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680B1 -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Google Patents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81680B1 KR100281680B1 KR1019930006162A KR930006162A KR100281680B1 KR 100281680 B1 KR100281680 B1 KR 100281680B1 KR 1019930006162 A KR1019930006162 A KR 1019930006162A KR 930006162 A KR930006162 A KR 930006162A KR 100281680 B1 KR100281680 B1 KR 1002816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slide
- main body
- wiring cable
- flexible wi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Abstract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에 있어서, 디스크의 면진동, 디스크면의 형상변화에 추종하고, 외부충격에 견뎌내고, 또한 경량, 박형화를 도모한다.
광자기디스크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진 헤드본체(22)와,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한 고정체(24)를 가지며, 판스프링재(23)는 제1의 스프링계(53)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55)와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으로부터 고정측에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56)를 가지며, 제3의 스프링계(56)에 헤드본체(22)를 지지하고, 고정체(24)에 판스프링재(23)를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27)를 배설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일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일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일예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을 구비한 평면도.
제4도는 헤드본체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헤드본체의 분해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슬라이드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제7도는 판스프링재의 평면도.
제8도는 판스프링재의 측면도.
제9도는 고정체의 평면도.
제10도는 고정체의 측면도.
제11도는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자기헤드의 동작설명도.
제13도A는 자기헤드의 비교예의 개략적 구성도, B 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의 개략적 구성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과 비교예의 동작설명도.
제16도는 광자기디스크의 카트리지의 평면도.
제17도는 카트리지의 창부의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평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측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의 개략도.
제22도는 제21도의 자기헤드의 동작설명도.
제2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설명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개략도.
제25도는 제24도의 자기헤드의 동작설명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
제27도는 제26도의 자기헤드의 측면도.
제28a도 및 제28b도는 슬라이드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29도는 제26도의 자기헤드에 있어서의 판스프링재의 전개도.
제30도는 코일보빈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31도는 코일보빈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제32도는 슬라이드형 자기헤드가 외부충격을 받았을 때의 설명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34도는 제33도의 요부의 확대사시도.
제35도는 제33도의 요부(스토퍼부)의 평면도.
제36a도 및 제36b도는 제33도의 요부(계지부)의 정면도 및 단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구성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38도 및 제39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계지부의 다른 예의 구성도.
제40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계지부의 또 다른 예의 구성도.
제41도는 제39도의 계지기구의 계지상태의 동작설명도.
제4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계지부의 또 다른 예의 구성도.
제43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제44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예의 구성도.
제45도 및 제46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
제47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평면도.
제48도는 통상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접속부의 평면도.
제49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접속부의 평면도.
제50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일예의 평면도.
제51도는 헤드본체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52도는 헤드본체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을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
제53도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 관한 설명도.
제54도는 통상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 관한 설명도.
제55도는 슬라이드형 자기디스크드라이브의 개략도.
제56도는 광자기디스크표면의 돌기의 설명도.
제57도는 헤드질량과 포커스에러량의 관계의 특성도.
제58도는 본 발명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평면도.
제59도는 제42도의 자기헤드의 사용상태에서의 요부의 측면도.
제60도는 제42도의 자기헤드의 불사용상태에서의 요부의 측면도.
제61도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구성도.
제62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요부의 평면도.
제63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평면도.
제64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65도 및 제66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헤드본체의 다른 예의 측면도.
제67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평면도.
제68도는 제67도의 자기헤드에 관한 고정체의 일예의 평면도.
제69도는 제67도의 자기헤드의 요부의 사시도.
제70도는 본 발명에 관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다른 예의 요부의 사시도.
제7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라운드부의 평면도.
제7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라운드부의 단면도.
제73도는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라운드부와 고정체와의 위치결정의 일예의 사시도.
제74도∼제78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라운드부와 고정체와의 위치결정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79도∼제82도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라운드부와 고정체와의 위치결정의 다른 예의 평면도.
제83도는 자계변조방식의 설명도.
제84도는 광자기디스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자기디스크 (22) : 헤드본체
(23) : 판스프링재 (24) : 고정체
(27) : 헤드소자 (28) : 슬라이드부
(29) : 슬라이드체 (44) : 단자핀
(53),(55),(56) : 스프링계 (57) : 계지부
(71) : 암 (72) : 스토퍼편
(73) : 스토퍼부 (81) : 플렉시블배선케이블
(91) : 카트리지 (92) : 창
(130),(133),(135) :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접속부
(171),(172) : 배선 (231),(224),(173) : 연장부
(185A),(185B),(186) : 스토퍼부 (191A),(191B) : 위치결정핀
(192) : 라운드부 (193A),(193B) : 구멍
(202A),(203A),(203B) : 절결부 (313),(204) : 계지부
(206) : 감합요부 (208),(210),(212),(214) : 돌기
(209) : 반원공 (211) : 장공
(213) : 4각형공 (215) : 절결
(301) : 절곡연장부 (302) : + 자형공
(303) : T 자형부 (305) : 스토퍼부
(308),(309) : 절결 (310) : 돌기부
(314) : 변형 + 자형공 (315) : 클릭부
(316) : 종장공 (322) : T 자형공
본 발명은 광자기기록매체에 대하여 접촉슬라이드하여 광자기기록을 행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에 관한 것이다.
광빔을 사용하여 정보의 기입, 소거 및 독출을 행할 수 있는 이른바 기입가능한 광디스크의 하나로 광자기디스크라고 하는 것이 있다.
이 광자기디스크(1)는 제8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2)상에 SiN 보호막(8)을 통해 수직자화막(磁化膜)으로 이루어지는 광자기기록층(3)이 배설되고, 이 광자기기록층(3)상에 SiN 보호막(8)을 통해 금속박막 예를 들면 Al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막(4)이 적층되고, 다시 이 반사막(4)상에 자외선경화형(硬化型) 수지 등에 의한 보호막(5)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광자기디스크의 기록방식으로서는, 자계변조(磁界變調)방식, 광변조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자계변조방식은 구신호상에 신신호를 중첩기입하는 이른바 오버라이트를 가능하게 한다. 이 자계변조방식의 광자기기록은 제8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자화막에 의한 광자기기록층을 가진 광자기디스크(1)를 사이에 두고 한쪽(기판(2)측)에 레이저광(6)을 조사(照射)하는 광픽업을, 다른 쪽(보호막(5)측)에 레이저스폿과 동기하여 이동하는 자계발생수단, 즉 자기헤드(7)를 배설하고, 자기헤드(7)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자계방향을 변화시킨다.
광자기디스크(1)는 그 중앙부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기록신호에 대응한 자계가 레이저스폿(6a) 부근에 형성됨으로써, 디스크(1)의 재기입희망부분(1A)이 레이저스폿(6a)에 의해 큐리온도이상으로 가열되어 소자(消磁)된 후, 레이저스폿(6a)으로부터 이동하여 큐리온도이하로 저하했을 때, 상기 자계방향으로 자화(磁化)시켜서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광자기디스크(1)는 비접촉 미디어이며, 따라서 자기헤드(7)는 디스크(1)로부터 필요충분한 간격 d0만큼 떨어져 배설된다.
본 출원인은 앞서 초소형 광자기디스크에 의한 디지탈기록, 재생이 가능한 초소형 디지탈기록재생기를 개발하였다. 이 기록재생기는 자계변조형 광자기기록방식을 채용하여, 오버라이트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광자기디스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접촉으로 기록하므로, 광자기기록용의 자기헤드(7)는 디스크(1)에서 이간된 상태에서 회전시에 발생되는 디스크(1)의 면(面)진동(디스크(1)의 경사, 두께의 불균일 등에 기인함)에 추종하도록 전자(電磁)서보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광자기디스크에 대하여 비접촉방식을 취하는 기록재생기에서는 소비전력의 저감화, 기기의 소형화(특히 기기의 두께를 작게 하는 것) 등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자기헤드를 광자기디스크에 접촉슬라이드시키는 접촉방식으로 하면, 자기헤드의 지지는 단순한 지지만으로 되며, 종래의 용적을 차지하는 전자서보기구를 생략할 수 있어서, 기록재생기의 소비전력의 저감화, 기기의 소형화 등에 유리하게 된다.
한편, 접촉방식을 취한 경우, 디스크(1)의 표면에는 돌기(혹) 등의 형상변화가 있어서, 슬라이드면이 혹부분을 통과하면, 그 혹의 두께만큼 자기헤드가 점프하여 디스크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어서, 기록능력이 떨어져 버린다. 따라서, 기록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출력헤드가 필요하게 된다.
또, 이 때의 슬라이드형의 자기헤드의 중량에 비례하여 디스크에 대한 충격도 커진다. 이 충격이 크면, 디스크가 진동하게 되어 광학계의 디포커스의 원인으로 된다.
충격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헤드의 질량을 작게 하고, 따라서 헤드자체를 작게하여 가볍게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작게 하면 헤드출력이 저하하여, 전술한 고출력헤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디스크의 면진동(상하변동), 디스크면의 형상변화에 충분히 추종하고, 외부충격 대책도 되고, 경량,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2)의 일단을 고정한 고정체(24)를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재(23)가 고정측의 제1의 스프링계(53)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55)와,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으로부터 고정측에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56)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제3의 스프링계(56)에 헤드본체(22)를 지지하고, 고정체(24)에 판스프링재(23)를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73)를 배설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와,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한 고정체(24)를 가지며, 판스프링재(23)가 고정측의 제1의 스프링계(53)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53)와, 이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으로부터 고정측에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56)를 가지고 이루어지며, 제3의 스프링계(56)에 헤드본체(22)를 지지하고, 고정체(24)에 판스프링재(23)를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제3의 스프링계(56)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73)를 배설하여 구성한다.
상기 헤드본체(22)는 헤드소자(27)의 일측에 슬라이드부(29)를 가지고 구성되며, 슬라이드부(29)로 판스프링재(23)에 지지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체(24)와, 고정체(24)에 배설되어 판스프링재(23)를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계지하기 위한 스토퍼부(305)를 가지며, 또한 스토퍼부(305)를 삽입하여 계지하는 계지부(304)를 판스프링재(23)에 가지고 구성한다.
상기 계지부(304)로서는 판스프링재(23)에 형성된 구멍(302)[314, 322] 또는 절결(308)[309]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계지부(313)로서는 스토퍼부(305)를 에워싸도록 판스프링재(23)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스토퍼부(305)는 T 자형부(303)를 가지며, 계지부(304)인 구멍 또는 절결은 + 자형 또는 T 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계지부(304)로서는 구멍이며, 이 구멍(302)[322]내에 스토퍼부 삽입시에 만곡되고, 스토퍼부가 인발되었을 때에 원래로 복귀하여 스토퍼부의 인발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310)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자기헤드에 있어서, 그 스토퍼부(73)를 고정체(24)의 기록매체(1)내주측에 대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헤드소자(27)의 일측에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지며, 슬라이드부(29)를 헤드소자(27)보다 기록매체의 내주측에 배설하고, 또한 슬라이드면의 길이방향이 기록매체(1)의 주행에 따르도록,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 ψ 을 가지고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은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진 헤드본체가 판스프링재에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자기헤드에 있어서, 헤드본체(22)의 지지위치가 판스프링재(23)의 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 판스프링재(23)의 헤드본체(22)를 협지하는 양측의 스프링부(55A) 및 (55B)의 폭 MA및 MB을 비대칭으로 하여 구성한다. 즉, 헤드본체(22)의 장착위치가 기록매체(1)의 내주측으로 어긋났을 때, 그 내주측의 스프링부(55B)의 폭 MB을 외주측의 스프링부(55A)의 폭 MA보다 크게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헤드소자(27)의 일측에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지며, 헤드소자(27)의 코일의 단자(44)와 접속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접속부(이른바 라운드부)를 2분기(分岐)형상 또는 장공(長孔)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은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8)를 가진 헤드본체(22)를 구비한 광자기기록용 자기헤드에 있어서, 슬라이드부(27)를 플라스틱재료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이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이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체(24)를 가지며, 상기 헤드본체(22)에 있어서의 헤드소자(27)의 코일단자(44)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체(24)상의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가지며, 고정체(24)상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191)[204, 205] 또는 요부(206)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로서는, 그 단면이 비원형인 돌기(208)[211, 212, 214]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자기헤드에 있어서,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를 복수의 원주형의 위치결정핀(191)으로 형성하고, 이 위치결정핀(191)이 들어가는 구멍(193) 또는 절결(202)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기헤드에 있어서, 위치결정핀(191)을 2개 배설하고, 이 위치결정핀(191)을 넣기 위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한쪽의 구멍(193A)을 위치결정핀(191A)이 끼워지는 환공(丸孔)으로 하고, 다른 쪽의 구멍(193B)을 상기 환공의 직경을 폭으로 하는 장공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체(24)를 가지며, 헤드본체(22)에 있어서의 헤드소자(27)의 코일단자(44)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체(24)상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판스프링재(23)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173)를 배설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서, 헤드본체(22)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부(231)를 고정체(24)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설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판 스프링재(23)의 제1의 스프링계(53)와 제2의 스프링계(55)의 사이에 비스프링계부재(54)를 가지며, 헤드소자(27)의 코일단자(44)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체(24)상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비스프링계부재(54)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24)를 배설하여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는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서, 헤드본체(22)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부(231)를 고정체(24)측으로부터 연장하여 배설하고,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판스프링재(23)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173) 또는 (224)를 배설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이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한 고정체(24)를 가지며, 판스프링재(23)를 고정측의 제1의 스프링계(53)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55)와, 제2의 스프링계(55)로부터 고정측에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56)로 구성하여, 그 제3의 스프링계(56)에 헤드본체(22)를 지지하고, 또한 고정체(24)에 판스프링재(23)를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이른바 소정의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되도록)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부(73)를 배설함으로써, 또한 헤드본체(22)를 기록매체(1)에 접촉시켰을 때에 소정의 스프링압으로 기록매체(1)에 대접(對接)함으로써, 기록매체(1)의 면진동의 허용범위내에서의 헤드본체(22)의 기록매체면에의 가압변동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가압변동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기록매체면의 형상변화, 외부충격에 대응가능하게 된다.
이 자기헤드에서는, 제1의 스프링계(53) 및 제2의 스프링계(55)의 스프링압이 스토퍼부(73)에 의해 프리차지되어 있으므로, 기록매체(1)를 수납한 카트리지(91)의 기기본체에 대한 삽탈시(이른바 이젝트시)에 헤드본체(22)를 카트리지(91)에서 불사용상태의 위치까지 이간시키는 이른바 도상(跳上)치수가 작아져서, 기기의 박형화(薄型化)가 가능하게 된다.
또, 고정체(24)에 제3의 스프링계(56)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73)를 배설할 때는 제1의 스프링계(53), 제2의 스프링계(55) 및 제3의 스프링계(56)가 모두 그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되게 되어서, 더욱 도상치수가 작아지고, 기기의 보다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판스프링재(23)에 스토퍼부(305)를 삽입하여 계지하는 계지부(304)를 형성함으로써, 강한 외부충격을 받아도 판스프링재(23)의 스토퍼부(305)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고, 디스크카트리지의 이젝트시에 있어서의 자기헤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계지부(304)를 판스프링재(23)에 형성된 구멍(302)[313, 322] 또는 절결(308)[309]로 형성하고, 이 구멍(302)[313, 322] 또는 절결(308)[309]에 스토퍼부(305)를 삽입함으로써, 외부충격시의 판스프링재(23)의 스토퍼부(305)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305)를 에워싸도록 판스프링재(23)를 절곡하여 계지부(313)를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시의 판스프링재(23)의 스토퍼부(205)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스토퍼부(305)에 T 자형부(303)를 형성하고, 계지부(304)인 구멍 또는 절결을 + 자형 또는 T 자형으로 형성하여, 이 구멍(302)[314, 322] 또는 절결(308)[309]에 상기 스토퍼부(305)의 T 자형부(303)를 삽입함으로써, 외부충격을 받아도 보다 확실하게 판스프링재(23)의 스토퍼부(305)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계지부인 구멍(302)내에 스토퍼부 삽입시에 만곡되고, 스토퍼부가 인발되었을 때 원래로 복귀하는 돌기부(310)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을 받아도 보다 확실하게 판스프링재(23)의 스토퍼부(305)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73)를 고정체(24)의 기록매체 내주측에 대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자기헤드를 카트리지(91)의 기록매체(1)가 임하는 창(92)내에 무리없이 배치하여 기록매체(1)의 최외주에서 반경방향으로 원하는 내주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헤드소자(27)의 일측에 기록매체(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자기헤드에 있어서, 슬라이드부(29)를 헤드소자(27)보다 기록매체(1)의 내주측에 배설하고, 또한 슬라이드면의 길이 방향이 기록매체(1)의 주행에 따르도록,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 ψ 을 가지고 형성함으로써, 기록매체면의 형상변화, 예를 들면 혹 등의 장해물(16)이 슬라이드부(29)에 충돌하는 확률이 작아진다.
동시에, 충돌시의 충격력의 슬라이드부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성분이 작아지고, 자기헤드의 위치어긋남량이 작아지는 동시에, 자기헤드에 있어서의 자세안정성이 양호하게 된다.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가 판스프링재(23)에 지지된 자기헤드에 있어서, 헤드본체(22)의 지지위치가 판스프링재(23)의 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 판스프링재(23) 즉 그 제2의 스프링계(55)의 헤드본체(22)를 협지하는 양측의 스프링부(55A) 및 (55B)의 폭 MA및 MB을 비대칭으로 함으로써, 헤드본체(22)를 기록매체(1)에 접촉시켰을 때에 제2의 스프링계(55)의 좌우의 스프링부(55A),(55B)의 스프링압의 밸런스가 보상되어 안정된 자세로 기록매체(1)에 접촉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헤드소자(27)의 코일의 단자(44)와 접속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접속부를 2분기형상 또는 장공을 가진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자(44)와 접속부와의 접속위치가 조절되고, 자기헤드의 제조, 조립오차, 플렉시블배선케이블 성형오차가 있어도, 적정한 상태에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과 단자(44)와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 슬라이드부(27)를 가진 헤드본체(22)가 판스프링재(23)에 지지된 자기헤드에 있어서, 그 슬라이드부(27)를 금속재료, 세라믹재료에 비해 밀도가 작은 플라스틱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헤드본체(22)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 슬라이드부(27)의 경량화에 의해, 헤드본체(22)와 기록매체의 돌기(16)와의 충돌시의 충격이 작게 억제되어, 기록매체의 진동이 저감되고, 포커스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헤드본체(22)와 기록매체(1)의 돌기(16)와의 충돌의 대미지가 적어지고, 데이터드라이브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플라스틱재료는 금속재료나 세라믹재료보다 성형하기 쉽고, 또한 양산성이 우수하다.
또, 일단이 헤드본체(22)에 있어서의 코일단자(44)에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체(24)상의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가진 자기헤드에 있어서, 고정체(24)상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191)[204, 205] 또는 요부(206)를 배설함으로써,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위치결정 및 고정을 할 수 있다. 또, 고정체에 외력, 열이 가해져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고정체(24)상에 형성하는 돌기로서, 그 단면이 비원형인 돌기(208)[210, 212, 214]를 사용함으로써 1개의 돌기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를 복수의 원주형의 위치결정핀(191)으로 형성하고,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위치결정핀(191)이 들어가는 구멍(193) 또는 절결(202)을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위치결정핀(191)[191A, 191B]을 배설하고, 이에 대하여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측에서는 한쪽의 구멍(193A)을 환공으로 하고, 다른 쪽의 구멍(193B)을 장공으로 함으로써, 이 장공에 의해 조립오차, 부품공차가 흡수되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대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가진 자기헤드에 있어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판스프링재(23)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173)를 배설함으로써, 불사용시 즉 자기헤드가 기록매체(1)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을 때에는 연장부(173)가 판스프링재(23)에 닿아서 헤드본체(22)가 그 이상 내려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의 진동이 방지된다.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서 헤드본체(22)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부(231)를 고정체(24)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설함으로써, 사용시 즉 헤드본체(22)가 기록매체(1)에 접촉슬라이드하고 있을 때, 과도한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가 스토퍼부(231)에 접촉되어서, 그 이상의 도상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의 진동이 방지되어 판스프링재(23)를 변형시키지 않으며, 또 헤드본체(22)와 기록매체(1)와의 간격을 증대시키지 않는다.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가진 자기헤드에 있어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판스프링재(23)의 비스프링계부재(54)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24)를 배설함으로써, 불사용시 즉 자기헤드가 기록매체(1)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연장부(224)가 비스프링부재(54)에 닿아서 헤드본체(22)가 그 이상 내려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의 진동이 방지된다. 특히 진동, 충격을 반복하여 받았을 때에도, 비스프링부재(54)는 강성이 크므로, 판스프링재(23)를 변형시켜 그 특성을 잃지 않는다.
또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방진용(放振用)의 연장부(173) 또는 (224)를 형성하고, 고정체(24)측에 방진용 스토퍼부(231)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불사용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외부로부터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의 자기헤드(21)에 있어서는, 헤드본체(22)와, 그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면(1a)에 가압하는 얇은 판스프링재(23)와, 이 판스프링재(23)를 장착한 고정체(즉 헤드암)(24)를 가지며,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체(24)에 장착하여 고정하고, 타단측에 헤드본체(22)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헤드본체(22)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자극코어(25A)와 측자극코어(25B)로 이루어지는 대략 E 자형의 페라이트자성코어(25)의 이 중심자극코어(25A)에, 코일(26)을 감은 보빈(41)을 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자기헤드소자(27)를 형성하고, 이 자기헤드소자(27)를 슬라이드체(28)가 직접 자기디스크(1)에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의 일측에 일체로 장착하여 형성된다.
보빈(41)은 예를 들면 액정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하양단에 플랜지부(42A),(42B)를 가지며, 양 플랜지부(42A) 및 (42B)를 관통하여 E 자형의 자성코어(25)의 중심자성코어(25A)가 삽입되는 관통공(43)이 배설되는 동시에, 상플랜지부(42A)상의 한쪽에 이것과 일체로 관통공(43)을 사이에 두고 1쌍의 예를 들면 양은으로 이루어진 단자핀(44)을 도출한 단자도출부(45)를 배설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체(28)는 예를 들면 제6도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마찰계수의 수지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성형되고, 슬라이드부(29)와 그 일측에 자기헤드소자(27)의 장착요부(30)가 배설된 장착부(31)를 일체로 가지며, 슬라이드부(29)는 두께 t1가 헤드소자(27)의 장착부(31)측의 두께 t2보다 얇게 형성되고, 또한 장착부(31)측의 헤드소자(27)가 임하는 면이 슬라이드부(29)의 슬라이드면으로부터 미소간격 d2만큼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부(29)는 횡단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그 하면이 원호면을 이루고, 종단면(제6도B의 단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하면이 평탄면(33)과 이것을 사이에 둔 양측에 R 의 면(34)을 가진 슬라이드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부(29)가 디스크(1)의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선접촉(線接觸)으로 된다.
이 슬라이드부(29)의 일측에 위치하는 장착요부(30)는 일부 상면이 헤드소자(27)의 자성코어(25)의 배면이 임하고, 또한 보빈(41)의 단자핀(44)이 임하도록 대략 + 자형의 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드체(28)의 장착요부(30)내에 자기헤드소자(27)를 장착하여 헤드본체(22)가 구성된다.
슬라이드체(28)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슬라이드성이 양호한 것, 대전(帶電)되지 않을 것, 경량인 것 등이 요구되므로, 특히 고분자 폴리에틸렌 등, 또는 이것에 카본이 함유(예를 들면 8중량% 함유)된 것, 기타 후술하는 플라스틱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성코어(25)의 배면의 양단에는 단차부(段差部)(47)를 형성하고, 또한 장착요부(30)의 상면의 자성코어가 임하는 개구(46)의 길이 L10를 자성코어(25)의 길이 L11보다 단차분 짧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자기헤드소자(27)의 장착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슬라이드체(28)의 외면과 자성코어(25)의 배면을 면일(面一)로 할 수 있다.
또, 장착요부(30)는 제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축 X1이 슬라이드체(28)의 중심축 X2에서 벗어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술에서 명백하게 설명한다.
슬라이드부(29)의 상면에는, 헤드본체(22)를 판스프링재(23)의 선단측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48)가 일체로 배설된다. 이 장착부(48)는 판스프링재(23)의 선단측의 면과 대접하는 스탠드(50)상에 돌출형성된다.
본 예의 헤드본체(22)는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1)에 접촉한 상태에서 헤드소자(27)의 자성코어(25)의 단면이 디스크면에서 미소간격 d2만큼 떨어지게 된다.
한편, 판스프링재(23)는 예를 들면 SUS304, BeCu 또는 이들의 텐션어닐재 등의 박판으로 형성되고,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24)에의 장착부(52)와, 이 보다 소정각도 θ1경사지도록 연장되어 디스크(1)의 면진동에 추종하고, 또한 전체의 가중을 부여하기 위한 제1의 스프링계(스프링성 부여부)(53)와, 이 제1의 스프링계(53)보다 소정각도 θ2경사지도록 연장되는 경사부(54)와, 이 경사부(54)에서 연장되어 혹 등의 디스크(1)의 표면형상의 변화에 추종하기 위한 제2의 스프링계(스프링성 부여부)(55)와, 제2의 스프링계(55)로부터 역측 즉 장착부(52)측으로 연장되는 짐발기능을 가진 제3의 스프링계(56)와,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에서 대략 직각 또는 이것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고 상방으로 절곡연장되고, 다시 유단(遊端)을 대략 직각 또는 이것에 가까운 각도로 외측으로 절곡한 계지부(57)를 일체로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후술하는 제29도의 개구부(160)와 마찬가지로, 경량화를 위해 계지부(57)의 수직방향으로 절곡한 부분에도 개구부가 형성된다.
판스프링(23)의 장착부(52)는 복수의 위치결정공(52a)을 가진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제1의 스프링계(53)는 평판형체로서 중앙에 개구(58)를 형성하고, 그 양측 판부(52A),(53B)로 스프링성을 부여하도록 하고, 전체로서 만곡형으로 형성된다.
경사부(54)는 그 양측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리브(6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2의 스프링계(55)는 경사부(54)와의 경계에 네킹부(61)를 통해 경사부(54)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도록, 즉 동일면내에서 공간(63)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는 1쌍의 평판형의 스프링부(55A),(55B)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제3의 스프링계(56)는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내측에서 양 스프링부(55A),(55B) 사이의 공간(63)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단부에 헤드본체(22)의 장착부(48)에 감합하는 위치결정용 구멍(62)이 배설된다.
이 판스프링재(23)에서는, 면진동용의 제1의 스프링계(53)와 혹용의 제2의 스프링계(55)가 서로 리브(60)로 보강된 경사부(54)에 의해 동작적으로 분리되고, 또 제2의 스프링계(55)와 제3의 스프링계(56)가 서로 동작적으로 분리되어, 각각 독립하여 동작할 수 있다.
고정체(24)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철, 스틸, SUS304, Al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판스프링재(23)의 장착부(52)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70)와, 이로부터 비대칭으로 연장되는 스토퍼부(73)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즉, 후술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디스크(1)의 내주측에 대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소정길이 즉 전술한 판스프링재(23)의 장착부(52)에서 경사부(54)의 도중에 이르는 길이와 대략 같은 길이에서 소정의 경사각 θ3을 가지고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57)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서 경사지는 암부(71)와, 이 암부(71)의 선단에서 장착부(70)와 대향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스토퍼편(72)을 일체로 하여 형성된다. 이 암부(71)와 스토퍼편(71)에 의해 스토퍼부(73)가 구성된다.
이 경우, 고정체(24)의 경사각 θ3은 판스프링재(23)의 경사각 θ1, θ2보다 작게(θ3〈 θ2〈 θ1) 설정된다.
고정체(24)는 상기 금속재에 의한 펀칭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고정체(24)는 사출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재료로서는 폴리페닐렌술파이드(PPS),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릴레이트(PA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ABS) 등, 또는 이들에 카본을 함유시킨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판스프링재(23)의 장착부(52)는 그 위치결정공(52a)을 고정체(25)의 위치결정돌기(70a)에 계합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레이저용접, 스폿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체(24)의 장착부(7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판스프링재(23)의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에서 절곡연장되는 계지부(57)가 고정체(24)의 암선단의 스토퍼편(72)에 걸리도록 하여 계지된다. 이로써, 판스프링재(23)의 경사각 θ1, θ2과 고정체(24)의 암(71)의 경사각 θ3의 차이로 판스프링재(23)는 그 제1 및 제2의 스프링계(53) 및 (55)에 소정의 복원력을 남기도록 하여 스토퍼편(72)에 계지된다. 즉, 제1 및 제2의 스프링계(53) 및 (55)에는 소정의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되게 된다.
이어서, 판스프링재(23)의 제3의 스프링계(56)의 위치결정용의 구멍(62)에 헤드본체(22)의 장착부(48)를 삽입하고, 장착부(48)를 용착하여 헤드본체(22)가 판스프링재(23)에 장착된다. 구멍(62)에 복수의 슬릿(62a)을 형성해 둠으로써, 용착이 확실하게 된다.
여기서, 헤드본체(22)는 슬라이드부(29), 특히 직접 디스크에 접촉하는 위치와, 헤드소자(27), 특히 그 중심자성코어(25A)와의 중간에 중심(重心) P 이 존재하도록 형성된다(제2도 참조).
헤드본체(22)는 제3의 스프링계(56)의 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헤드소자(27)측이 혹 대응의 제2의 스프링계(56)의 양 스프링부(55A),(55B) 사이의 공간(63)내에 존재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상태에 있어서, 혹 대응의 제2의 스프링계(55)의 스프링부(55A),(55B)가 헤드본체(22)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선 Y1(즉 혹(16)에 충돌했을 때의 헤드본체(22)의 회전중심축에 상당함), 또는 그 근방을 지나도록 하여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헤드본체(22)는 스프링부(55A),(55B)에서 형성되는 면을 경계로 상하에 걸치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판스프링재(23)를 포함한 헤드본체(22)의 고유진동의 주파수를, 디스크(1)의 슬라이드시에 있어서의 디스크표면의 혹의 등가주파수 및 디스크자체의 고유진동의 주파수로부터 각각 벗어나도록 즉 이들 주파수보다 낮아지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판스프링재(23)의 독립된 3개의 스프링계(53),(55) 및 (56)의 공진주파수를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혹의 등가주파수라는 것은 사용하는 선속도로 이동하는 디스크(1)의 높이의 변화를 주파수로 표시할 때, 혹에 의해 발생하는 최대진폭주파수성분이라고 정의한다.
코일단말을 도출하기 위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그 2개의 배선(도시하지 않음)의 각 일단의 접속부(즉 라운드부)를 슬라이드체(28)의 상면에 돌출한 보빈단자핀(44)에 삽입하여 접속한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은 고정체(24)의 암(71)상에 배설되어, 암(71)의 기부측의 계지부(82)에 플렉시블배선암(81)에 형성된 계지용 구멍이 삽입되어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이러한 실시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헤드(21)는 디스크면에 접촉되는 프리의 상태에서는 제1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의 스프링계(56)가 제2의 스프링계(55)보다 아래쪽에 존재하도록 헤드본체(22)가 유지된다. 이어서, 헤드본체(22)가 디스크면(1a)에 접속되는 상태에서는 제3의 스프링계(56)가 추종하여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가 디스크면(1a)에 접촉되어, 디스크면에 평행으로 접촉한 후,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57)가 고정체(24)의 스토퍼편(72)에서 떨어져서 헤드본체(22)가 소정의 가중(加重)으로 디스크면(1a)에 슬라이드 접촉한다.
헤드본체(22)는 판스프링재(23)의 제1의 스프링계(53)에 의해 디스크(1)의 면진동의 허용범위내(예를 들면 64㎜ 의 초소형 광자기디스크의 경우, 면진동의 허용범위는 ±0.7㎜)에서 동작하고, 제2의 스프링계(55)에 의해 디스크면(1a)의 혹(16)(제12도 참조)에 대응하고, 다시 제3의 스프링계(56)가 소위 짐발과 같은 기능을 가짐으로써 디스크(1)의 면진동에 추종한다.
그리고, 미리 판스프링재(23)는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편(72)에 의해 소정의 스프링압이 부여된 상태에 있으므로, 디스크(1)의 면진동에 의해 헤드본체(22)가 상하로 변화해도, 헤드본체(22)의 디스크면(1a)에 대한 가압력의 변동은 적고, 면진동의 허용범위내에서 대략 일정한 가압력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소자(27)는 슬라이드부(29)의 슬라이드면에서 간격 d2만큼 후퇴하고 있으므로, 디스크면(1a)에 혹(16) 등의 형상변화가 있을 경우에도, 혹(16)은 헤드소자(27)와 디스크(1)사이의 간극을 통과한다.
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본체(22)의 중심 P 이 헤드소자(27)와 슬라이드부(29)의 사이에 존재하므로, 디스크면(1a)에 혹(16) 등의 형상변화가 있을 경우, 혹(16)이 헤드소자(27)와 디스크면(1a)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슬라이드부(29)의 단부에 닿으면, 중심 P 을 중심으로 제12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헤드소자(27)는 디스크면(1a)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능력은 향상된다.
동시에, 슬라이드시 혹(16)에서 본 헤드본체(22)의 등가중량은 작아지고, 디스크(1)에 대한 충격이 약화되어, 그 만큼 광학픽업계에의 악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디스크면(1a)의 형상변화에 대해서도, 헤드소자(27)가 점프하지 않고, 역으로 디스크면에 근접하게 되므로, 기록능력이 높은 대형의 자기헤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기헤드의 질량을 작게 하고, 가볍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충격을 받아도 디스크(1)에 대한 충격을 작게 할 수 있어서, 소위 외부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본체의 중량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30㎎∼40㎎ 의 경량으로 할 수 있고, 또 10G(중력)의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다.
판스프링재의 3개의 스프링계(53),(55) 및 (56)를 포함한 헤드본체(22)의 고유진동의 주파수를 디스크(1)의 슬라이드시에 있어서의 디스크표면의 혹(16)의 등가주파수 및 디스크 자체의 고유진동의 주파수로부터 각각 벗어나도록 구성하므로, 헤드본체(22)가 공진을 야기하지 않고, 안정되게 자기헤드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디스크(1)의 보호막(5)은 스핀코드로 형성되지만, 주변부에서 떠오르는 부분이 생긴다. 기록밀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디스크(1)의 둘레끝까지 기록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소자(27)를 그 중심선X1이 슬라이드체의 중심선X2에서 한쪽으로 어긋나도록 배설함으로써, 헤드소자(27)가 디스크주변의 떠오른 부분에 근접해도, 슬라이드부(29)는 떠오른 부분에서 떨어진 평탄면을 선접촉 슬라이드하게 된다. 따라서, 고밀도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혹(16) 대응용의 제2의스프링계(55)를 면진동용의 제1의 스프링계(53)와는 독립으로 작용하도록 배설하므로, 혹(16)에 충돌했을 때에 디스크(1)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혹 대응용의 제2의 스프링계(55)를 헤드본체(22)의 중심 P 이 관통하는 축선 Y1또는 그 근방을 지나도록 배설함으로써, 헤드본체(22)가 혹(16)에 충돌했을 때에 중심 P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선(즉 중심을 관통하는 축선) Y1과 스프링의 동작지축을 일치시킬 수 있어서, 이상적인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혹 대응용이 제2의 스프링계(55)와 경사부(54)와의 사이에 절입부(61)를 배설함으로써, 이 절입부(61)에 응력을 집중시켜서, 동작시에 있어서의 판스프링재(23) 특유의 공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일본국 특원평 4(1992)-23964호에서 제안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앞에 제안한 자기헤드(83)는 제1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87)은 판스프링재이고, 제1의 스프링계(84)와 이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리브를 가진 경사부(85)와, 졍사부(85)에서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86)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판스프링재(87)가 그 일단이 고정체(88)에 고착되고, 고정체(88)로부터의 스토퍼(89)가 제1의 스프링계(84)에 소정의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되도록 경사부(85)에 접촉된다. 그리고, 제2의 스프링계(86)의 선단에 짐발을 통해 헤드본체(22)가 지지된다. 이 자기헤드(83)에서는, 제1의 스프링계(84)가 디스크(1)의 면진동의 허용범위내에서 추종하고, 또한 전체의 가중을 부여하는 것이며, 제2의 스프링계(86)가 혹(16) 등의 디스크(1)의 표면형상의 변화에 대응한다.
제13도B는 본 실시예의 자기헤드(21)이다. 양 자기헤드(21) 및 (83)을 비교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자기헤드(21)쪽이 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의 기기본체에 대한 삽탈시(이른바 이젝트시)에 예를 들면 고정체(24)의 기부를 회동시키는 등 하여 헤드본체(22)를 카트리지로부터 이간하는, 즉 사용상태의 위치에서 불사용상태의 위치까지 이간되는 거리치수 이른바 도상(跳上)치수가 작아진다.
즉, 제13도a의 자기헤드(83)의 경우에는 제1의 스프링계(84)만으로 소정의 스프링압을 프리차지하고 있으며, 제2의 스프링계(86)는 프리상태이므로, 사용시에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1)에 접촉하고나서 사용상태에서의 가압력을 얻기 위해 헤드본체(22)를 압입하여 제2의 스프링계(86)가 스토퍼부(89)에서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거리가 본 실시예에 비해 크며, 헤드본체(22)를 압입하여 갔을 때, 판스프링재(87) 즉 그 경사부(85)가 스토퍼부(89)에서 떨어지기까지는 서서히 스프링압이 증대하고, 스토퍼부(89)에서 떨어진 후에는 압입량을 증가시켜도 스프링압의 변화량이 적게 미증(微增)한 상태에서 증가해 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자기헤드(21)에서는 제1의 스프링계(53)와 함께 제2의 스프링계(55)도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됨으로써, 사용시에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1)에 접촉하고나서, 헤드본체(22)를 압입하여, 제2의 스프링계(55)가 스토퍼편(72)에서 떨어진 순간까지의 거리(사용상태에서의 가압력이 얻어지는 헤드본체의 압입량)는 작아진다. 이 결과, 헤드도상치수가 작아진다.
제14도는 불사용시의 본 실시예에서의 자기헤드(21)의 높이위치와, 앞서 제안한 제13도a의 자기헤드(83)의 높이위치를 비교한 도면이며, 양자간에 Δh 의 높이의 차가 생긴다. 전술한 초소형 디지탈 기록재생기에 응용한 경우, 본 실시예의 자기헤드(21)와 앞서 제안한 제13도A의 자기헤드(83)와의 높이의 차 Δh 는 1㎜ 정도로 되고, 그 만큼 기기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제13도a의 자기헤드(83)에서는 제1의 스프링계(84)만의 프리차지였으므로, 도상시에 제2의 스프링계(86)에 고정되어 있던 헤드본체(22)에 요동이 생길 염려가 있었다. 이 요동분만큼 여유를 가지고 더욱 도상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본체(22)가 지지되어 있는 근방의 이른바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이 계지부(57)를 통해 스토퍼편(72)에 계지되어 있으므로, 헤드본체(22)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요동분의 도상치수의 마진을 취할 필요가 없고, 도상치수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3도a의 자기헤드(83)에서는, 사용시 헤드본체(22)를 디스크(1)에 접촉시켜 압입하여 갔을 때, 헤드본체(22)를 지지하고 있는 짐발부에 있어서, 제2의 스프링계(86)의 짐발협(脇)협각도에 근사하려고 하여 짐발부의 제2의 스프링계(86)와의 장착부 부근에서는 제15도A의 화살표 방향의 회전모멘트 m1가 작용하고, 헤드본체(22)의 디스크(1)에 대한 응력집중포인트 Q1가 슬라이드부(29)의 헤드소자측으로 된다. 따라서, 디스크(1)의 진행방향 A 에 대하여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는 디스크(1) 표면에 대하여 충돌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3의 스프링계(56)를 배설함으로써, 헤드본체(22)를 압입하여 갔을 때, 제15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력집중포인트 Q2가 슬라이드부(29)의 선단에 오게 되어서, 역방향의 회전모멘트 m2가 작용하게 된다. 헤드본체(22)는 이로 인해 디스크(1)의 진행방향 A 에 대하여, 헤드전방이 부상(浮上)하는 듯한 느낌으로 되어서, 스틱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 종류의 접촉슬라이드형 자기헤드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카트리지(91)의 창(92)을 통해 수납되어 있는 광자기디스크(1)에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자기헤드는 카트리지(91)에 닿지 않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전술한 64㎜의 광자기디스크(1)의 경우, 카트리지(91)의 창(92)내에서 헤드본체(22)는 반경방향으로 14.5㎜∼31.0㎜ 까지 이동한다. 헤드코어중심과 카트리지의 창(92)과의 여유(마진) 치수는 외주측에서 X1= 2.5㎜, 내주측에서 X2= 4.0㎜로 된다. 그리고, 내주측에서는 창에지가 단차(94)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기헤드의 암(71)의 여유치수 x3가 5.5㎜ 로 된다. 전술한 본 자기헤드(21)에 의하면, 자기헤드(21)의 일측(즉 디스크(1)의 내주측)에만 암(71)을 배설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카트리지의 창(92)내에 무리없이 배치하여 반경방향으로 14.5㎜∼31.0㎜ 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암(71)상에 배설함으로써, 판스프링재(23)의 스프링특성에 변화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18도 및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에 형성한 계지부(57)의 대신에, 제3의 스프링계(56)의 선단에 계지부(59)를 형성하고, 이 계지부(59)를 스토퍼편(72)에 걸리게 하여 계지한다. 다른 구성은 제1도 및 제2도와 같으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이 구성의 자기헤드(96)에 있어서는, 전술한 제1의 스프링계(53), 제2의 스프링계(55)에 더하여 제3의 스프링계(56)도 스토퍼편(72)에 계지된 상태에서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되게 되어서, 원리적으로는 사용시에 헤드본체(22)를 디스크(1)에 접촉시킨 순간부터 소정가압력이 얻어지므로, 제1도의 실시예의 자기헤드(21)보다 더욱 헤드도상치수가 작아져서, 한층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기타는 제1도와 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도, 제18도, 후술하는 제32도 등에서는 암(71)을 일측에만 배설하여 스토퍼편(72)을 형성하였으나,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재(23)의 양측에 따르도록 고정체(24)의 양측으로부터 암(71)을 형성하여 양 암(71)의 선단을 걸치도록 스토퍼편(72)을 배설하도록 한 자기헤드(97)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에 있어서는, 그 자세 안정성의 의미에서 슬라이드부(29)가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측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또한 슬라이드부(29)가 헤드주행방향과 가까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진 소위 선접촉형 또는 접촉점이 동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점 접촉형을 이루는 것이 요망된다.
이 경우, 헤드소자(27)가 디스크(1)의 반경상에 위치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슬라이드부(29)는 디스크(1)의 반경상에서 약간 어긋나 배치된다. 여기서, 슬라이드부(29)의 길이방향이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과 동일방향에 있을 경우, 슬라이드시에 디스크(1)의 회전에 의한 마찰력 및 디스크(1)상의 장해물에 의한 헤드본체(22)에의 충격력은 슬라이드부(29)의 길이방향과 횡단방향의 성분이 커진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1) 디스크(1)면상의 혹(16) 등의 장해물이 헤드본체(22)에 충돌할 확률이 커진다.
(2) 특히, 충돌시의 충격력은 슬라이드부(29)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성분이 커지고, 자세안정성에 대한 상기 자기헤드의 유의성(有意性)이 작아진다.
(3) 슬라이드부(29)에 항상 작용하는 마찰력도 슬라이드부(29)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성분이 커지고, 헤드본체(22)에 대하여 토션방향의 힘이 커진다. 이것은 헤드소자(27)의 위치결정상 불리하게 된다.
다시, 이 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1도는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 A(이것은 디스크회전방향의 접선방향)측에 디스크(1)와 접촉슬라이드하기 위한 슬라이드부(29)가 인접하여 이루어지는 헤드본체(22)의 개략도이다. 슬라이드부(29)는 실제로 디스크(1)에 접촉하는 실접촉슬라이드부(101)를 가진 선접촉형 또는 접촉점이 1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점 접촉형중, 본 예에서는 선접촉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과 반경상에 존재하는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과는 일치한다.
제22도는 이 헤드본체(22)의 헤드소자(27)가 디스크(1)상의 반경 r 의 위치를 슬라이드한 경우, 실접촉슬라이드부(101)가 슬라이드하는 디스크(1)상의 반경방향의 접촉범위 d 를 도시한다. d 는 실접촉슬라이드부(101)의 양단과 회전중심 O 으로부터 거리의 차, 즉 r2-r1에 같아진다.
여기서, 슬라이드부(29)에 영향을 주는 디스크(1)상의 장해물의 밀도가 같으면, d 의 폭이 클수록 슬라이드부(29)가 장해물의 영향을 받는 확률이 커지는 것은 명백하다.
또, 실접촉슬라이드부(101)의 길이방향과, 실슬라이드방향(102)과의 어긋남각 θ10은 헤드소자중심으로부터의 실접촉슬라이드부(101)의 거리 L 에 의해, θ10= tan-1(L/r)에 따라 제23도와 같이 변화한다.
제23도는 초소형 광자기디스크(1)의 실사용반경 r 을 16㎜ 내지 31㎜ 로 하여, 그 양단에 있어서의 θ10과 L 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곡선 I 은 r 이 16㎜ 의 경우, 곡선 Ⅱ 은 r 이 31㎜ 의 경우이다.
L 을 취할 수 있는 치수는 전술한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의 카트리지(91)의 창(92)의 크기 W/2 에 의해 규정되며, W/2 가 8.5㎜ 이상으로는 되지 않는다. 한편, L 의 하한치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9)가 헤드소자(27)에 대하여 주행방향에 인접하므로, 약 1.5㎜ 이하로는 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장해물에 의한 충격력 또는 항상 작용하는 마찰력은 모두 어긋남각 θ10에 대하여 sin θ10분이 슬라이드부 길이방향과는 직각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들 힘은 헤드본체(22) 전체의 자세 안정성상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지만, θ10이 커질수록 커진다.
제24도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에 관한 자기헤드, 특히 그 헤드본체(22)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본 예의 헤드본체(22)는 제21도의 헤드본체(22)와 마찬가지로 디스크(1)의 반경상에 위치하는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 A 측에 디스크(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드부(29)가 실접촉슬라이드부(101)를 가진 선접촉형 또는 접촉점이 1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점 접촉형중, 본 예에서는 선접촉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이 헤드소자(27)의 주행방향 A 에 대하여 실슬라이드방향(104)에 따르도록 디스크(1)의 내주측에 각도만큼 경사지게 구성한다.
제25도는 본 예의 자기헤드(22)가 디스크(1)상의 반경 r′의 위치를 슬라이드한 경우의 디스크(1)상의 슬라이드반경의 범위 d′를 제22도와 대비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d′의 폭이 전술한 제22도에서의 d′의 폭에 비하여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1)의 장해물이 슬라이드부(29)에 영향을 미치는 확률을 작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의 경사각 ψ 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슬라이드부(29)를 실슬라이드방향(104)에 따르도록 각도 ψ 만큼 기울이는 것은, 제23도에 있어서 종축을 각도 ψ 만큼 정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슬라이드중에 슬라이드부(29)에 작용하는 장해물의 충격력 및 항상 작용하고 있는 마찰력의 슬라이드부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의 성분은 sin(θ10-ψ)을 곱한 양으로 표시된다. 항상 정의 값을 취하는 각도 θ10에 대해 적당한 경사각 ψ을 부여함으로써, 슬라이드부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힘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자기헤드의 자세안정성상 유리하게 작용한다.
슬라이드부(29)의 경사각 ψ 의 값은 초소형 광자기디스크의 실사용반경 및 슬라이드부(29)의 헤드소자중심으로부터의 거리 L 를 전술한 바와 같이 16㎜∼31㎜, 카트리지의 창의 크기 W/2 를 1.5㎜∼8.5㎜ 로 고려한 경우, 제23도의 사선부 또는 θ10= tan-1(L/r)에서 3도이상이고 28도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소자(27)에 대하여 슬라이드부(29)를 실슬라이드방향에 따르도록 경사지게 함으로써, 디스크면상의 장해물이 헤드본체(22)에 충돌하는 확률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충돌시의 충격력의 슬라이드부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성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헤드본체에 있어서의 자세안정성상의 유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시의 마찰력의 슬라이드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의 성분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헤드본체(22)를 비틀려고 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헤드소자(27)의 위치어긋남량을 작게 하는 것에 연관된다.
제26도∼제28도는 전술한 헤드소자(27)에 대하여 슬라이드부(29)를 실슬라이드방향에 따르도록 경사진 헤드본체(22)를 사용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자기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8도a 및 b는 헤드본체(22)를 도시한 것이다. 이 헤드본체(22)는 헤드소자(27)가 장착되는 장착부(31)의 일측에 소정의 경사각 ψ 만큼 경사진 슬라이드부(29)를 일체로 가진 슬라이드체(113)를 배설하고, 이 장착부(31)에 전술한 바와 같은 대략 E 자형의 페라이트자기코어의 중심자극코어에 코일을 감아 이루어지는 자기헤드소자(27)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이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는 길이방향의 양단 2개소에 디스크(1)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접촉면(112a)을 가진 이른바 복수점접촉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29)의 양 접촉면(112a) 사이는 안쪽으로 평탄형의 요부가 형성된다. 양 접촉면(112a)은 예를 들면 원통면형, 구면형(球面形)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는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부(29)가 ψ 만큼 경사진 헤드본체(22)와, 그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면에 가압하는 얇은 판스프링재(23)와, 이 판스프링재(23)를 장착한 고정체(24)를 가지며,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체(24)에 장착하여 고정하고, 타단측에 헤드본체를 장착하여 구성된다.
판스프링재(23) 및 고정체(24)는 전술한 제1도 및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세설명은 생략하지만, 고정체(24)는 판스프링재(23)의 장착부(52)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70)와, 비대칭으로 그 일측에서 연장되는 암부(71)와 이 암부(71)의 선단에서 장착부(70)와 대향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스토퍼편(72)을 일체로 하여 형성된다.
판스프링재(23)는 제1의 스프링계(53)와, 이 제1의 스프링계(53)에서 연장되는 리브를 가진 경사부(54)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55)와, 제2의 스프링계(55)에서 역측 즉 장착부(52)측으로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56)와,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계지부(57)를 일체로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제3의 스프링계(56)에 헤드본체(22)가 그 장착부(48)를 통해 용착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의 계지부(57)를 판스프링재(23)의 스프링압이 프리차지되도록, 스토퍼편(72)에 걸리도록 하여 계지한다.
제29도는 본 예에서 사용하는 판스프링재(23)의 전개도이며, 이것에서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에서 절곡하여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판스프링재(23)로 성형한다. (160),(161)은 개구부이다.
여기서,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가 헤드소자(27)에 대해 ψ 만큼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간(63)내에 헤드본체(22)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판스프링재(23)의 중심으로부터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의 위치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71)측으로 어긋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면에 접촉시켰을 때에 제2의 스프링계(55)의 스프링부(55A),(55B)에 가해지는 힘은 슬라이드부(29)에 가까운 쪽의 스프링부(55B)가 강하고, 먼쪽의 스프링부(55A)가 약해져서, 결과로서는 스프링부(55A),(55B)의 밸런스가 무너져 헤드본체(22)가 경사지는 등의 우려가 생긴다.
그래서, 제2의 스프링계(55)에 있어서는 그 양 스프링부(55A) 및 (55B)의 각각의 폭 MA, MB를 다르게 한다. 즉, 슬라이드부(29)가 경사지는 디스크내주측의 스프링부(55B)의 폭 MB을 디스크외주측의 스프링부(55A)의 폭 MA보다 커지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슬라이드부(29)를 디스크(1)에 접촉시켰을 때에 제2의 스프링계(55)의 좌우의 스프링부(55A),(55B)의 스프링압의 밸런스가 보상되어 안정된 자세로 헤드본체(22)를 디스크(1)에 접촉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제30도 및 제31도는 각각 헤드소자(27)를 구성하는 코일의 보빈(119) 및 (120)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121)은 기대, (122)는 플랜지부이며, 이 기대(121)와 플랜지부(122) 사이에 코일(26)이 감겨진다. 기대(121)에는 대략 E 자형의 페라이트코어가 감착(嵌着)되는 홈(123) 및 중심코어가 삽입되는 중심공(124)이 형성된다. 또한 기대(121)의 측면으로부터 1쌍의 L 자형의 단자핀(125)을 끼워 맞춘다.
제30도 에서는 단자핀(125)의 일단(125A)에 각각 코일단말을 감아 납땜하고, 역시 일단(125A)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이 납땜된다.
제31도에서는 L 자형의 단자핀(125)에 있어서 일단(125A)을 끼워 맞추는 동시에 타단(125B)을 외부에 노출하도록 하고, 이 타단(125B)에 코일단말을 감아 납땜하고, 일단(125A)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을 납땜한다. 이 경우에는, 코일단말처리와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납땜이 상이한 위치이므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을 납땜할 때에 코일단말의 납의 흐름이 없어서, 보다 신뢰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자기헤드(21)에서는, 판스프링재(23)의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을 위쪽으로 절곡연장시키고, 그 유단(遊端)을 대략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외측으로 절곡한 계지부(57)를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편(72)에 걸리도록 하여 계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자기헤드(21)에 있어서는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한 외부충격(외력 F1)을 받았을 때, 헤드본체(22)와 함께 이것을 지지하는 제3의 스프링계(56)가 아래쪽으로 변위하고, 이에 끌리어 제2의 스프링계(55), 따라서 그 절곡연장부(57A)가 화살표 방향 x1으로 크게 만곡되어 계지부(57)가 스토퍼편(72)의 면을 화살표 방향 x2으로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마침내는 계지부(57)가 스토퍼편(72)에서 이탈될 염려가 있다.
일단, 계지부(57)가 스토퍼편(72)에서 이탈되면 헤드본체(22)는 아래쪽으로 매달린 상태로 된다. 예를 들면 사용상태에서는 헤드본체(22)가 카트리지(91)의 창(92)내에 들어가 있으므로, 계지부(57)가 스토퍼편(72)에서 이탈되면, 카트리지의 이젝트시에 헤드본체(22)를 창(92)으로부터 밖으로 도상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무리하게 이젝트하면 자기헤드가 파손되어 버린다.
제33도 및 제34도는 이 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판스프링재(23)의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에서 대략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위쪽으로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301)에 계지부로 될 구멍, 본 예에서는 종공부(縱孔部)(302A)와 횡공부(橫孔部)(302B)를 직교시킨 소위 + 자형공(302)을 형성한다(제36도 참조). 그리고, 절곡연장부(301)의 상단(301A)은 보강을 겸하여 대략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외측으로 절곡된다.
한편,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암(71)의 선단을 직각으로 절곡한 스토퍼편(72)의 장착부(70)와 대향하는 내측에 이와 일체로 T 자형부(303)(제35도 참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T 자형부(303)에 판스프링재(23)측의 계지부로 될 + 자형공(302)을 삽통하도록 하여 + 자형공(302)의 위쪽에지에서 계지한다.
다른 주요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표시한다. 즉, 판스프링재(23)는 고정체(24)에의 장착부(52)와, 제1의 스프링계(53)와, 리브(60)를 가진 경사부(54)와, 제2의 스프링계(55)와, 이 제2의 스프링계(55)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56)를 가지며,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에 상기의 절곡연장부(301)에 + 자형공(302)을 가진 계지부(304)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고정체(24)는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장착부(70)와 이로부터 비대칭으로 연장되는 스토퍼부(305)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즉, 디스크(1)의 내주측에 대응한 일측에서 연장되고, 제2의 스프링계(55)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의 경사각 θ4을 가지고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에 이르는 길이에 걸쳐서 경사지는 암부(71)와,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암부(71)의 선단에서 장착부와 대향하도록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스토퍼편(72)과, 이 스토퍼편(72)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한 T 자형부(303)를 가지고 구성된다. 암부(71)와 스토퍼편(72)과 T 자형부(303)에 의해 스토퍼부(305)가 구성된다.
헤드본체(22)는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9)가 헤드소자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실슬라이드방향에 따르도록 디스크(1)의 내주측에 소정각도 ψ 만큼 경사져 구성된다.
한편,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은 고정체(24)로부터 판스프링재(23)상의 중앙을 지나도록 하여 헤드본체(22)의 단자핀(44)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36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304)에 형성하는 + 형자공(302)의 종공부(302A)의 상하 사이의 길이 L 는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의 두께 E1와 디스크(1)의 면진동의 허용범위와, 헤드본체 및 광자기디스크기록재생기의 조립공차와, 이에 관한 부품공차를 고려하여,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부(29)가 디스크의 면진동에 추종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된다.
또, + 자형공(302)의 횡공부(302B)의 횡폭(橫幅) G2은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의 수평부의 횡폭 G1보다 크며, 또한 + 자형공(302)의 횡공부(302B)의 종폭(縱幅) E2은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의 두께 E1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 자형공(302)의 종폭 E2을 T 자형부(303)의 두께 E1에 대하여 지나치게 넓게 취하면 T 자형부(303)가 + 자형공(302)으로부터 빠지기 쉬워지므로, 종폭 E2은 두께 E1보다 약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자기헤드(306)에 의하면,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에 형성한 + 자형공(302)을 스토퍼부(305)의 T 자형부(303)에 삽통하여 계지함으로써, 마치 T 자형부(303)와 스토퍼편(72)으로 + 자형공(302)이 형성되는 절곡연장부(301)를 협지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3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강한 외부충격(외력 F1)을 받아도 판스프링재(23)의 절곡연장부(301)가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에 닿아서 떨어지지 않고, 카트리지(91)의 이젝트시의 자기헤드의 튀어오름이 가능하게 되어, 자기헤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에 형성한 구멍(302)의 상부에지가 상부절곡단(301A)에서 거리 y1만큼 하방위치에 존재하도록 한다. 이로써 판스프링재(23)의 계지위치가 구멍(302)의 상부에지에서 규제되고, 헤드본체(22)에서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까지의 높이정밀도가 얻어진다.
제34도의 예에서는, 스토퍼편(72)의 내측에 T 자형부(303)를 배설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편(72)의 외측에 T 자형부(303)를 배설하고, 이 T 자형부(303)에 판스프링재(23)측의 + 자형공(302)을 삽통하여 계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34도와 마찬가지로 외부충격을 받아도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의 벗겨짐을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4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배선(319)을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320)을 고정체(24)로부터 판스프링재(23)의 일측에 배설하여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측을 지나 되접도록 하여 그 케이블단부(320A)를 헤드본체(22)의 장착부(48)에 고정하고, 다시 고정된 케이블단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단부(319B)를 헤드본체(22)의 단자핀(44)에 접속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320)의 장착프로세스의 점에서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는 스토퍼편(72)의 내측에 배설하는 것이 좋다.
상기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320)을 사용할 때는, 헤드본체(22)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로부터의 불필요한 힘(즉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강성(剛性)에 의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헤드본체(22)를 안정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위 예에서는,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에 대하여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에서는 + 자형공(302)을 형성하였으나, 기타 계지부(304)로서는 제38도A에 도시한 T 자형의 절결(308) 또는 제38도B에 도시한 + 자형의 절결(309)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계지부(304)의 이탈방지의 점에서는, 제38도A의 T 자형 절결(308)쪽이 + 자형 절결(309)보다 우수하다. 또한, 계지부(304)로서는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 자형공(3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계지부를 + 자형공(302)으로 한 경우, 그 횡공부(302B)에 마침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가 위치했을 때에 외부충격을 받으면, 계지부(304)가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에서 빠져나올 수가 있다.
제40도는 이 점을 더욱 개선한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즉, 본 예는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에 + 자형공(32)을 형성하는 동시에, + 자형공(302)의 횡공부(302B)내에 그 일측에지에서 일체로 돌출하는 예를 들면, 좌우 1쌍의 돌기부(310)를 형성한다. 이 돌기부(310)는 제4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304)를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에 계지할 때, + 자형공(302)의 횡공부(302B)에의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의 삽입시에 탄성적으로 만곡되고(제41도B 참조), T 자형부(303)가 인발된 후에 원래로 탄성복귀되도록(제41도C 참조)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횡공부(302B)내에서의 돌출량을 적게 하고, 더욱이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돌기부(310)의 기부측에 절입부(311)를 형성한다. 돌기부(310)의 형성개소는 도시한 예에 한하지 않고, 다른 부분에서도 가능하다.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에 있어서는, 제41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 삽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를 계지부의 + 자형공(302)에 삽통한 후에는 돌기부(310)가 복귀하여, + 자형공(302)내에 돌출함으로써, 가령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가 + 자형공(302)의 횡공부(302B)에 대응한 위치에서 외부충격을 받아도 돌기부(310)에 의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2도는 변형예이다. 본 예는 계지부(304)의 + 자형공(302)내에 상기의 절입부(311)를 형성하지 않고, 탄성을 가진 돌기부(310)를 형성한 경우이다.
제43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예는 판스프링재(23)의 제2의 스프링계(55)의 선단을 대략 직각 또는 이것에 가까운 각도를 가지고 위쪽으로 절곡하는 동시에, 스토퍼편(72)을 에워싸도록 되접어서 통형(筒形)의 계지부(313)를 형성한다. 스토퍼부에서는 T 자형부(303)가 없는 스토퍼편(72)만으로 한다. 이 스토퍼편(72)을 통형의 계지부(313)내에 삽입하도록 하여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13)를 스토퍼편(72)에 계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계지기구에 의하면, 스토퍼편(72)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외부충격시에 계지부(313)가 스토퍼편(72)으로부터 벗겨지는 일이 없다.
제44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예는 계지부(304)에 형성하는 + 자형공으로서, 그 종공부(314A)에 대하여 횡공부(314B)를 수평보다 경사시킨 변형 + 자형공(314)으로 한다.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를 삽입할 때는, 다소 계지부(304)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삽입후에는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와 변형 +자형공(314)의 횡공부(314B)가 일치하지 않고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하는 상태로 되므로, T 자형부(303)가 변형 + 자형공(314)의 횡공부(314B)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도 외부충격으로 벗겨지는 일이 없다.
제45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예는 스토퍼부의 스토퍼편의 내측 또는 외측, 본 예에서는 내측에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클릭부(315)를 일체로 형성하고, 한편 판스프링재(23)의 계지부(304)에 종장공(縱長孔)(316)을 형성하고, 클릭부(315)를 종장공(316)에 삽입하여 계지부(304)를 스토퍼부에 계지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외부충격에 의해 계지부(304)가 화살표 방향 x2으로 변위해도 클릭부(315)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계지부(304)의 스토퍼부로부터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46도는 본 발명에 관한 계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본 예는 제45도에 있어서의 클릭부(315)의 선단(315A)을 위쪽으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다른 구성은 제45도와 같다. 이와 같이 클릭부(315)의 선단(315A)을 위쪽으로 절곡함으로써, 더욱 계지부(304)의 클릭부(315)로부터의 이탈방지를 확실하게 한다.
그리고, 제34도 및 제37도에 있어서의 스토퍼부의 T 자형부(303)의 선단수평부를 위쪽으로 절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4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접속부(라운드부)(130)는 반경이 일정한 환공(131)이 형성되고, 이 환공(131)에 단자핀(44)(예를 들면 제4도 참조)을 삽통하여 납땜된다. 이 경우, 단자핀(44)과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헤드본체(22)측의 고정부 즉 슬라이드부(29)상의 장착부(48)(제4도 참조) 사이의 길이와, 이 부분에 사용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길이가 일치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헤드본체(22)의 조립오차나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성형의 불균일로 곤란하다. 조립정밀도를 높이고,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성형정밀도도 높이지않으면 안된다.
또, 단자핀(44)과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고정부(48)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길이가 짧으면, 접속부(라운드부)가 단자핀(44)에 이르지 않으므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길이를 약간 길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 접속후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휨이 발생하여, 단자핀(44)과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고정부에 그 반력(反力)이 가해진다. 이 때, 특히 단자핀(44)에 헤드본체(22)로부터 직접 도출되고 있으므로, 반력은 직접 해드본체(22)에 가해질 염려가 있다. 이것은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특성을 나쁘게 한다.
또한, 환공에서는 단자대의 면을 플렉시블배선케이블 하면과 평행으로 하지 않으면 안정되게 장착할 수 없다. 이 때에도, 조립오차가 있으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휘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와 같이 하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제49도 및 제50도는 전술한 점을 개선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49도a 또는 제49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헤드본체에서 도출되는 단자핀에 접속되는 측의 접속부(라운드부)로서, 2분기형상(예를 들면 U 자형 등)의 접속부(133) 또는 장공(134)을 가진 형상의 접속부(135)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사선부분(129)은 예를 들면 Cu 박(箔)에 의한 배선패턴이다.
제50도는 구체적인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전체를 도시한 것이다. 플렉시블절연베이스(128)상에 1쌍의 평행하는 배선패턴(129)이 피착형성되고, 그 각 배선패턴(129)의 단자핀에 접속되는 접속부(133)가 각각 2분기형상으로 형성된다. (137)은 헤드본체(22)의 장착부(48)가 삽입되는 장착공, (138)은 고정체(24)측의 계지부(82)에 계합되는 계합부이다.
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제51도에 도시한 헤드본체(22)의 단자핀, 도시한 예에서는 장착부(31)의 단면에서 경사져 도출된 단자핀(44)에 접속할 때에는, 제5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장착공(137)을 헤드본체(22)측의 장착부(48)에 계합하여 위치결정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2분기형상의 접속부(133)를 위쪽으로부터 단자핀(44)에 협입하여 납땜접속한다.
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있어서는, 장착공(137)과 접속부 사이의 길이를 약간 길게 형성해 두어도, 그분기형상의 접속부(133)에 의해 단자핀(44)과의 접속위치가 조정되므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느슨하지 않게 접속할 수 있다.
제53도 및 제54도는 본 예의 2분기형상의 접속부(133)를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 및 통상의 환공(131)의 접속부(130)를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각각과 헤드본체(22)의 단자핀(44)과의 접속 가능한 위치관계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양 도면중 사선부(161),(162)가 각각 접속부(130),(133)의 개구부의 범위를 표시한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그 고정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어떤 각도로 경사져 있는 단자핀(44)과의 접속에 관해 보면, 환공(131)의 접속부를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경우에는 제5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핀(44)의 중심과 고정점과의 사이의 길이를 a 라 하면,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이 길이 a 보다 짧거나, 길거나, 역으로 단자핀(44)이 예를 들면 조립시에 어긋나거나 하면 접속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2분기형상 즉 U 자형의 접속부(133)를 가진 본 예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서는, 사선부(161)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단자핀(44)에 대한 접속이 가능한 범위가 넓어진다. 따라서,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단자핀(44)의 위치가 어긋나도, 또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성형에 불균일이 있어도 단자핀(44)이 이 사선범위(161)내에 있으면 접속이 가능하게 되고,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 평면 C 과 단자대면 D 이 평행일 필요는 없다. 항상 단자핀(44)과 고정점의 사이에서 최적의 길이로 고정되어, 휨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효과는 제33도B의 장공(134)을 가진 접속부(135)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본 예에 관한 접속부(133),(134)로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을 사용하여 배선되는 것이며, 단자핀 사이 또는 단자핀과 플렉시블배선케이블 고정점 사이의 위치관계가 3차원적으로 직선적인 길이를 알 수 없는 부분에서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1)상을 슬라이드할 때, 디스크(1)의 보호막(5)의 면에 때로 존재하는 돌기(이른바 혹(16))에 헤드슬라이드부가 충돌한다. 이 충돌시의 충격에 의한 디스크(1)의 진동에 광자기디스크기록재생용의 광학픽업이 추종하지 못하여 광학계가 포커스에러를 발생하고, 광학픽업이 트랙에서 벗어나는 것이 슬라이드를 행하는데 있어서 최대의 문제로 된다.
제55도는 자계변조방식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를 사용한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의 모식도이다. 헤드슬라이더(141)(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에 상당함)의 스프링(142)에 의해 소요의 누름하중을 가지고 디스크(1)의 보호막(5)의 면에 접촉슬라이드된다. 기록재생광학픽업(140)으로부터 나오는 레이저광원(6)의 초점은 디스크(1)의 면떨림이나 진동에 맞추어서 서보기구로 조절된다. 헤드본체(22)와 디스크(1)의 돌기(16)와의 충돌에 의한 디스크(1)의 변위가 어떤 값을 초과하면, 서보가 벗어나서 포커스에러를 발생시킨다. 충돌시의 디스크(1)의 변위는 디스크(1)에의 작용력에 대략 비례한다.
먼저, 충돌시의 작용력을 계산해 본다. 제5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2a, 높이 h 의 돌기(16)상을 슬라이더(141)가 돌기형상에 맞추어서 운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돌기형상은 포물선에 근사(近似)하고, 마찰력은 작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주속(周速) Vx로 질량 M 의 슬라이더(141)가 디스크(1)상을 등속운동할 때, 슬라이더(141)가 돌기를 오르기 시작해서 정점(頂点)에 달하기까지의 시간 t0은
t0= a/Vx……… (1)
정점에 있어서의 슬라이더(141)의 법선방향의 속도를 Vy라 하면, 역적(力積)과 운동량의 관계에서
F = MVy/t0……… (2)
슬라이더(141)는 일정한 힘 F 에 의해 가속되어 시간 t0후, h 의 높이에 달하므로,
h = (1/2)·(F/M)/t0 2
= (1/2)·(Vy/t0)·t0 2
∴ Vy = 2h/t0……… (3)
식(1), 식(2), 식(3)에서 F 를 구하면
F = 2(MVx)·(h/a)·(Vx/a) ……… (4)
여기서, (h/a), (Vx/a)는 모두 디스크(1)의 파라미터이며, Vx는 일정하다. 따라서, F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헤드측에서는 슬라이더의 질량 M 을 작게 해야 한다. 이것은 전술한 자기헤드(21)에 대하여 보면, 헤드본체(22)와 디스크(1)의 돌기(16)와의 충돌시의 디스크(1)의 변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드체(28)를 경량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경량화의 수단으로서는 슬라이드부(29)를 포함한 슬라이드체(28)의 형상크기를 변화시키는 동시에 가벼운 재료를 선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표 1 및 표 2 에 주된 재료의 밀도를 나타낸다.
이 표 1, 표 2에서 동일형상의 헤드본체(22)에서는, 슬라이드체(28)에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헤드본체(22)의 질량을 슬라이드체(28)로서 다른 재료를 사용한 경우의 절반이하로 경량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체(28)를 플라스틱재로 성형하여 헤드본체(22)를 구성한다.
이 플라스틱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나이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등 표 1 에 기재한 것, 폴리페닐렌술파이드(PPS), 그밖의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플라스틱에 카본을 함유(예를 들면 8중량%∼30중량% 함유)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57도는 헤드본체(22)의 질량과 광학픽업의 포커스에러량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포커스에러량이라는 것은 헤드본체와 디스크(1)의 돌기(16)와의 충돌에 의한 신호면(즉 기록층(3))의 진동에 광학픽업의 서보가 추종하지 못하여 포커스로부터 어긋난 양이다.
현재, 포커스에러 2㎛ 까지는 광학픽업으로 신호를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하지만, 2㎛ 를 넘으면 불가능하다. 디스크(1)상의 돌기(16)의 높이는 10㎛ 까지 허용되고 있다.
제57도에 있어서, △ 표의 직선(151)은 질량 200㎎ 이고 디스크 외주측(r = 24㎜∼28㎜), ▲ 표의 직선(151)은 질량 200㎎ 이고 디스크 내주측(r = 17㎜∼18㎜), □ 표의 직선(152)은 질량 40㎎ 이고 디스크 외주측, ■ 표의 직선(153)은 질량 40㎎ 이고 디스크 내주측이다. 외주측쪽이 드라이브 고정부분에서 떨어져 있으므로 요동되기 쉽고, 포커스에러량이 크다. 이 외주측도 데이터의 읽고 쓰기에 사용하기 위해, 외주측에서도 포커스에러를 2㎛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 헤드본체의 질량은 슬라이드체에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면 약 30∼40㎎, 금속재료를 사용하면 약 60∼140㎎, 세라믹스재료를 사용하면 60∼80㎎ 으로 된다. 그래서, 제55도로부터 디스크 외주측에서 높이 10㎛ 의 돌기(16)에 대하여 포커스에러 2㎛ 를 보증하는데는 슬라이드체(28)에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예에 의하면, 슬라이드체(28)에 금속재료, 세라믹스재료에 비해 밀도가 절반이하인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헤드본체의 질량을 경량화할 수 있다.
헤드본체를 경량화함으로써, 헤드본체(22)와 디스크(1)의 돌기(16)와의 충돌의 충격을 작게 하고, 디스크진동을 저감하여, 서보불추종에 의한 포커스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헤드본체(22)와 디스크돌기(16)와의 충돌의 대미지가 적어지므로, 데이터드라이브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재료는 금속재료나 세라믹스재료보다 성형하기 쉽고, 또 양산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재료를 슬라이드체(28)에 사용함으로써, 자기헤드의 서보기구가 불필요한 슬라이드방식의 광자기기록의 실용화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를 사용했을 때 보다 저가격의 자기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에서는 헤드소자(27)의 일측에 슬라이드부(29)를 가진 자기헤드본체에 적용하였으나, 기타 도시하지 않으나, 코일을 감은 보빈에 슬라이드부를 일체성형하고, 이 보빈을 페라이트자성코어에 장착하고, 자성코어의 선단이 슬라이드부의 슬라이드면에서 후퇴하도록 한 자기헤드에 있어서도, 그 슬라이드부 및 보빈을 전술한 플라스틱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1도, 제3도의 자기헤드에 있어서는, 헤드본체(22)가 판스프링재(23)의 제3의 스프링계(56)로 지지되어 있으며, 사용시 헤드본체(22)는 판스프링재(23)에 의해 소정의 하중으로 디스크(1)의 표면에 접촉되어, 판스프링재(23)와 디스크(1)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자기헤드가 디스크표면에서 이간되어, 판스프링재(23)의 제3의 스프링계(56)에 늘어뜨려진 상태로 된다. 이 때에 진동, 충격을 받으면 헤드본체(22)가 진동하여, 강성이 작은 짐발기능을 가진 제3의 스프링계(56)가 굽어지거나, 파손되거나, 또는 주변의 부품과 충돌하거나 할 가능성, 위험성이 있다.
제58도 및 제59도는 이 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헤드가 디스크표면에서 이간된 불사용상태에 있을 때에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가 진동하지 않는 소위 방진기능을 구비한 자기헤드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에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이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체(24)를 가지며, 2개의 배선(171),(172)을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이 판스프링재(23)에 따라 배설되어 이루어진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일단의 접속부(즉 그라운드부)는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체의 상면에 돌출한 보빈단자(44)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은 암(71)의 기부측에 배설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판스프링재(23)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수 있는 연장부(173)를 일체로 배설하여 구성한다. 본 예에서는 연장부(173)로서 제2의 스프링계(55)의 양측의 스프링부(55A),(55B)에 각각 대향하고, 이것들에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단자핀과 접속되는 부근으로부터 좌우대칭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헤드본체(22), 판스프링재(23), 고정체(24)는 전술한 제1도의 자기헤드와 같으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의 자기헤드(174)에 의하면,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3)가 제5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스프링계(55)의 스프링부(55A),(55B)에서 떨어지고, 불사용시에 있어서는 헤드본체(22)가 자중(自重)으로 내려가려고 해도, 제6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3)가 제2의 스프링계(55)의 양 스프링부(55A),(55B)에 접촉해서 내려가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진동, 충격이 가해진 경우, 헤드본체(22)가 상하방향으로 진동을 개시하려고 해도 아래쪽으로의 움직임이 스프링부(55A),(55B)에 접촉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3)에 의해 저지되어, 아래쪽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3)가 쿠션으로서 작용하고, 진동, 충격의 에너지가 흡수되어, 진동이 오래 계속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58도의 자기헤드와 연장부(173)를 갖지 않은 자기헤드와의 내진성, 내충격성을 평가하였다. 제6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반(盤)(181)상에 본 예의 자기헤드(174)와 연장부(173)가 없는 자기헤드(182)(이하 비교예의 자기헤드라 함)를 각 헤드본체(22)가 반(181)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고정한다. 그리고, 양 자기헤드(174) 및 (182)이 중간점의 반(181)상에 높이 30㎝의 곳으로부터 무게 1㎏ 의 추(183)를 낙하시켜서, 이 때의 각 자기헤드(174) 및 (182)의 헤드본체(22)의 진동상태를 실체 현미경(184)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본 예의 자기헤드(174)에서는 헤드본체(22)가 2㎜ 정도 상방향으로 움직이고,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와 그 이상 하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이 후 진동적인 움직임은 볼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비교예의 자기헤드(182)에서는 4∼5㎜ 정도의 진폭으로 1∼2초 진동하고 원래의 위치로 수속하였다.
이와 같이, 동일설계의 판스프링재(23), 헤드본체(22)이면, 헤드본체가 디스크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판스프링재(23)와 접촉하는 연장부(173)를 배설함으로써, 헤드본체(22)의 방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헤드본체(22)의 요동의 마진이 적어도 되며, 기록재생기의 더욱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연장부(173)는 제3도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또 연장부(173)에 보강재를 피착형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58도의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3)로서, 제2의 스프링계(55)의 양측의 스프링부(55A) 및 (55B) 에 각각 대향하고, 이들에 접촉하도록 좌우로 연장하여 형성하였으나, 그 밖에 제6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3)를 제2의 스프링계(55)의 한쪽의 스프링부(55B)에 대향하여 이에 접촉하도록 한쪽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제58도 및 제62도에 도시한 헤드본체(22)에 대한 방진수단, 즉 연장부(173)를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은 제33도∼제46도, 제1도에 도시한 자기헤드에도 서로 적용할 수 있다.
제63도 및 제64도는 헤드본체(22)에 대한 다른 방진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6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에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이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체(24)를 가지며, 2개의 배선(171),(172)을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이 판스프링재(23)의 중앙에 따라 배설되어 이루어진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일단의 접속부(즉 라운드부)(81L)는 헤드본체(22)의 슬라이드체의 상면에 돌출한 보빈단자(44)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동시에, 타단은 암(71)의 기부측에 배설된다.
이 예에서는 전술한 제37도와 마찬가지로,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암(71)의 선단의 스토퍼편(72)의 외측에 T 자형부(303)가 배설되고, 이 T 자형부(303)에 판스프링재(23)측의 계지부(304)의 + 자형공(302)(도시하지 않음)을 삽통하여 계지하도록 구성한다.
또, 헤드본체(22)의 헤드소자가 삽입된 장착부의 외주를 에워싸도록 코일자체로부터 외부에 방출되는 전자(電磁)노이즈복사를 저지하기 위한 실드용의 링형 도체, 예를 들면 Cu 실드체(이른바 실드링)(221)가 배설된다. (222)는 실드링(221)을 고정하기 위해 헤드소자의 장착부상의 4코너부에 배설된 용착부(溶着部)이다. 이 용착부(222)는 헤드소자의 장착부상에 일체로 배설한 돌출편을 연화(軟化)시켜서 실드링(221)을 용착고정한 것이다.
헤드본체(22), 판스프링재(23), 고정체(24)는 전술한 제33도 및 제37도와 같으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81L)로부터 판스프링재(23)의 비스프링계부재, 즉 경사부(54)측으로 연장되고, 이 경사부(54)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수 있는 연장부(224)를 일체로 배설하여 구성한다. 이 연장부(224)는 도시한 예에서는 판스프링재(23)의 중앙을 지나는 배선(171) 및 (17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폭 N1보다 넓은 폭 N2(N2〉 N1)을 이루고, 예를 들면 라운드부(81L)와 같은 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은 제6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24)와 라운드부(81L)에 대응하는 부분에 예를 들면 난연성(難燃性)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유리에폭시수지로 이루어지는 보강재(225)를 배설하고, 연장부(224)가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에 닿았을 때에 절단되지 않도록, 그 강도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암(71)의 기부에 장착되는 부분에도 같은 보강재(225)가 배설되고, 다시 그 보강재(225)의 하부에 점착제(227)가 배설된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구성하는 플렉시블절연필름(80)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필름이 사용된다.
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224)가 닿는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는 양측에 리브(60)가 형성되어, 휘어지지 않는 강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자기헤드(226)에 의하면,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224)가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로부터 떨어지고, 헤드본체(22)가 디스크(1)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불사용시에는 헤드본체(22)가 자중으로 내려가려고 해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224)가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에 닿아서 내려가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진동, 충격이 가해져도, 헤드본체(22)의 아래쪽으로의 움직임이 경사부(54)에 접촉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224)에 의해 저지되어, 아래쪽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224)가 쿠션으로서 작용하고, 진동, 충격의 에너지가 흡수되어, 진동이 오래 계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히 진동, 충격을 반복하여 받은 경우, 전술한 예를 들면 제62도의 자기헤드(176)에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174)가 제2의 스프링계(55)에 접촉되므로 제2의 스프링계(55)를 변형시켜서, 그 특성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자기헤드(226)에서는, 강성이 높은 경사부(54)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연장부(224)를 접촉시키므로, 반복되는 진동, 충격을 받아도 제2의 스프링계(55)가 변형되는 일은 없고, 제2의 스프링계(55)의 특성을 상실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64도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사용한 제63도의 자기헤드(226)와, 전술한 제62도의 자기헤드(176)를 2000m/s2(200G[중력])의 충격시험에 걸어 비교하였다. 양쪽의 자기헤드(226) 및 (176) 모두 헤드본체(22)의 진동을 억제하는 효과는 있었다. 다음에, 제2의 스프링계(55)의 변형, 특성의 변화를 조사한 바, 표 3 의 결과를 얻었다.
표 3 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63도의 자기헤드(226)는 헤드본체(22)의 제진(制振)을 얻는 것에 더하여, 제2의 스프링계(55)의 변형, 특성변화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전술한 제63도의 예에서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24)를 넓은 폭의 구성으로 하였으나, 그 밖에 도시하지 않으나, 스토퍼부로 될 부분의 폭을 다른 부분의 폭 N1과 같게 하여 그 스토퍼부로 될 부분에서 라운드부(81L)에 걸쳐서 보강재(225)를 배설하고, 이 스토퍼부로 될 부분을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에 접촉시켜 방진기능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64도의 보강재(225)를 생략하고, 폭이 넓은 연장부(224)가 일체의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구성하는 플렉시블절연필름(80)의 재질, 두께 등을 선택하여,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 자체를 약간 견고하게 형성하고, 그 연장부(224)에 의해 방진기능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진수단, 즉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배설한 연장부(224)는 제1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자기헤드(21) 및 자기헤드(96)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65도 및 제66도는 헤드본체(22)에 대한 방진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5도의 예는 헤드본체(22)의 헤드소자를 장착하는 장착부(31)의 양 측면의 상하에 각각 제2의 스프링계(55)의 스프링부(55A),(55B)를 협지하는 것과 같은 익상(翼狀)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부(185[185A,185B])를 배설하고, 불사용시에는 상스토퍼부(185A)가 닿아서 헤드본체(22)가 내려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한다.
제66도의 예는 헤드본체(22)의 헤드소자를 장착하는 장착부(31)의 후단부에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에 대응하여 스토퍼부(186)를 일체로 배설하고, 불사용시에는 스토퍼부(186)가 판스프링재(23)의 경사부(54)에 닿아서 헤드본체(22)가 내려가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헤드본체(22)가 디스크(1)에서 이간된 상태에서의 헤드본체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헤드본체(22)가 디스크(1)에 접촉슬라이드하고 있는 사용시, 헤드본체(22)는 판스프링재(23)에 의해 소정의 하중으로 디스크 표면에 접촉되어 있으나, 과도한 충격이 주어졌을 때에, 일시적으로 판스프링재(23)가 진동하여, 판스프링재(23)를 변형시킬 위험성이 있다. 그 결과로서, 디스크(1)와 헤드소자(27)의 간격(스페이싱)이 증대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자계가 원하는 값(8 × 103A/m 이상)보다 작아져서, 기록을 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생긴다.
제67도∼제69도는 이 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헤드가 디스크표면에 접촉슬라이드하는 사용상태에 있을 때에 과도한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가 진동하지 않는 방진기능을 구비한 자기헤드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디스크에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29)를 가진 헤드본체(22)와, 이 헤드본체(22)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23)와, 판스프링재(23)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체(24)와,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는, 전술한 제34도와 마찬가지로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암(71)의 선단의 스토퍼편(72)의 내측에 T 자형부(303)가 배설되고, 이 T 자형부(303)에 판스프링재(23)측의 계지부(304)의 + 자형공(302)을 삽통하여 계지하도록 구성된다.
또, 전술한 제63도와 마찬가지로 헤드본체(22)의 헤드소자가 삽입된 장착부의 외주를 에워싸도록, 예를 들면 Cu 실드체(이른바 실드링)(221)가 배설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암(71)의 중간에, 이로부터 헤드본체(22)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31)를 일체로 배설하여 구성한다. 이 연장부(231)는 헤드본체(22)의 헤드소자측의 상면(즉 슬라이드부(29)의 진동면과는 반대측의 면), 특히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과 단자(44)의 납땜부를 피한 위치에 대향하고, 진동, 충격을 받았을 때에 이 헤드본체(22)의 상면에 접촉가능하게 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자기헤드(232)에 의하면, 헤드본체(22)가 디스크(1)에 접촉슬라이드하고 있는 사용시에, 과도한 진동, 충격을 받아도 헤드본체(22)의 상면이 암(71)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스토퍼부)(231)에 접촉되어서, 헤드본체(22)의 그 이상의 위쪽으로의 움직임(이른바 도상)이 저지되어,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재(23)를 변형시키지 않고, 또 디스크(1)와 헤드소자(27)의 스페이싱이 증대하지 않고, 기록불능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사용시에 디스크면에 수직의 충격을 받았을 때, 판스프링재(23)의 하중/헤드본체(22)의 질량으로 정해지는 값에 대응하는 충격력까지, 헤드본체(22)는 디스크(1)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면 10G[중력]까지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사용시에 10G 를 초과하는 과도한 충격을 받으면, 헤드본체(22)는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고, 제3의스프링계(56)의 기부(基部)를 지점(支点)으로 회전하여, 판스프링재(23), 특히 그 제3의 스프링계(56)를 변형시켜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암(71)에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31)가 배설됨으로써, 사용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10G 를 초과하는 과도한 외부충격에도 견뎌낼 수 있어서, 제3의 스프링계(56)를 변형시키지도 않는다.
이 방진수단, 즉 암(71)에 배설한 연장부(231)는 제1도 및 제18도에 도시한 자기헤드(21) 및 자기헤드(96)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할 자기헤드로서는, 예를 들면 제7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체(24)로부터 연장되는 암(71)에 전술한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31)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에 전술한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224)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자기헤드(235)에 의하면, 사용시, 불사용시의 어느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진동,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70도에 있어서, 배설한 연장부(224)를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 대신에, 제58도 및 제62도에 도시한 연장부(173)를 가진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사용해도 된다.
헤드본체(22)의 단자핀(44)에 접속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은 고정체(24)측에 있어서 위치결정되는데, 이 때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위치결정하여 접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71도∼제82도를 참조하여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위치결정 및 고정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1도∼제7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고정체(24)의 암(71)의 기부에 일체로 형성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고정영역(24A)에 소정거리만큼 떨어져서 1쌍의 위치를 위한 돌기, 본 예에서는 횡단면 원형의 위치결정핀 191[191A, 191B]을 배설하고, 이에 대하여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단자부(171a),(172a)에 대응하는 소위 라운드부(192)에 위치결정핀(191A),(191B)에 삽입하는 1쌍의 구멍 193[193A, 193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구멍(193)중 한쪽의 구멍(193A)은 위치결정핀(191A)에 감합하는 원형공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구멍(193B)은 조립오차, 부품공차흡수를 위해 장공(長孔)으로 형성한다. 장공의 폭은 환공의 직경과 같다.
그리고, 위치결정핀(191)의 형성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으나 고정체(24)를 금속으로 만드는 경우, 프레스펀칭에서의 반펀칭프레스로 일부표면에서 돌출시키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고정체(24)를 수지성형품으로 만들 때에는 위치결정핀(191)을 동시 성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위치결정핀(191)은 기타 다른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에서는 제6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성의 베이스필름(195)상에 도전층 예를 들면 동박(銅薄)에 의한 배선(171),(172)의 단자부(171a),(172a)가 형성되며, 이 단자부(171a),(172a)를 제외하고 커버필름(196)이 형성되고, 다시 라운드부(192)에 한해서 그 베이스필름(195)의 이면에 박리지(199) 및 감압형 접착제(200)를 부착하여 보강부재(198)가 접착제(197)를 통해 피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라운드부(192)의 이면의 박리지(199)를 박리하고, 그 구멍(193A),(193B)을 위치결정핀(191A),(191B)에 삽입한다. 이 때, 장공(193B)에 의해 조립오차, 부품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 삽입과 동시에 밀어누름으로써, 감압형 접착제(200)를 통해 라운드부(192)를 고정체(24)의 고정영역(24A)에 압착고정한다.
이 라운드부(192)의 고정 후에 결선, 납땜 등이 행해진다. 이 결선, 납땜시 힘, 열이 가해진다. 통상의 접착제만의 위치결정고정에서는 라운드부(192)의 위치어긋남이 생길 위험성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영역(24A)상의 위치결정핀(191)에 의해 라운드부(192)가 고정되므로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쌍의 위치결정핀(191A),(191B)과 구멍(193A),(193B)와의 계합에 의해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라운드부(192)의 고정영역(24A)에 대한 위치가 결정되고, 또한 동시에 감압형 접착제(200)에 의해 고착된다. 따라서, 위치결정을 위한 지그가 불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고정을 위한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접착제로 고정되므로,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이 장기에 걸쳐서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고, 또 외력, 열이 가해져도 어긋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구멍(193)은 위치결정핀(191)과 동수로 하고 있으나, 필요에 다라 위치결정핀(191)의 수보다 많이 배설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위치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제74도의 실시예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에 위치결정핀(191A),(191B)에 계합하는 절결부(202)[202A, 202B]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절결부(202A) 및 (202B)는 서로 역방향으로 절결되어 있다. 절결부(202)의 수는 위치결정핀(191)과 동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고정에 있어서는, 이 절결부(202A),(202B)를 위치결정핀(191A) 및 (191B)에 계합하여 고착한다.
제75도의 실시예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에 위치결정핀(191A)과 (191B)에 계합하는 절결부(203A)와 장공(203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 절결부와 장공의 총수는 위치결정핀(191)과 동수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고정에 있어서는, 절결부(203A)를 위치결정핀(191A)에 계합하고, 장공(203B)을 위치결정핀(191B)에 계합하여 고착한다.
제76도의 실시예는 고정체(24)측의 고정영역(24A)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의 코너부 예를 들면 3개소의 코너부를 에워싸는 계합부(204)를 돌출형성하여 구성한다. 고정에 있어서는, 이 돌출한 계합부(204)에 라운드부(192)의 코너부를 계합하여 고착한다.
제77도의 실시예는 고정체(24)측의 고정영역(24A)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의 주위를 에워싸는 계합부(205)를 돌출형성하여 구성한다. 고정에 있어서는, 계합부(205)에 라운드부(192)의 전체를 감합하여 고착한다.
이 제76도 및 제77도의 실시예는 라운드부(192)측에 구멍, 절결등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유효하다.
제78도의 실시예는 고정체(24)측의 고정영역(24A)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의 형상이 감합하는 감합요부(206)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고정에 있어서는, 라운드부(192)를 감합요부(206)에 감합하여 고착한다.
전술한 제74도∼제7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위치결정지그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위치결정과 동시에 접착고정되므로 고정하기 위한 공수(工數)가 저감된다. 또 외력, 열 등에 의한 위치어긋남도 방지되고, 장기에 걸쳐서 위치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밖에 도시하지 않으나, 고정영역(24A) 및 라운드부(192)의 쌍방에 철부, 요부를 형성하여, 이들의 감합으로 위치결정하여, 고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2개의 위치결정핀(191) 및 이에 계합하는 복수의 구멍, 절결을 형성하였으나, 횡단면을 비원형으로 한 하나의 위치결정돌기로 위치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79도에서는 고정영역(24A)측에 반원형의 돌기(208)를 형성하고, 플렉시블배선케이블(81)의 라운드부(192)에 이에 감합하는 반원공(209)을 형성한 경우이다.
제80도는 고정영역(24A)측에 장원형의 돌기(210)를 형성하고, 라운드부(192)에 이에 감합하는 장공(211)을 형성한 경우이다.
제81도에서는, 고정영역(24A)측에 4각형의 돌기(212)를 형성하고, 라운드부(192)에 이에 감합하는 4각형공(213)을 형성한 경우이다.
제82도에서는, 고정영역(24A)측에 사다리형의 돌기(214)를 형성하고, 라운드부(192)에 이에 감합하는 사다리형의 절결(215)을 형성한 경우이다.
제79도∼제82도에 도시한 각 조합구조에 있어서도 위 예와 마찬가지로 위치결정지그가 불필요하게 되고, 위치결정과 동시에 고착이 가능하게 되고, 위치어긋남이 없이 장기사용에 견딜 수 있다.
그리고, 위 예에서는 초소형 광자기디스크용에 적용하였으나, 그 밖에 통상의 광자기디스크용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자기헤드는 자계변조방식, 광변조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면진동, 기록매체면의 형상변화에 충분히 추종하고, 외부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경량화를 가능하게하는 동시에, 헤드의 도상치수를 작게 하고, 기기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 자기헤드의 자세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헤드소자의 단자와 플렉시블배선케이블과의 접속을 양호하게 한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이 종류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플라스틱재료를 슬라이드부에 사용함으로써, 서보기구가 불필요한 접촉슬라이드방식의 광자기기록의 실용화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저가격으로 이 종류의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자기헤드에 배설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 판스프링재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헤드본체의 방진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고정체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 또는 요부를 형성함으로써,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위치결정 및 고정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9)
-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진 헤드본체와, 이 헤드본체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와, 이 판스프링재의 일단을 고정한 고정체를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재는 고정측의 제1의 스프링계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와, 이 제2의 스프링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고정측에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를 가지며, 상기 제3의 스프링계에 상기 헤드본체가 지지되고, 상기 고정체에 배치되고,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상기 제2의 스프링계의 선단부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진 헤드본체와, 이 헤드본체를 지지하는 판스프링재와, 이 판스프링재의 일단을 고정한 고정체를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재는 고정측의 제1의 스프링계와, 이로부터 연장되는 제2의 스프링계와, 이 제2의 스프링계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고정측에 연장되는 제3의 스프링계를 가지며, 상기 제3의 스프링계에 상기 헤드본체가 지지되고, 상기 고정체에 배치되고,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상기 제3의 스프링계를 정지시키는 스토퍼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 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체에 배치되어 판스프링재를 소정의 복원력이 남는 위치에서 계지하기 위한 스토퍼부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부를 삽입하여 계지하는 계지부를 상기 판스프링재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3항에 있어서, 계지부가 판스프링재에 형성된 구멍 또는 절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3항에 있어서, 계지부가 스토퍼부를 에워싸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4항에 있어서, 스토퍼부는 T 자형부를 가지며, 구명 또는 절결은 + 자형 또는 T 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3항에 있어서, 계지부는 구멍이며, 이 구멍 내에 스토퍼부 삽입시에 만곡되고, 스토퍼부가 인발되었을 때에 원래로 복귀하여 이 스토퍼부의 인발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토퍼부는 고정체의 기록매체 내주측에 대응한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헤드소자의 일측에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이 슬라이드부는 상기 헤드소자보다 상기 기록매체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또한 슬라이드면의 길이방향이 상기 기록매체의 주행에 따르도록, 상기 헤드소자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진 헤드본체가 판스프링재에 지지되고, 이 헤드본체의 지지위치가 판스프링재의 중심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고, 판스프링재의 헤드본체를 협지하는 양측의 스프링부의 폭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헤드소자의 일측에 기록매체와 접촉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헤드소자의 코일의 단자와 접속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접속부가 2분기형상 또는 장공(長孔)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플라스틱재료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에 있어서의 헤드소자의 코일단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체상의 소정위치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을 가지며, 상기 고정체상에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 또는 요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3항에 있어서,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의 단면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3항에 있어서, 위치결정을 위한 돌기는 복수의 원주형의 위치결정핀이고, 상기 위치결정핀이 들어가는 구멍 또는 절결이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5항에 있어서, 위치결정핀은 2개 배치되고, 이 위치결정핀을 넣기 위한 플렉시블배선케이블의 한쪽의 구멍은 위치결정핀이 끼워지는 환공(丸孔)이며, 다른 쪽의 구멍은 상기 환공의 직경을 폭으로 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본체에 있어서의 헤드소자의 코일단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체상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 상기 판스프링재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헤드본체의 슬라이드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서, 이 헤드본체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부가 고정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의 스프링계와 제2의 스프링계와 사이에 비스프링계부재를 가지며, 헤드소자의 코일단자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고정체상에서 고정되는 플렉시블배선케이블에 상기 비스프링계부재와 대향하여 스토퍼부로 될 연장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3-28,239 | 1992-02-17 | ||
JP92-99,999 | 1992-04-20 | ||
JP9999992 | 1992-04-20 | ||
JP92-28,239 | 1993-02-17 | ||
JP5028239A JP2508955B2 (ja) | 1992-04-20 | 1993-02-17 |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6093A KR940006093A (ko) | 1994-03-23 |
KR100281680B1 true KR100281680B1 (ko) | 2001-03-02 |
Family
ID=5140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06162A KR100281680B1 (ko) | 1992-04-20 | 1993-04-14 |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281680B1 (ko) |
TW (1) | TW246731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8581B1 (ko) * | 1997-06-20 | 2000-10-16 | 구자홍 | 자기 헤드 슬라이더 |
-
1993
- 1993-04-12 TW TW082102734A patent/TW24673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04-14 KR KR1019930006162A patent/KR10028168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06093A (ko) | 1994-03-23 |
TW246731B (ko) | 1995-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508955B2 (ja) |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 | |
US5488603A (en) |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kinetic transducers at respective distances | |
US5367419A (en) | Floating magnetic head slider with flexure wings located within slider L-shaped members and upper surface of slider | |
US7286448B2 (en) | Actuator for use in pickup device in reducing lens distortion | |
US5475661A (en) | Objective lens actuator having frame-shaped leaf springs for minimizing focusing and tracking errors | |
KR0153766B1 (ko) | 광픽업장치 | |
KR100281680B1 (ko) |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 |
KR100298154B1 (ko) | 광자기기록용슬라이드형자기헤드 | |
US6847591B1 (en) | Magnetic head device and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 |
US5600515A (en) | Sliding type magnetic head assembly having a spherical contact surface offset from a magnetic pole | |
JP3503226B2 (ja) |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 | |
US6345031B1 (en) | Object-lens driving device for optical pickup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plate spring members | |
JPH0660585A (ja) |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 | |
JP2989121B2 (ja) | 光ピックアップ | |
JP3630719B2 (ja) | 磁気ヘッド構造体 | |
US5901015A (en) | Magnetic head apparatus having a reduced thickness | |
JPH07210914A (ja) | 光磁気記録用摺動型磁気ヘッド | |
US20050232087A1 (en) | Magnetic head device and magneto-optical disc apparatus | |
EP1465176A1 (en) | Magnetic head device | |
JP2004206881A (ja) | 記録再生装置 | |
JP2004259433A (ja) | 磁気ヘッド装置 | |
JPH08167262A (ja) | 磁気ヘッド装置 | |
JP2003085847A (ja) | 磁気ヘッド装置 | |
JPH09161429A (ja) | 磁気ヘッド装置 | |
JPH01317232A (ja) | 光学系駆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