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910B1 - 에스컬레이터에서사용하는휠체어운반기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에서사용하는휠체어운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910B1
KR100284910B1 KR1019970065056A KR19970065056A KR100284910B1 KR 100284910 B1 KR100284910 B1 KR 100284910B1 KR 1019970065056 A KR1019970065056 A KR 1019970065056A KR 19970065056 A KR19970065056 A KR 19970065056A KR 100284910 B1 KR100284910 B1 KR 10028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wheelchair
transporter
mounting structure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661A (ko
Inventor
린타로 미사와
Original Assignee
린타로 미사와
가부시키가이샤 산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263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676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263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57630A/ja
Application filed by 린타로 미사와, 가부시키가이샤 산와 filed Critical 린타로 미사와
Publication of KR1998006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66B31/006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for conveying hand carts, e.g. shopping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10Stair climbing chair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 휠체어 운반기는 운반기 본체, 각각 에스컬레이터 계단의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쌍의 앞바퀴, 및 한쌍의 뒷바퀴, 휠체어를 장착하는 장착 구조물, 장착 구조물의 일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장착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신장/수축장치를 구비한다.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의 발광/광검출장치 및 휠체어 운반기 상에 설치되어 제1 내지 제4발광/광검출장치 중 한개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반사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에서 사용하는 휠체어 운반기 및 에스컬레이터상에서 휠체어 운반기를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사용하는 휠체어 운반기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 운반기를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지사회의 발전과 함께, 휠체어를 계단 위 또는 아래로 운반시키기 위해 기차역 또는 학교 건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휠체어 운반기가 제안되며 생산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어느 누구도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할 수 있는 휠체어 운반기를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는 생각하지 못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개평 제7-125964호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휠체어를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 장치를 제안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 에스컬레이터 장치(100)는 입구(102), 출구(104) 및 끝없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계단(110)을 포함한다. 입구(102)에 설치된 조작장치(106) 및 출구(104)에 설치된 또다른 조작장치(108)도 존재한다.
에스컬레이터 장치(100)가 휠체어를 운반하도록 사용될 경우, 조작장치(106) 또는 조작장치(108)는 휠체어가 그 위에 장착될 수 있도록 두개의 인접하는 계단(110,110)이 한개의 큰 계단으로 합쳐지도록 작동한다. 반면에, 에스컬레이터 장치(100)가 일반적인 승객을 운반하도록 사용될 경우, 한 조각의 계단이 원래의 두개의 계단(110,110)으로 다시 바뀔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에스컬레이터 장치(100)에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에스컬레이터가 휠체어를 운반하도록 사용될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조작상태가 휠체어 운반 모드로 바뀌어야 하며, 이로 인해 일반 승객의 운반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야 한다.
휠체어의 운반이 끝난 후, 조작모드는 다시 일반 승객용 모드로 바뀌어서 일반 승객의 운반을 재개하여야 한다. 결국, 일반 승객을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일상적인 사용을 장시간동안 정지시켜야 하며, 이것은 그러한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일상적인 사용을 매우 불편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데 특히 적당하며, 휠체어가 에스컬레이터에서 안전하고 부드럽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휠체어 운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반 승객을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일반적인 사용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필요없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 운반기를 운반하여, 휠체어를 운반할 경우 종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느껴졌던 불편함을 제거한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휠체어 운반기의 측면도.
도 1b는 도 1a의 휠체어 운반기의 상면도.
도 2a는 도 1a의 휠체어 운반기의 전면도.
도 2b는 도 1a의 휠체어 운반기의 후면도.
도 3a는 도 1a의 휠체어 운반기에서 사용되는 장착 구조물의 저면도.
도 3b는 도 3a의 장착 구조물의 측면도.
도 3c는 도 3a의 장착 구조물의 전면도.
도 4a∼4h는 도 1a의 휠체어 운반기에서 사용되는 장착 구조물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지시 전기회로.
도 5는 본 발명의 휠체어 운반기가 장착될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휠체어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 장치 상에 장착되며 그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휠체어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 장치 상에서 정지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실시예1의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실시예2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실시예3의 전개도.
도 11은 휠체어를 운반하는 종래 에스컬레이터 장치의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휠체어 운반기 2 : 본체
3 : 앞바퀴 4 : 뒷바퀴
5 : 장착 구조물 7 : 전기 실린더
8 : 광반사판
본 발명에 따라,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 휠체어 운반기가 제공되며, 상기 운반기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세로가 두개 이상의 계단상으로 뻗어있는 운반기 본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쌍의 앞바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저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쌍의 뒷바퀴, 휠체어를 장착하며, 회전축에 의해 운반기 본체상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장착 구조물, 장착 구조물의 일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장착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신장/수축장치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앞바퀴 및 뒷바퀴는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리도록 실행하도록 조절되며, 운반기가 경사위치에서 에스컬레이터 상에 장착될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으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운반기 본체는 경사위치에서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상에 장착될 경우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모서리에 의해 지지되도록 조절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장착 구조물이 수직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넓이까지 회전하도록 조절되어 장착 구조물의 저부가 수평선을 초과하여 상향으로 회전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운반기 본체의 저부면은 에스컬레이터의 계단과 적당하게 맞물리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외부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물질에 의해 피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태양에 따르면, 운반기 본체는 바닥쪽에 한개 이상의 스토퍼를 가지며, 스토퍼는 모서리 근처의 계단에서 맞물리도록 조절되어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앞바퀴 각각은 회전가능한 축에 의해 지지되는 캐스터이며, 이것은 캐스터를 일직선으로 전진하는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감겨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장착 구조물은 장착 구조물의 기울기 양에 해당하는 신장/수축장치를 스위치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조절되는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다. 특히, 기울기 센서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 및 제2기울기 감지소자를 포함하며, 각 기울기 감지 소자는 유동성 전기 도전재료 및 한쌍의 전기 도전 단자를 포함하는 관상형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는 장착 구조물 상에서 수평선과 각도 α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지며, 각도 α는 바람직하게 7°∼9°이다. 또한, 제2기울기 감지소자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의 연장선과 각도 β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지며, 각도 β는 바람직하게 7°∼9°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 운반기를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가 또한 제공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입구에 설치된 제1발광/광검출수단, 수평면이 에스컬레이터 상의 경사면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발광/광검출수단, 경사면이 에스컬레이터의 또다른 수평면을 통과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3발광/광검출수단, 에스컬레이터의 출구에 설치되는 제4발광/광검출수단, 휠체어 운반기 상에 설치되어 제1 내지 제4발광/광검출수단 중 한개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키는 광반사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제1발광/광검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광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제1발광/광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속도가 정상 속도에서 감소된 속도로 감속되며, 제2발광/광검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광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제2발광/광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속도가 감소된 속도로부터 정상속도로 가속되며, 제3발광/광검출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광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제3발광/광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속도가 정상 속도로부터 감소된 속도로 감속되며, 제4발광/광검출수단에 의해 방출된 빛은 광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제4발광/광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는 감소된 속도로부터 정상속도로 가속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발광/광검출수단은 에스컬레이터의 우측 또는 좌측의 벽에 놓이며, 광반사수단은 휠체어 운반기의 우측 또는 좌측에 놓인다.
또한, 에스컬레이터 입구의 제1발광/광검출수단은 수동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1발광/광검출수단은 에스컬레이터 입구의 저부면에 배치되며, 제4발광/광검출수단은 에스컬레이터 출구의 저부면에 배치되며, 광반사수단은 휠체어 운반기의 저부에 배치된다. 특히, 제1발광/광검출수단은 에스컬레이터 상에 휠체어 운반기가 들어오는 것을 검출하도록 사용되며, 제4발광/광검출수단은 에스컬레이터로부터 휠체어 운반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검출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기재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휠체어 운반기(1)는 본체(2), 한쌍의 앞바퀴(3,3), 한쌍의 뒷바퀴(4,4), 본체(2)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장착 구조물(5), 장착 구조물(5)의 일단에 연결된 전기 실린더(7), 본체(2)의 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광반사판(8,8)을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본체(2)는 운반기의 대향측부에 설치된 한쌍의 긴 측부 프레임부재(21,21), 긴 측부 프레임부재(21,21) 상에 세워지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부재(22,22), 수직 프레임부재(22,22) 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부재(23,23), 측면 프레임부재(23,23) 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부재(24,24)를 구비한다.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판부재(25,25)는 사이에 공간(25a:도면에서 25a)을 가지며 운반기 본체(2)의 전방 측부에 설치된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고무 또는 수지로 만들어진 긴 탄성부재(26:도 1a)가 각각의 세로측 프레임 부재(21)의 하단을 따라 부착된다.
각각의 긴 탄성부재(26)는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계단과 적당하게 맞물리게 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표면상에 형성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한쌍의 난간(27,27)이 운반기 본체(2)의 양측부에 설치된다. 그러한 난간(27,27)은 휠체어가 운반기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휠체어에 앉아있는 사람 이외의) 사람들에게 핸들로서 제공되어 운반기를 조작할 경우 그것을 붙잡도록 사용된다. 또한, 수동스위치(91)가 난간(27) 상에 설치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각 난간(27)은 중간 부분에서 발광/광검출수단(이하에 기재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키도록 사용되는 광반사수단(8)이 설치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앞바퀴(3,3) 각각은 판부재(25,25) 중 한개를 통해 삽입되는 수직 회전축(31)에 의해 지지되는 캐스터로 구성된다. 수직 회전축(31) 상에 스냅링(32), 와셔(33) 및 코일스프링(34)이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코일스프링(34)의 일단이 와셔(33)에 대해 눌러지며, 코일스프링(34)의 타단은 판부재(25)상에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 스냅링(32), 와셔(33) 및 코일스프링(34)의 상단은 회전축(31)과 연결되어 동시에 일체로서 회전될 수 있다. 바퀴(3) 및 수직 회전축(31)이 외부 힘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이 야기될 경우, 코일스프링(34)을 약간의 넓이로 비틀리게 하여, 코일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런 방법으로, 앞바퀴(3,3)는 일직선으로 전진하는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사용하여, 수평으로 평평한 바닥을 이동할 경우, 앞바퀴(3,3)는 수평면에서 회전가능하며, 이것은 휠체어 운반기(1)가 이동방향으로 변화하도록 한다. 반면에,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장착되어 이동될 경우, 앞바퀴(3,3)가 수평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도 6 및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에 놓일 경우에도, 앞바퀴(3,3)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일직선으로 전진하는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휠체어 운반기(1)를 장착하는 에스컬레이터가 이동중에 경사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변할 경우, 휠체어 운반기(1)는 앞바퀴(3,3)가 일직선으로 전진하는 위치에서 존재하도록 하면서 에스컬레이터로부터 수평 바닥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것은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의 좌측 또는 우측 벽으로 부딪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실제로, 각각의 세로측 프레임부재(2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된 "U"의 단면을 가지며, 한쌍의 뒷바퀴(4,4)는 측부 프레임부재(21,21)의 중공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도 3a∼3c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물(5)은 휠체어를 장착하는 "L"형 장착판(51), 장착판(51)의 대향 측부에 설치되는 한쌍의 측부판(52,52)을 포함한다. 장착판(51)의 전방 측부상의 중간 위치에 인접하여 전기 실린더(7)의 일단과 상단에서 연결되는 한쌍의 상향 돌출판(53,53)이 설치된다(도 1a, 1b 참조).
광반사판(8)이 장착판(51)의 바닥의 모서리에 또한 설치될 수 있다. 광반사판(8)은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또는 출구에 설치되는 발광/광검출수단(이후에 기재됨)으로부터 방출될 빛을 반사시키도록 사용된다.
상기 방식으로 구성되는 장착 구조물(5)은 회전축(54)을 통해 운반기 본체(2)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휠체어가 장착 구조물의 뒷부분으로부터 장착 구조물(5) 상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장착 구조물(5)이 수평위치에 놓일 경우, 지면과 접촉하여, 운반기 본체(2)를 약간 들어올려서, 앞바퀴(3,3) 및 뒷바퀴(4,4)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운반기(1)가 고정되며 이동되지 않는 상태에 놓이는 그러한 조건하에서, 휠체어는 진동이나 떨림없이 장착 구조물(5) 상으로 안전하고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반면에, 장착 구조물(5)이 수평 위치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위치로 회전축(54)에 대하여 상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운반기 본체(2)는 약간 하강하여 앞바퀴(3,3) 및 뒷바퀴(4,4)가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휠체어 운반기(1)가 지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6)가 상향 돌출판(53,53) 사이에 설치된다. 도 3b의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센서(6)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61) 및 제2기울기 감지소자(62)를 포함한다.
제1기울기 감지소자(61)는 일단에 한쌍의 전기 도전성 단자(61a,61b)를 갖는 관상형 부재이다. 유사하게, 제2기울기 감지소자(62)도 또한 일단에 한쌍의 전기 도전성 단자(62a,62b)를 갖는 관상형 부재이다. 각각의 관상형 부재는 단자(61a,61b) 사이 또는 단자(62a,62b) 사이에서 접촉하기에 충분한 소정의 양을 갖는 유동성 수은 재료(61c 또는 62c)를 함유한다. 수은 재료(61c,62c)가 단자(61a,61b) 또는 단자(62a,62b)와 접촉하는 경우, 단자(61a,61b) 또는 단자(62a,62b)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전성을 띄게 된다. 결국, 전기 실린더(7)를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활성될 것이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제1기울기 감지소자(61)는 수평선과 각도 α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각도 α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큰, 소자(61)의 우측단부와 8°이다. 또한, 제2기울기 감지소자(62)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61)의 연장선과 각도 β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각도 β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큰, 소자(62)의 우측단부와 8°이다.
전기 실린더(7)는 모터(71)를 포함한다. 모터(7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실린더(7)는 신장 또는 수축 운동을 제공한다. 전기력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72,72) 상에 장착된 전지장치(73,73)로부터 모터(71)에 공급된다.
다시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전기 실린더(7)의 일단이 두개의 수직 프레임부재(24,24) 사이에 배치된 축(74)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전기 실린더(7)의 타단은 두개의 상향 돌출판(53,53) 사이에 배치된 축(75)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실린더(7)가 신장 운동중일 경우, 두개의 상향 돌출판(53,53)이 축(54: 도 1a)에 대해 하향으로 회전하여, 장착 구조물(5)이 운반기 본체(2)에 대해 상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제1 및 제2기울기 감지소자(61,62)와 접속되는 전기회로(9)가 도 4a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회로(9)는 단자(61a,61b,62a,62b), 전지(73), 전기 실린더(7)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모터(71)를 포함한다. 또한 회로(9)는 수동스위치(91), 전자코일(92,93), 전자코일(92,93)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스위치(94,95)를 포함한다. 실제로, 전환스위치(94,95)는 일반적으로 회로에서 점 B와 접촉한다.
휠체어 운반기(1)의 동작을 도 4a∼4h 및 도 5∼7를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사람이 앉아있는 휠체어가 수평면상으로 이동하며 에스컬레이터에 접근할 경우, 휠체어 운반기(1)는 우선 에스컬레이터의 입구 정면위치로 이동한다. 다음에, 사람이 앉아있는 휠체어가 휠체어 운반기(1)의 장착 구조물(5) 상으로 이동된다. 이 때, 장착 구조물(5)은 수평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앞바퀴(3,3) 및 뒷바퀴(4,4)가 지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운반기(1)가 고정된 비이동상태에서 유지되어 휠체어가 진동이나 떨림없이 장착 구조물상으로 안전하고 부드럽게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휠체어 운반기(1)가 수평 바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 상으로 이동될 경우, 수동스위치(91: 난간 상에 부착됨. 도 2b 참조)가 온으로 스위칭된다(도 4b). 이 때, 제1기울기 감지소자(61)가 수평선과 각(α= 8°)을 갖는 위치에 놓이므로, 수은 재료(61c)가 관상형 부재(도 4b)의 일단에 놓이는 단자(61a,61b)와 접촉하도록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단자(61a,61b)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스위치(91)가 온상태가 되므로(A측과 접촉), 전자코일(91)이 자기친화력을 발생시키도록 활성되어, 전환스위치(94)를 A측과 접촉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모터(71)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여 전기 실린더(8)가 신장된다.
다음에, 장착 구조물(5)이 가능한 빠르게 상향으로 회전되어 운반기 본체(2)와 15°의 각도를 형성하여, 유동성 수은 재료(61c)가 원통형 부재의 타단으로 이동되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9)가 차단되며, 모터(71)가 정지하게 된다.
이 때, 앞바퀴(3,3) 및 뒷바퀴(4,4)가 지면과 접촉하여, 휠체어 운반기(1)가 이동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동을 개시할 수 있다.
다음에, 휠체어 운반기(1)가 계단(β: 도 5)과 접촉하는 앞바퀴(3,3) 및 뒷바퀴(4,4)로 에스컬레이터(α: 도 5)의 단면(c)으로 이동된다. 이 때, 장착 구조물(5)이 운반기 본체(2)와 15°의 각도를 형성하는 상향으로 경사위치에 놓이므로, 휠체어 운반기(1)에 장착된 휠체어는 수평위치에 놓이게 되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 상에 태워질 경우, 휠체어 상에 앉아있는 사람이 두려움이나 불쾌함을 느끼지 않게 될 것이다.
휠체어 운반기(1)가 또다시 에스컬레이터(α)로 이동되어 경사면(d)에 도달하는 경우, 장착 구조물(5)은 여전히 상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즉, 휠체어 운반기(1)가 경사위치로 기울어지자마자, 제1기울기 감지소자(61)에서의 유동성 수은 재료(61c)가 다시 이동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61a,61b)와 다시 접촉하여 회로(9)가 다시 활성되며, 모터(71)가 다시 회전을 개시하여, 전기 실린더(7)는 더욱 신장되어 장착 구조물(5)이 상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로 이동될 경우, 장착 구조물(5)이 에스컬레이터의 기울기 상태에 대응하여 뒤쪽으로 기울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장착 구조물이 운반기 본체(2)와 15°의 각도를 형성하며 상향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뒤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휠체어 운반기(1)가 계단(β)이 수평선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경사선을 따라 배열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영역(e)에 도달될 경우, 장착 구조물(5)은 적어도 수평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성 수은 재료(61c)가 원통형 부재(61)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회로(9)는 다시 차단되며, 모터(71)가 정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α) 상에서 영역(d,e,f)을 통해 이동될 경우, 긴 측부 프레임부재(21,21)의 하단을 따라 부착된 긴 탄성 부재(26,26)가 에스컬레이터(α)의 계단(β)의 모서리(γ)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 운반기(1)는 진동이나 위치 변화없이 이동하는 에스컬레이터(α) 상에 정확하게 지지된다.
이 때, 도 7을 참조하면, 앞바퀴(3,3) 및 뒷바퀴(4,4)는 계단(β)으로부터 분리되며,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앞바퀴(3,3)는 일직선으로 진행하는 위치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26')가 운반기 본체(2)의 저부상에 설치된다.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α: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는 곳)의 단면(d : 도 5)을 통해 이동될 경우, 스토퍼(26')는 계단(β)의 모서리(γ)와 맞물리도록 작동되어, 휠체어 운반기(1)는 바람직하지 않은 후진 이동없이 정확하게 정지될 수 있다.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α: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각도가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곳)의 단면(f: 도 5)을 통해 이동될 경우, 유동성 수은 재료(62c)가 원통형 부재(62: 도 4f)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단자(62a,62b)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허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9)가 활성되며, 전자코일(93)이 자기력을 발생시켜 전환스위치(95)를 A측으로 끌어당긴다. 즉, 모터가 반대방향에서 회전을 개시하여 전기 실린더(7)를 후진시켜, 장착 구조물(5)이 점차적으로 수평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또한,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α) 상의 단면(g)에 도달되자마자, 장착 구조물(5)이 초기의 경사위치(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α) 상의 단면(c)에 도달될 경우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유동성 수은 재료(62c)가 원통형 부재(도 4g)에서의 원위치로 다시 이동되어, 회로(9)가 차단되며, 전기력 공급이 중지된다.
다음에, 앞바퀴(3,3) 및 뒷바퀴(4,4)가 단면(g) 상의 계단(β)과 접촉하게 되며, 휠체어 운반기(1)는 수평 바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앞바퀴(3,3)가 스프링(34,34)에 의해 일직선으로 진행하는 위치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휠체어 운반기(1)는 지그재그 이동없이 에스컬레이터로부터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스위치를 오프시켜(스위치(91)를 B측으로 이동시켜), 모터(71)가 상기 대향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여 전기 실린더(7)를 후진하게 하여, 장착 구조물(5)을 완벽한 수평위치로 변화하도록 하여, 휠체어가 휠체어 운반기(1)로부터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울기 감지소자(61,62)가 유동성 수은 재료(61c,62c)를 이용하므로, 사용할 때 신뢰성이 높은 자동 조작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아주 고가의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비용을 감소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실시예1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 장치(A)는 입구(B), 출구(C), 계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계단(D), 좌측 및 우측 벽(E), 및 계단(D)을 이동시키는 좌측 및 우측 벨트(F)를 포함한다. 에스컬레이터 장치(A)는 또한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G) 및 제어부(G)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원부(H)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A)의 계단(D)은 30m/min의 속도로 이동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발광/광검출수단(A1∼A4)이 좌측 또는 우측 벽(E)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발광/광검출수단(A1)은 입구(B) 근처의 위치에 놓이며, 제2발광/광검출수단(A2)은 에스컬레이터(A)의 수평면이 에스컬레이터의 경사면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놓인다. 제3발광/광검출수단(A3)은 경사면이 에스컬레이터 상의 또다른 수평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위치에 놓인다. 제4발광/광검출수단(A4)은 출구(C) 근처의 위치에 놓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발광/광검출수단(A1∼A4)은 제어부(G)로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8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동작을 이하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우선, 휠체어를 장착한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A)의 입구로 이동된다. 이 때, 제1발광/광검출수단(A1)으로부터 나온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발광/광검출수단(A1)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감속을 일으킨다. 이 때, 속도가 30m/min의 일반 속도에서 15∼20m/min의 감소된 속도로 감소되도록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된다.
이런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A)의 속도가 감소되므로, 휠체어 운반기가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람이 불쾌함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A)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휠체어 운반기(1)가 수평면이 에스컬레이터(A) 상에서 경사면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도달될 경우, 제2발광/광검출수단(A2)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상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발광/광검출수단(A2)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가속을 일으킨다. 이 때, 속도가 30m/min의 정상속도로 다시 변화되도록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된다.
휠체어 운반기(1)가 경사면이 에스컬레이터(A) 상의 수평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제3발광/광검출수단(A3)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상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은 발광/광검출수단(A3)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감속을 일으킨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는 30m/min의 정상속도로부터 15∼20m/min의 감소된 속도로 감소된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휠체어 운반기(1)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람이 불쾌함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하는 순간, 제4발광/광검출수단(A4)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제4발광/광검출수단(A4)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가속을 일으킨다. 이런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되어 속도는 30m/min의 정상속도로 다시 변화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실시예2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는 수동 전환스위치(A1')가 제1발광/광검출수단(A1)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유사하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전환스위치(A1') 및 발광/광검출수단(A2∼A4)은 각각 제어부(G)로의 신호를 생성한다.
도 9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휠체어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A)의 입구(B) 상으로 이동될 경우, 수동스위치(A1')가 온되어, 해당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감속을 일으킨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 속도는 30m/min의 정상 속도로부터 15∼20m/min의 감소된 속도로 감소된다.
이런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A)의 속도가 감소되므로, 휠체어 운반기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람이 불쾌함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다음에, 휠체어 운반기(1)가 수평면이 에스컬레이터(A) 상의 경사면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도달될 경우, 제2발광/광검출수단(A2)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상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제2발광/광검출수단(A2)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G)에서 가속을 일으킨다. 이 때, 속도가 30m/min으로 다시 변화되도록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된다.
휠체어 운반기(1)가 경사면이 에스컬레이터(A) 상의 수평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제3발광/광검출수단(A3)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상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은 발광/광검출수단(A3)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감속을 일으킨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는 30m/min의 정상속도로부터 15∼20m/min의 감소된 속도로 감소된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휠체어 운반기(1)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람이 불쾌함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하는 순간, 제4발광/광검출수단(A4)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제4발광/광검출수단(A4)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가속을 일으킨다. 이런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되어 속도는 30m/min의 정상속도로 다시 변화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실시예3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는 제1발광/광검출수단(A1)이 에스컬레이터(A)의 입구(B)의 저부면에 놓이는 것 및 제4발광/광검출수단(A4)이 에스컬레이터(A)의 출구(C) 저부면에 놓이는 것을 제외하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하다. 유사하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광검출수단(A1∼A4)은 제어부(G)로의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휠체어를 장착하는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A)의 입구로 이동될 경우, 제1발광/광검출수단(A1)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은 제1발광/광검출수단(A1)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로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감속을 일으킨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는 속도가 30m/min의 정상속도로부터 15∼20m/min의 감소된 속도로 감소되도록 제어된다.
이런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A)의 속도가 감소되므로, 휠체어 운반기는 휠체어에 앉아 있는 사람이 불쾌함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다음에, 휠체어 운반기(1)가 수평면이 에스컬레이터(A) 상의 경사면으로 이동되는 위치에 도달될 경우, 제2발광/광검출수단(A2)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제2발광/광검출수단(A2)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가속을 일으킨다. 이 때, 속도가 30m/min으로 다시 변화되도록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된다.
휠체어 운반기(1)가 경사면이 에스컬레이터(A) 상의 수평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의 위치에 도달할 경우, 제3발광/광검출수단(A3)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일측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은 발광/광검출수단(A3)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감속을 일으킨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는 30m/min의 정상속도로부터 15∼20m/min의 감소된 속도로 감소된다.
이 때, 에스컬레이터(A)의 이동속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휠체어 운반기(1)는 휠체어에 앉아있는 사람이 불쾌함이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안전하게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휠체어 운반기(1)가 에스컬레이터(A)로부터 이동할 경우, 제4발광/광검출수단(A4)으로부터의 빛이 휠체어 운반기(1)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8)에 의해 반사된다. 반사된 빛이 제4발광/광검출수단(A4)에 의해 검출되어, 반사된 빛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G)에 인가되어 구동원부(H)에서 가속을 일으킨다. 이런 방식으로, 에스컬레이터(A)가 제어되어 속도는 30m/min의 정상속도로 다시 변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기한 바와 같이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이러한 기재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명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운반기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데 특히 적당하며, 휠체어가 에스컬레이터에서 안전하고 유연하게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기울기 감지소자(61,62)가 유동성 수은 재료(61c,62c)를 이용하므로, 사용할 때 신뢰성이 높은 자동 조작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아주 고가의 기울기 센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제어장치는 일반 승객을 운반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일반적인 사용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필요없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 운반기를 운반하여, 휠체어를 운반할 경우 종래 에스컬레이터 장치에서 느껴졌던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

Claims (11)

  1. 세로가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두개 이상의 계단상으로 뻗어있는 운반기 본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쌍의 앞바퀴,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조절되는 한쌍의 뒷바퀴,
    휠체어를 장착하며, 회전축을 통해 운반기 본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장착 구조물, 및
    장착 구조물의 일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장착 구조물을 회전시키는 신장/수축장치를 구비하는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휠체어를 운반하는 휠체어 운반기에 있어서,
    앞바퀴 및 뒷바퀴는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리도록 동작하는 것을 조절하며, 운반기가 경사위치에서 에스컬레이터 상에 장착될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운반기 본체는 운반기가 경사위치에서 에스컬레이터 상에 장착될 경우 에스컬레이터 상에서 계단의 모서리에 의해 지지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3. 제1항에 있어서, 장착 구조물은 수직방향에서 어느 정도로 회전하도록 조절되어 장착 구조물의 저부가 수평선을 넘어 상향으로 회전된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운반기 본체의 저부면은 에스컬레이터의 계단과 적당하게 맞물리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 재료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5. 제1항에 있어서, 운반기 본체는 저부상에 모서리 근처의 계단상에서 맞물리도록 조절되어 운반기가 에스컬레이터 상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개 이상의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6. 제1항에 있어서, 앞바퀴 각각은 회전축에 의해 지지되는 캐스터이며, 캐스터는 일직선으로 직진하는 위치에서 캐스터를 유지하도록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감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7. 제1항에 있어서, 장착 구조물은 장착 구조물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신장/수축장치를 스위치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조절되는 기울기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8. 제7항에 있어서, 기울기 센서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 및 제2기울기 감지소자를 포함하며, 각 기울기 감지소자는 유동성 전기 도전재료 및 한쌍의 전기 도전단자를 포함하는 관상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9. 제8항에 있어서, 제1기울기 감지소자는 장착 구조물의 수평선과 각도 α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지며, 각도 α는 바람직하게는 7°∼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10. 제8항에 있어서, 제2기울기 감지소자는 제1기울기 감지소자의 연장선과 각도 β를 형성하도록 기울어지며, 각도 β는 바람직하게는 7°∼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유동성 전기 도전재료는 수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운반기.
KR1019970065056A 1996-12-03 1997-12-01 에스컬레이터에서사용하는휠체어운반기 KR100284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63096A JPH10167649A (ja) 1996-12-03 1996-12-03 車いす運搬車用のエスカレータ制御システム
JP96-322630 1996-12-03
JP96-322631 1996-12-03
JP32263196A JPH10157630A (ja) 1996-12-03 1996-12-03 エスカレータ用車いす運搬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661A KR19980063661A (ko) 1998-10-07
KR100284910B1 true KR100284910B1 (ko) 2001-03-15

Family

ID=2657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056A KR100284910B1 (ko) 1996-12-03 1997-12-01 에스컬레이터에서사용하는휠체어운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96767A (ko)
EP (1) EP0846647B1 (ko)
KR (1) KR100284910B1 (ko)
AT (1) ATE221508T1 (ko)
DE (1) DE6971439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488A (ko) 2021-12-13 2023-06-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0101950A3 (en) * 1998-05-13 2002-02-28 Pelczmann David Morristown Conveyor system for load-carrying carts
US6155362A (en) * 1999-02-01 2000-12-05 Owens; David R. Dolly system with a motorized rolling track
US6644210B1 (en) 2001-05-01 2003-11-11 Pflow Industries, Inc. Shopping cart conveyor with front wheel alignment and turning system
US6490979B1 (en) 2001-05-01 2002-12-10 Pflow Industries, Inc. Inclined shopping cart conveyor system
GB0221800D0 (en) 2002-09-19 2002-10-30 Bp Chem Int Ltd Process
FR2855402B1 (fr) * 2003-06-02 2006-06-02 Hmc2Developpement Vehicule roulant automoteur apte a evoluer sur sol plat, terrain accidente et escalier
CA2452984A1 (en) * 2003-12-10 2005-06-10 Amusement Fabien Lavoie / 9074-4327 Quebec Inc. Load-carrying apparatus
US7453358B2 (en) * 2006-02-17 2008-11-18 Pflow Industries, Inc. Shopping cart conveyor with gated access
US7779992B2 (en) * 2007-12-20 2010-08-24 Pflow Industries, Inc. Shopping cart conveyor system with pivoting lug
US7931136B2 (en) * 2008-03-31 2011-04-26 Pflow Industries, Inc. Jam sensor for shopping cart conveyor
ES2333640B1 (es) * 2009-06-26 2010-09-1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Sistema de transporte para pasajeros/mercancias.
US8328003B2 (en) * 2009-12-23 2012-12-11 Pflow Industries, Inc. Shopping cart conveyor with gate assembly
KR101433746B1 (ko) * 2013-11-05 2014-08-27 수림엘리베이터(주) 에스컬레이터 탑승용 휠체어 대차장치
JP6571631B2 (ja) * 2016-12-26 2019-09-04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走行車両及び走行車両の制御方法
KR101896189B1 (ko) * 2017-08-28 2018-09-07 김도훈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USD1026388S1 (en) * 2021-04-20 2024-05-07 Climbing Steps Inc Wheelchair stairlift
USD1026389S1 (en) * 2021-04-20 2024-05-07 Climbing Steps Inc. Stairlift
USD1026387S1 (en) * 2021-04-20 2024-05-07 Climbing Steps Inc Mobile stairlift spir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94122A2 (fr) * 1974-12-10 1976-07-09 Zachariasen Nicolai Jean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chariots, notamment de chariots de libre-service entre des niveaux differents
US4176851A (en) * 1978-07-20 1979-12-04 Simonson Robert C Child's bumper bike
DE3443425A1 (de) * 1984-11-29 1986-05-28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Transportstrecke zur befoerderung eines rechteckigen lastfahrkorbes
JP2551862B2 (ja) * 1990-10-18 1996-11-06 株式会社サンワ 車椅子用階段昇降機
IT1273260B (it) * 1994-03-21 1997-07-07 Tgr Srl Automezzo cingolato, atto ad affrontare in forma autonoma qualsiasi tipo di percorso, comprese la salita e la discesa di scale e particolarmente adatto per la realizzazione di carrozzelle per invalidi
JPH08133648A (ja) * 1994-11-15 1996-05-2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用運搬装置
JPH09309470A (ja) * 1996-05-23 1997-12-02 Exedy Corp 走行車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488A (ko) 2021-12-13 2023-06-2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 및 유모차를 위한 에스컬레이터 및 이의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6647B1 (en) 2002-07-31
DE69714391D1 (de) 2002-09-05
US5996767A (en) 1999-12-07
ATE221508T1 (de) 2002-08-15
DE69714391T2 (de) 2003-03-20
EP0846647A3 (en) 1998-09-02
KR19980063661A (ko) 1998-10-07
EP0846647A2 (en) 199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4910B1 (ko) 에스컬레이터에서사용하는휠체어운반기
US7103935B2 (en) Marine gangway to enable handicapped users to move between floating and fixed landings and related methods
US7347426B2 (en) Stair-climbing wheelchair carrier
JPH10129541A (ja) 車いす用の階段昇降運搬車
KR0177545B1 (ko) 계단승강용 크로울러 운반장치
CN102159490A (zh) 具有可调节的转动阻力的转动座椅
JPS6361266B2 (ko)
US4682681A (en) Escalator
JP3369432B2 (ja) 介護用昇降装置
JP3438806B2 (ja) 介護用昇降装置
JP4689102B2 (ja) 階段昇降機
JPH10167649A (ja) 車いす運搬車用のエスカレータ制御システム
JP2572553Y2 (ja) エスカレータ装置
KR102686054B1 (ko) 자율주행 휠체어
GB2097756A (en) Stairlift
JPH07196278A (ja) マンコンベアの手すり進入安全装置
JPH0826648A (ja) マンコンベア
JPS6361269B2 (ko)
JPH10157630A (ja) エスカレータ用車いす運搬車
JPH05313B2 (ko)
KR20220126471A (ko) 전동 모빌리티 휠체어
JPH0948577A (ja) 車いす兼用エスカレータ
JPS6361273B2 (ko)
JPS63206243A (ja) 電動車椅子の走行装置
JPH0641359B2 (ja) 車椅子等を運搬するエスカレ−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