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2575B1 - 염증성 피부병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증성 피부병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2575B1
KR100282575B1 KR1019940702690A KR19940702690A KR100282575B1 KR 100282575 B1 KR100282575 B1 KR 100282575B1 KR 1019940702690 A KR1019940702690 A KR 1019940702690A KR 19940702690 A KR19940702690 A KR 19940702690A KR 100282575 B1 KR100282575 B1 KR 10028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tetramethyl
tetrahydro
naphthaleny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069A (ko
Inventor
알버트엠.클릭만
Original Assignee
알버트엠.클릭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버트엠.클릭만 filed Critical 알버트엠.클릭만
Publication of KR95070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2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염증성 피부병은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를 둘 다 함유하는 조성물을 감염된 피부 부위에 국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억제 및 치료된다. 혼합 요법은 어떠한 활성 성분 단독의 요법보다 더욱 효과적이며 코티코스테로이드 단독 치료에 내성이 있거나 생겨난 만성 피부병에 특히 효과적이다. 코티코스테로이드-레티노이드 조성물을 1일 또는 2회 적용하여 치료한 후, 통상적으로 수주후에는, 치료되는 특정 피부병에 따라, 조성물의 적용빈도를 줄이거나 농도를 낮춤으로써 또는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레티노이드중 단지 하나, 효능이 약한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치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염증성 피부병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염증성 피부병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피부의 감염 부위에 국소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서 염증성 피부병의 억제, 치료 및 치료 상태의 유지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피부과 질병의 치료를 위해 가장 폭넓게 처방되는 약물은 글루코코디코스테로이드 또는 글루코코티코이드로도 공지되어 있는 코티코스테로이드이다. 피부과 의사에 의해 처방된 것의 대략 50%는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한 것이다. 이 물질이 1950년대 초반 피부과 질병에 도입된 이래,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은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염증성 피부병의 치료 기술에 주류로 지속되어 왔다. 전신성 코티코스테로이드가 일부 심각한 피부과 질병에 종종 필요하지만, 국소 치료가 전신적 역효과를 거의 유발하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상응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지루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자극성 및 알레르기성 유형의 접촉성 피부염, 국소적 신경 피부염(만성 단순성 태선), 편평 태선 및 건선과 같은 급성 및 만성 피부병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스테로이드는 또한 다리에(Darier) 질병 및 어리선형 피부염과 같은 기타의 덜 통상적인 다양한 상태에 대해서도 사용된다. 개략적인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은 1988년 6월 16 - 20일 발리(Bali)의 쉐링 아게(Schering AG) 후원의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심포지움에서 일련의 논문에 나타나 있다[참조: Durgs 36, 부록 5, pp 1-61에 공개(Adis Press Ltd. 1988)].
각각의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제는 소염 효능 및 임상 효과에 있어서 다양하다. 스테로이드 요법의 치료 효과는 스테로이드의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밀봉붕대와 같은 특정 증강제를 사용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효과는 다수 인자, 즉 부형제, 적용 위치 및 빈도, 질병, 개개 환자, 밀봉 붕대의 사용 등에 따라 다르다.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제의 효능은 선택되는 특정 코티코스테로이드, 이의 농도 및 이의 부형제에 따라 다르다. 편리하게는,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예를 들어 하기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효능이 가장 높은 것(그룹 I)으로부터 가장 낮은 것(그룹 VII)까지 7개 그룹으로 분류된다. 추가로, 이 분류는 통상적으로 매우 높은 효능으로 지정되는 그룹 I, 높은 효능으로 지정되는 그룹 II 및 III, 중간 효능으로 지정되는 그룹 IV 및 V, 및 낮은 효능으로 지정되는 그룹VI 및 VII로 상대적인 효능 지정에 다라 등급을 매긴 것이다. 대표적으로 상업화된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제는 본 시스템에 따라 문헌에 분류 열거되어 있다[참조: R. B. Stoughton, "Percutaneous Absorption of Drugs", Annual Review of Pharmacologic Toxicology, pp. 55-69 (1989)].
[표 1]
국소 코티코스테로이드의 효능 등급
(가장 높은 효능 그룹 I에서 가장 낮은 효능 그룹 VII까지)
일부 스테로이드, 특히 중간 내지 높은 효능의 스테로이드가 만성 피부병에 효과가 있지만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사용하면 심각한 국소 부작용을 유발한다. 이는 피부 위축(박피화, 모세관 확장증, 선조증)을 포함하며 스테로이드를 금지하면 반발 발적확장을 촉진한다. 피부의 넓은 부위의 치료 및 밀봉 붕대의 사용은 또한 역효과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소아의 경우 특히 그러하다. 하기에 더욱 충분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미합중국 특허 제4,889,847호 및 제5,019,569호는 코티코스테로이드 요법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위축을 예방 및 치료(reverse)하기 위한 트레티노인과 같은 레티노이드의 사용을 기술하고 있다.
트레티노인(전(全)-트란스-레틴산 또는 비타민 A 산)과 같은 국소 레티오니드는 거의 이십년 동안 피부과 의사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트레티노인을 면포, 구진 및 농포가 지배적인 주로 등급 I 내지 III의 심상성 좌창의 치료에 국소으로 사용한다. 클릭만(Kligman)의 미합중국 특허 제3,729,568호를 참조하라.
트레티노인은 기타의 피부 상태(예 : 건선, 선천성 어린 선상 홍피증, 다리에 질병, 표피박탈성 각화증, 화학작용 각화증, 소극성 속모증, 편평우, 기저세포암 및 여러 가지의 관련 없는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문헌[J. R. Thomas et al. "The Therapeutic Uses of Topical Vitamin A Acid,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4:505-513 (1981)]을 참조하라.
보다 최근에는, 트레티노인과 같은 레티노이드가 특히 별도로 사용되고 후속적으로 코티코스테로이드와 함께 국소 적용되는 경우, 다양한 피부 질병에 대한 장기간 코티코스테로이드 적용중인 환자에 있어서 피부 위축을 예방 및 치료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클릭만, 메지크(Mezick) 및 카페톨라(Capetola)의 미합중국 특허 제4,889,847호 및 제5,019,569호를 참조하라. 그러나, 이 연구는 코티코스테로이드 요법의 부작용을 예방 및 치료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효력을 향상시킬 가능성, 특히 코티코스테로이드에 대한 내성이 생긴 환자의 질병에 대하여는 역점을 두지 않았다. 피부과 의사들은 이러한 후천적 내성을 "타키필락시스(tachyphylaxis)"라고 부르고, 휴지기(휴지요법) 및 다른 약물로의 전환과 같은 다양한 전략으로 이를 완화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단지 약간의 도움이 되었을 뿐이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에 의하여, 피부병을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피부의 감염 부위에 국소 적용함으로써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레티노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급성 및 만성 종류를 모두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병을 억제 및 치료할 수 있다. 즉, 이들 두 약물은 완전히 상이한 방식의 작용을 갖고, 단일 제형으로 혼합되는 경우보다 급속히 치료하고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레티노이드의 단독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피부병에 현저한 효과를 보이는 상승 효과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중에 레티노이드 및 코티코스테로이드를 둘 다 함유하는 조성물을 약 2 내지 3주 동안 1일 1 도는 2회 적용함으로써 피부병을 억제 및 치료할 수 있다.
이후에, 활성 성분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적용 빈도를 낮추고/거나 효능이 더 낮은 것을 적용함으로써(예 :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주당 수회 또는 레티노이드 1일 1회 적용) 치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질병이 한번 조절되고 나면, 효능이 더 낮은 스테로이드를 경감 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거나 통상적으로 덜 효과적이지만 보다 안전한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섭생, 즉 타르, 국소 항생물질 또는 항균 물질 및 기타 통상적인 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의사들은 염증성 피부병, 특히 만성 염증성 피부병을 취급하는데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에 의해 치료되지는 않지만 단순히 억제되도록 좀 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염증성 피부병은 당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는 경구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때때로 경구 레티노이드를 포함하여, 다양한 소염성 약물로 이미 치료된 급성, 만성 및 난치성 피부병이 포함된다. 이들 선행 요법이 때때로 효과적인 반면, 각각의 부작용이 상당하고 심각하다.
건선의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하여 트레티노인 및 특정 코티코스테로이드를 후속적으로 또는 함께 혼합하여 배합 사용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헌[K. H. Kaidbey et al., "Treatment of P내??냔 with Topically Applied Tretinoin and Steroid Ointment." Archives of Dermatology, 111:1001-1003 (1975) 및 P. Frost et al., "Retinoic Acid for the Therapy of Proriasis", Acta Dermatovener, Suppl. 74:154-160(Stockholm, 1975)]을 참조하라. 그러나, 일반적으로 염증성 피부병의 효과적인 치료는 이전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에 의해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는 장애들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염증성 좌창이 있다. 이는 가장 심한 유형인 원구성 좌창 또는 결절 낭종성 좌창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농포 및 지속적인 심부 구진을 수반하는 염증성 좌창도 상당히 반응한다.
염증성 좌창은 격렬하게, 집족성 좌창은 현저하게 경구 레티노이드, 13-시스-레틴산(아큐태인(ACCUTANE)으로 시판중임)에 반응한다. 그러나, 기형 발생, 혈지질 상승, 취약성 피부, 결막염 등을 포함하는 이 약물의 부작용이 매우 심각하다. 중증의 염증성 심상성 좌창뿐 아니라 원구성 좌창을 특히, 본 발명의 배합 치료방법을 1일 2회씩 2 내지 3주만 적용하여도 억제할 수 있거나 우수한 반응을 보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지속적인 구진-농포성 좌창 또한 본 발명의 배합 치료 방법에 잘 반응한다. 심상성 좌창이 실제로 염증성 및 비염증성 좌창의 혼합이며, 본 발명에 의한 치료 방법을 비염증성 좌창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레티노이드 단독의 효력으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이 불필요할 것이라는 점이 인지된다.
주사(Rosacea)는 매우 염증성이고 경구 레티노이드를 제외한 요법에 내성이 있는 또다른 통상적인 질병이다. 중증의 주사는 원구성 좌창과 유사하다. 이러한 뇌산성 유형의 주사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레티노이드 및 코티코스테로이드의 배합물에 반응한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의해 억제되고 치료될 수 있는 다른 염증성 장애는, 편평 태선, 특히 비대 변형; 만성 원판상 낭창 홍반통증;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환자에게 통상 나타나는 계속적이고 소양성의 피부염인 만성 단순성 태선을 포함하는 만성 아토피성 피부염; 매우 다양한 환경 알레르기 항원에 기인한 만성 접촉성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만성 손 피부염; 유전분성 태선; 원형 탈모증; 가성 수염 모낭염; 모공성 홍색 비강진; 균상 식육증; 약물 반응(급성)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치료 방법에 유용한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이의 소염 특성으로 공지되어 있는 수많은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전부 포함한다. 사익 표 1에 열거된 것들을 참조하라. 바람직하게는, 중간- 내지 높은- 또는 매우 높은 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본 발명에 사용한다. 바람직한 중간-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의 예는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이다. 클로베타솔 프로피로네이트는 현재 효능면에서 최상이다. 다른 바람직한 높은-효능의 스테로이드는 예를 들어, 베타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억제를 위해 높은 효능의 스테로이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특정 만성 피부병(예 : 아토피성 피부염)에서는 낮은 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예 : 하이드로코티손, 덱사메타손 및 프레드니솔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예 : 천연 비타민 A의 대사산물인 비타민 A 알데히드(레티날) 및 비타민 A 산(레틴산)를 포함하는 것으로 협의로 정의되어 왔다. 그러나, 계속적인 연구 결과, 부 비타민 A와 구조적으로는 매우 상이할 수 있으나, 생물학적 작용이 유사하므로 레티노이드로 칭해지는 보다 광범위한 종류의 화학적 화합물이 생성되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화합물은 비타민 A의 모든 천연 및/또는 합성 동족체 또는 여러 가지 레티노이드에 대해 입증된 유사한 치료학적 활성을 갖는 레티놀형 화합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레티노이드"는 공지되고 비공지된 피부의 레틴산 수용체를 결합한 다음, 활성화시킴으로써 레틴산 또는 레티놀의 생물학적 반응을 전부 또는 일부 이끌어내는 천연 또는 합성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원에 유용한 레티노이드의 적합한 예는 표 II에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표 II]
전(全)-트란스-레틴산,
13-시스-레틴산,
11-시스-레틴산,
9-시스-레틴산,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일 팔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전-E)-9-(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산 에틸 에스테르,
(전-E)-9-(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산,
N-에틸-9-(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아미드,
(E,E)-9-(2,6-디클로로-4-메톡시-3-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산 에틸 에스테르,
7,8-디데하이드로레틴산,
(E, E)-4-[2-메틸-4-(2,6,6-트리메틸-1-사이클로헥센-1-일)-1,3-부타디에닐]벤조산,
(E)-4-[4-메틸-6-(2,6,6-트리메틸-1-사이클로헥센-1-일)-1,3,5-헥사트리에닐]벤조산,
(전-E)-3,7-디메틸-(3-트리에닐)-2,4,6,8-노나테트라엔산,
(E,E,E)-3-메틸-7-(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2,4,6-옥타트리엔산,
(E)-6-[2-(2,6,6-트리메틸-1-사이클로헥센-1-일)에티에닐]-2-나프탈렌카복실산,
(E,E,E)-7-(2,3-디하이드로-1,1,3,3-테트라메틸-1H-인덴-5-일)-3-메틸-2,4,6-옥타트리엔산,
(E)-4-[2-(2,3-디하이드로-1,1,3,3-테트라메틸-1H-인덴-5-일)-1-프로페닐]벤조산,
(E)-4-[2-(5,6,7,8-테트라하이드로-5,8,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1-프로페닐]벤조산,
(E)-4-[2-(5,6,7,8-테트라하이드로-3-메틸-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1-프로페닐]벤조산,
(E)-1,2,3,4-테트라하이드로-1,1,4,4-테트라메틸-6-(1-메틸-2-페닐에테닐)나프탈렌,
6-(1,2,3,4-테트라하이드로-1,1,4,4-테트라메틸-6-나프틸-2-나프탈렌카복실산,
(E)-6-[2-(4-에틸설포닐)페닐]-1-메틸에테닐]-1,2,3,4-테트라하이드로-1,1,4,4-테트라메틸나프탈렌,
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에티닐]벤조산,
(E)-2-(1,1,4,4-테트라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트-7-일)-1-[4-테트라졸-5-일)페닐]-1-프로펜,
(E)-4-[2-(5,6,7,8-테트라하이드로-7-하이드록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1-프로페닐]벤질 알콜,
(6-(3-(1-아다만틸)-4-메톡시페닐)-2-나프토산),
11-시스, 13-시스-12-하이드록시메틸레틴산 δ-락톤,
4-아세트아미도페닐 레티노에이트,
1-(4-카복시페닐)-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피라졸,
1-(4-카복시페닐)-5-하이드록시-3-(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피라졸,
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에티닐]메틸설포닐벤젠,
레티노일 β-글루쿠로나이드,
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카바모일]벤조산,
또한, 레티노이드의 프로드럭(pro-drug) 뿐만 아니라 이의 기하 및 입체 이성체도 용어 "레티노이드"의 범위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 둘 다에 대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단일 조성물 내에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를 동시에 적용한다. 트레티노인 및 일부 기타 활성 물질이, 예를 들어 광분해에 적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므로, 코티코스테로이드, 레티노이드, 부형제 및 임의의 기타 성분의 특정 배합물이 상용성이도록 선택해야 하나, 이러한 선택은 본 설명의 기술 분야 범위내에 속한다.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의 양 또는 농도는 선택되는 특정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 치료되어야 하는 장애, 수행되는 적용 빈도, 투여시 밀봉 붕대의 사용 여부 등과 같은 인자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
약제학적 담체와의 초기 혼합물중에 활성 성분으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국소 전-트란스-레틴산(트레티노인)의 제형화에 사용되는 기술과 같은 통상적인 약제학적 조제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크림, 붕대, 겔, 로숀, 연고 또는 액체와 같은 매우 다양한 물리적 형태로 담체를 취할 수 있다. 특정 레티노이드는 트레티노인에 비해 다수 효능이 있을 수 있으며, 레티노이드의 효능에 따라 약 0.00001중량% 내지 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시판중인 적합한 국소 레티노이드 제제는 0.01 내지 0.025중량%의 트레티노인을 함유하는 레틴-A겔제 및 0.025 내지 0.1중량%의 트레티노인을 함유하는 레틴-A크림이며, 둘 다 오르토 파마슈티칼 코포레이션(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제품이다.
전형적으로,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주로 목적하는 효능에 따라 조성물 중에 약 0.0000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레티노이드의 표준으로 트레티노인을 사용하면, 트레티노인은 전형적으로 조성물 중에 약 0.0001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다소 효능 있는 기타 레티노이드는 이에 대등하게 상응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낮은 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예 : 하이드로코티손)는 일반적으로 약 2% 이상의 농도가 필요한 반면, 중간- 내지 높은-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 또는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에 대하여 0.1% 및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에 대하여 0.05%와 같이 제조자에 의해 추천되는 농도로 만족할 만하다. 이들 농도는 물론 특정 상태에 대한 최적의 제형을 수득하기 위해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합물이 갖는 특별한 잇점은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종종 현재의 제형(레티노이드를 함유하지 않는)의 농도의 1/2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안정성을 크게 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치료되는 상태에 대해, 레티노이드와의 배합에 의해 제공되는 향상된 효능이 코티코스테로이드를 더 낮은 농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레티노이드의 단독 사용에 의해 정상적으로 억제되거나 치료되지 않는 특별히 내성이 있는 장애에 대해서는 더 높은 농도의 코티코스테로이드가 바람직할 수 있고, 레티노이드의 존재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추가 성분, 예를 들면 안정화제, 완화제, 투과 향상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을 예를 들면 밀봉 붕대 및 약물 전달 시스템, 예를 들면 스폰지, 팻치(patch), 리포솜(liposome)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적용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합물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요법적 섭생 또는 전략은 통상적으로 피부병을 억제하기 위해 수주 동안 배합물을 1일 1 내지 2회 적용, 바람직하게는 1일 2회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질병의 특성에 따라 코티코스테로이드 단독으로 주당 수회 신중하게 적용하거나 레티노이드 단독으로 매일 적용하거나, 본 배합물 또는 낮은 효능의 배합물을 낮은 농도로 및/또는 빈도를 줄여 적용함으로써 치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낮은 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 단독으로 적용함으로써 치료 상태가 유지되는 장애의 일례이며, 염증성 심상성 좌창은 레티노이드(예 : 트레티노인) 단독으로 적용함으로써 치료 상태가 유지되는 장애의 일례이다.
상당히 많은 환자에 대한 조절 연구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 요법이 부가적일 뿐만 아니라 상승 작용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배합물은 보다 효과적이며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레티노이드 단독에 의한 통상적인 치료 섭생으로 수득되지 않는 반응을 유발한다. 따라서, 배합물에 의해 염증성 피부병이 보다 신속히 치료되고 낙설, 경변 및 부종이 급속히 해소된다. 이는 환자의 순응을 향상시킨다.
또한, 재발이 지연되고 덜 심각하다. 중요하게는, 표준 또는 통상적인 치료(예 : 코티코스테로이드 단독 요법)에 면역이 생긴 상태에서 개선이 있으며, 종종 스테로이드 요법의 중단 이후 발견되는 반발이 배제된다.
이 배합 요법중 레티노이드 성분의 작용이, 미합중국 특허 제4,889,847호 및 제5,019,569호에 기술 및 청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티코스테로이드의 위축 발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단순한 것이 아님을 주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발견에 따라서, 레티노이드는 상기한 만성 및 급성 피부병의 특징인 염증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의 효능을 향상시킨다. 트레티노인 및 기타 레티노이드는 작용 메카니즘이 코티코스테로이드와 매우 다르지만 소염 효과를 다소 갖는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트레티노인이 피부 투과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더욱 많은 스테로이드가 질병 부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함이 공지되어 있다.
출원인이 작용에 대해 특정 이론에 국한시키고자 하는 바는 아니나, 레티노이드가 2가지 이상의 특정 방식으로 코티코스테로이드의 효능을 향상시킨다고 믿어진다: (1) 외피 각질층(소위 피부의 투과성 "배리어(barrier)")을 박피화함으로써 보다 많은 약물이 표적 조직내로 침투할 수 있도록 하여 코티코스테로이드의 보다 큰 국소 농도(코티코스테로이드의 투여량 증가에 상응) 수득 방식; 및 (2) 염증을 예방 및 감소시키는 레티노이드 자체의 능력.
소염 효과는 혈관으로부터 조직(화학주성)내로의 백혈구(호중구) 이동을 억제하는 레티노이드의 공지된 능력에 관한 것임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레티노이드는 면역 과정 예를 들면, 염증 부위에서의 T-세포 활성화 및 사이토킨의 방출에 영향을 미친다. 레티노이드는 또한 대식세포의 질병 부위내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러한 세포는 인터류킨 및 단백질을 포함하여 수많은 독성 생성물을 생성한다. 아직은 명백히 규명되지 않은 기타의 소염 효과를 인용할 수 있다. 트레티노인은 콜라겐, 엘라스틴 및 카라게닌을 주사한 후 유도되는 바와 같은 이물 반응의 결과인 만성 육아종을 보다 빠르게 해소시킨다.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의 작용 방식은 완전히 상이하여 이 둘의 배합물은 예상치 못한 유리한 치료 효과를 갖는 것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코티코스테로이드의 하나의 작용 메카니즘은 염증 캐스케이드를 개시하는 효소 방출을 억제하는 것인 반면, 레티노이드의 효과는 덜 특이적이며 다수의 관련 없는 효과에 따른다. 이들 중에서 레티노이드의 능력은 창상 치유를 촉진하고 새로운 혈관 형성(맥관형성)을 자극하여, 국소 혈액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초기 염증성의 레티노이드는 염증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코티코스테로이드-레티노이드 배합물은 협력 작용하는 두 개의 완전히 상이한 메카니즘에 의해 염증을 완화시킨다.
배합물의 또다른 잇점은 스테로이드를 중단하는 경우 반발 발적확장을 예방한다는 것이다. 반발 발적확장의 극적인 예는 피부과 의사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소 스테로이드에 의한 주사의 치료는 위축 및 발적의 두드러진 "스테로이드성 주사"로 칭해지는 증후군을 유발한다. 치료 중지후에, 매우 조절하기 어려운, 지독하고 심한 농포성의 발적이 일어난다. 다른 질병에서도 역시, 스테로이드를 중단하는 경우 "반발성 피부염"이 치료된 부위에 나타난다. 부위는 민감, 발적, 균열, 부종 및 박피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반발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로 완전히 예방된다. 추가적으로 타키팔락시스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배합물에서 관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하기에 특정적이나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두가지 제형을 광범위하게 평가한다; (1) 크림 기재중에서 0.1% 트레티노인과 배합되는 0.1%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2) 크림 기재중에서 0.1% 트레티노인과 배합되는 0.05% 크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예상하는 바와 같이, 크로베타솔이 공지된 가장 높은 효능의 코티코스테로이드이므로 후자의 제형의 요법상 반응이 보다 신속하게 나타난다. 하기 실시예에서 특별히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배합물은 1일 2회 적용으로 2 내지 3주 이내에 신속한 소산(억제 및 치료)을 일으킨다.
[실시예 1]
심한 염증성 심상성 좌창을 가진 대략 30명의 환자를 크림 기재중의 0.05%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및 0.1% 트레티노인의 배합물로 치료한다. 이 상태의 거의 모든 경우가 1일 2회 적용으로 2 내지 3주 이내에 억제된다.
[실시예 2]
심한 염증성 접촉성 좌창을 가진 환자 약 20명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배합물로 치료한다. 이들 환자는 1일 2회 적용으로 3주 이내에 우수한 반응을 보인다. 반응(치료)은 경구 13-시스-레틴산에 의한 치료보다 더욱 신속하며 현저하다.
[실시예 3]
심한 구진-농포성 염증성 좌창을 가진 9명의 환자를 유중수(water-in-oil) 크림중 0.1%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0.05 또는 0.1% 트레티노인의 1일 2회 적용으로 2 내지 3주 동안 치료한다. 병변 부위를 급속히 냉각시킨 다음, 0.025% 트레티노인 크림 단독으로 매일 적용하는 것으로 바꾼다. 배합 치료를 중단한 후의 다른 방법은 국소 항생물질(예 : 에리트로마이신) 또는 항균물질(예 : 벤조일 퍼옥사이드)의 적용하다.
[실시예 4]
심한 염증의 안면 주사를 가진 환자 대략 14명을 크림 기재중의 0.1% 트레티노인 및 0.05% 크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의 배합물로 치료한다. 이 배합물은 육아종성 주사, 안면 농피증 및 뇌산성 주사의 치료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어서, 경감 상태가 국소 메트로니다졸 또는 경구 테트라사이클린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 5]
다리의 비대성 편평 태선을 가진 6명의 환자는 실시예 4에서와 같은 동일한 배합물의 1일 2회 적용(3주 이내)에 급속히 반응하다. 치료 상태는 중간 강도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2 내지 3일에 한번씩 적용함으로써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 6]
다리 하부에 만성 단순성 태선으로 나타나는 성인형의 만성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진 성인 10명을 크림 부형제중의 0.025% 또는 0.05%의 트레티노인 및 2.0% 하이드로코티손의 배합물로 치료한다. 소양성의 두꺼운 플라크를 특징으로 하는 상태는 필수적으로 당해 배합물의 1일 2회 적용으로 3주 이내에 사라진다. 이후에, 재발을 예방하는데 1.0% 하이드로코티손 크림의 1일 1회 적용이 충분하다.
[실시예 7]
만성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이 직업상 발생한 환자 12명은 크림 기재중의 0.1%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0.1% 트레티노인의 배합물의 적용 치료에 신속하게 반응한다.
[실시예 8]
장기간 심한 염증성 가성 수염 모낭염이 있는 20의 흑인 남성을 바셀린 부형제(46% 바셀린을 함유하는 유중수 유제)중의 0.1%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0.1% 또는 0.05% 트레티노인의 배합물로 치료한다. 이러한 질병에서 피부 내부로 자라는 매우 구부러지고 뻣뻣한 수염의 끝에는 염증성 이물 육아종이 생겨난다. 배합물로 약 2 내지 3주 치료한 후 염증성 병변은 편평해지고 불활성화되며, 그 이후 트레티노인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예 9]
만성, 내성, 염증성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만성 피부병을 가진 소수의 환자는 3 내지 4주동안 크림 기재중의 0.05%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및 0.1% 트레티노인의 배합물을 매일 적용하는 것에 유리하게 반응한다. 이들 장애는 만성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편평 태선, 다리에 질병, 원형 탈모증 및 지속적인 지루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태는 정신 또는 이의 본질적인 속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일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를 지정하는 것으로 전술한 명세서보다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참조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코티코스테로이드 및 레티노이드를 피부병을 억제하고 치료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건선 및 지루성 탈모증을 제외한 염증성 피부병을 억제 및 치료하기 위한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병이 염증성 심상성 좌창, 중증의 염증성 원구성 좌창, 편평 태선,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원형 탈모증, 가성 수염 모낭염, 모공성 홍색 비강진, 균상 식육증, 염증성 주사, 만성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접촉성 피부염, 만성 손 피부염 및 급성 약물 반응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가 조성물중에 0.00001 내지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조성물 중에 0.0001 내지 1중량%의 트레티노인에 상당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가 표 I의 그룹 I 내지 그룹 V의 효능 코티코스테로이드인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코티코스테로이드가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트레티노인인 약제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트레티노인을 0.05 내지 0.1중량% 및 베타메타손 발레레이트,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코티코스테로이드를 0.05 내지 0.1중량%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레티노이드가 전(全)-트란스-레틴산, 13-시스-레틴산, 11-시스-레틴산, 9-시스-레틴산, 레티놀, 레티날, (전-E)-9-(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산 에틸 에스테르, (전-E)-9-(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산, N-에틸-9-(4-메톡시-2,3,6-트리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아미드, (E,E)-9-(2,6-디클로로-4-메톡시-3-메틸페닐)-3,7-디메틸-2,4,6,8-노나테트라엔산 에틸 에스테르, 7,8-디데하이드로레틴산, (E, E)-4-[2-메틸-4-(2,6,6-트리메틸-1-사이클로헥센-1-일)-1,3-부타디에닐]벤조산, (E)-4-[4-메틸-6-(2,6,6-트리메틸-1-사이클로헥센-1-일)-1,3,5-헥사트리에닐]벤조산, (전-E)-3,7-디메틸-3-티에닐)-2,4,6,8-노나테트라엔산, (E,E,E)-3-메틸-7-(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2,4,6-옥타트리엔산, (E)-6-[2-(2,6,6-트리메틸-1-사이클로헥센-1-일)에테닐]-2-나프탈렌카복실산, (E,E,E)-7-(2,3-디하이드로-1,1,3,3-테트라메틸-1H-인덴-5-일)-3-메틸-2,4,6-옥타트리엔산, (E)-4-[2-(2,3-디하이드로-1,1,3,3-테트라메틸-1H-인덴-5-일)-1-프로페닐]벤조산, (E)-4-[2-(5,6,7,8-테트라 하 이 드 로 - 5, 8, 8, 8-테 트 라 메 틸 - 2 - 나 프 탈 레 닐 - 1 - 프 로 페 닐 ] 벤 조 산, (E)-4-[2-(5,6,7,8-테트라하이드로-3-메틸-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1-프로페닐]벤조산, (E)-1,2,3,4-테트라하이드로-1,1,4,4-테트라메틸-6-(1-메틸-2-페닐에테닐)-나프탈렌, 6-(1,2,3,4-테트라하이드로-1,1,3,4-테트라메틸-6-나프틸)-2-나프탈렌카복실산, (E)-6-[2-(4-에틸설포닐)페닐]-1-메틸에테닐]-1,2,3,4-테트라하이드로-1,1,4,4-테트라메틸나프탈렌, 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에티닐]벤조산, (E)-2-(1,1,4,4-테트라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트-7-일-1-[4-테트라졸-5-일)페닐]-1-프로펜, (E)-4-[2-(5,6,7,8-테트라하이드로-7-하이드록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1-프로페닐]벤질 알콜, 레티노일 팔미테이트,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6-(3-(1-아다만틸)-4-메톡시페닐)-2-나프토산), 11-시스, 13-시스-12-하이드록시메틸레틴산 δ-락톤, 4-아세트아미도페닐 레티노에이트, 1-(4-카복시페닐)-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피라졸, 1-(4-카복시페닐)-5-하이드록시-3-(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피라졸, 4-[(5,6,7,8-테트라하이드로-5,5,8,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에티닐]메틸설포닐벤젠, 레티노일 β-글루쿠로나이드, 4-[(5, 6, 7, 8-테트라하이드로-5, 5, 8, 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카바모일]벤조산, 및 4-[(5, 6, 7, 8-테트라하이드로-5, 5, 8, 8-테트라메틸-2-나프탈레닐)카복스아미도]벤조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940702690A 1992-02-07 1993-01-29 염증성 피부병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282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282892A 1992-02-07 1992-02-07
US07/832,828 1992-02-07
US7/832.828 1992-02-07
PCT/US1993/001043 WO1993015740A1 (en) 1992-02-07 1993-01-29 Methods of treating inflammatory dermato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069A KR950700069A (ko) 1995-01-16
KR100282575B1 true KR100282575B1 (ko) 2001-02-15

Family

ID=2526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690A KR100282575B1 (ko) 1992-02-07 1993-01-29 염증성 피부병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998395A (ko)
EP (1) EP0625045A4 (ko)
JP (1) JP2927961B2 (ko)
KR (1) KR100282575B1 (ko)
AU (1) AU667519B2 (ko)
CA (1) CA2129114A1 (ko)
CZ (1) CZ188394A3 (ko)
FI (1) FI943625A (ko)
NO (1) NO942913L (ko)
NZ (1) NZ249379A (ko)
WO (1) WO1993015740A1 (ko)
ZA (1) ZA93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84470B2 (en) * 1992-09-11 1997-12-18 Stb Family Limited Partnership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hair loss
US6344448B1 (en) 1992-09-11 2002-02-05 Stb Family Limited Partnership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hair loss
US7115728B1 (en) 1995-01-30 2006-10-03 Ligand Pharmaceutical Incorporated Human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WO1996034601A1 (en) * 1995-05-05 1996-11-07 Braiman Mark S Treatment of psoriasis with 11-cis-retinoic acid
US6008254A (en) 1997-05-09 1999-12-28 Kligman; Douglas E. Method of treating skin disorders with high-strength tretinoin
WO1999005161A1 (en) 1997-07-25 1999-02-04 Ligand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HUMAN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η) GENE REGULATORY SEQUENCES AND USES THEREFOR
US8541469B2 (en) * 1997-08-23 2013-09-24 Glaxo Group Limited Treatment of cell-mediated immune diseases
EP1025857A4 (en) * 1997-10-22 2003-11-12 Eisai Co Ltd RETINOIC ACID AGONISTS,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FOR NEPHRITES
FR2761600B1 (fr) 1998-06-19 2000-03-31 Oreal Composition moussante pour le lavage et le traitement des cheveux et/ou du cuir chevelu a base d'un principe actif, d'un tensioactif anionique, d'un tensioactif amphotere et d'un agent propenetrant
US6242473B1 (en) * 1999-01-08 2001-06-05 Maxim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reactive oxygen metabolite-mediated cellular damage
FR2804323B1 (fr) * 2000-01-31 2006-07-07 Galderma Res & Dev Utilisation de composes de type retinoides en tant qu'agents anti-bacteriens
US20050003023A1 (en) * 2002-06-28 2005-01-06 Meisner Lorraine Faxon Top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and related skin disorders
US6440465B1 (en) * 2000-05-01 2002-08-27 Bioderm, Inc. Top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soriasis and related skin disorders
ATE402692T1 (de) * 2000-05-09 2008-08-15 Kaneka Corp Dermale zusammenstellungen die als wirkstoff coenzym q enthalten
WO2002022113A2 (en) 2000-09-13 2002-03-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Retinoic acid receptor antagonists as promoters of angiogenesis
KR20020027198A (ko) * 2000-10-02 2002-04-13 차알스 제이. 메츠 염증과 홍반의 완화방법
FR2823117A1 (fr) * 2000-11-14 2002-10-11 Pharmascience Lab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ainsi que l'utilisation d'au moins un compose actif pour inhiber la migration des cellules de langerhans
US20020146744A1 (en) * 2001-03-02 2002-10-10 Lawandy Nabil M. Combinatorial chemistry and compound identification system
ES2188426B1 (es) * 2001-12-12 2004-11-16 Rosalia Pidal Fernandez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el tratamiento de la psoriasis y otras dermopatias.
US20030199488A1 (en) * 2002-04-23 2003-10-23 Trotta Gina M. Treat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orders/inflammatory dermatoses
US6723755B2 (en) 2002-06-12 2004-04-20 Piotr Chomczynski Method of treating rosacea
US20040171561A1 (en) * 2002-09-03 2004-09-02 Popp Karl F. Topical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rosacea
US8232304B2 (en) * 2002-10-24 2012-07-31 G & R Pharmaceuticals, Llc Antifungal formulations
US20050095215A1 (en) * 2003-11-03 2005-05-05 Popp Karl F. Antimicrobial shampoo compositions
ATE497763T1 (de) * 2003-11-21 2011-02-15 Zalicus Inc Verfahren und reagenzien zur behandlung von entzündlichen erkrankungen
AU2005213895A1 (en) * 2004-02-19 2005-09-01 Chemaphor Inc. Topical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US7812057B2 (en) * 2004-08-25 2010-10-12 Molecular Research Center, Inc. Cosmetic compositions
ZA200703385B (en) 2004-09-28 2008-09-25 Chemaphor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US20070009607A1 (en) * 2005-07-11 2007-01-11 George Jones Antibacterial/anti-infalmmatory composition and method
EP2214656B1 (en) 2007-10-26 2018-12-05 Avivagen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immune response
ES2327201B1 (es) 2008-04-23 2010-07-23 Ignacio Umbert Millet Composicion farmaceutica personalizada para el rejuvenecimiento de la piel que contiene acido retinoico.
AU2010242502B2 (en) 2009-04-30 2016-11-10 Avivage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the health of animals
WO2011050102A1 (en) 2009-10-20 2011-04-28 Discovery Partners, LLC Dermatologic and cosmetic compositions
ES2378028B1 (es) 2012-02-22 2013-02-18 Ignacio Umbert Millet Composición cosmética para el rejuvenecimiento de la piel y procedimiento y usos correspondientes
AU2018341099B2 (en) * 2017-09-28 2023-11-0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 of treating the skin
RU2712281C1 (ru) * 2018-11-23 2020-01-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емиммьюн Терапьютикс" Применение производного глутаримида для преодоления резистентности к стероидам и терапии заболеваний, ассоциированных с аберрантным сигналингом интерферона гамм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847A (en) * 1986-11-03 1989-12-26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Prevention of glucocorticoid-induced skin atroph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9568A (en) * 1969-09-23 1973-04-24 Johnson & Johnson Acne treatment
US4126693A (en) * 1975-11-03 1978-11-21 Johnson & Johnson Retinoic acid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acne
ZA77678B (en) * 1977-02-07 1978-09-27 S Fouri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US4487782A (en) * 1982-03-26 1984-12-11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Topical treatment of non-inflammatory acne
US5019569A (en) * 1986-11-03 1991-05-28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Reversal of glucocorticoid-induced skin atroph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9847A (en) * 1986-11-03 1989-12-26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Prevention of glucocorticoid-induced skin atro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5045A1 (en) 1994-11-23
AU3585493A (en) 1993-09-03
EP0625045A4 (en) 1995-01-18
JP2927961B2 (ja) 1999-07-28
CZ188394A3 (en) 1996-02-14
ZA93811B (en) 1993-09-10
KR950700069A (ko) 1995-01-16
WO1993015740A1 (en) 1993-08-19
NO942913D0 (ko) 1994-08-05
CA2129114A1 (en) 1993-08-19
FI943625A0 (fi) 1994-08-04
FI943625A (fi) 1994-08-04
JPH07505617A (ja) 1995-06-22
NZ249379A (en) 1998-07-28
US5998395A (en) 1999-12-07
NO942913L (no) 1994-10-05
AU667519B2 (en) 199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575B1 (ko) 염증성 피부병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4889847A (en) Prevention of glucocorticoid-induced skin atrophy
US7939516B2 (en) Topical skin care composition
US8945636B2 (en) Stabilized formulation comprising omega-3 fatty acids and use of the fatty acids for skin care and/or wound care
Abdelmalek et al. Retinoids and wound healing
US5019569A (en) Reversal of glucocorticoid-induced skin atrophy
JPH0859463A (ja) クマリンを含む調製物および薬剤および美容分野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US2015009437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dgla, 15-ohepa, and/or 15-hetre and methods of reducing sebum production using same
JP2010526124A (ja) 皮膚疾患用および化粧用脱色素沈着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の使用
Bukvic Mokos et al. Perioral dermatitis: Still a therapeutic challenge
JP5194383B2 (ja) ニキビ治療剤
JP3839502B2 (ja) 湿疹・皮膚炎群治療剤
Hui et al. 1 Topical retinoids
EP3795163A1 (en) A topical plant extract formulation comprising urtica dioica and vitamin a
WO2019175902A1 (en) A topical preparation for various skin ailments
NZ286443A (en) Treatment of inflammatory dermatoses other than psoriasis using a retinoid and a corticosteroid
Rusdy et al. Adjuvant therapies of acne: review of literatures
CA3057647A1 (en) Topical formulations and instillates, kits, and methods for treating integumentary wound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