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628B1 - 쌍안경 - Google Patents

쌍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628B1
KR100286628B1 KR1019940007917A KR19940007917A KR100286628B1 KR 100286628 B1 KR100286628 B1 KR 100286628B1 KR 1019940007917 A KR1019940007917 A KR 1019940007917A KR 19940007917 A KR19940007917 A KR 19940007917A KR 100286628 B1 KR100286628 B1 KR 100286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member
objective lens
nail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또미쯔오
Original Assignee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시게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오노 시게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628B1/ko

Links

Landscapes

  • Telescopes (AREA)

Abstract

대물렌즈를 갖고 있는 광학계를 수납하는 본체에 있어서, 대물렌즈측에 대략 통모양의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물렌즈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접안렌즈에 가까운 위치에 계합부재가 형성되어져 있는 본체와, 본체의 대물렌즈측을 씌우는 제 1 덮개 부재이며, 본체의 대략 통모양의 단부에 끼워맞는 고리 모양의 단부와, 본체의 계합부재에 계합하는 계합부재가 형성되어져 있는 제 1 덮개 부재와, 본체의 접안렌즈측을 씌우는 제 2 덮개 부재로된 쌍안경.

Description

쌍안경
제1도는 실시예의 쌍안경을 도시하였으며 주요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상면도.
제2도는 제1도를 부분 확대한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 화살표로 본 덮개부재(2)의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덮개부재(2)를 제1도와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쌍안경을 도시한 상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 화살표 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1 : 본체 2, 52 : 덮개부재
3, 53 : 덮개부재 4 : 대물렌즈
5 : 접안렌즈 6 : 중심 노브
12 : 볼록부 22, 22a, 22b : 오목부
41 : 경통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본체가 2 개의 덮개부재로 씌어진 쌍안경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종래의 쌍안경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 5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쌍안경은 본체(51)를 대물렌즈쪽 덮개부재(52) 및 접안렌즈쪽 덮개부재(53)로 씌어져 있다. 덮개부재(52)에는 대물렌즈쪽에 고리 모양의 단부가 형성되며, 이 고리 모양의 단부는 본체(51)에 결합한다.
또한, 제 6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부재(52)의 접안 렌즈쪽의 단부에는 손톱 모양의 부재(52a)가 형성되고, 이 손톱 모양의 부재(52a)의 손톱 모양의 부분은 본체(51)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접안렌즈쪽 덮개부재(53)에는 이 손톱 모양의 부재(52a)에 결합하는 손톱 모양의 부재(53a)가 형성되어져 있다.
덮개부재(52)는 고리 모양의 단부를 본체(1)의 대물 렌즈 부분에 끼어맞추며, 또한 나사(54)에 의해 본체(51)에 고정된다. 또한 덮개부재(53)는 그 손톱 모양의 부재(53a)가 덮개부재(2)의 손톱모양의 부재(52a)에 바깥방향으로부터 눌러끼워진 상태로 결합함으로써 본체(51)에 설치된다.
제 7 도는 나사(54)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나사(54)는 덮개부재(2)의 표면으로부터 안쪽으로 덮개부재(52)를 고정하고 있다. 나사(54)의 상부측에는 나사 은폐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쌍안경은 나사를 표면에서 안보이게 하여 외관이 좋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대물렌즈쪽 덮개부재(52)를 본체(51)에 설치할 경우, 나사(54)를 필요로 한다. 또한 제 7 도의 쌍안경은 외관을 좋게하기 위하여 나사 은폐부재(55)를 설치해야 하고 부품의 수가 늘어나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 등이 외관상 드러나지 않는 등 디자인이 우수하고 부품수를 줄이며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쌍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쌍안경은 본체의 대물렌즈쪽의 형상이 대략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을 갖고 있으며, 또, 본체의 표면상에서 접안렌즈쪽 또한 대물렌즈쪽 덮개부재로 씌어진 위치에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 덮개부재에는 본체의 대략 고리모양 부분에 결합하는 고리모양 부분이 형성되며, 또한 본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결합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쌍안경은 본체에 대물렌즈쪽 덮개부재를 설치할 경우 대물렌즈쪽과 접안렌즈쪽에서도 본체와 덮개 부재등이 서로 결합하는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덮개부재는 대물렌즈쪽의 결합부분에서 쌍안경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 결정되어 대물렌즈쪽과 접안렌즈쪽과 협동해서 광축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띠라서, 대물렌즈측 덮개부재는 나사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시키기 않아도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련하는 실시예의 쌍안경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쌍안경은 좌우 한쌍이 되도록 대물렌즈, 접안렌즈를 포함한 광학계가 배치되고, 이것들의 광학계를 지지하는 경통 등의 부재도 좌우 한쌍을 이루고 있다. 쌍안경의 좌우 각각의 부재는 중심 노브(knob)(6)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략 면대칭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어느 한쪽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체(1)는 금속제이며,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대물렌즈(4)나 접안렌즈(5) 등의 복수의 광학부재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대물렌즈(4)쪽의 수지제의 덮개부재(2) 및 접안렌즈(5)쪽의 수지제의 덮개부재(3)로 씌어져 있다.
대물렌즈(4)는 경통(41)의 내측에 배치되고, 경통(4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물렌즈(4)는 이탈 방지링(42)이 경통(41)에 결합되므로써 경통(41) 안에 고정된다. 대물렌즈(4)는 이 경통(41)과 함께 본체(1)의 통모양으로 형성된 단부 부근에 고정된다. 본체(1)의 선단부(11)는 경통(41)과 같이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지, 선단부(11)는 완전한 통 모양이 아니고, 제 1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광축(0)상의 단면으로 보면 단면이 아닌 부분을 갖고 있다. 그 단면이 아닌 부분은 절취 부분이며 이 절취 부분의 위치는 중심 노브(6)가 위치하는 쌍안경의 중앙 쪽에 있다.
또한 본체(1)의 표면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볼록부(12)가 2 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2)의 각각은 본체(1) 위에 있고 대물렌즈(4) 보다 접안렌즈(5)에 가깝게 위치하며 또한 덮개부재(2)로 씌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2 개의 볼록부(12)는 구체적으로, 제 3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뒤에서 서술할 덮개부재(2)의 오목부(22a, 22b)와 결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 볼록부(12)의 접안렌즈(5)쪽의 측면(13)은 광축(0)과 수직으로 형성되고, 대물렌즈(4)쪽의 측면(14)은 테이퍼(Taper) 형태로 형성되어져 있다.
덮개부재(2)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1)의 선단부(11)에 밀착할 수 있도록 끼워맞추는 고리 모양의 단부(21)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부재(2)는 본체(1) 위의 2 개의 볼록부(12)에 결합하는 2 개의 오목부(22)(22a, 22b)가 비교적 접안렌즈쪽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도는 제 1 도의 A 화살표에서 본 덮개부재(2)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덮개부재(2)는 제 3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있다. 이 절취부분은 중심 노브(6) 및 이 주변의 부재를 피하기 위해 있다. 제 3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두개의 오목부(22a, 22b)는 덮개부재(2)의 절취부분의 단부(24)에 가깝게 형성되어져 있다. 단부(24) 부근은 덮개부재(2) 중에서 비교적 탄성 변형이 되기 쉽다. 따라서, 덮개부재(2)를 본체(1)에 장착할 경우, 단부(24)가 변형됨으로써 본체(1)의 2 개의 볼록부(12)가 방해받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2 개의 오목부(22a, 22b)는 제 1 도의 A 화살표선으로 명시한 광축(0)과 직교하는 평면안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는 본체(1)의 2 개의 볼록부(12)와 대응하는 위치이며, 본체(1)에 덮개부재(2)를 씌웠을 때, 본체(1)의 2 개의 볼록부는 덮개 부재(2)의 오목부(22a, 22b)와 결합한다.
또한, 덮개부재(2)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손톱모양의 부재(23)가 3 개 형성되어 있다. 손톱 모양의 부재(23a, 23b, 23c)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부재(2)와 접안렌즈쪽 덮개부재(3)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제 4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부재(2)의 바깥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손톱 모양의 부재(23a, 23b, 23c)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부재(2)의 접안렌즈쪽의 단부로부터 접안 렌즈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손톱모양의 부재(23)의 손톱 모양부분은 본체(1)에 대하여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안렌즈쪽 덮개부재(3)에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덮개부재(2)의 손톱모양의 부재(23)에 결합하는 손톱 모양의 부재(31)가 3개 형성되어 있다. 손톱 모양의 부재(31)의 손톱모양 부분은 손톱모양의 부재(23)와 결합하도록 본체(1)에 대하여 안쪽 방향으로 돌출해 있다. 덮개부재(3)는 접안렌즈(5)쪽으로부터 본체(1)에 씌어지며 손톱모양의 부재(31)와 손톱모양의 부재(23)등이 결합함으로써 고정된다.
다음으로, 대물렌즈쪽 덮개부재(2) 및 접압렌즈쪽 덮개부재(3)의 부착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덮개부재(2)의 절취부분(24)을 잡고, 그 절취 부분(24)의 간격을 넓어지게 하면서 덮개부재(2)를 대물렌즈쪽으로부터 본체(1)에 씌우고 본체(1)의 통모양 단부(11)에 덮개부재(2)의 고리모양 단부(21)를 끼워맞춘다. 이때, 덮개부재(2)의 절취부분(24)의 간격이 넓혀졌기 때문에, 이 덮개부재(2)의 절취부분(24)에 대응하는 위치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1)의 2 개의 볼록부(12)는 덮개부재(2)에 거의 접하는일이 없다. 또한, 본체(1)의 볼록부(12)는 대물렌즈쪽의 측면(14)의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1)의 볼록부(12)가 덮개부재(2)에 접한 경우 이 볼록부(12)의 테이퍼면(14)에 의해 덮개 부재(2)는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재(2)는 본체(1)에 장착하기 쉽다. 계속해서 덮개부재(2)의 절취부분(24)를 분리하고, 덮개부재(2)의 2 개의 오목부(22)(22a, 22b)를 본체(1)의 3 개의 볼록부(12)에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재(2)는 덮개부재(2)의 고리모양 단부(21)와 본체(1)의 통모양 단부(11)를 끼워맞추므로써 광축(0)에 직교하는 방향과, 광축(0)의 방향으로 또한 접안 렌즈(5)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덮개부재(2)는 덮개부재(2)의 오목부(22)와 본체(1)의 볼록부(12)의 끼워맞춤에 의해 광축(0)의 방향으로 또한 대물렌즈(4)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덮개부재(2)는 이와 같이 통모양 단부(11)와 복수의 볼록부(12)에 의해 위치 결정되도록 본체(1)에 고정된다.
본체(1)에 덮개부재(2)를 장착후 덮개부재(3)를 접안 렌즈쪽으로부터 본체(1)에 장착한다. 이때, 덮개부재(3)는 덮개부재(2)의 손톱 모양의 부재(23)를 위에서부터 눌러낄 수 있도록 손톱모양의 부재(31)를 손톱모양의 부재(23)에 결합시킨다. 덮개부재(3)를 덮개부재(2)와 일체로 함으로써 본체(1)에 고정된다. 또한 이것에 의해서 덮개부재(3)가 손톱모양의 부재(31, 23)를 거쳐서 덮개부재(2)의 접안렌즈쪽 본체(1)에 눌러끼우기 때문에, 덮개부재(2)의 단부(24) 부근에서 덮개부재(2)가 본체(1)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덮개부재(2)가 본체(1)로부터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덮개부재(2)와 덮개부재(3)를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부재(3)를 고정함과 함께 덮개부재(2)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보다 강하게 규제하고 있다.
이상의 실시예의 쌍안경은 본체(1)의 볼록부(12)와 덮개부재(2)의 오목부(22) 및 덮개부재(2)의 손톱모양의 부재(23)와 덮개부재(3)의 손톱모양의 부재(31) 등을 이용하여 덮개부재(2)와 덮개부재(3)를 본체(1)에 장착하고, 나사 등 나사 은폐 부재 등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적게 마무리되며, 그렇게 해서 조립 공정수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의 쌍안경은 덮개부재(2)의 표면에 나사가 나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 은폐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덮개부재(2)를 비교적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에 형성된 2 개의 볼록부는 덮개부재(2)의 광축(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도 충분히 규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쌍안경은 덮개부재(2)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본체(1)에 볼록부를 형성했지만, 본 발명은 덮개부재(2)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본체(1)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본체(1)의 오목부에 테이퍼면을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덮개부재(2)의 접안렌즈쪽에 테이퍼면을 형성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실시예는 본체(1)의 볼록부 또는 덮개부재(2)의 오목부를 독립해서 형성했지만, 본 발명은 볼록부, 오목부를 고리 모양이 되도록 본체(1)의 주변에 연속적으로 형성해도 좋다

Claims (5)

  1. 대물렌즈쪽에 대략 통모양의 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대물렌즈와 대향하도록 설치된 접안렌즈의 근접 위치에 결합 부재가 형성되어져 있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를 수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대략 통모양의 단부에 끼워 맞추는 고리 모양의 단부와, 상기 본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결합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본체의 대물렌즈쪽을 씌우는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본체의 접압 렌즈쪽을 씌우는 제 2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쌍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볼록부는 대물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대물렌즈쪽의 측면이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된 쌍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쌍안경의 본체는 좌우 한쌍을 이루는 2 개의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본체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는 2 개의 본체를 접속하는 접속 부분의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 부재는 상기 한쌍의 본체 각각을 위해 2 개의 덮개 부재를 가지며, 각각의 덮개 부재는 2 개의 본체에 접속하는 접속 부분에 절취 부분을 갖고, 상기 절취 부분의 근방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한 쌍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 부재와 상기 제 2 덮개 부재는 서로 접속하는 손톱 모양의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쌍안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 부재의 손톱 모양의 부재는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톱 모양의 부재의 선단은 상기 본체로부터 밖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덮개 부재의 손톱 모양의 부재는 상기 제 1 덮개 부재의 손톱 모양의 부재를 본체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제 1 덮개 부재의 손톱 모양의 부재와 결합하는 쌍안경.
KR1019940007917A 1993-04-15 1994-04-15 쌍안경 KR100286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3019325U JP2601345Y2 (ja) 1993-04-15 1993-04-15 双眼鏡
JP93-19325 1993-04-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6628B1 true KR100286628B1 (ko) 2001-04-16

Family

ID=1199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917A KR100286628B1 (ko) 1993-04-15 1994-04-15 쌍안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601345Y2 (ko)
KR (1) KR100286628B1 (ko)
TW (1) TW32513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4332B2 (ja) * 2004-11-17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01345Y2 (ja) 1999-11-15
JPH0678919U (ja) 1994-11-04
TW325135U (en) 199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502Y1 (ko) 볼 조인트
JP3518695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D349468S (en) Combined wrist watch band and remote watch controls
US4205894A (en) Hermetically sealed binoculars
CA2267453A1 (en) Fluid coupling
US5896589A (en) Swimming goggle frame with deformation prevention
KR100286628B1 (ko) 쌍안경
US20090046369A1 (en) Eyecup
US20050238295A1 (en) Optical assembly with a sleeve assembly comprising a resin cover and a metal holder easily fitted thereto
US4197698A (en) Fluid-tight watch case
JPH019924Y2 (ko)
USD386435S (en) Bezel ring for a watch
US11547607B2 (en) Goggle and angle adjustment mechanism thereof
US20010055163A1 (en) Eye cup moving mechanism of optical device
WO1995007059A3 (en) Intraocular lens with a radiused transition region
GB2129280A (en) Watchband attachment structure
US20230253769A1 (en) Jig
US20240117657A1 (en) Vehicle hood stay support structure
JPH0337403U (ko)
JP3375418B2 (ja) 光学機器の接眼レンズユニット
JPH0966024A (ja) 電子内視鏡用コネクタ装置
KR100316678B1 (ko) 쌍안경
JPH11305075A (ja) 光レセプタクル
JPH0287205U (ko)
JPS58184921A (ja) 内視鏡のカバ−ガラス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