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440B1 - 전력 분배기 - Google Patents

전력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440B1
KR101602440B1 KR1020150028039A KR20150028039A KR101602440B1 KR 101602440 B1 KR101602440 B1 KR 101602440B1 KR 1020150028039 A KR1020150028039 A KR 1020150028039A KR 20150028039 A KR20150028039 A KR 20150028039A KR 101602440 B1 KR101602440 B1 KR 10160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power divider
unit cells
output ports
imple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표
조학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KR1020150028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Abstract

전력 분배기는 제1면에 구현되며 각각이 입력 포트와 복수의 출력 포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선로들, 각각이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저항들 및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각각과, 제2면에 구현되며 복수의 단위 셀들로 구성되는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를 연결하는 복수의 비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들 사이에 연결된 전송선로들과 다른 면에 구현된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를 이용함으로써 설계가 용이한 전력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분배기란 입력된 전력을 일정한 비율에 따라 여러 출력 포트들로 분배하는 장치이다. 전력 분배기는 설계에 따라 입력된 전력을 전력 손실 없이 원하는 비율로 분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출력 포트들 사이를 격리시킴으로써 출력 포트들 간의 상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전력 분배기는 다양한 구조로 설계되며, 이 중에서 윌킨슨(Wilkinson) 전력 분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윌킨슨 전력 분배기는 이하에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종래의 두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Wilkinson) 전력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입력 포트(PORT1)와 출력 포트들(PORT2 및 PORT3)은, 특성 임피던스가
Figure 112015019740809-pat00001
이고 전기적 길이가 λ/4인 전송선로로 연결되어 있다.
출력 포트들(PORT2 및 PORT3)은 저항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포트들(PORT2 및 PORT3) 간에는 위상 차가 없다. 즉, 출력 포트들(PORT2 및 PORT3) 간의 위상 차는 0°이다.
이 경우, 입력 포트(PORT1)로 입력된 전력은 일정한 비율(예컨대, 동일한 비율)로 출력 단자(PORT2 및 PORT3)로 분배될 수 있다.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구조 상, 출력 포트들(PORT2 및 PORT3) 각각에는 Zo 크기를 갖는 저항이 연결되며, 각 저항의 일측 종단은 각 출력 포트(PORT2 및 PORT3)에 연결되며, 타측 종단은 한 점에서 연결되어 있다.
도 1의 두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경우에는 각 출력 포트(PORT2 또는 PORT3)에 연결된 저항들의 등가 저항(Z)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등가 저항(R)은 2Zo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두개의 출력 포트들(PORT2 및 PORT3)을 가지는 윌킨슨 분배기의 경우에는 각 출력 포트(PORT2 또는 PORT3)에 연결되는 저항(즉, 등가저항(Z))에 의해 설계 시 회로 구현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는 두개 이상의, 즉 N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에서 두드러지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종래의 N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N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입력 포트(PORT1)와 N 개의 출력 포트들(PORT2 ~ PORTN+1)은 특성 임피던스가
Figure 112015019740809-pat00002
이고, 전기적 길이가 λ/4인 복수의 전송선로들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의 전력 분배기와 마찬가지로, 각 출력 포트(PORT2 ~ PORTN+1)에는 저항들(Z1 ~ ZN)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저항(Z1 ~ ZN)의 일측 종단은 각 출력 포트(PORT2 ~ PORTN+1)에 연결되며, 타측 종단은 한 점, 즉 공통 노드(NCM)에 연결된다.
이 때, 모든 저항(Z1 ~ ZN)의 타측 종단을 공통 노드(NCM)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일부 출력 포트들(예컨대, PORT3, PORT4, PORTN+1 등)의 전송선을 가로질러야 하기 때문에, N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는 평면 구조에서 설계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점퍼(jumper) 등을 이용하여 공통 노드(NCM)에 연결시킨다고 하더라도, 출력 포트들(PORT2 ~ PORTN+1) 간에 저항을 통한 경로에서 위상 차가 발생함에 따라 격리도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들 사이에 연결된 전송선로들과 다른 면에 구현된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를 이용함으로써 설계가 용이한 전력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는 제1면에 구현되며 각각이 입력 포트와 복수의 출력 포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선로들, 각각이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저항들 및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각각과, 제2면에 구현되며 복수의 단위 셀들로 구성되는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를 연결하는 복수의 비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아들 각각은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아들 각각은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인덕터 패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비아들 각각은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커패시터 패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은 CRLH(Composite Right/Left Han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은 LCL(LC Loa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은 양단의 위상 차이가 0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면은 접지면이고,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는 상기 접지면의 접지 패턴과 이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력 분배기는 윌킨슨(Wilkinson) 전력 분배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저항들은 상기 제1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들 사이에 연결된 전송선로들과 다른 면에 구현된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를 이용함으로써 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들은 N 개의 출력 포트들을 가지는 전력분배기 구조에서, 출력 포트들 사이의 저항을 통한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상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격리도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두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Wilkinson) 전력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N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는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는 입력 포트(PORT1)와 적어도 2 이상의 출력 포트들(PORT2 ~ PORTN+1)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포트(PORT1)와 N 개의 출력 포트들(PORT2 ~ PORTN+1)은, 특성 임피던스가
Figure 112015019740809-pat00003
이고 전기적 길이가 λ/4인 복수의 전송선로들(TL1 ~ TLN)로 연결되어 있다.
각 출력 포트(PORT2 ~ PORTN+1)에는 저항들(Z1 ~ ZN)이 연결되어 있다. 저항들(Z1 ~ ZN)은 Zo의 저항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저항(Z1 ~ ZN)의 일측 종단(ND1a ~ NDNa)은 각 출력 포트(PORT2 ~ PORTN+1)에 연결되며, 타측 종단(ND1b ~ NDNb)은 복수의 단위 셀들(UC1 ~ UCN-1)로 구성되는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에 연결된다.
이 때, 각 저항(Z1 ~ ZN)은 각 저항(Z1 ~ ZN)에 상응하는 비아(VIA1 ~ VIAN)를 통하여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MTM-TL)에 연결될 수 있다.
비아들(VIA1 ~ VIAN) 각각은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단위 셀들(UC1 ~ UCN-1)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단위 셀들(UC1 ~ UCN-1) 각각의 구조와 비아들(VIA1 ~ VIAN) 각각이 연결되는 위치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입력 포트(PORT1), 출력 포트들(PORT2 ~ PORTN+1), 전송선로들(TL1 ~ TLN), 및 저항들(Z1 ~ ZN)은 제1면(A1)에 구현되고,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은 제2면(A2)에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면(A1)과 제2면(A2) 사이의 공간에는 유전체로 채워질 수 있다.
제2면(A2)은 접지(ground) 패턴이 구현된 접지면일 수 있으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는 접지 패턴과 함께 제2면(A2)에 구현되지만 접지 패턴과 이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는 단위 셀들(UC1 ~ UCN-1)의 가장자리에 트랜치(trench; TR)를 두어 접지 패턴과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단위 셀들(UC1 ~ UCN-1) 각각은 양단의 위상 차이가 0°일 수 있다. 즉, 비아들(VIA1 ~ VIAN) 각각은 단위 셀들(UC1 ~ UCN-1) 각각의 양단 간격 만큼의 간격을 두고 연결되므로 위상 차이가 없으며, 하나의 노드에 연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분배기는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를 이용하여 출력 포트 단의 저항들(Z1 ~ ZN)의 일측 종단(ND1b ~ NDNb)을 위상차 없이 연결함으로써, 설계가 용이하고 격리도 특성이 향상된 윌킨슨 전력 분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단위 셀들(UC1 ~ UCN-1) 각각의 구조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도 3의 제1단위 셀(UC1)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단위 셀(UC1A)가 도시된다.
제1단위 셀(UC1A)은 커패시터 패턴들(C1 및 C2)과 인덕터 패턴들(L1 및 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패시터 패턴(C1)과 제2커패시터 패턴(C2)은 직렬 커패시터 성분이고, 제1인덕터 패턴(L1)과 제2인덕터 패턴(L2)은 병렬 인덕터 성분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비아(VIA)는 제1단위 셀(UC1A)의 제1연결지점(CPOINT1) 또는 제2연결지점(CPOINT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연결지점(CPOINT1)은 제1커패시터 패턴(C1)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이며, 제1커패시터 패턴(C1)의 중앙 지점일 수 있다.
제2연결지점(CPOINT1)은 제1인덕터 패턴(L1)과 제2인덕터 패턴(L2) 사이에 위치하는 지점이며, 제1인덕터 패턴(L1)과 제2인덕터 패턴(L2)의 중앙 지점일 수 있다.
제1단위 셀(UC1A)의 양단의 위상 차이가 0°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머지 단위 셀들(UC2 ~ UCN-1)도 제1단위 셀(UC1A)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나머지 비아들(VIA2 ~ VIAN)도 나머지 비아들(VIA2 ~ VIAN) 각각에 상응하는 단위 셀(UC2 ~ UCN-1)의 제1연결지점(CPOINT1) 또는 제2연결지점(CPOINT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단위 셀들(UC1 ~ UCN-1)이 하나의 평면(즉, 제2면(A2)에 구현된 CPW(Coplanar Waveguide) 전송선로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단위 셀들(UC1 ~ UCN-1)은 여러 평면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단위 셀들(UC1 ~ UCN-1)은 스트립(strip) 전송선로,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전송선로, 동축(coaxial) 전송선로, 평행판(parallel-plate) 전송선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는 도 3의 제1단위 셀(UC1)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단위 셀(UC1B)가 도시된다.
제1단위 셀(UC1B)은 커패시터 패턴들(CL 및 CR)과 인덕터 패턴들(LR 및 LL)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위 셀(UC1B)은 도 5와 같은 CRLH(Composite Right/Left Han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단위 셀(UC1B)은 양단 간에 물리적으로 d0의 길이를 갖지만, 양단의 위상 차이는 0°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머지 단위 셀들(UC2 ~ UCN-1)도 제1단위 셀(UC1B)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는 도 3의 제1단위 셀(UC1)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단위 셀(UC1C)이 도시된다.
제1단위 셀(UC1C)은 커패시터 패턴들(2C0), 인덕터 패턴들(L0), 및 전송선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위 셀(UC1C)은 도 6와 같은 T형 LCL(LC Loa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단위 셀(UC1C)은 양단 간에 물리적으로 d0의 길이를 갖지만, 양단의 위상 차이는 0°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머지 단위 셀들(UC2 ~ UCN-1)도 제1단위 셀(UC1C)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 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는 도 3의 제1단위 셀(UC1)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단위 셀(UC1D)이 도시된다.
제1단위 셀(UC1D)은 커패시터 패턴(C0), 인덕터 패턴들(2L0), 및 전송선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단위 셀(UC1D)은 도 7와 같은 Π형 LCL(LC Loa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단위 셀(UC1D)은 양단 간에 물리적으로 d0의 길이를 갖지만, 양단의 위상 차이는 0°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나머지 단위 셀들(UC2 ~ UCN-1)도 제1단위 셀(UC1D)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도 3의 각 단위 셀(UC1 ~ UCN-1)은 LH(Left Handed) 전송선로 구조 또는 CSRR(Complementary Split Ring Resonator) 구조를 이용한 전송선로(CSRR loaded transmission lin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MTM-TL)의 각 단위 셀(UC1 ~ UCN-1)은 복수의 서브 단위 셀들(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단위 셀(UC1 ~ UCN-1)은 2개 이상의 서브 단위 셀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단위 셀(UC1 ~ UCN-1)에 포함된 서브 단위 셀들의 갯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단위 셀은 양단의 위상 차이가 0°일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위 셀(UC1 ~ UCN-1)에 포함된 서브 단위 셀들의 갯수가 서로 다르더라도 이에 연결된 비아들(VIA1 ~ VIAN) 간에는 위상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단위 셀의 구조는 도 4 내지 도 7의 단위 셀(UC1A ~ UC1D)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PORT 1 : 입력 포트
PORT 2 ~ PORT N+1 : 출력 포트
TL1 ~ TLN : 전송선로
VIA1 ~ VIAN : 비아(via)
MTM-TL :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
UC1 ~ UCN-1 : 단위 셀

Claims (10)

  1. 제1면에 구현되며, 각각이 입력 포트와 복수의 출력 포트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송선로들;
    각각이 상기 복수의 출력 포트들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저항들; 및
    상기 복수의 저항들 각각과, 제2면에 구현되며 복수의 단위 셀들로 구성되는 메타머티리얼(metamaterial) 전송선로를 연결하는 복수의 비아들을 포함하는 전력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아들 각각은,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 연결되는 전력 분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아들 각각은,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인덕터 패턴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분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아들 각각은,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의 커패시터 패턴 사이에 연결되는 전력 분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은,
    CRLH(Composite Right/Left Han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되는 전력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은,
    LCL(LC Loaded) 전송선로 구조로 구현되는 전력 분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셀들 각각은,
    양단의 위상 차이가 0도인 전력 분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접지면이고,
    상기 메타머티리얼 전송선로는 상기 접지면의 접지 패턴과 이격되어 구현되는 전력 분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배기는 윌킨슨(Wilkinson) 전력 분배기인 전력 분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항들은,
    상기 제1면에 구현되는 전력 분배기.
KR1020150028039A 2015-02-27 2015-02-27 전력 분배기 KR10160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39A KR101602440B1 (ko) 2015-02-27 2015-02-27 전력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39A KR101602440B1 (ko) 2015-02-27 2015-02-27 전력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440B1 true KR101602440B1 (ko) 2016-03-15

Family

ID=55542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39A KR101602440B1 (ko) 2015-02-27 2015-02-27 전력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17898C1 (ru) * 2019-10-23 2020-03-26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еж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Развития" (ОАО "Меж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Развития") Широкополосный де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WO2020145586A1 (ko) * 2019-01-09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상 어레이 시스템을 위한 4방향 전력 분배기 및 결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501A (ja) * 1998-09-28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分配回路、電力合成回路
US20080258993A1 (en) * 2007-03-16 2008-10-23 Rayspan Corporation Metamaterial Antenna Arrays with Radiation Pattern Shaping and Beam Switching
KR101059485B1 (ko) * 2010-08-12 2011-08-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위상 전력 분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501A (ja) * 1998-09-28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力分配回路、電力合成回路
US20080258993A1 (en) * 2007-03-16 2008-10-23 Rayspan Corporation Metamaterial Antenna Arrays with Radiation Pattern Shaping and Beam Switching
KR101059485B1 (ko) * 2010-08-12 2011-08-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위상 전력 분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i Hoang Ta외 1인, "Compact Wilkinson Power Divider Based on Novel Via-less Composite Right/Left-handed (CRLH) Transmission Lines", IEEE, 2010년.*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586A1 (ko) * 2019-01-09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위상 어레이 시스템을 위한 4방향 전력 분배기 및 결합기
RU2717898C1 (ru) * 2019-10-23 2020-03-26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еж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Развития" (ОАО "Меж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Развития") Широкополосный делитель мощност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7164B2 (en) In-line filter having mutually compensating inductive and capactive coupling
TW201316606A (zh) M通道耦合器
US10535912B2 (en) Wideband gysel power divider
CN109066039B (zh) 一种新型的微带功分双工器
CN103022616A (zh) 基于低温共烧陶瓷技术的双频四路功率分配器
CN103700917A (zh) 具有高功分比的Gysel功分滤波器
CN104966881A (zh) 一种双频带平衡式功分器
CN104218297A (zh) 基于宽边耦合的多端口高隔离度平衡功分网络
US9178263B1 (en) Divider/combiner with bridging coupled section
KR101602440B1 (ko) 전력 분배기
Muralidharan et al. A compact low loss single-ended to two-way differential power divider/combiner
US20160276724A1 (en) Bandstop filters with minimum through-line length
CN108091973B (zh) 一种小型化宽带功分网络
US10903178B1 (en) Isolation network for multi-way power divider/combiners
KR101590907B1 (ko) 새로운 강 결합 방법을 이용한 방향성 결합기
US9325051B1 (en) Resonance-inhibiting transmission-line networks and junction
WO2023280083A1 (zh) 内层带状功分器电路及功分器系统
CN113224491B (zh) 一种基于非等宽三线耦合结构的小型化宽带四路滤波功分器
Xu et al. Design of wideband six‐and eight‐way Wilkinson planar power dividers using stepped impedance transformers
JP5010543B2 (ja) 可変共振器及び可変フィルタ
Zhou et al. A symmetrical two-way power divider with impedance transforming property
CN112886175A (zh) 一种具有最简结构的集总元件不等功分器及设计方法
Feng et al. Compact single-band planar crossover based on coupled lines
CN109428143B (zh) 基于180°理想反相器的三频平衡式耦合器
KR101633054B1 (ko) 광대역 특성을 갖는 소형 브랜치라인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