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610B1 - 변압기의 권선 방법 - Google Patents

변압기의 권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610B1
KR100289610B1 KR1019990002288A KR19990002288A KR100289610B1 KR 100289610 B1 KR100289610 B1 KR 100289610B1 KR 1019990002288 A KR1019990002288 A KR 1019990002288A KR 19990002288 A KR19990002288 A KR 19990002288A KR 100289610 B1 KR100289610 B1 KR 100289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nnection
bobbin
coi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710A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9000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610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H01F41/069Winding two or more wires, e.g. bifilar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원의 입출력단으로 사용되는 접속핀이 소정개수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1,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보빈의 양단에 위치하는 수평 타입 변압기의 코일 권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제 1 접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1차측 코일로 사용하는 제 1 권선 과정과, 상기 제 1 접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2차측 코일로 사용하는 제 2 권선 과정을 포함하는 변압기의 권선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 권선 방식의 적용시 권선층을 가로지르는 동선의 두께만큼 권선층의 두께가 커지게 되며, 그에따라 변압기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압기의 권선 방법{Wiring method for transformer}
본 발명은 박형의 노트북 또는 전자장비에 적용되는 전원 공급장치인 SMPS의 변압기상에서의 코일의 권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이 이루어지는 소재인 보빈의 형상에 따른 와이어링 방식에서 탈피하여 권선되는 동선을 가로지르는 동선이 생기지 않도록 일측의 접속단자를 권선의 시작점으로 하고 다른 일측의 접속단자를 종점으로하는 방식의 변압기의 권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상의 1, 2차 코일은 특정 보빈에 권선되되 2차측은 완전히 절연되어지는데, 수평 타입과 수직 타입으로 구분되어진다.
근래에는, 소비자들의 선호 추세가 슬립형의 제품들을 선호하기 때문에, 전자제품(예를들어, 노트북)의 생산회사들은 가능한 사용되는 부품의 높이가 낮은 소자들을 사용하고자 하기 때문에 전자제품의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변압기 역시 수평타입을 사용하고 있다.
상술한 수평 타입의 종래 권선 방식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접속단자(2A, 2B)를 구비한 변압기 하우징에 동선이 권선되는데, 이때 통상적으로 제 1 접속단자(2A)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일부 또는 전체는 변압기 1차측 코일로 사용되는 동선의 시작점과 종점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 2 접속단자(2B)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일부 또는 전체는 변압기 2차측 코일로 사용되는 동선의 시작점과 종점으로 사용된다. 즉, 첨부한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동선은 1차측 코일을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되는 동선은 2차측 코일을 나타낸다.
따라서,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딩되면서 접속단자와 멀어진 동선이 자신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의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과 타단이 연결되기 위하여 회귀하는 가운데, 권선층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현상이 필요하여 진다. 그러므로, 권선층을 가로지르는 동선의 두께만큼 권선층의 두께가 커지게 되며, 그에따라 변압기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권선이 이루어지는 소재인 보빈의 형상에 따른 와이어링 방식에서 탈피하여 권선되는 동선을 가로지르는 동선이 생기지 않도록 일측의 접속단자를 권선의 시작점으로 하고 다른 일측의 접속단자를 종점으로하는 방식의 변압기의 권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SMPS용 변압기의 권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MPS용 변압기의 권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원의 입출력단으로 사용되는 접속핀이 소정개수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1,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보빈의 양단에 위치하는 수평 타입 변압기의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1차측 코일로 사용하는 제 1 권선 과정과, 상기 제 1 접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2차측 코일로 사용하는 제 2 권선 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MPS용 변압기의 권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1차측 코일 또는 2차측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1)의 양단에 위치하는 제 1, 제 2 접속단자(2A, 2B)를 구비한 변압기 하우징에 동선이 권선되는데, 이때 동선의 권선 형태는 종래의 권선방식을 나타내는 도 1과 동일하다.
즉, 첨부한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동선은 1차측 코일을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되는 동선은 2차측 코일을 나타낸다.
다만, 종래와 다른점은 상기 제 1 접속단자(2A)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1)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2B)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1차측 코일로 사용하고, 상기 제 1 접속단자(2A)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1차측 코일의 시작점으로 사용된 접속핀을 제외한 접속핀중 임의의 점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1)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접속단자(2B)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1차측 코일의 종착점으로 사용된 접속핀을 제외한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2차측 코일로 사용한다는 점이 다를뿐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권선 과정을 통하여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차측 또는 2차측 권선과정을 통해 권선층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동선이 필요없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의 권선 방법을 제공하여 종래 권선 방식의 적용시 권선층을 가로지르는 동선의 두께만큼 권선층의 두께가 커지게 되며, 그에따라 변압기의 전체적인 두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

  1.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의 일단과 연결되어 전원의 입출력단으로 사용되는 접속핀이 소정개수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 1, 제 2 접속단자가 상기 보빈의 양단에 위치하는 수평 타입 변압기의 코일 권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1차측 코일로 사용하는 제 1 권선 과정과;
    상기 제 1 접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시작점으로하여 상기 보빈에 동선을 권선한 후 제 2 전속단자에 구비되어 있는 접속핀중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접속핀중 임의의 접속핀을 해당 권선의 종착점으로 하는 2차측 코일로 사용하는 제 2 권선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의 권선 방법.
KR1019990002288A 1999-01-25 1999-01-25 변압기의 권선 방법 KR100289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288A KR100289610B1 (ko) 1999-01-25 1999-01-25 변압기의 권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288A KR100289610B1 (ko) 1999-01-25 1999-01-25 변압기의 권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10A KR20000051710A (ko) 2000-08-16
KR100289610B1 true KR100289610B1 (ko) 2001-05-02

Family

ID=1957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288A KR100289610B1 (ko) 1999-01-25 1999-01-25 변압기의 권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6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710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4410B2 (en) Transformer with externally-mounted rectifying circuit board
US7443278B2 (en) Coil device, composite coil device, and transformer device
US6867678B2 (en) Transformer structure
US7274282B2 (en) Transformer
US7218199B1 (en) Structure of transformer
US20080088401A1 (en) Transformer
US20020145498A1 (en) Wire-win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a transformer
JPH10163044A (ja) コンバータトランス
US20090167473A1 (en) Transformer structure
KR200386286Y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US7268658B1 (en) Transformer having leakage inductance control structure
JP2000091133A (ja) トランスの端子構造及びその端子の形成方法
KR100289610B1 (ko) 변압기의 권선 방법
US20150137927A1 (en) Transformer skeleton and a win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90005070U (ko) 초크 코일
KR20040014391A (ko) 다수의 인덕턴스 값으로 동작하는 전자기 소자를 갖는전기 장치
JP2015076513A (ja) トランス装置及びトランス装置の製造方法
CN209729701U (zh) 高压脉冲变压器的输入回路和高压脉冲变压器
US7804388B2 (en) Transformer
JP2002299133A (ja) ラインフィルタ
JP2003209019A (ja) コンバータトランス
KR20240072697A (ko) 절연을 위한 베이스가 결합된 트랜스포머 장치
JPH04206807A (ja) 整合トランス
TW202242921A (zh) 變壓裝置
JPH07135117A (ja) 薄形トランス,電源装置あるいは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