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315B1 -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 Google Patents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315B1
KR100291315B1 KR1019940006392A KR19940006392A KR100291315B1 KR 100291315 B1 KR100291315 B1 KR 100291315B1 KR 1019940006392 A KR1019940006392 A KR 1019940006392A KR 19940006392 A KR19940006392 A KR 19940006392A KR 100291315 B1 KR100291315 B1 KR 10029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uid
switching unit
cylinder valv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꼬기 가즈오
Original Assignee
하루또 이께가미
테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루또 이께가미, 테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루또 이께가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2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oscillating-vane or curved-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0/00Safety arrangements for fluid actuator systems; Applications of safety devices in fluid actuator systems; Emergency measures for fluid actuator systems
    • F15B20/004Fluid pressure supply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밸브는 공기압력의 하강과 같은 어떤 이상이 발생할 경우 자동적으로 닫힌다.
설치된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는 저장탱크(10)의 밖으로 흐르는 공기를 공기압력이 감소할 때 제2공급라인(3)으로 흐르게 한다. 이로써,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는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를 닫히게 하는 닫힘동작을 한다. 그리고, 또한 설치된 제2공기동작 셀렉터밸브(9)는 제1공급라인(2)의 밖으로 흐르는 공기를 공기압력이 감소할 때 대기로 방출한다.

Description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중요부분을 도시한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중요부분을 도시한 예시도.
제4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시스템을 도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 1b : 제1포트(제1유체포트)
1c : 제2포트(제2유체포트) 1d : 회전축
1e : 날개판 2 : 제1공급라인(제1도관수단)
3 : 제2공급라인(제2도관수단)
4 : 구동공기 압력소오스(유체 공급소오스)
5 : 전자기 셀렉터밸브(제1셀렉터밸브) 7 : 제3공급라인
8 : 제1공기작동 셀렉터밸브(제2셀렉터밸브)
9 :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제3셀렉터밸브)
10 : 저장탱크(저장수단)
본 발명은 열린위치에 있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이중작동, 공기동작 회전액추에이터)로 하여금 닫힘동작을 하게 하여, 어떠한 위험을 방지하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밸브용의 자동스위칭유니트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실린더밸브 자동유니트(1)는 전자기 셀렉터밸브(5)에 의해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로부터 실린더밸브 자동유니트에 이송되는 공기의 흐름으로써 열림 또는 닫힘동작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열거나 닫는다.
앞에서 언급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는 상부 및 하부측면에서 폐쇄된 실린더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 내부주변벽의 일부에 조절판(1a)이 중심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주변벽의 일부에, 돌출하여 나란히 놓인, 구멍이 뚫린 관통홀로 된 제1포트(1b)와 제2포트(1c)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조절판(1a)은 이들 제1포트(1b)와 제2포트(1c)사이에 보이지 않게 장착된다.
제1포트(1b)에 공급작용을 하는 제1공급라인(2)를 연결시키고, 제2포트(1c)에 같은 공급작용을 하는 제2공급라인(3)을 또한 연결시킨다. 이러한 제1공급라인(2)과 제2공급라인(3)은 전자기 셀렉터밸브(5)에 의해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 연결되어 있다.
또 한편으로는, 회전하는 회전축(1d)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중심에서 수직으로 제공되어 이동한다. 아래쪽으로 그리고 밖으로 향하여 매달린 회전축(1d)의 하부에 가스를 저장하는 실린더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연결시킨다. 조절판(1a)과 접촉상태에 있는 날개판(vane)(1e)은 회전축(1d)위에 한 몸체처럼 부착되어있다.
이러한 날개판(1e)은 공기가 제1포트(1b)로부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흐를 경우, 열리게하기 위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270도 회전한다. 이로써, 조절판(1a)과 날개판(1e)사이에 공기는 제2포트(1c)에서 제2공급라인(3)으로 방출되고 회전축(1d)은 실린더밸브를 열기 위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보기:제4도의 화살표).
같은 날개판(1e)은 공기가 제2포트(1c)로부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흐를 때 닫히게하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270도 역으로 회전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조절판(1a)과 날개판(1e)사이에 공기는 제1포트(1b)에서 제1공급라인(2)으로 방출되고 회전축(1d)은 실린더밸브를 닫기 위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앞에서 언급한 전자기 셀렉터밸브(5)는 실린더밸브가 열릴 경우, 솔레노이드(5a)의 여자(勵磁)작용을 근거로 하여 흐름경로를 대체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나온 공기는 선택적으로 제1공급라인(2)으로 안내되고 제2공급라인(3)에 안내된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같은 전자기 셀렉터밸브(5)는 실린더밸브가 닫힐때 압축상태에서 스프링(5b)의 탄성바이어스작용을 근거로 하여 흐름경로를 역으로 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나온 공기는 선택적으로 제2공급라인(3)으로 안내되고 제1공급라인(2)에 안내된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실린더밸브를 열기 위하여, 공기가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제1공급라인(2)까지 안내되도록 전자기 셀렉터밸브(5)의 솔레노이드(5a)는 제4도의 상부방향으로 그 흐름경로를 대체하기 위해 전압이 가해진다.
그러면, 공기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 전자기 셀렉터밸브(5), 제1공급라인(2) 및 제1포트(1b)에 의해 차례차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로써, 제4도에 도시한 날개판(1e)을 열기 위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270도 회전된다.
날개판(1e)이 열리기 위하여 회전하고 나서, 실린더밸브가 열리고 날개판(1e)과 조절판(1a)사이에 공기는 제2포트(1c)에서 제2공급라인(3)으로 방출되며, 그런다음 공기는 전자기 셀렉터밸브(5)에서 대기로 방출된다.
실린더밸브를 닫기 위하여, 공기가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제2공급라인(3)까지 안내되도록 솔레노이드(5a)는 제4도에 도시한 위치에 전자기셀렉터(5)까지 그 흐름경로를 귀환시키기 위해 전압이 가해진다.
그러면, 공기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 전자기 셀렉터밸브(5), 제2공급라인(3) 및 제2포트(1c)에 의해 차례차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로써, 날개판(1e)를 닫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전된다.
날개판(1e)이 닫히기 위하여 회전하고 나서, 실린더밸브가 닫히고 날개판(1e)과 조절판(1a)사이에 공기는 제1포트(1b)에서 제1공급라인(2)으로 방출되며, 그런다음 공기는 전자기 셀렉터밸브(5)에서 대기로 방출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다른 경우의 열림동작 및 닫힘동작에 있어서, 즉, 구동공기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에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공지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경우에,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구성되었으므로 구동공기는 열림동작 및 닫힘동작의 어떤 경우에도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구동공기라인의 절단과 같은 어떤 이상이 실린더밸브가 열림에 따라 발생할 때,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는 구동공기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닫힘동작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이상이 발생할 때, 실린더밸브가 중요한 사건에서 특히, 실린더가 화학적 및/또는 인화성가스를 포함할 때 자동적으로 닫히지않을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의 일목적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를 확실하게 닫히도록 함으로써, 심지어 공기압력의 하강과 같은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앞서 언급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는 실린더밸브를 열거나 닫기 위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를 상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제1포트로 흐르게 하여 열림동작을 하도록 하는 제1도관수단,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를 상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제2포트로 흐르게 하여 이로써, 같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로 하여금 닫힘동작을 하도록 하는 제2도관수단,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도관수단 혹은 제2도관수단에 안내하여, 제2도관수단 혹은 제1도관수단으로 안내된 유체를 대기로 방출시키기 위한 제1셀렉터밸브(5), 정상동작에서 유체 공급수단에서 발생한 유체압력을 근거로 하여 제2도관수단과 제1셀렉터밸브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유체압력이 감소할 때 저장수단밖으로 흐르는 유체를 제2유체포트로 흐르게 함으로써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를 닫힘동작을 하게하는 제2셀렉터밸브 및, 정상동작에서 유체공급수단에서 발생한 유체압력을 근거로 하여 제1도관수단과 제1셀렉터밸브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유체압력이 감소할 때 제1유체포트밖으로 흐르는 유체를 대기로 방출시키기 위한 제3셀렉터밸브등으로 이루어진다.
구동공기라인의 절단과 같은 어떤 이상이 실린더밸브가 열림에 따라 발생할 때, 앞서 언급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의 압력이 감소됨으로써 대체로 제2셀렉터밸브와 제3셀렉터밸브는 귀환되며 저장수단안에 저장된 유체는 제2셀렉터밸브에 공급된다.
그러면, 유체는 제2셀렉터밸브에서 제2도관수단으로 흐르고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내부로 흐르게 됨으로써 같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는 닫힘동작을 하고 이로써, 실린더밸브를 닫는다. 유체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닫힘동작으로써 제1유체포트에서 제3셀렉터밸브로 흐르게 되고, 그런 다음 제3셀렉터밸브에서 대기로 유체를 방출한다.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는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를 어떤 이상이 발생할 경우 닫힘동작을 하게하는 제1공기작동 셀렉터밸브(8)와, 어떤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제1포트(1b)의 밖으로 흐르는 공기를 대기로 방출하기 위한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9)로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는 상부 및 하부측면에서 폐쇄된 실린더와 실린더의 내부주변벽 일부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 내부주변벽의 일부에 조절판(1a)이 중심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주변벽의 일부에, 제1포트(제1유체포트)(1b)와 제2포트(제2유체포트)(1c)는 구멍이 뚫려지고 돌출하여 나란히 놓인다.이는 관통홀로 되어있다. 앞서 언급한 조절판(1a)은 이들 제1 및 제2포트(1b,1c)사이에 보이지 않게 장착되어 있다.
제1포트(1b)에 공급작용을 하는 제1공급라인(제1도관수단)(2)을 연결시키고, 제2포트(1c)에 같은 공급작용을 하는 제2공급라인(제2도관수단)(3)을 또한 연결시킨다. 이러한 제1공급라인(2)과 제2공급라인(3)은 전자기 셀렉터밸브(제1 셀렉터밸브)(5)에 의해 구동공기 압력소오스(유체공급소오스)(4)에 연결되어 있다.
또 한편으로는, 회전하는 회전축(1d)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중심에서 수직으로 제공되어 이동한다. 아래쪽으로 그리고 밖으로 향하여 매달린 회전축(1d)과 하부에 가스를 저장하는 실린더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연결시킨다. 조절판(1a)의 비스듬한 접촉상태에 있는 날개판(vane)(1e)은 회전축(1d)위에 한 몸체처럼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날개판(1e)은 공기(유체)가 제1포트(1b)로부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흐를 경우, 열리게하기 위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270도 회전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조절판(1a)과 날개판(1e) 사이에 공기는 제2포트(1c)에서 제2공급라인(3)으로 방출되고 회전축(1d)은 실린더밸브를 열기 위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보기:제1도의 화살표).
같은 날개판(1e)은 공기가 제2포트(1c)로부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흐르때 닫히게 하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270도 역으로 회전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조절판(1a)과 날개판(1e)사이에 공기를 제1포트(1b)에서 제1공급라인(2)으로 방출하고 회전축(1d)은 실린더밸브를 닫기 위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반대로, 앞에서 언급한 전자기 셀렉터밸브(5)는 실린더밸브가 열릴 때 솔레노이드(5a)의 여자(勵磁)작용을 근거로 하여 흐름경로를 대체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나온 공기는 선택적으로 제1공급라인(2)으로 안내되고 제2공급라인(3)에 안내된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같은 전자기 셀렉터밸브(5)는 실린더밸브가 닫힐 때 압축상태에서 스프링(5b)의 탄성바이어스작용을 근거로 하여 흐름경로를 역으로 귀환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나온 공기는 선택적으로 제2공급라인(3)으로 안내되고 제1공급라인(2)에 안내된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와 전자기 셀렉터밸브(5)를 연결하는 라인(6)을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3공급라인(7)에 연결시키고, 이러한 제3공급라인(7)에 제1공기작동 셀렉터밸브(제2 셀렉터밸브)와,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제3 셀렉터밸브)를 각각 연결시킨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러한 제3공기작동 셀렉터밸브(8)는 제2공급라인(3)의 일부와 연결되고 이는 공기압력이 감소될 경우 압축상태에 있는 스프링(8a)의 탄성바이어스작용을 근거로 하여 그 흐름경로를 귀환시키는 기능을 함으로써, 이하 언급되어질 저장탱크(저장수단)(10)의 밖으로 흐르는 공기를 제2공급라인(3)안으로 흐르게 한다. 이로써,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는 닫힘동작을 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9)는 제1공급라인(2)의 일부와 연결되고 있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발생한 공기압력을 근거로 하여 그 흐름경로를 대체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제1공급라인(2)와 전자기 셀렉터밸브(5)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허용된다.
같은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9)는 공기압력이 감소될 경우 압축상태에 있는 스프링(9a)의 탄성바이어스작용을 근거로 하여 그 흐름경로를 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제1공급라인(2)에 안내된 공기는 대기로 방출된다.
더욱이, 앞서 언급한 라인(6)에 라인(6A)으로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10)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저장탱크(10)는 내부가 중공인 탱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압력이 감소될 경우 제1공기작동 셀렉터밸브에 저장된 공기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게다가, 저장탱크(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라인(6A)에, 검색밸브(11)가 오동작으로 인한 공기압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되어 있다. 라인(6A)에서의 공기압력을 검사하기 위해 압력게이지(12)를 설치한다.
다음,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의 동작을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제1도의 상부방향으로 그 흐름경로를 대체시키기 위하여 전자기 셀렉터밸브(5)의 솔레노이드(5a)를 여자함으로써 만족하게 수행될 것이므로 공기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로부터 제1공급라인(2)으로 안내된다.
그러면, 공기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 전자기 셀렉터밸브(5),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9), 제1공급라인(2) 및 제1포트(1b)에 의해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차례차례 흐르게 된다. 이로써, 제1도에 도시한 날개판(1e)은 열리기 위하여 시계반대 방향으로 270도 회전된다.
날개판(1e)이 열리기 위하여 회전되고 나서, 실린더밸브는 회전축(1d)의 회전으로 열리고 날개판(1e)과 조절판(1a)사이에 공기는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에 의해 제2포트(1c)에서 제2공급라인(3)으로 방출된다. 그런 다음 공기는 전자기 셀렉터밸브(5)에서 대기로 방출된다.
그리고, 실린더밸브가 닫히길 바라는 경우, 이는 전자기 셀렉터밸브(5)의 흐름경로를 스프링(56)의 탄성바이어스 작용을 근거로 한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귀환시키기 위하여 솔레노이드(5a)을 여자시키지 않음으로써 만족하게 수행될 것이므로 공기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제2공급라인(3)으로 안내된다.
그러면, 공기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 전자기 셀렉터밸브(5), 제1 공기작동 셀렉터밸브, 제2공급라인(3) 및 제2포트(1c)에 의해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차례차례 흐르게 한다. 이로써, 도시된 날개판(1e)을 닫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전한다.
날개판(1e)이 닫히기 위하여 회전하고 나서, 실린더밸브는 회전축(1d)의 회전으로 닫히고 날개판(1e)과 조절판(1a)사이에 공기는 제2공기동작 셀렉터밸브(9)에 의해 제1포트(1b)에서 제1공급라인(2)으로 방출된다. 그런 다음 공기는 전자기 셀렉터밸브(5)에서 대기로 방출된다.
이러한 정상동작에서, 제1공기작동 셀렉터밸브(8)와 제2공기작동 셀렉터밸브(9)는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발생한 공기압력을 근거로 하여 제1도의 상부방향에 그 흐름경로를 대체시킨다. 이로써, 제1공급라인(2)과 전자기 셀렉터밸브(5)사이에 공기흐름이 허용되며 제2공급라인(3)과 전자기 셀렉터밸브(5)사이에 공기흐름이 또한 허용된다.
실린더밸브가 열리게 됨에 따라 구동공기라인의 절단과 같은 어떤 이상이 일어날 경우, 이에 반하여, 구동공기 압력소오스(4)에서 발생한 공기압력은 불가피하게 감소되고, 이로써,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와 제2공기동작 셀렉터밸브(9)의 대체된 상태는 공기를 방출한다.
그러면,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와 제2공기동작 셀렉터밸브(9)의 흐름경로는 스프링(8a,9a)의 탄성바이어스작용을 근거로 하여 자동적으로 귀환된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공기는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에 공급된다.
공급된 공기는 제2공급라인(3)에 의해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에서 제2포트(1c)안으로 흐르고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의 내부로 흐르게 한다. 이로써, 날개판(1e)은 닫히기 위하여 시계방향으로 270도 회전하며 실린더밸브는 회전축(1d)의 이러한 회전으로 닫히게 된다.
날개판(1e)이 닫히기 위하여 회전하고 나서, 날개판(1e)과 조절판(1a)사이에 공기를 제1공급라인(2)에 의해 제1포트(1b)에서 제2공기동작 세렉터밸브(9)로 흐르게 하고 그런 다음 제2공기동작 셀렉터밸브(9)에서 대기로 방출한다.
게다가, 실린더밸브가 닫혀있을 경우, 앞서 언급한 안전기는 안정성이 이미 보장되었으므로 동작하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구조에 따라, 제1공기동작 셀렉터밸브(8)와 제2공기동작 셀렉터밸브(9)는 구동공기라인의 절단과 같은 어떤 이상사건이 일어날 경우, 지진이나 그와 같은 것에 의존적인 이른바 이중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기신호의 전력실재에 관계없이 열림상태에서 있는 실린더밸브는 위험을 피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안전하게 닫히게 되어 안전성향상이 기대된다.
공기의 흐름으로서 날개를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를 사용하여 안전기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 공지되었다 하더라도, 제2도 혹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치유니트(1A, 1B)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A)는 제1포트(1b)와 제2포트(1c)를 가진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이들 포트는 그 내부의 중심에 있는 관통홀이며, 회전피니언(1f)은 저널(journal)되어 있다. 다른 부분과 동작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하다.
더욱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B)는 제1포트(1b)와 제2포트(1c)를 가진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이들 포트는 그 내부의 중심에 있는 관통홀이며, 회전피니언(1f)은 저널되어 있다. 제3도에서 오른쪽과 왼쪽으로 미끌어지는 한쌍의 활주판(1g)의 랙(rack)(1h)은 상기 피니언(1f)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수평으로 맞물려 있다. 다른 부분과 동작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하다.
비록 이러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A, 1B)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동작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명백하다.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가 앞서 언급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1, 1A, 1B)와 같은 기능을 하는 한, 앞서 언급한 구조이외에 다른 구조를 가지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가 사용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유체를 사용하는 안전기가 앞서 언급한 실시예에 공지되었다 할지라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비록 질소 혹은 기름압력이 사용되더라도,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 같은 동일한 동작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린더밸브 열림 및 닫힘유니트가 앞서 공지한 실시예에서의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와 같이 공지되었다 할지라도, 자동스위칭유니트가 실린더밸브이외의 다른 밸브를 열고 닫는데 적합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같이, 제2셀렉터밸브와 제3 셀렉터밸브가 이중안전장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때문에,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가 확실하게 닫히고 예를들면, 구동공기라인의 절단과 같은 어떤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안정성에서의 분명한 향상이 안전한 닫힘덕택으로 기대된다는 그러한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실린더밸브를 열거나 닫기 위한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를 상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제1포트로 흐르게 하여 같은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로 하여금 열림동작을 하도록 하는 제1도관수단,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를 닫힘동작을 하는 상기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의 제2포트로 흐르게 하는 제2 도관수단, 유체공급소오스에서 나온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 도관수단 혹은 제2 도관수단으로 흐르게 하여, 제1 도관수단 혹은 제2 도관수단에 안내된 유체를 대기로 방출시키기 위한 제1 셀렉터밸브, 정상동작에서 유체공급수단에서 발생한 유체압력을 근거로 하여 제2 도관수단과, 제1 셀렉터밸브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유체압력이 감소할 때 저장수단밖으로 흐르는 유체를 제2 유체포트로 흐르게하여, 이로써 열림상태에 있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를 닫힘동작을 하게하는 제2 셀렉터밸브 및, 정상동작에서 유체공급수단에서 발생한 유체압력을 근거로 하여 제1 도관수단과 제1 셀렉터밸브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유체압력이 감소할 때 제1 유체포트 밖으로 흐르는 유체를 대기로 방출시키기 위한 제3 셀렉터밸브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KR1019940006392A 1993-04-06 1994-03-29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KR100291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960993A JP3439232B2 (ja) 1993-04-06 1993-04-06 シリンダーバルブ開閉システム
JP79609/1993 1993-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1315B1 true KR100291315B1 (ko) 2001-06-01

Family

ID=1369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392A KR100291315B1 (ko) 1993-04-06 1994-03-29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47285A (ko)
EP (1) EP0619449B1 (ko)
JP (1) JP3439232B2 (ko)
KR (1) KR100291315B1 (ko)
DE (1) DE69414901T2 (ko)
TW (1) TW2645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33B1 (ko) * 2008-11-25 2011-07-14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281B2 (ja) * 1997-12-25 2008-04-02 日本エア・リキード株式会社 シリンダキャビネット
US20120211681A1 (en) * 2011-02-17 2012-08-23 Easytork Automation Corporation Pneumatic actuator air flow control system
US8573558B2 (en) * 2011-02-17 2013-11-05 Easytork Automation Corporation Pneumatic actuator air flow control system
CH708072A1 (it) * 2013-05-17 2014-11-28 Swiss Green Systems Sagl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energia elettrica.
US9546737B1 (en) * 2015-09-09 2017-01-17 James Wang Solenoid valve
WO2021035199A1 (en) 2019-08-22 2021-02-25 Easytork Automation Corporation Pneumatic trip valv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5420A (en) * 1970-10-07 1972-07-11 Balon Corp Valve actuator
US3752041A (en) * 1971-12-06 1973-08-14 Xomox Corp Fail-safe actuator
US4314502A (en) * 1979-01-15 1982-02-09 Isi Fluid Power, Inc. Safety control system for double-acting cylinder
US4412670A (en) * 1979-08-09 1983-11-01 Card Lorin P Fail-safe actuator and hydraulic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4872482A (en) * 1988-06-24 1989-10-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Remotely controlled operator for gas cylinder valve
US5020322A (en) * 1988-11-08 1991-06-04 Sundstrand Corporation Accumulator blow-back hydraulic circuit
US5244004A (en) * 1992-12-02 1993-09-14 The Shafer Valve Company Hydraulic pipeline valve opera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333B1 (ko) * 2008-11-25 2011-07-14 한국가스공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39232B2 (ja) 2003-08-25
DE69414901T2 (de) 2000-02-10
JPH06294409A (ja) 1994-10-21
EP0619449B1 (en) 1998-12-02
EP0619449A2 (en) 1994-10-12
DE69414901D1 (de) 1999-01-14
TW264522B (ko) 1995-12-01
EP0619449A3 (en) 1995-03-22
US5447285A (en) 199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758B1 (ko) 유압회로
US6520206B2 (en) Bi-directional pilot type electromagnetic valves
KR100291315B1 (ko) 실린더밸브 자동스위칭유니트용 안전기
JP5053027B2 (ja) 緊急遮断弁装置
JP2000170707A (ja) 方向切換弁装置
US3752041A (en) Fail-safe actuator
KR970017750A (ko)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기
JP6829560B2 (ja) 緊急遮断弁装置
JP5053028B2 (ja) 緊急遮断弁装置
JP2001263312A (ja) 自動車に設けられた運動させられる部分を液圧式に操作するための装置
JPS62261703A (ja) 安全弁装置
US20040094029A1 (en) Pneumatic actuator circuit
KR200182633Y1 (ko) 유압구동식 버터플라이 밸브의 비상닫힘장치
US3208469A (en) Marine tanker fluid cargo control
KR200224589Y1 (ko) 유압구동식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속도 제어장치
KR970029950A (ko) 가스차단기 및 이에 사용되는 유체압 구동장치
JPH0514833B2 (ko)
JPS5888204A (ja) 緊急時ロツク機構付アクチユエ−タ
KR100302865B1 (ko) 유압모터의구동장치
CN215719138U (zh) 一种气动控制阀门及液体发动机
US4095614A (en) Liquid level control system
JP2000170954A (ja) 流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ゲート弁装置
JPH0799209B2 (ja) 安全弁装置
JP2003184810A (ja) 作業機械における油圧回路
JPH10331813A (ja) 油圧操作系バルブシステム及びパワーショ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