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062B1 - 평면형 전력 분배기 - Google Patents

평면형 전력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062B1
KR100287062B1 KR1019970074749A KR19970074749A KR100287062B1 KR 100287062 B1 KR100287062 B1 KR 100287062B1 KR 1019970074749 A KR1019970074749 A KR 1019970074749A KR 19970074749 A KR19970074749 A KR 19970074749A KR 100287062 B1 KR100287062 B1 KR 10028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erminal
transmission line
line connected
transmissio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4872A (ko
Inventor
엄순영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7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0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4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01P5/22Hybrid ring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소자로서 제작 구현된 후에도 입력 단자들을 달리 지정함으로써 각 입력 단자에 따른 네 개의 출력 단자가 결정되어 서로 다른 출력비를 갖도록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고주파 회로나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4-way 전력 분배기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윌킨슨 2-way 전력 분배기 또는 90o하이브리드 브랜치라인 전력 분배기를 확장 변형하여 사용한 것이다. 전력 분배기로 사용할 때 입출력은 사전에 미리 정해지는 반면에, 제안된 전력 분배기의 기본 구성은 8 단자 평면형 구조로서 각 입력단자가 정해지면 그에 따라 네 개의 출력 단자가 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인 평면형 8단자 4-way 전력 분배기는 입력 단자를 달리 정함으로써 출력 단자들뿐만 아니라 출력 전력비까지 달라지므로 다양한 전력 분배기, 전력 감쇄기 등에 응용할 수 있는 단일구조-다기능(Multi-function) 소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잡한 고주파 해석을 간단한 등가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여 기술한다.

Description

평면형 전력 분배기{Plannar four-way power divider with eight-port}
본 발명은 단일 소자로서 제작 구현된 후에도 입력 단자들을 달리 지정함으로써 각 입력 단자에 따른 네 개의 출력 단자가 결정되어 서로 다른 출력비를 갖도록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분배기는 (초)고주파 회로나 시스템의 응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소자로서, 윌킨슨이 처음으로 "N-way 전력 분배기"를 제시하였다(참조 : IRE Trans. Microwave Theory Tech.,vol. MTT-8, E. J. Wilkinson, 1960). 그 이후, 최근까지 윌킨슨 N-way 전력 분배기를 변형한 전력 분배기, 90o하이브리드 브랜치라인 전력 분배기, 원형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 랜지 결합기 등 다양한 형태의 수많은 전력 분배기들이 연구 발표되었다. 그러나, 최근까지 알려진 4-way 전력 분배기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윌킨슨 2-way 전력 분배기 또는 90o하이브리드 브랜치라인 전력 분배기를 확장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이것을 전력 분배기로 사용할 때 입출력은 사전에 미리 정해지는 반면에, 본 발명인 전력 분배기는 기본 구성이 8 단자 평면형 구조로서 각 입력단자가 정해지면 그에 따라 네 개의 출력 단자가 정해지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구성의 전력 분배기는 본 발명이 최초로 개발된 것으로 사료된다.
종래의 (초)고주파 대역에서 동작하는 전력 분배기가 고가이므로 실험실에서 시스템 시험용 액세서리로 사용할 때나 시스템의 내부 부품으로 사용할 때, 이미 정해진 입출력 기능 및 규격을 만족하는 전력 분배기로는 정해진 용도 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각 입출력 단자가 변경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입출력 전달 특성이 변하는 전력 분배기를 발명하여 다용도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 단자 및 제 2 노드간에 접속된 제 2 저항과, 상기 제 2 노드 및 제 1 노드간에 접속된 제 1 전송선로와, 상기 제 1 노드 및 제 8 단자간에 접속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2 노드 및 제 3 노드간에 접속된 제 2 전송선로와, 상기 제 3 노드 및 제 4 노드간에 접속된 제 3 전송선로와, 상기 제 4 노드 및 제 8 노드간에 접속된 제 17 전송선로와, 상기 제 8 노드 및 상기 제 1 노드간에 접속된 제 8 전송선로와, 상기 제 8 노드 및 제 7 노드간에 접속된 제 7 전송선로와, 상기 제 7 노드 및 제 7 단자간에 접속된 제 4 저항과, 상기 제 7 노드 및 제 6 노드간에 접속된 제 6 전송선로와, 상기 제 6 노드 및 제 6 단자간에 접속된 제 3 저항과, 상기 제 6 노드 및 제 5 노드간에 접속된 제 5 전송선로와, 상기 제 4 노드 및 상기 제 5 노드간에 접속된 제 4 전송선로와, 상기 제 3 노드 및 제 9 노드간에 접속된 제 1 더미 전송선로와, 상기 제 9 노드 및 제 10 노드간에 접속된 제 9 전송선로와, 상기 제 10 노드 및 제 2 단자간에 접속된 제 5 저항과, 상기 제 10 노드 및 제 11 노드간에 접속된 제 10 전송선로와, 상기 제 11 노드 및 제 3 단자간에 접속된 제 6 저항과, 상기 제 11 노드 및 제 12 노드간에 접속된 제 11 전송선로와, 상기 제 12 노드 및 제 16 노드간에 접속된 제 18 전송선로와,상기 제 9 노드 및 상기 제 16 노드간에 접속된 제 16 전송선로와, 상기 제 12 노드 및 제 13 노드간에 접속된 제 12 전송선로와, 상기 제 13 노드 및 제 4 단자간에 접속된 제 7 저항과, 상기 제 13 노드 및 제 14 노드간에 접속된 제 13 전송선로와, 상기 제 14 노드 및 제 5 단자간에 접속된 제 8 저항과, 상기 제 14 노드 및 제 15 노드간에 접속된 제 14 전송선로와, 상기 제 15 노드 및 상기 제 5 노드간에 접속된 제 2 더미 전송선로로 이루어지며, 제 1 단자 내지 제 8 단자 중에서 어느 한 단자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나머지 단자 중에서 3 개의 단자가 종단되고, 4 개의 단자를 통해서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8단자 4-way 전력 분배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8단자 4-way 전력 분배기 내부 구성의 등가 모델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8단자 4-way 전력 분배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구조는 별도로 출력 단자 격리용 내부 저항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완전한 평면형 구조이므로 구현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발명된 구성은 이론적으로 모든 입출력 단자에서의 정합 성능(또는 입출력 반사손실 성능)과, 단자간의 분리도 성능(또는 격리도 성능)이 완벽하다. 발명된 8단자 4-way 전력 분배기는 일단 제작된 후에도 입출력 단자를 달리 지정하므로써 다양한 전력 분배기 또는 전력 감쇄기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된 도 1의 전력 분배기가 4-way 전력 분배기로 동작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 1 단자를 제 1 입력단자(1)로 하고 제 2 노드(k2)로 (초)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고 가정하면, 각각 네 개의 출력 단자는 제 1 단자(2), 제 2 단자(4), 제 3 단자(6) 및 제 4 단자(8)로 결정된다. 제 1 저항 내지 제 8 저항(R-1 내지 R-8)은 각 입출력 단자 노드점인 제 1, 제 2, 제 6, 제 7, 제 10, 제 11, 제 13 및 제 14 노드(k1, k2, k6, k7, k10, k11, k13 및 k14)에서 입출력 단자쪽으로 관측된 등가 특성 임피이던스를 의미한다. 제 1 루프 내지 제 4 루프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전송선로인 제 1 전송선로 내지 제 16 전송선로(TL-1 내지 TL-16)의 전기적 길이는 모두 90o이다. 그리고, 제 1 전송선로 내지 제 16 전송선로(TL-1 내지 TL-16)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져야 한다.
제 1 루프 : Z1= Z3, Z2= Z8
제 2 루프 : Z4= Z6, Z5= Z7
제 3 루프 : Z9= Z11, Z10= Z16
제 4 루프 : Z12= Z14, Z13= Z15
그리고, 제 1 전송선로 내지 제 16 전송선로(TL-1 내지 TL-16)에서 8개의 독립적인 제 1, 제 2, 제 5, 제 6, 제 9, 제 10, 제 13 및 제 14 특성 임피이던스(Z1, Z2, Z5, Z6, Z9, Z10, Z13및 Z14)는 각 출력 단자간의 출력 비율에 의해서 결정된다. 또한, 각 제 1 루프와 제 2 루프 그리고 제 3 루프와 제 4 루프 사이에 놓여진 제 17 및 제 18 전송선로(TL-C1 및 TL-C2)의 전기적 길이는 주어진 임피이던스에서 모두 180o이다. 그것들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대역폭에만 아주 미세하게 영향을 줄 뿐, 전력 분배기의 입출력 전기적인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Zo와 같은 값으로 설정한다. 제 1 루프와 제 3 루프를 연결해주는 제 1 더미 전송선로(TL-A1)와 제 2 루프 및 제 4 루프를 연결해주는 제 2 더미 전송선로(TL-A2)에 대한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Zo이며, 전기적 길이는 선택되어진 값에 따라 출력 전력에 미세하게 영향을 주므로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형 8단자 4-way 전력 분배기의 내부 동작을 등가적으로 모델링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도 2에서 제 1 루프의 제 1 입력단자(1)에서 제 2 노드(k2)점으로 (초)고주파 신호가 입력된다고 가정할 때, 신호는 제 1 및 제 2 특성 임피이던스(Z1및 Z2)에 의해 결정된 전력 분배비를 갖고 분배된다. 분배된 신호중 한 개의 신호는 제 4 출력 단자(8)로 출력되며, 다른 한 개의 신호는 제 1 더미 전송선로(ZA1)를 통하여 제 3 루프로 입력되어 제 9 및 제 10 특성 임피이던스(Z9및 Z10)에 의해 결정된 전력 분배비를 갖고 다시 분배된다. 분배된 하나의 신호는 제 1 출력 단자(2)로 출력되며, 다른 한 개의 신호는 0o및 180o로 모델링된 전송선로를 통하여 제 4 루프로 입력되어 제 13 및 제 14 특성 임피이던스(Z13및 Z14)에 의해 결정된 전력 분배비를 갖고 다시 분배된다. 이때, 도시된 도 2처럼 전체 루프의 안측 시계 방향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0o위상 지연을 갖으며, 루프의 외측(출력측) 반시계 방향으로 전달되는 신호는 180o위상 지연을 갖게 된다. 입력된 한 개의 신호는 제 14 특성 임피이던스(Z14)를 통하여 제 2 출력단자(4)로 출력되며, 다른 한 개의 신호는 제 2 더미 전송선로(ZA2)를 통하여 제 2 루프로 입력되어 제 5 및 제 6 특성 임피이던스(Z5및 Z6)에 의해 결정된 전력 분배비를 갖고 다시 분배된다. 분배된 한 개의 신호는 제 3 출력단자(6)로 출력되며, 다른 한 개의 신호는 0o및 180o로 모델링된 전송선로를 통하여 다시 제 1 루프로 입력되어 제 1 및 제 2 특성 임피이던스(Z1및 Z2)에 의해 결정된 전력 분배비를 갖고 다시 분배된다. 분배된 신호중 한 개의 신호는 제 4 출력단자(8)로 다시 출력되며, 다른 한 개의 신호는 제 1 더미 전송선로(ZA1)를 통하여 다시 제 3 루프로 입력되어 제 9 및 제 10 특성 임피이던스(Z9및 Z10)에 의해 결정된 전력 분배비를 갖고 다시 분배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면서 각 정해진 단자에서 분배된 신호 전력이 출력된다. 물론, 제 1 및 제2 더미 전송선로(ZA1및 ZA2)의 전기적 길이는 각 출력 단자에서 매 순환 주기마다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에 영향을 주므로 매개변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만약에, 제 1 및 제 2 더미 전송선로(ZA1및 ZA2)의 전기적 길이를 각각 90o로 선택하면 제 1, 제 2 및 제 3 출력단자(2, 4 및 6)에서는 매 순환 주기마다 180o반전된 위상의 신호가 출력되며, 제 4 출력단자(8)에서는 매 순환 주기마다 동일한 위상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만약에 제 1 및 제 2 더미 전송선로(ZA1및 ZA2)의 전기적 길이를 각각 180o로 선택하면 제 1, 제 2 및 제 3 출력단자(2, 4 및 6)에서는 매 순환 주기마다 동일한 위상의 신호가 출력되며, 제 4 출력단자(8)에서는 매 순환 주기마다 180o반전된 위상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 1 더미 전송선로(ZA1)와 제 2 더미 전송선로(ZA2)의 전기적 길이를 적절히 선택할 경우 또는 고주파 위상 천이기를 제 1 더미 전송선로(ZA1)와 제 2 더미 전송선로(ZA2)의 중간에 삽입하여 위상을 제어할 경우 출력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나머지 제 1, 제 2 및 제 3 종단단자(3, 5 및 7)는 Zo 임피이던스로 종단된다.
비슷한 방법으로, 입력 단자를 달리 지정하면, 도시된 도 2의 등가 모델링 방법에 의해 각각 네 개의 출력 단자가 결정된다.
입력 단자 출력 단자 종단(격리)
단자 (1) 단자 (2) 단자 (4) 단자 (6) 단자 (8) 단자 (3) 단자 (5) 단자 (7)
단자 (2) 단자 (3) 단자 (5) 단자 (7) 단자 (1) 단자 (4) 단자 (6) 단자 (8)
단자 (3) 단자 (4) 단자 (6) 단자 (8) 단자 (2) 단자 (5) 단자 (7) 단자 (1)
단자 (4) 단자 (5) 단자 (7) 단자 (1) 단자 (3) 단자 (6) 단자 (8) 단자 (2)
단자 (5) 단자 (6) 단자 (8) 단자 (2) 단자 (4) 단자 (7) 단자 (1) 단자 (3)
단자 (6) 단자 (7) 단자 (1) 단자 (3) 단자 (5) 단자 (8) 단자 (2) 단자 (4)
단자 (7) 단자 (8) 단자 (2) 단자 (4) 단자 (6) 단자 (1) 단자 (3) 단자 (5)
단자 (8) 단자 (1) 단자 (3) 단자 (5) 단자 (7) 단자 (2) 단자 (4) 단자 (6)
상기 [표 1]은 각 입력 단자에 따른 출력 단자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도 1의 복잡한 해석을 근사화시켜 간단한 설계 매개변수들을 얻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복잡한 순환 경로를 근사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 2의 제 2 루프에서 제 1 루프로 넘어가는 신호를 끊어주면 되는데, 이것은 제 6 특성 임피이던스(Z6) 값을 제 5 특성 임피이던스(Z5) 값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큰 값으로 선택하면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테프론 기판으로 회로 구현시,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구현 가능 범위(보통 120 ~ 150 ohm)가 제한되므로 이것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근사적인 회로 설계 방법으로 각 출력 단자에서의 출력 전력비가 K:L:M:N로 가정된 4-way 전력 분배기의 각 설계 매개변수 값들은 다음과 같다.
제 1 및 제 3 전송선로(TL-1 및 TL-3)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1]에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제 2 및 제 8 전송선로(TL-2 및 TL-8)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2]에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제 4 및 제 6 전송선로(TL-4 및 TL-6)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3]에서 구할 수 있다.
Z4= Z6= 높은 임피이던스 값으로 선택(보통 120 ohm).
제 5 및 제 7 전송선로(TL-5 및 TL-7)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4]에서 구할 수 있다.
Z5= Z7= 낮은 임피이던스 값으로 선택(보통 30 ohm).
제 9 및 제 11 전송선로(TL-9 및 TL-11)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5]에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제 10 및 제 16 전송선로(TL-10 및 TL-16)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6]에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제 12 및 제 14 전송선로(TL-12 및 TL-14)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7]에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제 13 및 제 15 전송선로(TL-13 및 TL-15)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8]에서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제 17 및 제 18 전송선로(TL-C1 및 TL-C2)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9]에서 구할 수 있다.
ZC1= ZC2= Zo
제 1 및 제 2 기미 전송선로(TL-A1 및 TL-A2)의 특성 임피이던스는 하기 [수학식 10]에서 구할 수 있다.
ZA1= ZA2= Zo
여기서, Zo는 제 1 저항 내지 제 8 저항(R-1 내지 R-8)과 등가적으로 같은 값을 갖는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로 보통은 50 오옴(Ω)이다. 예를 들어, 각 출력단에서의 전력비가 1:1:1:1로 동등할 때, 즉 입력 전력이 (1/4)씩 나누어 질 때의 각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비는 L=K=M=N=1 이므로 Z1=Z3=2.00Zo, Z2=Z8=1.15Zo, Z9=Z11=1.73Zo, Z10=Z16=1.22Zo, Z12=Z14=1.41Zo, Z13=Z15=1.41Zo, ZC1=ZC2=Zo, ZA1=ZA2=Zo가 된다.
만약에, 4:3:2:1의 출력 전력비를 갖는 4-way 전력 분배기를 설계하고자 한다면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을 하기 [표 2]와 같이 선택하면 된다.
Z1=Z3=1.58Zo Z9=Z11=1.73Zo Z12=Z14=2.00Zo ZC1=ZC2=Zo Z2=Z8=1.29Zo Z10=Z16=1.22Zo Z13=Z15=1.15Zo ZA1=ZA2=Z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전력 분배기들이 단일구성-단일기능 소자인 반면에 제안된 구성을 이용하여 설계 제작된 전력 분배기는 입력 단자를 달리 지정함으로써, 다양한 전력 분배기나 전력 감쇄기 등과 같이 다양한 시험 측정 소자로도 활용될 수 있는 단일구조-다기능(Multi-function) 소자이므로, (초)고주파 회로나 시스템 부품들이 일반적으로 고가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본 발명은 탁월한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한다.

Claims (13)

  1. 각기 한 쌍의 단자를 갖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루프와 제 3 및 제 4 루프가 제 1 및 제 2 더미 전송선로에 의해 전체 폐루프가 형성되어, 어느 한 단자를 통해 (초)고주파 신호가 입력될 경우, 3개의 정해진 단자는 종단되고 나머지 4개 단자를 통해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2. 제 1 단자 및 제 2 노드간에 접속된 제 2 저항과,
    상기 제 2 노드 및 제 1 노드간에 접속된 제 1 전송선로와,
    상기 제 1 노드 및 제 8 단자간에 접속된 제 1 저항과,
    상기 제 2 노드 및 제 3 노드간에 접속된 제 2 전송선로와,
    상기 제 3 노드 및 제 4 노드간에 접속된 제 3 전송선로와,
    상기 제 4 노드 및 제 8 노드간에 접속된 제 17 전송선로와,
    상기 제 8 노드 및 상기 제 1 노드간에 접속된 제 8 전송선로와,
    상기 제 8 노드 및 제 7 노드간에 접속된 제 7 전송선로와,
    상기 제 7 노드 및 제 7 단자간에 접속된 제 4 저항과,
    상기 제 7 노드 및 제 6 노드간에 접속된 제 6 전송선로와,
    상기 제 6 노드 및 제 6 단자간에 접속된 제 3 저항과,
    상기 제 6 노드 및 제 5 노드간에 접속된 제 5 전송선로와,
    상기 제 4 노드 및 상기 제 5 노드간에 접속된 제 4 전송선로와,
    상기 제 3 노드 및 제 9 노드간에 접속된 제 1 더미 전송선로와,
    상기 제 9 노드 및 제 10 노드간에 접속된 제 9 전송선로와,
    상기 제 10 노드 및 제 2 단자간에 접속된 제 5 저항과,
    상기 제 10 노드 및 제 11 노드간에 접속된 제 10 전송선로와,
    상기 제 11 노드 및 제 3 단자간에 접속된 제 6 저항과,
    상기 제 11 노드 및 제 12 노드간에 접속된 제 11 전송선로와,
    상기 제 12 노드 및 제 16 노드간에 접속된 제 18 전송선로와,
    상기 제 9 노드 및 상기 제 16 노드간에 접속된 제 16 전송선로와,
    상기 제 12 노드 및 제 13 노드간에 접속된 제 12 전송선로와,
    상기 제 13 노드 및 제 4 단자간에 접속된 제 7 저항과,
    상기 제 13 노드 및 제 14 노드간에 접속된 제 13 전송선로와,
    상기 제 14 노드 및 제 5 단자간에 접속된 제 8 저항과,
    상기 제 14 노드 및 제 15 노드간에 접속된 제 14 전송선로와,
    상기 제 15 노드 및 상기 제 5 노드간에 접속된 제 2 더미 전송선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단자 내지 제 8 단자중 어느 한 단자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나머지 단자중 3 개의 단자는 종단되고, 나머지 4 개의 단자를 통해서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16 전송선로의 전기적 길이는 90°이며, 제 17 및 제 18 전송선로의 전기적 길이는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하기 [수학식 11]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Figure pat00007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8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하기 [수학식 12]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Figure pat00008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및 제 6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100 내지 15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및 제 7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10 내지 50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9 및 제 11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하기 [수학식 13]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Figure pat00009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 및 제 16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하기 [수학식 14]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Figure pat00010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및 제 14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하기 [수학식 15]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Figure pat00011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및 제 15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근사적으로 하기 [수학식 16]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Figure pat00012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7 및 제 18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동일한 50Ω(그러나, 임의의 값을 갖을 수 있음)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더미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이던스 값은 동일한 50Ω 값(그러나, 임의의 값을 갖을 수 있음)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전력 분배기.
KR1019970074749A 1997-12-26 1997-12-26 평면형 전력 분배기 KR10028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749A KR100287062B1 (ko) 1997-12-26 1997-12-26 평면형 전력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749A KR100287062B1 (ko) 1997-12-26 1997-12-26 평면형 전력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872A KR19990054872A (ko) 1999-07-15
KR100287062B1 true KR100287062B1 (ko) 2001-04-16

Family

ID=3751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749A KR100287062B1 (ko) 1997-12-26 1997-12-26 평면형 전력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35B1 (ko) * 2004-08-04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분배기/합성기
KR100950601B1 (ko) * 2008-01-28 2010-04-01 시흥시 연근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97A (ko) * 1995-06-22 1997-01-29 평면형 전력 분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97A (ko) * 1995-06-22 1997-01-29 평면형 전력 분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MTT-s Digest pp119-122, sep. 199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872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2028A (en) Programmable two-port microwave network
JP2532212B2 (ja) 可変減衰器
CN109742497B (zh) 一种传输线四端口无反射滤波器
Zhang et al. Compact and harmonic suppression Wilkinson power divider with short circuit anti-coupled line
CN112448113A (zh) 一种蝶形微带滤波功分器
CN109888441A (zh) 带宽可调的平衡式滤波功分器
CN115333500A (zh) 一种带内平坦、频率选择性高的无反射宽带带通滤波器
KR20000022848A (ko) 전력분배기 및 전력결합기
CN114497954A (zh) 一种功分器和系统
CN110324023A (zh) 一种基于并联电容补偿的超宽带低相位误差数字衰减器
KR100287062B1 (ko) 평면형 전력 분배기
US2639325A (en) Hybrid ring
KR20210140770A (ko) 전력 분배기, 조절 방법, 전력 분배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CN108011168B (zh) 一种可端接复数阻抗的新型Wilkinson功率分配器
US5789997A (en) Bypassable wilkinson divider
KR100362877B1 (ko) 3단 체비셰프 매칭변환기를 이용한 전력분배기/합성기
KR0146759B1 (ko) 평면형 전력 분배기
KR101602440B1 (ko) 전력 분배기
US50558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broad band high frequency signals for use in network analyzers
US3576505A (en) Transformer hybrid coupler having arbitrary power division ratio
CN206921992U (zh) 功率分配器
EP1544941B1 (en) Matched microwave variable attenuator
CN114464973B (zh) 基于中心频率连续可调的可重构滤波衰减器
CA1208714A (en) Rf hybrid
KR100211963B1 (ko) T-브랜치라인 하이브리드 전력 분배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