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343B1 -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 Google Patents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343B1
KR100287343B1 KR1019980043898A KR19980043898A KR100287343B1 KR 100287343 B1 KR100287343 B1 KR 100287343B1 KR 1019980043898 A KR1019980043898 A KR 1019980043898A KR 19980043898 A KR19980043898 A KR 19980043898A KR 100287343 B1 KR100287343 B1 KR 10028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lower movable
grain
pist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200A (ko
Inventor
김윤배
김종민
Original Assignee
박종오
주식회사태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오, 주식회사태극 filed Critical 박종오
Priority to KR101998004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3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수기에 전·답지에서 콤바인으로 탈곡된 곡물(벼, 보리)이 포대에 수용되면 이 곡물이 수용된 포대를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트럭터에 설치된 기계적인 장치인 곡물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트레일러 등에 적재시켜 이 트레일러에 의해서 건조장 등으로 직접 이송할수 있도록 한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에 관한 것으로, 트렉터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지주 역활을 하도록한 각각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지지대중 전방에 설치된 지지대에 안착설치되어 상·하이동체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한 실린더와, 상기 후방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단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은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설치하였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된 상·하이동체와, 상기 상·하이동체의 내부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는 걸고리를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연장부를 형성시켜서된 고정구와, 상기 상·하이동체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구에 형성된 연장부와 로드간에 고정설치되어, 피스톤을 입출시키도록한 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된 구성과,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트렉터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볼을 설치하여 상·하이동체를 이동시 원활한 회전을 수반하도록한 지주역활을 하는 지지대와, 상기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호평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는 와이어로프의 원할한 안내를 위하여 각각의 휠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각각의 휠중 일측의 휠에는 정역모터를 설치하여서된 상·하이동판과, 후방은 상기 트렉터의 전방일측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설치되며, 전방은 상·하이동판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저부에 롤러가 설치되었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된 상·하이동체와,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는 걸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연장부를 형성시켜서 된 고정구와, 상기 상·하이동체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로드는 고정구의 연장부와 연결설치되어 피스톤을 필요에 따라 입.출하도록 설치된 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본 발명은 추수기에 전·답지에서 콤바인으로 탈곡된 곡물(벼, 보리)이 포대에 수용되면 이 곡물이 수용된 포대를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트럭터에 설치된 기계적인 장치인 곡물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트레일러 등에 적재시켜 이 트레일러에 의해서 건조장 등으로 직접 이송할수 있도록 한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바인에서 탈곡된 곡물은 탈곡되면서 즉시 포대에 수용되어 지고(도면 미도시) 이 포대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터(100)와 연결설치된 트레일러(110)에 적재하여 목적지(건조장등)로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트렉터(100)와 연결설치된 트레일러(110)에, 탈곡된 곡물이 수용된 포대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상기 콤바인으로부터 곡물이 수용된 포대를 추수하는 전·답지에 내려놓고, 이와 같이 전·답지에 내려놓은 곡물이 수용된 포대는 다시 트렉터(100)와 연결설치된 트레일러(110)에 적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탈곡된 곡물의 이송방법은 모두 수작업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인력낭비는 물론 노동력의 낭비를 가져왔고, 추수된 곡물을 목적지로 이송하는데는 여러단계를 거쳐야 함으로 그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을 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콤바인으로 탈곡된 곡물이 수용되어 있는 포대를 이송수단인 트렉터와 연결설치된 트레일러 등에 적재할 때에 트렉터에 설치된 기계장치인 곡물 이송장치에 의해 트레일러에 안전하고 용이하며, 간편하게 자동으로 이송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한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트렉터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지주 역활을 하도록한 각각의 지지대와, 상기 각각의 지지대중 전방에 설치된 지지대에 안착설치되어 상·하이동체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한 실린더와, 상기 후방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단부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은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설치하였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된 상·하이동체와, 상기 상·하이동체의 내부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는 걸고리를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연장부를 형성시켜서된 고정구와, 상기 상·하이동체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구에 형성된 연장부와 로드간에 고정설치되어, 피스톤을 입출시키도록한 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트렉터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볼을 설치하여 상·하이동체를 이동시 원활한 회전을 수반하도록한 지주역활을 하는 지지대와, 상기 트렉터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호평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의 양단부에는 와이어로프의 원할한 안내를 위하여 각각의 휠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각각의 휠중 일측의 휠에는 정역모터를 설치하여서된 상·하이동판과, 후방은 상기 트렉터의 전방일측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부와 연결설치되며, 전방은 상·하이동판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저부에 롤러가 설치되었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을 설치하여서 된 상·하이동체와, 상기 피스톤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는 걸고리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연장부를 형성시켜서 된 고정구와, 상기 상·하이동체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로드는 고정구의 연장부와 연결설치되어 피스톤을 필요에 따라 입.출하도록 설치된 실린더로 이루어져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종래 방법에 의해 트렉터로 탈곡된 곡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곡물 이송장치가 트렉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도 3c는 본 발명의 트렉터에 설치된 곡물 이송장치로 탈곡된 곡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4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곡물 이송장치가 트렉터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의 곡물 이송장치 발췌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도 4의 곡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탈곡된 곡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 도 4의 곡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탈곡된 곡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 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트렉터 110 : 트레일러
120 : 링크 200 : 곡물 이송장치
210,220 : 지지대 211,250 : 실린더
212,251 : 로드 221 : 힌지
213 : 볼 230 : 상.하이동체
231 : 피스톤 232 : 롤러
240 : 고정구 241 : 걸고리
242 : 연장부 260 : 상.하 이동판
261 : 가이드레일 262,263 : 휠
264 : 와이어로프 265 : 정역모터
본 발명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터(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지주 역활을 하도록 각각의 지지대(210)(220)를 설치하였고, 상기 각각의 지지대(210)(220)중 전방에 설치된 지지대(210)에는 상·하이동체(230)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한 실린더(211)를 안착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지대(210)(220)중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대(220)의 상단부에는 상·하이동체(230)의 후방을 힌지(22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였으며,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전방 저부는 상기 실린더(211)의 로드(212)와 연결설치하였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231)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내부에는 입.출가능하게 피스톤(231)을 설치하였고,이 피스톤(231)의 선단부에는 저부에 걸고리(241)를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연장부(242)를 형성시켜서된 고정구(240)를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전방 상부에는 실린더(250)를 설치하되, 이 실린더(250)의 로드(251)는 고정구(240)에 형성된 연장부(242)와 연결설치하여 실린더(250)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231)을 입.출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터(100)의 전방일측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볼(213)을 설치하여 상·하이동체(230)가 상.하.좌.우이동시 원활한 회전을 수반하도록한 지지대(210)를 구비시켰다.
그리고 상기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하작동하는 링크(120)의 상단부에는 상면에 호평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레일(261)을 형성시켰고, 이 가이드레일(261)의 양단부에는 와이어로프(264)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각각의 휠(262)(263)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각각의 휠(262)(263)중 일측의 휠(262)에는 와이어로프(264)를 필요에따라 정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정역모터(265)를 설치하여서된 상.하이동판(260)을 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트렉터(100)의 저방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100)의 상부와 트렉터(100)의 후방 링크(120)상에 설치된 상.하이동판(260)의 가이드레일(261)에 안착되는 상.하이동체(230)는 상기 가이드레일(261)과 접촉되는 부분에 원할한 회전을 하도록 롤러(232)를 설치하였고, 내부에는 입.출가능하게 피스톤(231)을 설치하였다.
한편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내부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31)의 선단부에는 저부에 걸고리(241)를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연장부(242)를 형성시켜서된 고정구(240)를 연결설치하였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전방 상부에는 실린더(250)를 설치하되, 이 실린더(250)의 로드(251)는 고정구(240)에 형성된 연장부(242)와 연결설치하여 실린더(250)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231)을 입.출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콤바인에 의해서 탈곡된 곡물이 포대에 수용되게 되면 그 다음에는 포대의 상부를 밀봉한 다음 걸고리(241)로 상기 밀봉된 포대를 걸고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120)를 작동시켜 이 링크(120)를 상부로 상승시킨 후 트레일러(110)에 적재하면 된다.
이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상기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120)가 상.하로 작동되는 원리는 통상의 트렉터(100)에 모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먼저 콤바인에 의해서 탈곡된 곡물이 포대에 수용되게 되면 그 다음에는 포대의 상부를 밀봉한 다음 도 6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120)를 작동시켜 이 링크(120)를 하부로 하강시면 상기 링크(120)의 상부에 연결설치된 상.하이동판(260)이 링크(120)와 함께 하강하면서 상.하이동체(230)를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하이동체(230)가 하부로 내려감과 동시에 상·하이동체(230)의 상부에 설치된 실린더(250)를 작동시켜 로드(251)를 인출시키게 되면 피스톤(231)이 상·하이동체(230)로부터 인출되면서 곡물이 수용된 포대의 밀봉부분에 고정구(240)에 설치된 걸고리(241)가 위치하게 되고, 그 후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241)로 포대의 상부를 걸어준다.
상기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120)를 작동시켜 이 링크(120)를 상부로 상승시면 상기 링크(120)의 상부에 연결설치된 상.하이동판(260)이 링크(120)와 함께 상승하면서 상.하이동체(230)를 상승시켜 포대를 들어올린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곡물이 수용된 포대의 들어올리는 작업이 완료되면 그 다음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체(230)를 좌.우로 이동시켜 포대를 적재시킬 위치를 찾게되는데, 이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하이동판(260)의 일측에 설치된 휠(262)과 연결설치된 정역모터(265)를 선택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정역모터(265)의 회전과 함께 각각의 휠(262)(263)이 회전을 하면서 와이어로프(264)를 이동시켜 이 와이어로프(264)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이동체(230)가 이동을 함과 동시에 포대도 이동을 하게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하이동체(230)의 이동과 함께 포대의 적재위치를 찾게되면 그 다음에는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120)를 작동시켜 이 링크(120)를 하부로 소정의 양만큼 하강시켜 포대를 목적지에 안착시킨다.
이상과 같이하여 곡물이 수용된 포대를 트레일러(100)로 적재완료하면 걸고리(241)를 포대로부터 빼내고 각각의 링크(120)와 실린더(211)를 작동시켜 상·하이동체(230)와 상·하이동판(260)을 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다음 작업을 대기하고 있으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콤바인으로 탈곡된 곡물이 수용되어 있는 포대를 이송수단인 트레일러등에 적재할 때에 트렉터에 설치된 기계장치인 곡물 이송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간편하고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어 인력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노동력의 절감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렉터(10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지주 역활을 하도록한 각각의 지지대(210)(220)와, 상기 각각의 지지대(210)(220)중 전방에 설치된 지지대(210)에 안착설치되어 상·하이동체(230)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한 실린더(211)와, 상기 후방에 설치된 지지대(220)의 상단부에 힌지(21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은 실린더(211)의 로드(212)와 연결설치하였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231)을 설치하여서 된 상·하이동체(230)와,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내부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231)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는 걸고리(241)를 설치하였고, 상부에는 연장부(242)를 형성시켜서된 고정구(240)와,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구(240)에 형성된 연장부(242)와 로드(251)간에 고정설치되어, 피스톤(231)을 입출시키도록한 실린더(250)로 이루어져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2. 제 1항에 있어서, 트렉터(10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볼(213)을 설치하여 상·하이동체(230)를 이동시 원활한 회전을 수반하도록한 지주역활을 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트렉터(100)의 후방에 설치된 링크(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호평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레일(2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261)의 양단부에는 와이어로프(264)의 원할한 안내를 위하여 각각의 휠(262)(263)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각각의 휠(262)(263)중 일측의 휠(262)에는 정역모터(265)를 설치하여서된 상·하이동판(260)과, 후방은 상기 트렉터(100)의 전방일측에 설치된 지지대(210)의 상부와 연결설치되며, 전방은 상·하이동판(26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61)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저부에 롤러(232)가 설치되었고 내측에는 입·출가능하도록 피스톤(231)을 설치하여서 된 상·하이동체(230)와, 상기 피스톤(231)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저부에는 걸고리(241)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연장부(242)를 형성시켜서 된 고정구(240)와, 상기 상·하이동체(23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로드(251)는 고정구(240)의 연장부(242)와 연결설치되어 피스톤(231)을 필요에 따라 입.출하도록 설치된 실린더(250)로 이루어져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KR1019980043898A 1998-10-20 1998-10-20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KR100287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898A KR100287343B1 (ko) 1998-10-20 1998-10-20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898A KR100287343B1 (ko) 1998-10-20 1998-10-20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200A KR19990046200A (ko) 1999-07-05
KR100287343B1 true KR100287343B1 (ko) 2001-04-16

Family

ID=3751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898A KR100287343B1 (ko) 1998-10-20 1998-10-20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3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20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5635A1 (en) Livestock loading/unloading system
US20050279616A1 (en) Extendible conveyor system
JPH0892921A (ja) ラバーコーンの設置及び回収装置
KR100287343B1 (ko)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렉터
CN214192440U (zh) 一种集装箱车装卸搬运小车
CN208666580U (zh) 车载货物装卸设备
GB2098575A (en) Load handling
JP3616664B2 (ja) 重量物の昇降装置
CN109081140A (zh) 车载货物装卸设备
CN217418068U (zh) 举升机载物平台上的滑轨结构
CN213569234U (zh) 一种吊装、搬运一体式运输工具
KR200194273Y1 (ko) 경운기의 적재함 승강장치
CN218434681U (zh) 一种仓储重物起吊输送装置
JP3439720B2 (ja) 鶏ケージリフター
KR19990046215A (ko) 곡물 이송장치가 설치된 트레일러_
JPH07144568A (ja) トラックの荷台移動装置
JP2879330B2 (ja) 昇降運搬機
SU965834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грузов
JP3423579B2 (ja) 苗供給装置
KR0167981B1 (ko) 자동차 타이어 장착장치
JP3085859U (ja) 穀類収納袋の昇降作業機
SU713826A1 (ru) Нав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 т гачу дл захват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SU94069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досушивани сена в скирдах методом активного вентилировани
JPH04127731U (ja) パレツト荷積み装置
SU5694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грузки изделий с одного конвейера на несколько параллельно расположенных конвейе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