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6264B1 -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 Google Patents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6264B1
KR100286264B1 KR1019990001418A KR19990001418A KR100286264B1 KR 100286264 B1 KR100286264 B1 KR 100286264B1 KR 1019990001418 A KR1019990001418 A KR 1019990001418A KR 19990001418 A KR19990001418 A KR 19990001418A KR 100286264 B1 KR100286264 B1 KR 10028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mirror
photosensitive drum
laser
micromirror array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1138A (ko
Inventor
최민호
유재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62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1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6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4Details of the optical system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polygonal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구조의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감광드럼에 결상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구조의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감광드럼에 결상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에 따라 분산광(Diverging Beam)을 출사하는 레이저광원(Laser Source); 상기 분산광을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평행광을 감광드럼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로 구성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상기 평행광을 상기 감광드럼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 인쇄할 화상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의 제어 정보와 상기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신호 제어부; 상기 비디오 신호를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 스캐닝 수단은 그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며 f.θ렌즈 및 폴리곤미러와 폴리곤미러 구동용 모터가 필요 없으므로 재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고속의 프린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열로 구성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이용한다면 고해상도의 레이저프린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Laser Scanning Unit}
본 발명은 레이저프린터의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구조의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감광드럼에 결상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프린터는 비디오신호에 의해 레이저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빔을 감광드럼에 결상시키고, 감광드럼에 형성되는 잠상을 종이 등의 상기록체에 전사함으로써 화상이미지를 재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레이저프린터에서 레이저빔을 발생시켜 그 빔을 감광드럼 상에 결상시키는 종래의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는 레이저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저빔을 출사시키는 레이저 다이오드(100)와, 레이저 다이오드(100)에서 출사되는 분산광(Diverging Beam)을 광축에 대해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콜리메이터렌즈(Collimator Lens: 101)와, 콜리메이터렌즈(101)를 통과한 평행광을 주사 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의 선형광으로 만들어 주는 원통형렌즈(Cylindrical Lens : 102)와, 원통형렌즈(102)를 통한 수평방향의 선형광을 등선속으로 이동시켜 스캐닝하는 폴리곤미러(103)와, 폴리곤미러(103)를 등속도로 회전시키는 폴리곤미러 구동용 모터(104)와, 광축에 대해 일정한 굴절률을 가지며 폴리곤미러(103)에서 반사된 등속도의 광을 주 스캐닝 방향으로 편광시켜주고 수차를 보정하여 감광드럼 상에 초점을 맞추는 f.θ렌즈(105)와, f.θ렌즈(105)를 통한 레이저빔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켜 결상 면인 감광드럼(107)의 표면에 점상으로 결상시키는 결상용 반사미러(106)와, f.θ렌즈(105)를 통한 레이저빔을 수평방향으로 반사시켜주는 수평동기미러(108)와, 수평동기미러(108)에서 반사된 레이저빔을 수광하여 동기를 맞추어 주기 위한 광센서(109)로 구성된다.
광센서(109)는 레이저빔의 주사 시작점과 끝점을 일치시키기 위해 한 라인의 주사 시작을 감지하여 신호처리기에 알려주어 신호처리기가 항상 정확한 시간에 레이저빔을 변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f.θ렌즈(105)는 폴리곤미러(103)에서 등선속으로 굴절된 레이저빔을 집속하여 편광시키는 구면수차 보정용 구면렌즈(105a)와 구면수차 보정용 구면렌즈(105a)를 통해 구면수차가 보정된 레이저빔을 일정한 굴절률을 갖고 주 스캐닝방향으로 편광시켜 주는 토릭렌즈(toric lens : 105b)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에서 특히 f.θ렌즈(105)는 이미 일반적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을 감광드럼(107)상에 결상시키며 또한 화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드럼(107)면에 결상된 레이저빔을 등속으로 주사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상도 및 스캐닝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f.θ렌즈는 레이저프린터의 해상도가 고해상도일수록 그 구성이 복잡해지며 렌즈를 구성하는 매수도 증가하게 된다.
최근에는 재료비의 절감 및 조립의 단순성을 위해 비구면 등의 복잡한 면을 갖는 적은 수의 렌즈로 f.θ렌즈를 구성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특허공보 5,631,763에서는 한 면이 토릭(toric)형상을 갖는 두매의 렌즈로 f.θ렌즈를 구성하고 있으며 미국특허공보 5,640,265에서는 비구면렌즈 한매와 원통형렌즈 한매로 이루어지는 두매의 f.θ렌즈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94-032729에서는 양면이 비구면으로 된 한매의 렌즈로 f.θ렌즈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에서 f.θ렌즈는 면구성이 간단할수록 렌즈의 매수가 증가하게 되어 재료비의 증가 및 조립, 조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렌즈 1 내지 2매의 정도(精度)로 f.θ렌즈를 구성할 경우 그 면의 형상이 복잡해져 고정도(高精度)의 설계기술과 정밀가공 기술이 요구되므로 제작상의 난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폴리곤미러(103)의 경우 그 면의 가공 정도(精度) 및 면과 면사이의 기울기 오차 등이 기기의 성능을 좌우하므로 우수한 품질의 미러를 만들기 위해 재료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곤미러(103)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고성능의 구동용 모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레이저 스캔닝 유니트는 그 구성이 복잡하고 재료비가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순구조의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이용하여 레이저빔을 감광드럼에 결상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를 나타내는 구조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를 통한 레이저빔의 결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빔의 라인결상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의 레이저빔 반사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201 : 레이저 다이오드202 : 콜리메이터렌즈
203 :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203b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4 :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
205 : 감광드럼206 : 비디오신호 제어부
206a : 오드신호라인206b : 이븐신호라인
207 : 동기신호 검출센서301 : 마이크로미러 유니트
302 : 마이크로미러 303 : 지지부
304 : 전극305 : 힌지
306 : 기판800 : 평행광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신호에 따라 분산광(Diverging Beam)을 출사하는 레이저광원(Laser Source); 상기 분산광을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평행광을 감광드럼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로 구성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상기 평행광을 상기 감광드럼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 인쇄할 화상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의 제어 정보와 상기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신호 제어부; 상기 비디오 신호를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는 상기 평행광을 입사받아 상기 감광드럼에 반사시키는 마이크로미러; 상기 마이크로미러를 상기 마이크로미러 유니트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마이크로미러를 상기 지지부와 연결하며 마이크로미러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힌지; 상기 마이크로미러를 회전시키도록 정전기력을 발생시키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미러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했을 때 상기 감광드럼 상에 투영된 면적이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타원형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행광의 단면적은 일정 각도로 편향된 상기 마이크로미러의 단면적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서로 교차되게 2열 이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상기 비디오신호 중 오드(odd)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상기 비디오신호 중 이븐(even)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와 상기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한 라인 이상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디오신호 제어부는 상기 인쇄할 화상이미지의 한 라인을 오드(odd)부분과 이븐(even)부분으로 나누어 상기 오드(odd)신호와 상기 이븐(even)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의 라인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행광의 단면적은 일정 각도로 편향된 상기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와 상기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구성하는 2열의 마이크로미러의 단면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상기 감광드럼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평행광이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사이를 상기 감광드럼 회전축과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디오신호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광원(Laser Source)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이저광원(Laser Source)은 레이저 다이오드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에 따라 분산광(Diverging Beam)을 출사하는 레이저광원(Laser Source)인 레이저 다이오드(201)와, 분산광을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콜리메이터렌즈(202)와, 평행광을 감광드럼(205)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로 구성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와, 평행광을 감광드럼(205)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204)와, 인쇄할 화상이미지에 대응하여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의 제어 정보와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신호 제어부(206)와, 비디오 신호를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센서(207)를 포함한다.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를 구성하는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미러(302)는 콜리메이터렌즈(202)를 통과하여 생성된 평형광을 입사받아 감광드럼(205)에 반사시킨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미러(302)는 힌지(305)에 의해 지지부(303)와 연결되며 마이크로미러(302)의 양측 하부에는 전극(304)이 배치된다. 상기의 마이크로미러 구조물은 실리콘 등의 기판(306) 위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되게 2열(203a, 203b)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205)의 회전축과 평행한 평면상에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이저 다이오드(201)에서 출사되어 콜리메이터렌즈(202)를 통과한 평행광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와 평행하게 진행한다.
한편, 비디오신호제어부(206)로부터 전달되는 비디오신호는 오드신호라인(206a)을 통해 전달되는 오드 신호와 이븐신호라인(206b)을 통해 전달하는 이븐 신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201)에서 출사된 레이저빔은 콜리메이터렌즈(202)에 의해 평행광으로 변화된 뒤 감광드럼(205)과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 사이를 감광드럼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진행한다.
한편, 한 라인의 비디오신호는 비디오신호 제어부(206)로부터 오드신호(odd signal)와 이븐신호(even signal)로 분리되어 각각 오드신호라인(206a)과 이븐신호라인(206b)을 통해 마이크로미러 제어부(204)로 입력된다.
마이크로미러 제어부(204)는 오드 신호 및 이븐 신호에 따라 각각 마이크로어레이(203)에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어드레스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어드레스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를 동작시킨다. 즉,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어드레스 제어신호는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내의 마이크로미러(302)와 전극(304)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며 이 전위차로 인해 마이크로미러(302)는 정전기력을 받게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05)를 축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마이크로미러(302)가 회전하게 되면, 감광드럼(205)과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 사이를 감광드럼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진행하던 레이저빔은 마이크로미러(302)에서 반사된 후 감광드럼(205)으로 입사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감광드럼(205) 상에 비디오신호제어부(206)에서 제공된 화상이미지에 대응하는 잠상이 형성된다.
그후, 마이크로미러(302)와 전극(304) 사이의 전위차가 해소되면 힌지의 복원력에 의해 마이크로미러(302)는 초기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동기검출센서(207)와 대향지게 배치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 내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는 레이저 프린터의 스캔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주파수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20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온(on)/오프(off) 동작을 반복하여, 온(on) 상태에는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내의 마이크로미러(302)를 회전시켜 레이저빔을 동기검출센서(207)로 반사시킨다.
동기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이 신호는 비디오신호 제어부(206)로 전달되고 비디오 제어부(206)는 레이저 다이오드(201)를 오프(off)시키고 한편으로 한 라인의 화상 이미지신호를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204)로 전송시킨다.
감광드럼(205)상에 한 라인의 잠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디오신호 제어부(206)는 화상이미지 데이터가 온(on) 상태이면 레이저 다이오드(201)를 온(on)시키며 동시에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204)로 한 라인에 대한 이븐 신호(even signal) 또는 오드 신호(odd signal)를 전송한다.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204)는 비디오신호 제어부(206)로부터 전송받은 이븐 신호 또는 오드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이 신호에 의해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를 동작시켜 레이저빔을 감광드럼(205)으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비디오 신호는 소정의 한 도트 스캔 시간 동안 유지되며 이 스캔 시간이 경과하면 마이크로미러(302)는 힌지(303)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때 레이저 다이오드(201)도 오프(off)된다. 즉, 레이저 다이오드(201)는 그 온/오프가 비디오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 내의 임의의 한 마이크로미러 유니트에 온(on)신호가 가해지면 레이저 다이오드도 온(on)이 된다.
상기 과정은 한 라인의 화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제 1 화소부터 마지막 화소까지 순차적으로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신호가 온(on) 상태이면 레이저 다이오드(201)가 발광을 하게되고 동시에 마이크로미러(302)가 회전하여 레이저빔을 반사시킴에 의해 감광드럼(205) 상에 이미지 잠상을 형성시키지만 이미지신호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마이크로미러(302)는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고 감광드럼(205)상에는 아무런 잠상도 형성시키지 않는다.
마지막 화소까지 상기의 과정이 반복되고 나면 다음 동기 신호의 검출을 위해 비디오신호 제어부(206)는 레이저 다이오드(201)를 온(on)시키며 감광드럼(205)은 다음 라인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를 통해 한 라인을 감광드럼(205)에 스캔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감광드럼(205)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배치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 203b)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감광드럼(205)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수직하방으로 만나게 되는 첫 번째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 두 번째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b)라 칭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한 라인의 화상이미지 데이터량은 기기의 해상도에 의해 정해지며, 한 라인의 화상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비디오신호는 비디오신호 제어부(206)로부터 오드신호(odd signal)와 이븐신호(even signal)로 분리되어 각각 오드신호라인(206a)과 이븐신호라인(206b)을 통해 마이크로미러 제어부(204)로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드신호는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 내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를, 그리고 이븐 신호는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b) 내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를 제어한다.
도 7과 도 8은 감광드럼(205)에 한 라인의 화상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에서 7a는 오드신호에 의해 감광드럼(205)상에 형성되는 잠상이며, 7b는 이븐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잠상이다. 7c는 이러한 오드신호 및 이븐신호에 의해 형성된 한 라인의 잠상을 나타낸다.
이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205)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광드럼(205)상의 한 표면(205a)이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의 수직상부(205b)에 도달하면 오드신호에 대응하여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가 동작한다. 즉, 첫 번째 화상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비디오신호가 온(on) 상태이면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내의 전극(34)에 전류가 흘러 마이크로미러(302)는 전위차로 인한 정전기력을 받게 되며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감광드럼(205)상의 한 표면(205b)에 레이저빔을 반사시켜 잠상을 형성한다.
그후 마이크로미러(301)와 전극(304) 사이의 전위차가 해소되면 힌지(305)의 복원력에 의해 마이크로미러(301)는 초기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과정은 한 라인의 오드(odd)부분의 화상이미지에 대응하여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의 첫 번째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로부터 마지막 마이크로미러 유니트(301)까지 동일하게 반복된다.
다음으로 감광드럼(205)이 계속 회전하여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b)의 수직상부(205c)에 도달하면 전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이븐신호에 의한 감광드럼(205) 상의 한 표면(205c)에 잠상이 형성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오드신호에 의한 잠상이 형성된 후 이븐신호에 의한 잠상이 형성되기 전, 감광드럼(205)의 회전 속도 및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a)와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203b) 간격에 따라 여러 라인의 오드신호에 대한 잠상이 선행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한 라인의 화상이미지 잠상(205d)은 이미 일반화된 레이저프린터에서와 같이 종이 등의 매개체에 전사되어 프린팅 과정이 진행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렌즈(202)에 의해 평행광으로 형성되어 마이크로미러(302)로 입사하는 평행광(800)의 단면적은 소정의 각도로 편향된 마이크로미러(302a)의 단면적보다 크게 입사하며 마이크로미러(302a)에서 반사되어 감광드럼(205)으로 입사하는 레이저빔의 단면적(401)의 크기는 레이저프린터의 해상도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미러(302)는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단면적의 크기는 감광드럼(205)에 투영된 레이저빔의 면적이 레이저프린터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2열로 구성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 마이크로미러로 입사하는 평행광(800)의 단멱적의 크기는 도 8에서와 같이 2열의 마이크로미러의 단면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 스캐닝 수단은 그 구조 및 동작이 간단하며 f.θ렌즈 및 폴리곤미러와 폴리곤미러 구동용 모터가 필요 없으므로 재료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며, 고속의 프린터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 열로 구성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이용한다면 고해상도의 레이저프린터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2)

  1. 비디오신호에 따라 분산광(Diverging Beam)을 출사하는 레이저광원(Laser Source);
    상기 분산광을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콜리메이터렌즈;
    상기 평행광을 감광드럼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는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로 구성된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상기 평행광을 상기 감광드럼상의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를 제어하는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제어부;
    인쇄할 화상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미러 유니트의 제어 정보와 상기 비디오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신호 제어부;
    상기 비디오 신호를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러 유니트는,
    상기 평행광을 입사 받아 상기 감광드럼에 반사시키는 마이크로미러;
    상기 마이크로미러를 상기 마이크로미러 유니트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마이크로미러를 상기 지지부와 연결하며 상기 마이크로미러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힌지;
    상기 마이크로미러를 회전시키도록 정전기력을 발생시키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러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했을 때 상기 감광드럼 상에 투영된 면적이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광의 단면적은,
    일정 각도로 편향된 상기 마이크로미러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서로 교차되게 2열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상기 비디오신호 중 오드(odd)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제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상기 비디오신호 중 이븐(even)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는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와 상기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한 라인 이상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신호 제어부는,
    상기 인쇄할 화상이미지의 한 라인을 오드(odd)부분과 이븐(even)부분으로 나누어 상기 오드(odd)신호와 상기 이븐(even) 신호를 발생하여 하나의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9.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광의 단면적은,
    일정 각도로 편향된 상기 1 마이크로미러 어레이와 상기 제 2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를 구성하는 2열의 마이크로미러의 단면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는,
    상기 감광드럼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평행광이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마이크로미러 어레이 사이를 상기 감광드럼 회전축과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신호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광원(Laser Source)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광원(Laser Source)은,
    레이저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1019990001418A 1999-01-19 1999-01-19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10028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418A KR100286264B1 (ko) 1999-01-19 1999-01-19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418A KR100286264B1 (ko) 1999-01-19 1999-01-19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138A KR20000051138A (ko) 2000-08-16
KR100286264B1 true KR100286264B1 (ko) 2001-03-15

Family

ID=1957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418A KR100286264B1 (ko) 1999-01-19 1999-01-19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62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138A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5163B2 (en) Laser scanning unit
US8125700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KR100477495B1 (ko) 광-주사 광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이미지-형성 장치
US7813021B2 (en) Light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scanning apparatus
KR100286264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100460987B1 (ko) 레이저 프린터의 레이저 스캐닝장치
KR100318736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JP4425505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28672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JP2003341131A (ja) 画像形成装置
US8625146B2 (en) Laser oscillating mirror support for color printer
KR100338069B1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JP2003307690A (ja) 光走査装置のビーム位置調整方法及びビーム位置調整装置
KR20000026440A (ko)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
KR100419219B1 (ko) 프린터 및 그의 스캐닝장치
JPH1017532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静電潜像形態調整方法
JP2004109782A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4006602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43391B1 (ko) 화상형성장치의 광주사장치
JP2003322821A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3061567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走査方法
JP2007171558A (ja) 光走査装置
JPH10161051A (ja) 光走査装置
JP2003326760A (ja) 画像形成装置
JPH0631979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