가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 파손될 우려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는 결함이 초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낚시대 100의 라운딩 작용(하중이 가해질때)과 일직선으로 복귀(하중이 제거되어 직선으로 복귀)되는 작용이 되풀이 되면 가이드의 고정단이 전후 방향으로 밀렸다가 당겨지는 작용이 반복됨으로서 가이드전후의 고정단을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수단이 헐거워져서 가이드가 유동하게 된다.따라서 원투시 또는 릴링시 낚시줄이 낚시줄 유도링에 충격을 가하면서 마찰되기 때문에 가이드 전체를 통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낚시줄의 마모현상이 심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원투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가 유동되면 낚시줄의 풀림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에 원투거리가 짧아지는 문제도 예상되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전후의 고정단이 낚시대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서 하중이 걸렸을 때 낚시대 전체가 원만하게 라운딩되지 못하기 때문에 어신전달작용이 불량한 단점도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가이드들은 릴 200으로부더 풀려나온 낚시줄 a 또는 b가상기 낚시줄 유도링(본 발명의 낚시줄 유도링 510과 거의 유사함)을 통과하여 낚시대 100 안으로 진입될 때(도 5a, 5b 참조) 릴 200의 스풀 어셈브리의 위치에 따라도 4와 같이 너클파트(K1, K2)가 발생하제 된다. 즉, 도 5a는 릴 200의 스풀 어셈브리의 정지상태에 따라 낚시줄 a가 낚시대 100과 최대의 각도로 벌어져 있는 상태이고, 도 5b는 낚시줄 b가 낚시대 100과 최저의 각도로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 다시말해서, 종래의 가이드는 낚시줄을 와인딩할 때 또는 리와인딩할 때 상기 가이드의 낚시줄 유도링 510과 접촉되는 낚시줄이 a 상태 또는 b 상태 또는 a와 b의 중간상태에 있게 됨으로서 낚시줄에는 너클파트 K1, K2가 극히 빈번히 반복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적인 단점은 가이드의 전후고정단이 낚시대 100에 동시에 고정되는 타입에서는 해결될 수가 없다. 즉, 릴 200을 통해 낚시줄을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할 때 낚시줄은 낚시대로부터 각도변화를 되풀이하면서 와인딩되거나 또는 리와인딩될 수밖에 없는데, 이때 낚시줄과 접촉되는 낚시줄 유도링의 원주거리 전체에서는 상기와 같은 너클파트가 존재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종래의 가이드는 낚시줄이 와인딩되거나 혹은 리와인딩될 때 낚시줄 유도링 510과 낚시줄이 과다히 마모가 되는 폐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원투성이저하되는 것은 당연하고 와인딩을 할 때 릴 200에 무리가 가는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사용할 때 낚시대에 큰 하중이 걸려도 낚시대가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고정수단이 헐거워지는 현상이 없어유동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낚시줄과 낚시줄 유도링이 과다히 마모되지 않으며 원투성과 리와인딩 작용이 뛰어난 등의 특징을 가지는 낚시줄 유도 가이드를 제공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장방형의 구멍 14가 형성된 후방경사부 10의 일측에는 낚시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 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경사부와 연결된 전방경사부 13의 하단에는 낚시대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낚시대의 상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돌출단 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경사부 10의 구멍 14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후방경사부 10과 일부분이 연결되며 상기낚시줄 유도링 5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줄 유도링 고정판 12가 상기 후방경사부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 15가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돌출단 보호수단이 상기 돌출단의 전방에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 1a, 1b, 1c는 본 발명의 돌출단 보호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줄 도입 가이드만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줄 도입 가이드와 낚시줄과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참고도.
도 5a, 5b는 릴의 위치변화에 따른 낚시줄의 각도변화를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줄 도입 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후방경사부 11:고정단
12:낚시줄유도링고정판 13:전방경사부
14:구멍 15:돌출단
20:링부 21:돌출부
30,40,50:고정다리 100,101:낚시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에 끼워지는 링부 2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t)을 가지는 돌출부 2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반원형의 형태를 가진 채 낚시대의 상측에 얹혀져서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다리 3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돌출부 21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의 상측에 얹혀져서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다리 4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돌출부 21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의 상측에 얹혀져서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다리 5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돌출부 21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도 6은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가 생략된 것으로 이것은, 장방형의 구멍 14가 형성된 후방경사부 10의 일측에는 낚시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 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경사부와 연결된 전방경사부 13의 하단에는 낚시대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낚시대의 상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돌출단 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 15가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돌출단 보호수단이 상기 돌출단의 전방에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는 중통(中桶)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이며, 여기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에 끼워지는 링부 2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t1)을 가지는 돌출부 21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후방경사부 10의 우측끝에 하나의 고정단 11이 형성되어 있고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가 상기 고정단 11의 좌측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는 후방경사부 10의 구멍 14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후방경사부 10에 프레스작업을 가하여 펀칭을 함에 따라 후방경사부 10에는 구멍 14가 형성되고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는 당연히 형성된다. 그리고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에는 낚시줄유도링 500이 끼워져 고정된다.
후방경사부 10의 좌측에는 전방경사부 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경사부 13의 하단에는 꺽여있는 돌출단 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경사부 13의 중간 부분에는 역시 낚시줄유도링 510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낚시대 100에 고정시킨 상태는 도 2와 같은데, 고정단 11은 통상의 고정수단 300에 의해 고정되고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는 낚시대 100의 윗면에 접촉된 채 고정된다. 이는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돌출단 15는 낚시대 100의 상면과 몇 밀리미터 정도의 간격(t)을 유지하도록 고정되고(도 3 참조) 돌출단 15는 상기 돌출단보호수단의 돌출부 21 안으로 삽입된다(도 4 참조). 이때 돌출단 15는 상기 돌출부 21 안에서 접촉되는 부분이 없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돌출부 21 안으로 삽입된채 은폐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단 15는 상기 돌출부 21의 안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으며 좌우로도 약간은 유동이 될 수 있다. 상기 돌출단보호수단은 낚시대 100에 끼워지는 릴부 20과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21로 형성된 것인데 낚시대 10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질 수도 있고 접착제로 접착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a, 1b, 1c의 경우는 고정단 11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300과 동일한 수단으로 고정다리들(30,40,50)을 낚시대 100에 고정시키는 것인 바, 이는 다른 예로도 응용될 수 있지만 돌출부의 구성이 병행된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주에서 벗어난 것이라 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 릴 22으로부터 리와인딩된 낚시줄이 낚시줄유도링 510과 낚시줄유도링 500을 통과하여 낚시대 100의 안으로 통과되어 사용되는데, 이때 낚시줄은 와인딩또는 리와인딩될 때 낚시줄유도링 510을 기준으로 볼 때 a 또는 b의 상태가 된다.물론 낚시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도 a 또는 b의 상태 또는 a 와 b의 상태가 아닌중간상태 정도에 위치하고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는 이미 상술하였기 때문에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낚시줄유도링 510과 접촉되는 부분의 낚시줄에는 너클파트 (K1, K2)가 필히 수반되며 낚시줄이 a 또는 b의 상태가 아닌 a와 b의 중간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각기 너클파트는 발생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문제가 노출되었는데 그러나 본 발명의 가이드는 하나의 고정단 11이 낚시대에 고정되고 돌출단 15는 낚시대 100의 상면으로부터 간격(t)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유동성이 있어서 낚시줄이 가이드에 가하는 하중을 탄력있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의 너클파트는 거의 소멸되는 특징이 있다. 다시말해서, 낚시줄이 와인딩 또는 리와인딩될 때 발생되는 너클파트는 본 발명의 가이드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좌우로도 약간씩 유동하기 때문에 너클파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가이드는 낚시줄이 a 또는 b의 상태에서 낚시줄유도링 510에 접촉될 때 너클파트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면서 낚시줄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여주는 큰 특징이대두된다. 그러므로 낚시줄의 과다마모 방지는 몰론 낚시줄과의 간섭작용으로 인해가이드를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수단이 느슨해지는 예가 소멸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다수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는 낚시줄유도링고정판 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낚시줄유도링고정판에는 낚시줄유도링 500이 삽입고정되어 낚시대 100에 견고히 고정되기 때문에 측면으로부터 어떠한 충격을 받아도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이드는 하나의 고정단 11만 낚시대에 고정되기 때문에 낚시대에 큰 하중이 걸려서 심하게 휠 경우 돌출단 15는 낚시대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낚시대가 휘는 작용에 전혀 방해를 하지 않는 큰 특징이 있다. 즉, 낚시대가 어떤 방향으로 휘어도 본 발명의 가이드는 휨작용에 아무런 지장이 초래되지않아 낚시대가 파손되는 위험이 소멸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낚시줄유도링고정판이생략된 제품에 해당되는데, 이 경우에도 돌출단은 낚시대의 상면과 간격(t1)을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되며 돌출단보호수단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돌출단보호수단은 생략되어도 상기한 작용에는 전혀 지장이 초래되지 않지만 돌출단보호수단이 없을 경우 어떠한 외부의 작용에 의해 후방경사부가 위쪽으로 심하게 제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단만이 낚시대에 고정되고 나머지 한쪽은 낚시대에 접촉되거나 고정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낚시줄유도링고정판이 전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가이드의 유동현상이나 고정수단의 느슨함, 낚시줄의 과다마모, 리와인딩 또는 와인딩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현상, 특히 낚시대가휘었을때 파손될 우려성, 원투성 및 릴링이 원만치 못한 현상 등 종래의 가이드로부터 발생되었던 단점과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릴 쪽을 향하고 있는 낚시줄 유도링 510과 낚시대 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낚시줄 유도링 500 사이로 릴에 권취되어 있는 낚시줄을 낚시대 안으로 도입시켜 주기 위한 통상의 중통 낚시대의 낚시줄 도입 가이드에 있어서,
    장방형의 구멍 14가 형성된 후방경사부 10의 일측에는 낚시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 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경사부와 연결된 전방경사부 13의 하단에는 낚시대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낚시대의 상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돌출단 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경사부 10의 구멍 14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진 채 상기 후방경사부 10과 일부분이 연결되며 상기 낚시줄 유도링 5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낚시줄 유도링 고정판 12가 상기 후방경사부의 하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단 15가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돌출단 보호수단을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中桶) 낚시대용낚시줄 도입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에 끼워지는 링부 20과 상기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t)을 가지는 돌출부 21이 일체로 형성된 것.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반원형의 형태를 가진 채 낚시대의상측에 얹혀져서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다리 3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돌출부 21a가 일체로 형성된 것.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의 상측에 얹혀져서 통상의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다리 4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있는 공간을 가지는 돌출부 21b가 일체로 형성된 것.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의 상측에 얹혀져서 통상의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다리 50과 상기 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돌출부 21c가 일체로 형성된 것.
  6. 장방형의 구멍 14가 형성된 후방경사부 10의 일측에는 낚시대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단 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경사부와 연결된 전방경사부 13의 하단에는 낚시대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낚시대의 상면과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돌출단 15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 15가 외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상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돌출단 보호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통(中桶)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 보호수단은 낚시대에 끼워지는 링부 20과 상기돌출단이 상하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t1)을 가지는 돌출부 21이 일체로 형성된 것.
KR1019990008693A 1999-03-12 1999-03-12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KR10029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693A KR100291697B1 (ko) 1999-03-12 1999-03-12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JP29061199A JP3328836B2 (ja) 1999-03-12 1999-10-13 中通式釣り竿用の釣り糸導入ガイ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693A KR100291697B1 (ko) 1999-03-12 1999-03-12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459A KR19990046459A (ko) 1999-07-05
KR100291697B1 true KR100291697B1 (ko) 2001-05-15

Family

ID=1957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693A KR100291697B1 (ko) 1999-03-12 1999-03-12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28836B2 (ko)
KR (1) KR100291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829A (ja) * 2006-02-28 2007-09-13 Daiwa Seiko Inc 中通し釣竿
JP2008035770A (ja) * 2006-08-04 2008-02-21 Shimano Inc 中通し竿
JP5944273B2 (ja) * 2012-08-31 2016-07-0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28836B2 (ja) 2002-09-30
JP2000262186A (ja) 2000-09-26
KR19990046459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6510T5 (es) Sonda láser direccional
EP0940362A3 (en) Wire transfer assembly
KR100291697B1 (ko) 중통 낚시대용 낚시줄 도입 가이드
US5901492A (en) Top guide for fishing rod
US5802759A (en) Line guide for a fishing rod
ATE322160T1 (de) Spule für angelwinde
EP0456262A1 (en) Fishline guide mechanism in spinning reel for fishing
KR100356027B1 (ko) 줄관통형낚싯대용낚시줄도입가이드
JP2579388B2 (ja) 中通し釣竿
BR9506687A (pt) Anzol
US5406736A (en) Internal fishline type fishing rod having fishline guider
AU708342B2 (en) Top guide for fishing rod
KR10025772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US4893429A (en) Top guide for a fishing rod
JP2844527B2 (ja) 釣竿用導糸環
KR19990044812A (ko) 가이드링
JP4046277B2 (ja) 引き出しユニット
JPH046726Y2 (ko)
KR100211300B1 (ko) 중통 대
JP4094488B2 (ja) 釣竿用トップカバー
KR200261023Y1 (ko) 릴낚시대용 낚시줄의 안내대
JP3284100B2 (ja) 光ファイバ融着部保護材ホルダ
KR100361350B1 (ko) 중통낚시대의톱가이드및중통낚시대
JP2004105006A (ja) 中通し竿
DE69304600T2 (de) Kombination einer Drahtrolle und eines Hilfstücks and dieser Drahtro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