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583B1 - 램 윈치 - Google Patents

램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583B1
KR100282583B1 KR1019970047505A KR19970047505A KR100282583B1 KR 100282583 B1 KR100282583 B1 KR 100282583B1 KR 1019970047505 A KR1019970047505 A KR 1019970047505A KR 19970047505 A KR19970047505 A KR 19970047505A KR 100282583 B1 KR100282583 B1 KR 100282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uide device
guide
cylinder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685A (ko
Inventor
솔스태드 비다르
산도이 헤리
Original Assignee
아문센 롤드
마리타임 푸스네스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O963899A external-priority patent/NO963899D0/no
Priority claimed from NO965184A external-priority patent/NO307295B1/no
Application filed by 아문센 롤드, 마리타임 푸스네스 아에스 filed Critical 아문센 롤드
Publication of KR19980024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32Det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26Operating devices pneumatic or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 B66D2700/035Fluid operated bra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2,3)용 잠금 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유압식 리프팅 실린더(8)와 파지 장치(12)가 조합되어 폴 시스템과 동등한 기능을 갖는, 체인(2,3)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폴(14,14')과, 그리고 약 180°에 해당하는 체인용 안내 장치(1)를 포함한다. 안내 장치(1), 리프팅 실린더(8) 및 파지 장치(12)는 단일의 유닛으로 일체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 유닛에 있어서, 반원형의 안내 장치(1)는 체인의 인입부(引入部)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파지 장치는 안내 장치(1)의 체인 트랙(4,5)에 놓여 있는 동안 체인을 붙들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폴(12)로 구성된다. 유압식 리프팅 실린더(8)는 체인의 인입부에 근접하게 위치한 안내 장치(1)에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램 윈치{A RAM WINCH}
본 발명은 파지 장치 및 잠금 장치에 의해 체인을 붙들고 잠금 장치가 해제되는 동안 체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체인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가 그 행정의 다른 최종점에 도달할 때, 잠금 장치는 재차 맞물리고, 파지 장치는 체인으로부터 해제되고, 그리고 유압 실린더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 후 파지 장치는 다시 체인을 붙들 준비 상태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체인용의 180°안내 장치를 포함한다. 이 안내 장치는 앵커(anchor) 체인용으로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유형의 체인용 선형 윈치(linear winch)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개 다음과 같은 3개의 유닛들로 이루어진다.
- 체인을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
- 체인을 붙들기 위한 파지 장치에 연결된 실린더 장치. 이 실린더 장치는 2 개의 체인 링크 길이보다 약간 더 길게 체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 체인의 저장을 위한 박스 혹은 이와 유사한 수단측으로 평행한 수직방향으로 수직하게 후방으로 상승/하강하는, 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180°안내 장치.
잠금 장치와 파지 장치는, 종종 중력 및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폴(pawl)로 하여금 하나 걸러 위치한 체인과 맞물리게 하는 원리로 배열된다. 체인이 상승될 때, 폴(들)은 옆으로 이동하지만, 2개의 체인 링크 길이만큼 체인이 상승하면 폴(들)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작동만 하게 된다. 만일 체인을 내리고자 할 경우, 잠금 장치와 파지 장치의 폴들은 유압식 보조 실린더 등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하나의 실린더를 갖는 장치가 피스톤 로드에 높은 굽힘 모멘트를 유발시키는데 반해, 2개의 평행한 실린더로 이루어진 실린더 장치는 이들 각 실린더의 동시성에 따른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작용력이 피스톤의 로드 측에 작용하는 실린더(즉, 피스톤 로드가 당겨지도록 구성된 실린더)는 작용력이 전체의 피스톤에 작용하는 실린더(즉, 피스톤 로드가 밀리도록 구성된 실린더)에 비해 적은 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체인 링크의 하부 커버에 끌리면서 아래쪽의 체인 링크의 일측면상에 각각 위치하게될, 2개의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폴로 구성되는 잠금 장치가 바닥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선형 윈치가 알려져 있다. 잠금 장치 위쪽에 있는 2개의 체인 링크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동등한 폴들로 이루어진 파지 장치가 배치된다. 이 파지 장치는 2개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2개의 체인 링크 길이와 동등하게 상향으로 더욱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영역 위로, 체인은 안내 풀리 위로 180°지나게 되며, 아래로 매달리게 되는 체인의 중량은 체인이 선형 윈치를 통과하고 난 후 체인이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노르웨이 특허 제146530호에는, 파지 장치 및 잠금 장치 모두에 위치한 2개의 폴들이 톱니가 형성된 부품에 의해 동시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전술한 유형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다른 공지된 선형 윈치에 따르면, 파지 장치는 2개이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부터 양단부가 매달려 있는 빔(beam)의 중앙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실린더는 오프쇼어(offshore) 플랫폼 또는 선박 등의 구조물에 차례로 고정된 빔의 각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체인을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는 이러한 고정 빔의 중앙에 장착되며, 그리고 잠금 장치 위에는 체인을 수직방향 후방으로 180°만큼 안내할 수 있는 안내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작용력이 피스톤 전체 표면에 작동하는, 단일의 작동 피스톤을 이용하는 2가지의 선형 윈치가 공지되었다.
미국 특허 제3,845,935호에는 피스톤 로드가 고정되어 있고 파지 장치가 실린더에 고정되어 있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체인 작용력은 피스톤 로드에 높은 굽힘 모멘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는 매우 견고하게 구성된다. 실린더에는 피스톤 로드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배치된 2개의 베어링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길이가 매우 커지게 된다. 전술한 특허에는 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180°안내 장치에 대해 어떠한 언급은 없었지만, 앵커 체인의 싱승을 위해 사용될 경우에는 이러한 안내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 특허 제4,183,502호에는 작동 실린더를 두 체인 사이의 중앙에 배치시킴으로써 피스톤 로드에 걸리는 굽힘 모멘트를 없애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2개의 앵커 체인에 가끔씩 상당히 차이가 나는 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이러한 시도에 의해 적절한 기능을 얻을 수 없었다. 잠금 장치 및 파지 장치는 폴이 아니지만, 2개의 평행한 축들이 링크를 위로 잠그기 위해 체인 링크의 일측면상으로 밀고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은 부품수와 좁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간단한 구조의 체인용 선형 윈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작용력이 피스톤의 전체 표면에 걸리게 하고 피스톤 로드에 굽힘 모멘트가 가해지지 않는, 단일의 작동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잠금 장치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파지 장치는 체인 박스로 향하는 방향으로 선형 윈치로부터 빠져나오는 곳에 힌지 연결된 180°안내 장치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체인이 인입하게 되는 안내 장치의 영역에 인접하게, 안내 장치의 단부를 2개의 체인 링크 길이만큼 또는 약간 더 들어올릴 수 있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위한 브래킷이 위치한다. 안내 장치는 수직 체인 링크를 위한 트랙을 구비한다. 체인용 파지 장치는 안내 장치의 참조 원(reference circle)을 따라 감아 올리는 방향 및 안내 장치의 트랙을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 체인의 링크의 굴곡부를 가압하는 폴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파지 장치는 수직 링크의 각 측면에서 수평 링크의 굴곡부에 반하여 가압하는 2개의 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 상방에서 수직 하방으로 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180°안내 장치는 선형 윈치의 통상적인 특징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2개의 정해진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이탈도 고려하고, 그리고 안내 장치의 굽힘 각도의 필요성은 그것에 따라 변할 것이다.
안내 장치가 작동할 때 기울지게 되는 운동으로 인해, 안내 장치와 연관되는 체인의 180°접촉각은, 이러한 운동이 최대가 될 때에도 체인이 접촉되도록 하고 안내 장치가 상부 위치에 있게 하도록 기울어짐 운동에 따라 증가되어야 한다. 증가된 접촉각을 위한 안내 궤도는, 잠금 장치측으로 향하는 체인의 방향이 기울어짐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변하지 않게 되도록 기울어짐 운동에 대한 중심에서 일정한 반경을 가져야만 한다.
유압 실린더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울어짐 운동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지만, 작동 장치는 어떠한 선형 액츄에이터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활동 장치와 파지 장치는 체인 길이의 조절이 필요할 때만 사용된다. 이들은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선형 윈치 기능을 갖게 될 수 있다.
데크(deck) 위의 높이는, 인입하는 체인이 수직한 측면 플레이트 외측 즉, 오프쇼어 플랫폼의 칼럼 상에 있게 되는 구조물 상에 선형 윈치가 위치하게 될 경우, 더욱 감소될 수 있다. 그 다음 180°안내 장치를 위한 지지부가 데크 상에서 비교적 작은 브래킷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반면에 잠금 장치 및 작동 장치를 위한 기초는 칼럼의 측면에 용접되어 있는 브래킷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윈치가 비작동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형 윈치가 작동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치를 도 1과 유사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윈치가 작동 위치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선형 윈치가 오프쇼어 플랫폼의 칼럼에 위치하여 있는 또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내 장치(롤러)
2 : 수평 체인 링크
3 : 수직 체인 링크
4 : 트랙
6 : 프레임
7,11,13,15,18 : 볼트
8 : 실린더
10 : 피스톤 로드
12,14 : 폴
18,19 : 보조 실린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즉,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나타나 있다.
도 1에는 안내 장치(1)(또는 안내 롤러)와 상호 작동하는 체인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체인은 수평 체인 링크(2)와 수직 체인 링크(3)로 구성된다. 안내 장치는 수직 체인 링크를 위한 트랙(4)을 구비하며, 수평 체인 링크는 반원형의 안내 장치(1)의 외주부(5) 상에 안착된다(도 2 참조). 안내 장치는 관통 볼트(7)에 의해 프레임(6)에 힌지 연결된다. 유압 작동식 상승/하강 실린더(8)는 볼트(9)에 의해 프레임(6)에 힌지 연결되며, 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10)는 볼트(11)에 의해 안내 장치에 힌지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는 하사점 즉, 거의 완전히 삽입된 위치 근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파지 장치는 수직 체인 링크(3')에 적은 간극을 이루고 있는 폴(12)을 구비하며, 이 폴은 수평 링크(2')에 끌리게 된다. 폴(12)은 볼트(13)에 의해 안내 장치(1)에 힌지 연결된다.
체인을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는 수직 체인 링크(3''')에 끌리는 2개의 폴(14,14')로 구성된다. 이 폴들은 2개의 볼트(15,15')에 의해 프레임(6)에 힌지 연결된다. 프레임(6)은 베이스(16)에 고정될 수 있지만, 도면에는 수평 볼트(17,18)에 의해 힌지 연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부하를 받게될 체인 근처에 있는 볼트(18)는 체인에 가해지는 모든 조건하에서 응력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원통형의 로드셀(load cell)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수직 링크(3)는 트랙(4)의 베이스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인장 하에 있는 체인이 외주부(5)에 반발하게 놓이게될 때 수평 링크(2)는 굽힘 응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3은 피스톤 로드(10)가 상사점 즉, 완전히 확장된 상태에 있을 때를 도시한 것이다. 잠금 장치의 폴(14,14')은 체인 링크(3''')에 대해 적은 간극을 유지한다. 또한, 파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보조 실린더(19)와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는 보조 실린더(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중심이 볼트(7)에 위치하고 반경(R)을 따라 확장되어 있는 안내 장치(1)의 외주부(5)가 도시되어 있다. 외주부(5)는 B 지점에서 C 지점까지 확장되는데, 여기서 B 지점은 실린더(8)내의 피스톤 로드(10)가 하사점에 있을 때 잠금 장치(14,14')로 향하는 안내 장치(1)에 대한 체인의 접점을 가리키며, C 지점은 피스톤 로드(10)가 상사점에 있을 때 해당하는 접점을 가리킨다. 프레임(21)은 데크(22)에 용접 혹은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폴(14,14')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볼트는 원통형의 로드셀(23,23')로 대체될 수 있다. 파지 장치용의 폴(24)은 관통 볼트(25)에 의해 실린더(8)의 로드 헤드에 연결된다. 보조 실린더(26)의 일단부는 폴(24)을 위한 보스에 위치하게 될 선회 장착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안내 장치(1)에 용접된 활주 브래킷(27)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는 체인이 잠금 장치(14,14')에 매달리게 될 때 고정식 접경부(接境部)(28)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는 안내 롤러(1)가 도시되어 있다. 접경부(28)의 확장부(29)는 접경부(28)의 힌지(30)에 의해 확장되는데, 도 4에는 부하가 걸리지 않은 위치로 선회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안내 장치(1)가 상사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접경부(28)의 확장부(29)가 접경부(28)와 접촉하도록 상향으로 선회되고, 그리고 피스톤 로드(10)가 약간 후방으로 이동되었기 때문에, 안내 장치(1)는 접경부의 확장부(29)에 놓이게 되고 체인은 잠금 장치(14,14')에 매달리게 된다.
보조 실린더(26)는 활주 브래킷(27)으로부터 느슨해지게 되고, 피스톤 로드(10)는 하사점으로 되돌아 가게된다. 결국, 볼트(25)는 활주 브래킷(27)의 슬릿 트랙(30)을 빠져나게 된다. 이 트랙에 다수의 부분들이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8)는 상승되었기 때문에 진자식(pendulum) 볼트(31)는 이것의 슬릿 트랙(32)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그 결과, 실린더(8)는 여러 개의 선형 윈치를 작동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이들 윈치들이 동일한 영역에서 있다면, 실린더(8,26)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 연결 호스(도시 생략)를 분리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볼트(25,31)는 축방향으로 끄집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슬릿 트랙(30,32)이 필요 없게 된다.
도 6은 선형 윈치가 오프쇼어 플랫폼의 칼럼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변형된 것만 제외하고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칼럼의 데크(36)는 칼럼의 수직면(32)과 만난다. 안내 장치(1)는 볼트(7)에 의해 브래킷(33)에 연결된다. 브래킷(33)은 데크(36)에 용접되어 있다. 폴(14,14')은 볼트(15,15')에 의해 브래킷(34)에 연결되고, 실린더(8)는 외팔보식 축(35,35')에 의해 브래킷(34)에 연결된다. 브래킷(34)은 칼럼의 측면(32)에 용접된다.
체인을 감아 올리는 절차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체인 링크(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14,14')에 의해 잠기게 되고, 체인의 일부가 아래에서 붙들리게 된다. 실린더(8)는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안내 장치(1)의 우측 단부에 상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며, 안내 장치(1)는 볼트(7)(또는 지지점)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체인(2,3,3',3'',3''')은 폴(12)이 체인 링크(3')와 접촉할 때까지 안내 롤러(1) 쪽으로 약간 활주하면서 안내 장치(1)를 따라 종동하게 된다. 체인이 상승됨에 따라, 수직 링크(3''')는 폴(14,14')을 옆으로 밀치면서 그 곳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8)의 행정이 최대점에 도달하게 되면, 체인 링크(3''')는 폴(14,14')을 통과하며, 이 폴들은 링크(3'''') 바로 아래의 초기 지점으로 되돌아온다(도 3에 도시된 위치임). 체인의 응력 변형은 파지 장치의 폴(12)에 의해 일시적으로 유지되지만, 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가 뒤로 약간 당겨질 때 잠금 장치(14,14')는 수직 체인 링크(3''')를 붙들게 될 것이다. 따라서, 파지 장치의 폴(12)이 해제되며, 그리고 폴(12)은 수직 체인 링크(3'')를 들어 올려 실린더(8)가 하사점에 도달할 때 상기 링크(3'')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서는, 빠져나가는 부분의 체인 중량이 안내 장치(1)에 반발하게 활주하여야만 하는 체인의 마찰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체인의 하강 작동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10)는 완전히 확장하며, 그 다음 체인은 파지 장치의 폴(12)에 매달리게 된다. 폴(14,14')은 보조 실린더(20)를 사용하여 바깥으로 이동한다. 피스톤 로드(10)는 이것이 하사점에 도달할 때까지 뒤로 당겨지며, 폴(14,14')은 실린더(20)에 의해 잠금 위치로 이동한다. 파지 장치의 폴(12)은 보조 실린더(19)에 의해 수직 체인 링크(3')으로부터 분리되며, 피스톤 로드(10)는 이것이 상사점에 도달할 때까지 확장한다. 폴(12)은 보조 실린더(19)에 의해 맞물리며, 피스톤 로드(10)가 완전히 확장될 때 사이클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선형 윈치는 적은 부품수와 좁은 설치 공간만을 필요로 하면서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작용력이 피스톤의 전체 표면에 걸리게 하고, 피스톤 로드에 굽힘 모멘트가 가해지지 않는, 단일의 작동 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체인(2,3)과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폴(14,14')을 구비하는 잠금 장치가 체인을 잠그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6,33,34)과, 대응하는 폴 기구(12)를 구비한 파지 장치와, 체인(2,3)을 들어올리기 위한 리프팅 장치(8)와, 그리고 체인용의 트랙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에 피벗 지지된 둥근 안내 장치(1)를 포함하는 체인(2,3)을 감아 올리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1)의 형상은 거의 반원형이며, 상기 리프팅 장치는 프레임(6,33,34)에서 안내 장치(1)의 지지점(7)에 대해 대체로 직경을 따라 반대쪽에 놓인 안내 장치(1)의 외주부의 일부분(27)과 상호 협동하고 안내 장치(1)의 상기 일부분(27)에 작동하는 선형 액츄에이터(8)를 구비하며, 상기 파지 장치는 안내 장치(1)에 형성된 트랙(4,5)에 체인이 놓여 있는 동안 그 체인을 붙들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폴(12,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8)는 단일의 유압 리프팅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 및 파지 장치의 폴(14,14';12)들은 유압식 보조 실린더(19,20)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8)의 행정 중에 체인(2,3)이 접촉하게 될 영역에서 거의 반원형인 안내 장치(1)의 외주부는 프레임(6)에서 안내 장치(1)의 지지점(7)에 중심을 두고 있는 일정한 반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1)는 이것의 하부 위치에서 접경부(28)에 반발하게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1)는 이것의 상부 위치에 근접하게 있는 활동 가능한 접경부(29)를 구비하며, 상기 리프팅 장치(8)는 그 양단부에서 액츄에이터(8) 방향으로 개방하는 각각의 슬릿 트랙(30,32)에 지지되는 진자식 지지 볼트(25,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의 폴(24)은 유압식 리프팅 실린더(8)의 피스톤 로드(10)의 헤드에 설치된 진자식 지지부(25)와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리프팅 실린더(8)는 확장 볼트(35,35')에 의해 프레임(6,34)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장치(12,24)는 안내 장치(1)의 상기 일부분(2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10.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1)는 오프쇼어 플랫폼의 수평 데크(36)에 고정된 브래킷(3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잠금 장치(14,14')와 선형 액츄에이터(8)는 상기 수평 데크(36)에 인접한 수직면(32)에 고정된 브래킷(3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을 감아 올리는 장치.
KR1019970047505A 1996-09-18 1997-09-18 램 윈치 KR100282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963899 1996-09-18
NO963899A NO963899D0 (no) 1996-09-18 1996-09-18 Pal-vinsj
JP963899 1996-09-18
NO965184 1996-12-04
NO965184A NO307295B1 (no) 1996-09-18 1996-12-04 Palvinsj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685A KR19980024685A (ko) 1998-07-06
KR100282583B1 true KR100282583B1 (ko) 2001-02-15

Family

ID=2664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505A KR100282583B1 (ko) 1996-09-18 1997-09-18 램 윈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82583B1 (ko)
BR (1) BR9708121A (ko)
DE (1) DE6971703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5995B4 (de) * 2010-01-27 2012-02-16 Maschinenfabrik Bröhl GmbH & Co oHG Vorrichtung zum stationären Anordnen von schwimmenden Körpern
CN111230797B (zh) * 2020-04-03 2023-05-16 山东建筑大学 大型链条更换平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7037T2 (de) 2003-05-08
DE69717037D1 (de) 2002-12-19
KR19980024685A (ko) 1998-07-06
BR9708121A (pt)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37806A (zh) 工作平台
CA2366608C (en) Lock mechanism for lift
US47401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d maintaining the level of a pier deck
US6655661B2 (en) Rotating jack winch
EP0831053B1 (en) A ram winch
KR100282583B1 (ko) 램 윈치
CN111332407B (zh) 一种锚链提升器及其使用方法
EP2184223B1 (en) Device for raising/lowering of elongated objects
US4491228A (en) Floating sheave type pendant pay-out system for pendant supported boom
US4557391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angle of a pivotal boom with extensible sections
US4651884A (en) Portable and collapsible derrick structure
AU2001287686B2 (en) Vessel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moving and/or installing a sub-structure of a drilling or production platform
BE1021796B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 zee plaatsen van een rotorblad van een windturbine
AU2001287686A1 (en) Vessel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moving and/or installing a sub-structure of a drilling or production platform
RU2697934C1 (ru) Телескопическая мачта (варианты)
SU1576415A1 (ru) Судовое спуск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SU1366470A1 (ru) Наклонный подъемник
SU1147680A1 (ru) Сам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SU791842A1 (ru) Плавуча платформа
SU1627504A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передвижного подъемника
SU1558858A1 (ru) Сам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SU1078009A1 (ru) Подъемные подмости
SU115987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т желовесных грузов
BE1021594B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p zee plaatsen van onderdelen van een bouwwerk
SU1034987A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башн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