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273B1 - 빠찡꼬기의표시기 - Google Patents

빠찡꼬기의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273B1
KR100291273B1 KR1019930028189A KR930028189A KR100291273B1 KR 100291273 B1 KR100291273 B1 KR 100291273B1 KR 1019930028189 A KR1019930028189 A KR 1019930028189A KR 930028189 A KR930028189 A KR 930028189A KR 100291273 B1 KR100291273 B1 KR 10029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dicator
display device
pattern displa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815A (ko
Inventor
마쓰이가쓰시
Original Assignee
가나자와 요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자와 요쿠,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붓산 filed Critical 가나자와 요쿠
Priority to KR101993002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273B1/ko
Publication of KR95001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273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LED에 의해, 문자, 무늬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볼록렌즈를 개개의 LED에 대응하도록 형성한 커버체를 전방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LED로 부터 발생된 광이 연속한 볼록렌즈에 의해 확대 방출되기 때문에, 구획벽이 소멸하고, 무늬 또는 문자가 명확히 식별된다.

Description

빠찡꼬기의 표시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표시기의 단면도
제 2 도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LED와 볼록렌즈와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3 도는 표시기의 분해 사시도.
제 4 도는 표시기가 적용되는 빠찡꼬기 유기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a~15c : 무늬표시기 40 : 도트 매트릭스 LED
41 : 케이스 42 : 구획벽
43 : 앞면 시일(seal) 44 : 프린트 기판
45 : LED 46 : 접속 핀
47 : 봉인수지(封印樹脂) 50 : 커버
51 : 볼록렌즈
본 발명은, 변동정지 시에 표시되는 문자 또는 무늬의 조합이 미리 정해진 대당첨 무늬의 조합으로 되었을 때 유기자에게 큰 유기가치를 부여하는 빠찡꼬기에 있어서, 매트릭스(matrix)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LED에 의해 문자 또는 무늬를 표시하는 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예를 들어, 빠찡꼬기에 있어서는, 무늬를 변동시키고, 그 변동결과에 따라 단시간에 다량의 입상구슬을 획득하는 찬스를 얻을 수 있는 표시장치나, 변동입상장치에의 입상구슬수 또는 변동입상장치의 반복 개방 횟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표시기로서, 7세그먼트 LED, 도트 매트릭스 LED, LCD(액정표시) 등의 표시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도트 매트릭스 LED에 의한 표시기는,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하나 하나의 LED를 점등하여 문자나 무늬가 표시되기 때문에, 구획벽에 의해 명확하게 간막이가 된 점(点)(도트)의 집합에 의해 문자나 무늬가 표시되었다.
이 때문에, 문자나 무늬가 약간 복잡해지는 경우에는, 어떤 문자 또는 무늬가 표시되었는지를 식별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그 목적은, 표시되는 문자나 무늬가 명료하게 식별될 수 있는 도트 매트릭스 LED 형식의 표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LED에 의해 문자나 무늬를 표시하는 빠찡꼬기의 표시기에 있어서, 개개의 LED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볼록렌즈를 형성한 커버를 전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개개의 LED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볼록렌즈를 형성한 커버를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LED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볼록렌즈에 의해 확대되어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유기자의 위치에서 보면, 구획벽이 소멸하여, 점등하고 있는 LED로부터의 광이 연속하는 선(線)형상으로 보여, 표시되는 무늬 또는 문자가 명료하게 식별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4 도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관한 도트 매트릭스 LED 형식의 표시기가 응용되는 빠찡꼬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제 4 도는 빠찡꼬기의 유기반(遊技盤)(10)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유기반(10)의 유도 레일(11)에 의해 둘러사인 유기영역(12)의 거의 중앙에는, 센터 입상장치(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터 입상장치(13)에는, 제 1 무늬표시장치(14)와 제1 변동입상장치(16)가 하나의 부착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무늬표시장치(14)는 본 발명의 요부(要部)를 구성하는 매트릭스 LED로 이루어진 다수(3개)의 무늬표시기(15a~15c)는 소정 종류(예를 들어, 15종류)의 무늬를 변동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무늬표시기(15a~15c)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하여, 타구가 센터 입상장치(13)의 하방에 설치된 변동작동구(21)에 입상하면, 제1 무늬표시장치(14)의 무늬묘시기(15a~15c)의 변동이 개시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좌측의 무늬표시기(15a)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치한다. 그리고, 정지시의 무늬조합이 미리 정한 무늬조합(본 실시예에서는, 동일 무늬의 조합)이 되었을 때, 대당청 유기상황이 되고, 제1 변동입상장치(16)의 전후 슬라이드판(17)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5.9초) 후방으로 후퇴시켜, 유기영역(12)에서 낙하하는 타구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 제1 변동입상장치(16)에 받아들여진 타구(입상구슬)는 제2 무늬표시장치(22)의 변동작동구(變動作動口)로서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무늬표시장치(14)의 변동중 및 제1 변동입상장치(16)의 구동중에 타구가 변동작동구(21)에 입상했을 때에는, 최초의 4개까지 제1 무늬표시장치(14)를 변동시키는 권리가 기억되고, 그 취지가 센터 입상장치(13)의 하방에 설치된 작동기억표시기(18)에 표시된다.
센터 입상장치(13)에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 대당첨이 되었을 때 당첨 무늬를 표시하는 당첨표시기(19)와, 최상부의 통상의 입상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입상구(20)와 상기 변동작동구(21)에 입상한 입상구슬에 따라 배출되는 경품구슬수는, 다른 입상구 또는 입상장치에 입상한 입상구슬에 따라 배출되는 경품구슬수(예를 들어, 13개)보다도 적게(예를 들어, 6개) 설정되어 있다.
센터 입상장치(13)의 하방에는, 상기한 변동작동구(21)가 배치되고, 그 변동작동구(21)의 하방에 제2 변동입상장치(25)와 제3 변동입상장치(30)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변동입상장치(25)의 좌우에는, 제2 무늬표시장치(22)와 제3 무늬표시장치(27)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무늬표시장치(22)와 제2 변동입상장치(25)가 쌍을 이루고, 제3 무늬표시장치(27)와 제3 변동입상장치(30)가 쌍을 이루는 것이다.
먼저 제2 무늬표시장치(22)가 제2 변동입상장치925)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 무늬표시장치(22)는 다수(3개)의 7세그먼트 LED로 이루어진 무늬표시기(23a~23c)를 포함하고, 제2 변동입상장치925)는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기반(10)의 표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개폐하는 개폐판(26)을 포함한다. 또한, 각 무늬표시기(23a~23c)는 소정 종류(예를 들어, 12종류)의 무늬를 변동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 변동입상장치(16)에 타구가 입상하면, 제2 무늬표시장치(22)의 무늬표시기(23a~23c)의 변동이 개시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좌측의 무늬표시기(23a)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한다. 그리고, 정지시의 무늬 조합이 미리 정한 무늬조합(본 실시예에서는, 0 : 0 : 0 이외의 모든 조합)이 되었을 때, 당첨이 되고, 제2 변동입상장치(25)의 개폐판(26)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5.9초) 전방으로 개방시켜 유기영역(12)에서 낙하하는 타구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 제2 변동입상장치(25)에 받아들여진 타구(입상구슬)는 제3 무늬표시장치(27)의 표시결과를 변동작동구로서 가능한다. 그리고, 제2 무늬표시장치(22)의 변동중 및 제2 변동입상장치(25)의 구동중에 타구가 제1 변동입상장치(16)에 입상했을 때에는, 최초의 4개까지 제2 무늬표시장치(22)를 변동시키는 권리가 기억되고, 그 취지가 하방에 설치된 작동기억표시기(24)에 표시된다.
다음에, 제3 무늬표시장치(27)와 제3 변동입상장치(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3 무늬표시장치(27)는 다수(3개)의 7세그먼트 LED로 이루어진 무늬표시기(28a~28c)를 포함하고, 제3 변동입상장치(30)는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기반(10)의 표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31a, 31b)를 포함한다. 또한, 각 무늬표시기(28a~28c)는 소정 종류(예를 들어, 12종류)의 무늬를 변동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2 변동입상장치(25)에 타구가 입상하면, 제3 무늬표시장치(27)의 무늬표시기(28a~28c)의 변동이 개시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좌측의 무늬표시기(28a)로부터 순차적으로 정지한다. 그리고, 정지시의 무늬 조합이 미리 정한 무늬조합(본 실시예에서는, 0 : 0 : 0 이외의 모든 조합)이 되었을 때, 당첨이 되고, 제3 변동입상장치(30)의 개폐부재(31a, 31b)를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5.9초)이 경과할 때까지 또는 그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으로서 소정 개수(예를 들어, 6개)의 입상구슬이 발생할 때까지 좌우로 개방시켜 유기영역(12)에서 낙하하는 타구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 제3 변동입상장치930)에 받아들여진 타구(입상구슬)는, 하위(下位)의 무늬표시장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입상구슬로서 처리된다. 그리고, 제3 무늬표시장치(27)의 변동중 및 제3 변동입상장치(30)의 구동중에 타구가 제2 변동입상장치(25)에 입상했을 때에는, 최초의 4개까지 제3 무늬표시장치(27)를 변동시키는 권리가 기억되고, 그 취지가 하방에 설치된 작동기억표시기(29)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한 3개의 무늬표시장치(14, 22, 27)중에, 제1 무늬표시장치(14)와 제3 무늬표시장치(27)는 그의 표시결과가 비당첨일 때 약간의 시간간격을 두며, 또한, 당첨일 때 각각 대응하는 변동입상장치(16, 25)의 개방구동이 종료한 직후에 작동기억에 의거하여 다음의 변동동작으로 이행하지만, 제2 무늬표시장치(22)에서는, 비당첨을 불문하고 작동기억에 의거하여 다음의 변동작동으로 이행하기 위한 시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 무늬표시장치(27)의 변동과 그것에 의거하는 제3 변동입상장치(30)의 개방이 4회 행해지는 시간과 거의 같은 시간간격이 설정된다. 또한, 제2 무늬표시장치(22)와 제3 무늬표시장치(27)가 당첨을 표시할 확률은 매우 높지만(1727/1728), 제1 무늬표시장치(14)가 당첨을 표시할 확률은 매우 낮게(예를 들어, 1/235) 설정되어 있다.
이 제1 무늬표시장치(14)의 확률제어는, 예를 들어, 전원투입시로부터 0~234사이에서 시시각각 갱신되는 난수 카운터 중에서 변동작동구(21)에의 타구의 입상시의 값을 읽어내고, 그 값이 미리 정한 값(예를 들어, 0)일 때 당첨이라고 판정하며, 그 시점에서의 무늬표시기(15a~15c)에 표시되는 무늬를 결정하기 위한, 예를 들어, 3개의 무늬 카운터로부터 추출된 값 중에, 하나의 무늬 카운터의 값에 맞은 무늬를 무늬표시기(15a~15c)에 표시한다. 또한, 난수 카운터의 값이 0 이외의 값일 때에는, 비당첨이라고 판정되며, 그 시점에서 추출된 무늬 카운터의 값에 대응하는 무늬가 무늬표시기(15a~15c)에 표시된다.
유기반(10)에는, 상기한 구성 이외에, 통상으 입상구(32a, 32b, 33a, 33b, 34a, 34b)와, 어떤 입상구 또는 입상장치에도 입상하지 않은 타구가 받아들여지는 배출구(35)와, 대당첨 유기상태가 되었을 때 점등 또는 점멸하여 그 취지를 알리는 대당첨 램프(36a, 3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제1 무늬표시장치(14)의 무늬표시기(15a~15c)에는, 본 발명의 요부를 구성하는 표시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그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1개의 무늬표시기(15a)의 단면도이고, 제 2 도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LED(45)와 볼록렌즈(51)와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제 3 도는 1개의 무늬표시기(15a)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무늬표시기(15a)는,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LED(45)를 갖는 도트 매트릭스 LED(40)와,그 도트 매트릭스 LED(4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50)로 구성되어 있다.
도트 매트릭스 LED(40)는, 내부가 구획변(42)에 의해 격자형으로 구획된 케이스(41)의 앞면에 시일(seal)(43)이 부착되고, 그의 후방으로부터, 다수의 LED(45)가 매트릭스형으로 설치된 프린트 기판(44)을 삽입하고, 또한 프린트 기판(44)의 후면을 봉인수지(封印樹脂)(47)로 봉인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44)에 설치되는 각각의 LED(45)는 케이스(41)내의 각 구획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프린트 기판(44)의 후방에는 매트릭스형으로 형성된 LED(45)에 점등신호를 보내기 위한 접속 핀(46)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구획벽(42)의 측면은 전방으로 향하여 개방하도록 테이프(taper)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50)는 투명한 합성수지에 의해 케이스(41)의 전방을 덮는 덮개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앞면에, 초점거리가 짧은 다수의 볼록렌즈(51)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커버(50)를 케이스(41)에 장착했을 때에는, 각 볼록렌즈(51)가 케이스(41)내의 개개의 격자, 바꿔말하면, 개개의 LED(45)에 대응하여 접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1)내의 개개의 정방형 격자의 대각선 길이를 L1로 했을 경우, 볼록렌즈(51)는 L1보다 약간 긴치수(L2)의 직경을 가지는 대략 구형(球形)의 볼록렌즈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록렌즈(51)를 상면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직경 L2의 구슬의 측면을 대각선 길이가 L1인 정방형의 통에 넣어 자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늬표시기(15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LED(45)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볼록렌즈(51)에 의해 확대되어 외부로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구획벽(42)이 사라져 서로 이웃하는 2개의 LED(45)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연속하는 것과 같이 보인다. 따라서, 유기자의 식별 위치에서 보았을 때에는, 구획벽(42)이 소멸하여, 점등표시되는 다수의 LED(45)가 선(線)형상으로 보여, 표시되는 무늬 또는 문자가 명료하게 식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커버(50)로서 도트 매트릭스(40)의 케이스(41)에 장착하는 형식의 것을 나타냈지만, 케이스(41)에 직접 장착하는 방식이 아니고, 도트 매트릭스 LED(40)가 장착되는 부착 케이스의 전방에 볼록렌즈(51)를 형성한 평판형의 커버를 장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형의 볼록렌즈(51)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실험에 의하면, 커버(50)의 앞면 또는 뒷면에 반구(半球) 형상의 볼록렌즈를 형성한 경우에도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실증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는 표시기를 무늬표시기만이 아니라, 입상개수나 개방횟수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따라서, 도시한 7 ×5 매트릭스 LED 이외의 m × n 매트릭스 LED라도 좋다)에 응용하여도 좋고, 또한, 유기기 이외의 분야에 응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개의 LED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볼록렌즈를 형성한 커버를 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LED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볼록렌즈에 의해 확대되어 외부로 방출되기 때문에, 유기자의 위치에서 보면, 구획벽이 소멸하여, 점등하고 있는 LED로부터 광이 연속적으로 선형상으로 보여, 표시되는 무늬 또는 문자가 명료하게 식별될 수 있다.

Claims (1)

  1. 매트릭스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LED에 의해 문자 또는 무늬를 표시하는 빠찡꼬기의 표시기에 있어서, 개개의 LED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볼록렌즈를 형성한 커버를 전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빠찡꼬기의 표시기.
KR1019930028189A 1993-12-17 1993-12-17 빠찡꼬기의표시기 KR10029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189A KR100291273B1 (ko) 1993-12-17 1993-12-17 빠찡꼬기의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189A KR100291273B1 (ko) 1993-12-17 1993-12-17 빠찡꼬기의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15A KR950016815A (ko) 1995-07-20
KR100291273B1 true KR100291273B1 (ko) 2001-11-22

Family

ID=6685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189A KR100291273B1 (ko) 1993-12-17 1993-12-17 빠찡꼬기의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2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15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818A (en) Coin acceptor including multi-state visual indicator apparatus and method
US6386976B1 (en) Game machine
JP2002126166A (ja) 有効遊技残存時間表示装置
JP4264859B2 (ja) パチンコ機
JP5284752B2 (ja) パチンコ遊技機
JP3059545B2 (ja) 弾球遊技機
KR100291273B1 (ko) 빠찡꼬기의표시기
JPH0751450A (ja) 表示器
CA2266180C (en) Device for supplying/retaining/checking balls for labyrinth-type games of chance
JP2002248223A (ja) パチンコ遊技機
JPH0454982A (ja) パチンコ機
JP2002011141A (ja) シンボル可変表示遊技機
JP2775292B2 (ja) パチンコ機の入賞装置
JPH05253339A (ja) 遊技機の遊技盤
JP2892776B2 (ja) パチンコ遊技機の役物装置
JP2826519B2 (ja) パチンコ機
JP3685266B2 (ja) 遊技機の遊技盤
JPH0584349A (ja) 可変表示装置
JPH0621509Y2 (ja) パチンコ機
JPH04361772A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表示装置
JP3701324B2 (ja) アレンジ式弾球遊技機
KR100267387B1 (ko) 빠찡꼬기
JPH05200150A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0263591B1 (ko) 파친코기
JP2002011180A (ja) 図柄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弾球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