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581B1 - 자기 헤드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자기 헤드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581B1
KR100268581B1 KR1019970026262A KR19970026262A KR100268581B1 KR 100268581 B1 KR100268581 B1 KR 100268581B1 KR 1019970026262 A KR1019970026262 A KR 1019970026262A KR 19970026262 A KR19970026262 A KR 19970026262A KR 100268581 B1 KR100268581 B1 KR 10026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lider
disk
magnetic head
wea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607A (ko
Inventor
김수경
손희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58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11B21/20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 G11B21/21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while the head is in operative position but stationary or permitting minor movements to follow irregularities in surface of record carrier with provision for maintaining desired spacing of head from record carrier, e.g. fluid-dynamic spacing, sli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127Structure or manufacture of heads, e.g. inductive
    • G11B5/187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 G11B5/255Structure or manufacture of the surface of the head in physical contact with, or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cording medium; Pole pieces; Gap features comprising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면에 헤드가 접촉할 때 과부하를 절감하여 안정된 주행운동을 확보하고 기록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와의 접촉에 의해 디스크와의 접촉면 상에 형성되는 마모혼에 대응하는 예비 마모흔이 형성된 헤드와, 헤드가 디스크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와의 접촉면에 예비 마모흔을 형성하므로서 불안정 주행기간을 생략하여 안정된 주행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와의 접촉면에 예비 마모흔을 형성하므로서 불안정 주행기간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기록 능력을 확보한다.

Description

자기 헤드 슬라이더
본 발명은 광자기 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면에 헤드가 접촉할 때 과부하를 절감하여 안정된 주행운동을 확보하고 기록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 이하 "PC:라 함)의 대용량 보조기억 장치로서 광자기 디스크(Magneto Optical Disk ; 이하 "MOD"라 함)가 주보조기억 장치로 각광을 받으면서 대용량으로 발전하고 있다. MOD는 일반 하드 디스크(Hard Disk)와는 달리 컴팩트 디스크-롬(Compact Disk-ROM ; CD-ROM)과 같이 착탈식으로 되어 있어 휴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MOD의 기록방식은 하드 디스크와 같이 자계변조 기록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향후 더욱 고밀도화 추세에 있다. 현재까지 상용화되고 있는 MOD는 컴팩트 디스크(CD)의 사이즈(size)와 같은 120mm 외경의 디스크에 약 650MB의 정보를 기록/재생할 수 있으며, 향후 6GB 또는 14GB까지 대용량화될 전망이다.
광자기 기록방식에 있어서, 기록시에는 자기헤드를 이용하여 자계변조를 통한 기록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재생시에는 광-자계 변환 특성에 따른 편광각의 변화를 광전소자(예를 들면 레이저 포토다이오드(Laser Photo Diode))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MOD 표면에 도포된 광자기 재료를 큐리(Curie) 온도까지 가열하여 자성을 소실시키는 과정에 뒤이어 자기헤드는 MOD의 정보 기록면를 자화시킨다. 현재까지 상용화되거나 앞으로 출시될 예정인 MOD 드라이버(Driver)에서는 습동형(Sliding Contact type) 또는 부상형(flying type)의 자기헤드 슬라이더(Slider)가 사용된다. 자기헤드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고자할 때에는 습동형과 부상형 모두가 디스크 외부면에 위치한 헤드가 디스크의 임의의 위치에 착륙(Landing)하여 디스크 표면과 접촉되어야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자기헤드가 습동형인 경우, 정보기록의 개시시점에서 자기헤드는 디스크의 표면과 접촉되고(Contact Start) 정보기록 완료시점에서 디스크 표면과의 접촉이 종료(Contact Stop)된다. 또한, 자기헤드가 부상형인 경우에는 정보기록시 자기헤드는 헤드 슬라이더 자체의 관성에 의해 자기헤드가 디스크 표면과 접촉을 순간적으로 하게되는 과도기적 시간(Transient time)을 겪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 표면과 헤드표면에는 디스크의 상대운동에 따른 공기막의 압력(Air file pressure)에 의해 자기 헤드는 디스크 표면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부상한채 기록을 하게 된다. 따라서, 부상형 자기헤드인 경우, 헤드가 자체의 운동에너지에 의해 디스크 표면에 안착하는 순간에 접촉이 시작되며(Contact Start), 헤드와 디스크 표면 사이에 공기막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자기헤드와 디스크 표면사이에 압력이 발생되면서 자기헤드가 헤드 슬라이더의 자체 하중 및 인가 하중을 이겨내는 순간부터 이륙(take off)하여 디스크 표면과의 접촉이 종료된다.
결과적으로, 광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습동형 또는 부상형의 양방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하는 헤드는 기록과정 중 디스크 표면과의 접촉개시/종료(Contact Start Stop ; 이하 "CSS"라 함)과정을 필연적으로 겪게 된다. CSS 과정중에, 헤드표면과 디스크 표면에는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발생하는 이유로 헤드와 디스크 표면에 마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디스크 표면 또는 헤드 표면이 오염이 되거나 심할 경우 기록이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을 하드 디스크의 경우, "헤드 파손(Head crash)"이라고 하며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수명이 다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헤드가 정상적으로 마모되어 수명이 다한 경우도 있지만 CSS 과정 중 불안정한 헤드 접촉이 일어날 경우에 국부적으로 충격(Impact) 또는 과도한 마찰력으로 사용도중 단시간 내에 헤드파손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문제점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서스펜션(Suspension)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서스펜션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자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헤드 슬라이더(3)와, 헤드슬라이더에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 스프링 역할을 하는 하중빔(2)과, 하중빔(2)의 다른 일단에 고정되어 위치한 장착판(1)을 구비한다.
하중빔(2)은 헤드 슬라이더(3)의 상단면에 위치한 탄성굴곡부(4)를 통하여 헤드 슬라이더(3)와 연결된다. 장착판(1)에는 미도시된 액츄에이터(Actuator)가 장착되어 엑츄에이터를 제어하고 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의 기록면에서 반경방향 또는 접선방향의 운동을 하도록 한다. 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헤드 슬라이더에는 하중빔(2)의 탄성 스프링력에 의해 소정의 하중이 인가된다.
도 2는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헤드 슬라이더(3), 하중빔(2), 장착판(1)을 구비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서스펜션 장치와, 장착판(1)에 의해 지지되고 헤드 슬라이더(3)를 구동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10)와, 디스크(7)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8)를 구비한다.
스핀들 모터(8)는 디스크를 상단면에 안착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안착장치(9)를 구비한다. 디스크(7)는 스핀들 모터(8)가 회전함에 따라 소정의 각속도 Ω로 회전한다. 디스크(7)의 정보 기록면에는 자화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헤드 슬라이더(3)는 디스크(7)의 정보 기록면을 주행하면서 신호를 기록한다. 액츄에이터(10)는 미도시된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7)의 반경방향 또는 접선방향으로 주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광자기 디스크 드라이버는 디스크(7)의 하단면에서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여 디스크(7)에 도포된 자화물질을 큐리(curie)온도까지 가열하도록 하는 광픽업장치(11)를 구비한다.
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7)의 정보기록면에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광픽업 장치(11)는 디스크에 도포된 자화물질이 비강자성에서 강자성으로 천이를 발생하는 온도인 큐리(curie) 온도에 이르도록 가열을 한다.
도 3은 헤드 슬라이더와 디스크의 운동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핀들 모터(8)가 회전함에 따라 디스크(7)는 각속도 Ω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헤드 슬라이더(3)는 하중빔(2)의 탄성 스프링력에 의해 X축(반경방향) 및 Y축(접선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여 회전운동하는 디스크(7)의 정보 기록면상에 랜덤 엑세스(Random access)를 한다.
도 4는 운동방향에 기초한 헤드 슬라이더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7)의 회전운동 방향에 대하여, 헤드 슬라이더(3)의 전반부 선단(leading edge ; 3a)은 디스크(7)의 회전운동에 따라 공기가 유입이 된다. 반대로, 헤드 슬라이더(3)의 후반부 선단(trailing edge ; 3b)은 공기가 유출되는 곳이다.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7)의 반경방향으로 랜덤 엑세스 하는 경우, 헤드 슬라이더(3)는 디스크(7) 중심에 대향한 선단(inner edge ; 3c)과 디스크(7)의 외주면에 대향한 선단(outer edge)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기적인 신호를 자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주극(Main pole ; 3f)은 헤드 슬라이더(3)의 후반부 선단(3b)에 위치해 있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의 구조로 인하여 디스크 표면과 접촉되는 헤드 슬라이더의 습동면 상에 발생되는 마모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3)는 디스크(7)의 정보 기록면과 접촉되는 습동면(3e)을 구비한다.
습동면(3e)은 디스크(7)의 회전운동 방향에 따라 접선방향(Y축)에 대향한 면은 R1의 곡률반경을 갖고, 반경방향(X축)에 대향한 면은 R2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습동면(3e)의 곡률반경 설정은 디스크(7)의 정보기록면에 접촉시원할한 미끄러짐이 일어나도록 하려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습동면(3e)에 있어서, 디스크면과 접촉하는 임의의 접촉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 형상의 마모흔(12)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7) 표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헤드 슬라이더(3)가 CSS과정을 거치면서 데이터 기록 횟수에 비례하여 디스크(7)와 접촉하는 습동면(3e)의 최하단면이 마모되어져 발생한다.
도 7은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에서 마모시간에 따른 마모체적의 변화를 도시하는 마모 특성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3)에서 발생하는 마모체적(wear volume)은 마모시간에 따라 차별적인 마모율을 나타낸다.
수평축(t축)은 헤드 슬라이더(3)가 디스크 표면을 주행하면서 마모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수직축(v축)은 시간에 따른 습동면(3e)상의 마모축의 변화를 나타낸다. 헤드 슬라이더(3)의 습동면(3e)이 곡면(R1,R2의 곡률반경)으로 되어 있어서 디스크 표면과의 초기 접촉상태는 점접촉에 가까우나 시간(t축)이 경과함에 따라 면접촉으로 변한다. 헤드 슬라이더(3)에 하중빔(2)에 의한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초기 마모 진입기(SA구간)에서, 접촉면적(마모흔(12))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접촉압이 작용함으로서 마모를 가속시키게 된다. 이 시점에서 일정시간 tA에 이르러 마모되는 접촉면적은 급격히 증가하여 점 "A"에서 마모체적의 크기는 VA에 이른다. 일정시간 tA를 경과하면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접촉압이 떨어지면서 접촉면적의 증가율이 둔화되어 마모체적이 완만하게 증가한다. 마모체적이 완만한 상승세를 보여주는 tA에서 tB까지의 시간구간을 마모의 안정상태(SB)라 한다. 이어서, tB에서 tC까지의 시간구간(SC)은 말기 마모 상태로서 마모가 과도하게 진행되어 마모흔(12)의 내부 또는 마모흔(12) 주변에는 긁힘(scratch)현상 등이 발생하거나 마모량이 소정의 설계치를 넘어 헤드의 수명이 다하게 된다.
도 8은 마모시간에 따른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습동면에 가해지는 접촉압의 변화를 설명하는 접촉압 변화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결부해서 도 8을 설명하면,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접촉압(Contact Pressure)은 마모시간(기록에 따르는 주행시간에 비례)의 경과에 따라 차별적으로 습동면(3e)에 가해진다.
마모 진입기(SA구간)에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와 디스크(7)의 접촉상태가 점접촉에 가까워 초기압력(F0)이 습동면(3e)에 작용한다. 일정시간 tA에 이르러 습동면(3e)은 면접촉이 되어 접촉면적이 급격히 증가하는 단계에서 습동면(3e)에 작용하는 접촉압은 극격히 감소한다. 이 시점에서 tA의 시점에서 습동면(3e)에 가해지는 접촉압은 급격히 감소하여 점 "A"에서 접촉압은 PA에 이른다. 이후 접촉면적이 완만하게 성장되어 접촉면적 증가율이 둔화되면 접촉압은 서서히 둔화되어 안정된 접촉상태(TB)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초기 마모상태(과도상태 ; SA)에서 초기 마모증가율과 접촉압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인하여 헤드 슬라이더의 운동이 불안정하게 수행된다. 이 때, 외부로부터의 외란이나 디스크의 편심등으로 인한진동의 영향이 커질 경우 헤드 슬라이더는 안정된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헤드 슬라이더의 안정된 주행상태(마모의 안정상태 ; SA)에 진입하기 전에는 슬라이더 자체의 진동이 발생하여 일정한 기간에서는 안정된 기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안정 주행기간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주행운동을 확보하도록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안정 주행기간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기록 능력을 확보하도록 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통상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서스펜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통상의 광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3도는 통상의 디스크 운동방향에 대한 헤드 슬라이더의 운동 방향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통상의 디스크 운동방향에 대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5도는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디스크가 접촉되는 습동면에 마모흔이 발생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종래의 헤드슬라이더의 주행시간에 따른 헤드 마모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제8도는 종래의 헤드슬라이더의 주행시간에 따른 접촉압력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습동면의 곡률반경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따른 마모흔의 곡률 반경과 마모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마모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접촉압력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착판 2 : 하중빔
3,14 : 헤드 슬라이더 3a : 전반부 선단
3b : 후반부 선단 3c : 디스크 중심에 대향한 선단
3b : 디스크 외주면에 대향한 선단 3e,13 : 습동면
3f : 주극 4 : 탄성 굴곡부
7 : 디스크 8 : 스핀들 모터
9 : 안착장치 10 : 액츄에이터
11 : 광픽업 장치 12,13a : 마모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와의 접촉에 의해 디스크와의 접촉면 상에 형성되는 마모흔에 대응하는 예비 마모흔이 형성된 헤드와, 헤드가 디스크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9의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7)의 정보 기록면과 접촉되고 소정의 크기를 갖는 타원 형상의 예비 마모흔(13a)이 형성된 습동면(13)을 구비한다.
습동면(13)은 디스크(7)의 회전운동 방향에 따라 디스크(7)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접선방향(Y축)에 대향한 면은 R3의 곡률반경을 갖고, 반경방향(X축)에 대향한 면은 R4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설정된다. 헤드 슬라이더(14)는 예비 마모흔(13a)이 사용전에 형성됨으로서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의 초기 마모상태(과도상태 ; SA)를 지나 안정상태(SB)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예비 마모흔(13a)의 형성에 앞서 습동면(13)의 접선방향 및 반경방향에 따른 곡률반경의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도 6 및 도 7을 결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곡률반경(R3, R4)은 안정상태(SA)의 진입 시점(tA)에서의 마모된 습동면의 접선방향 및 반경방향의 곡률반경(R1', R2')을 검출하는 것에 따라 결정된다.
종래의 헤드 슬라이더(3)를 정상적으로 주행시킨 후 안정상태의 진입시점(tA)에 이르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슬라이더(14)의 습동면(13)을 이루는 곡률반경 R1', R2'는 디스크의 주행운동 방향에 대하여 접선방향 및 반경방향의 초기곡률반경(R1, R2)으로부터 tA시점에서 최대 마모 높이(△h1, △h2)만큼 마모된 상태의 습동면(3e)이 갖는 곡률반경이다. 도 10(a)는 습동면(3e)의 초기 곡률반경(R1, R2)이 tA시점에서의 선 "1-1"의 접선방향(Y축)과 선 "g-g"의 반경방향(X축)에 따른 곡률반경(R1', R2')을 갖고 표면적 S를 갖는 마모흔(12)을 보여준다. 이 때의 마모흔(12)의 곡률반경(R1', R2')은 예비 마모흔(13a)의 곡률반경(R3, R4)으로 결정된다. 즉, R1'=R3, R4=R2'의 관계가 성립한다. 도 10(b) 및 도 10(c)는 습동면(3e)의 초기 곡률반경(R1, R2)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tA시점에서 마모흔(12)의 곡률반경(R1', R2')의 수직방향의 높이차(△h1, △h2)를 보여준다.
도 11은 마모시험을 통하여 초기 곡률반경(R1, R2)의 변화 특성곡선으로부터 tA시점에서의 마모흔(12)의 곡률반경(R1', R2')의 관계를 나타낸다. 수평축은 마모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곡률반경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예비 마모흔(13a)이 설정된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초기 마모 상태(과도 상태; SA)과정 없이 안정상태(SB)의 진입 개시시점(tA)이 초기 상태가 된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마모특성을 설명하는 마모특성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결부하여 도 12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마모 특성은 마모시간에 따라 초기상태에서 완만한 증가율로 마모체적(V)이 증가 된다.
수평축은 마모시간 t의 경과 상태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마모체적 V의 경과를 나타낸다. 완만한 기울기를 갖는 마모 특성곡선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14)는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3)가 필연적으로 겪는 초기 마모상태(SA)에서 마모율의 급격한 변동없이,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3)의 마모 특성곡선에서 안정상태(SB)의 진입시점 t"A"는 본 발명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14)의 마모 특성곡선에서 초기상태("t=0")와 같다. 초기상태("t=0")에서, 예비 마모흔(13a)이 형성된 습동면(13)은 디스크의 표면과 예비 마모흔(13a)의 표면적에 의해 면접촉하게 된다. 안정상태(SB)의 종료시점 tD에 이르러 점 D에서 헤드 슬라이더(14)의 마모체적의 크기는 VD에 이르러 완만한 증가율을 갖는 마모체적 변화율을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접촉압특성을 설명하는 접촉압특성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12를 결부하여 도 13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예비 마모흔(13a)에 작용하는 접촉압(Contact Pressure)은 마모시간(기록에 따르는 주행시간에 비례)의 경과에 따라 완만한 감소율을 갖는다.
수평축은 마모시간 t의 경과 상태를 나타내고, 수직축은 예비 마모흔(13a)에 가해지는 접촉압 P의 경과를 나타낸다. 초기시점("0")에서 예비 마모흔(13a)에 가해지는 접촉압의 크기는 종래의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접촉압 특성곡선에서 안정상태(SB)의 진입시점 tA에서의 접촉압 PA와 같다. 따라서,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예비 마모흔(13a)에 작용하는 접촉압은 초기시점("0")에서부터 완만한 기울기로 감소되어 안정상태(SB)의 종료시점 tD에 이르러 접촉압의 크기는 PD로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습동면상에 예비 마모흔을 형성하므로서 초기 마모상태(과도상태 ; SA)에서의 급격한 마모체적과 접촉압의 변화가 생략되어 안정된 주행동작과 그에 따른 안정된 기록능력이 확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와의 접촉면에 예비 마모흔을 형성하므로서 불안정 주행기간을 생략하여 안정된 주행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헤드 슬라이더는 디스크와의 접촉면에 예비 마모흔을 형성하므로서 불안정 주행기간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기록 능력을 확보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디스크 표면과의 접촉개시/종료과정에 의해 상기 디스크 표면을 억세스하기 위한 헤드를 가지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에 있어서, 디스크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디스크와의 접촉면 상에 형성되는 마모흔에 대응하는 예비 마모흔이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가 상기 디스크에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헤드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마모흔은 상기 헤드가 주행시간에 따라 접촉압과 마모체적이 안정되게 변하는 시점에서 형성되는 곡률로 결정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최초 주행 개시시점의 초기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표면과 상기 접촉면에 면접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주행시간의 초기상태에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한 변화율로 마모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주행시간의 초기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표면에 의한 상기 접촉면에 가해지는 접촉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한 변화율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
KR1019970026262A 1997-06-20 1997-06-20 자기 헤드 슬라이더 KR10026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262A KR100268581B1 (ko) 1997-06-20 1997-06-20 자기 헤드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262A KR100268581B1 (ko) 1997-06-20 1997-06-20 자기 헤드 슬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607A KR19990002607A (ko) 1999-01-15
KR100268581B1 true KR100268581B1 (ko) 2000-10-16

Family

ID=1951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262A KR100268581B1 (ko) 1997-06-20 1997-06-20 자기 헤드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380A (ko) * 1992-03-04 1993-10-19 오가 노리오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KR940006093A (ko) * 1992-04-20 1994-03-23 오가 노리오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380A (ko) * 1992-03-04 1993-10-19 오가 노리오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KR940006093A (ko) * 1992-04-20 1994-03-23 오가 노리오 광자기기록용 슬라이드형 자기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607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3968B1 (ko) 롤에 무감각한 공기 베어링 슬라이더
JP3139323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及びスライダ
JP4392986B2 (ja) ディスク記憶システム
US8493688B2 (en) Head slider and hard disk drive
US20030137773A1 (en) Slider for disc storage system
KR0175255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자기기록용 헤드
JPH0555953B2 (ko)
JP3175680B2 (ja) 磁気ヘッドスライダ支持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磁気ディスク装置
US6459547B1 (en) Slider with pads and textured landing zone for disc storage system
JP2002083477A (ja) 浮動型ヘッドスライダ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記録/再生装置
JP2001229519A (ja) スライダおよび記録装置
KR100268581B1 (ko) 자기 헤드 슬라이더
JPH0546635B2 (ko)
JPH04503886A (ja) 磁気ヘッド組立体
KR100268584B1 (ko) 이물질 배출 기능을 갖는 자기 헤드 슬라이더
KR19990011921A (ko) 광자기 디스크의 헤드 슬라이더
KR100268583B1 (ko)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진동 억제 장치
JP2001167417A (ja) ヘッドスライダおよ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260533B1 (ko) 자기 헤드 슬라이더의 부상량 조절 장치
KR200238176Y1 (ko)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헤드파킹장치
KR19990038375A (ko) 헤드 슬라이더 서스펜션장치
US20030214756A1 (en) Flying head slider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apparatus
KR100268582B1 (ko) 회전 방지를 위한 자기 헤드 슬라이더 및 그 제조 방법
JP2975439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1351215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スライ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