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891B1 -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891B1
KR100282891B1 KR1019970080064A KR19970080064A KR100282891B1 KR 100282891 B1 KR100282891 B1 KR 100282891B1 KR 1019970080064 A KR1019970080064 A KR 1019970080064A KR 19970080064 A KR19970080064 A KR 19970080064A KR 100282891 B1 KR100282891 B1 KR 10028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acceleration
shift
initial
fil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9850A (ko
Inventor
권혁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8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289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8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오랜 주행으로 마찰 클러치가 마모된 차량에서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변속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주행중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듀티 제어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차량의 차속(No)을 시간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산출되는 가속도( )가 가변되는 시점까지의 어플라이 멤버 피스톤이 무효 스토록을 이동하는 구간인 필 타임을 학습한 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필 타임값과 비교 판단하여 산출된 값만큼의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새로운 필 타임을 산출하여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자동 변속기의 마찰요소의 마모에 따라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함에 따라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변속쇼크를 저감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본 발명은 자동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주행중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어플라이 멤버의 변화에 따른 피스톤 스토록의 위치를 학습 제어하여 정확한 유압제어를 수행하여 변속쇼크 없이 원활한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는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특정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에서 차속(No)이 가변되면 변속제어장치(이하 TCU라 칭함)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메모리에 설정된 변속 패턴에 의해 목표 변속단을 결정하고 변속조건이 성립하면 B점에 이르러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하게된다.
그런데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시키던 중 가속페달을 조작하면 TCU는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조건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파워 온 업 쉬프트는 어플라이 제어이며 어플라이 토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자동 변속기의 출력 토크(To)는 급격히 줄어든다.
따라서 TCU는 주행 변속단을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시키기 위해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를 구동수단에 출력하고, 구동수단은 상기 TCU에서 출력된 듀티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오일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해당하는 소정의 클러치와 브레이크로 구성된 마찰요소를 인 게이지시키기 위한 피스톤 스토록에 공급하여 마찰요소를 인 게이지시켜 주어 엔진의 동력을 파워 트레인에 전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차량을 오랜기간동안 사용할 경우, 마찰 요소들은 마모되어 슬립이 발생되고 그에 따른 엔진동력이 바퀴에 전달되는 힘은 점점 약해져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변속쇼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는 TCU는 차량 출고시 설정된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와 동일한 듀티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수단은 차량 출고시와 동일하게 오일펌프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마찰요소를 인게이지 시키는 피스톤 스토록에 동일한 유압으로 작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8에 도시되어 있듯이 주행중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듀티 제어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차량의 차속(No)을 시간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산출되는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5
)가 가변되는 시점까지의 어플라이 멤버 피스톤이 무효 스토록을 이동하는 구간인 필 타임을 학습한 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필 타임값과 비교 판단하여 산출된 값만큼의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새로운 필 타임을 산출하여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장치 구성 블럭도이고,
도2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 동작 순서도이고,
도5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시 보정 그래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 패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시 출력토크와 가속도 및 유압 관계 그래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시 출력 듀티와 가속도 관계 그래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시 출력 듀티와 필 타임 관계그래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속으로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조작에 따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만족하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함에 따라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상기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의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출력 듀티 D1의 범위에 따라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하여 보정계수(K)을 산출한 후 맵 그래프에 대입하여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여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장치 구성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차량 주행상태 감지수단(10)과;
상기 차량주행상태 감지수단(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인가 받아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만족하면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 듀티 제어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차량의 차속(No)을 시간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산출되는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5
)가 가변되는 시점까지의 어플라이 멤버 피스톤이 무효 스토록을 이동하는 구간인 필 타임을 학습한 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필 타임값과 비교 판단하여 산출된 값만큼의 보정계수를 산출하여 새로운 필 타임을 산출하여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듀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TCU(20)와;
상기 TCU(20)에서 출력되는 듀티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을 수행하는 구동수단(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차량 주행 감지수단(10)은
가속 페달의 동작상태에 연동하여 개폐 상태가 가변되는 스로틀 밸브의 개도 정도를 감지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스로틀 밸브 개도 감지부(11)와;
차량의 출력축 회전수를 감지하여 차량의 주행속도에 상응하는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감지부(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운전자가 차량을 2속으로 주행시키던 중 가속페달을 조작함으로써, TCU(20)는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인가를 판단한다(S100,S110).
상기에서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변속조건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TCU(20)가 만족하면, 상기 TCU(2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구동수단에 출력하여 준다(S120).
따라서 TCU(20)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한다(S130,S140).
Figure 1019970080064_B1_M0001
상기에서 파워 온 업 쉬프트는 어플라이 제어이며 어플라이 토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자동 변속기의 출력 토크(To)는 도8에 도시되어 있듯이 줄어든다.
따라서 TCU(20)는 상기(S130)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을 판단하다(S150).
상기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TCU(2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S120)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50%에서 80%사이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S160).
상기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50%에서 80%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TCU(20)는 도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S140)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하여 보정계수(K)을 산출한 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맵 그래프에 대입한 후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한다(S161).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하지만 상기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50%에서 80%사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TCU(20)는 상기(S120)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20%에서 50%사이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S170).
상기(S120)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20%에서 50%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TCU(20)는 도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S140)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하여 보정계수(K)을 산출한 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맵 그래프에 대입한 후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한다(S171).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그러나 상기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20%에서 50%사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TCU(20)는 상기(S120)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0%에서 20%사이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한다(S180).
상기(S120)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이 20%에서 50%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TCU(20)는 도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S140)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 한 후 보정계수(K)을 산출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맵 그래프에 대입한 후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한다(S181).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실시예 2)
운전자가 차량을 2속으로 주행시키던 중 가속페달을 조작함으로써, TCU(20)는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인가를 판단한다(S200,S210).
상기에서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변속조건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TCU(20)가 만족하면, 상기 TCU(2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구동수단에 출력하여 준다(S220).
따라서 TCU(20)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한다(S230,S240).
Figure 1019970080064_B1_M0002
상기에서 파워 온 업 쉬프트는 어플라이 제어이며 어플라이 토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자동 변속기의 출력 토크(To)는 도8에 도시되어 있듯이 줄어든다.
따라서 TCU(20)는 상기(S230)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을 판단하다(S250).
상기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TCU(2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S240)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보정계수(K)를 산출한 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맵 그래프에 대입한 후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한다(S260).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실시예 3)
운전자가 차량을 2속으로 주행시키던 중 가속페달을 조작함으로써, TCU(20)는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인가를 판단한다(S300,S310).
상기에서 운전자의 가속페달 조작에 따른 변속조건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TCU(20)가 만족하면, 상기 TCU(2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구동수단에 출력하여 준다(S320).
따라서 TCU(20)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한다(S330,S340).
Figure 1019970080064_B1_M0003
상기에서 파워 온 업 쉬프트는 어플라이 제어이며 어플라이 토크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자동 변속기의 출력 토크(To)는 도8에 도시되어 있듯이 줄어든다.
따라서 TCU(20)는 상기(S330)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을 판단하다(S350).
상기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TCU(2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S340)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연산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보정계수(K)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산출된 값에 따라 TCU(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한다(S360).
Figure 1019970080064_B1_M0004
(상기에서 tf는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 측정된 초기 필 타임시간이고,
tfo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이고,
1은 계산상수이다.) 이므로
상기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서 차량 주행상태에 따라 자동 변속기의 마찰요소의 마모에 따라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함에 따라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시 변속쇼크를 저감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2속으로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조작에 따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만족하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함에 따라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상기에서 출력된 듀티 D1의 값의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출력 듀티 D1의 범위에 따라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하여 보정계수(K)을 산출한 후 맵 그래프에 대입하여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수학식 1]
    Figure 1019970080064_B1_M0051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정계수(K)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2속으로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조작에 따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만족하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함에 따라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감산 연산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보정계수(K)를 산출한 후 맵 그래프에 대입한 후 그에 따른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정계수(K)를 산출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2속으로 주행중 운전자의 가속페달을 조작에 따른 파워 온 2→3 업 쉬프트 변속 조건을 만족하면 변속 개시신호와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소정의 듀티 제어신호인 D1을 출력함에 따라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연산하여 차량의 차속(No)을 시간(t)으로 나누어 미분하여 차량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을 산출하고, 변속 개시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듀티값이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한 현재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에서 전회의 차량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을 비교하여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가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비교한 현재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전회의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9
    )보다 작은 경우, 출력 듀티 D1에 대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상기 단계에서 측정한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의 초기 필 타임시간(tf)을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연산하여 산출된 값에 따라 보정계수(K)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보정계수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필 타임 데이터(tfo)값에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tf)을 보정하여 학습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수학식 4]
    Figure 1019970080064_B1_M0068
    (상기에서 tf는 변속 개시점부터 가속도(
    Figure 1019970080064_B1_M0007
    )가 가변되는 시간까지 측정된 초기 필 타임시간이고,
    tfo는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이고,
    1은 계산상수이다.) 이므로
    어플라이 멤버의 피스톤 스토록의 동작에 따른 초기 필 타임은
    tf = 보정계수 K × 초기 자동 변속기의 메모리 테이타(tfo)
KR1019970080064A 1997-12-31 1997-12-31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KR10028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064A KR100282891B1 (ko) 1997-12-31 1997-12-31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064A KR100282891B1 (ko) 1997-12-31 1997-12-31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850A KR19990059850A (ko) 1999-07-26
KR100282891B1 true KR100282891B1 (ko) 2001-03-02

Family

ID=66180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064A KR100282891B1 (ko) 1997-12-31 1997-12-31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28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850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358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KR100282891B1 (ko) 파워 온 업 쉬프트시 어플라이 피스톤 스토록 학습 제어방법
KR19980047955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309150B1 (ko) 자동변속기의킥다운4→2다운쉬프트변속제어방법
KR100285470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00376702B1 (ko) 자동 변속기의 킥다운 3-2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5127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업 쉬프트 변속 제어방법
KR10055128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KR19990053678A (ko) 1 다운 쉬프트 변속 제어장치 및 그방법
KR100369155B1 (ko) 자동 변속기의 초기 필 타임 학습 제어방법
KR100298753B1 (ko) 3다운쉬프트변속제어방법
KR100401603B1 (ko) 자동변속기의 학습 제어방법
KR100256740B1 (ko)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따른 듀티율 판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284827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 응답성 증대 방법
KR100254240B1 (ko) 자동 변속기의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방법
KR100206008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00405669B1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82907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립 주행시 변속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79399B1 (ko) 자동 변속 차량의 변속감 향상 방법
KR100282871B1 (ko) 자동변속기의파워온다운쉬프트시동기근처제어방법
KR100262603B1 (ko)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다운 쉬프트시 동기 근처 제어방법
KR19980047956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19990050708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5471A (ko)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KR20030029286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