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745B1 - 트랜스포머의 코어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의 코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745B1
KR100280745B1 KR1019980030168A KR19980030168A KR100280745B1 KR 100280745 B1 KR100280745 B1 KR 100280745B1 KR 1019980030168 A KR1019980030168 A KR 1019980030168A KR 19980030168 A KR19980030168 A KR 19980030168A KR 100280745 B1 KR100280745 B1 KR 10028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transformer
core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619A (ko
Inventor
조영원
이성호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0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7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45Magnetic cores made from sheets, e.g. grain-orie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5Magnetic cores made from strips or ribb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전자기적 특성 및 방열성이 향상된 트랜스포머의 코어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코어는 T 부재와 한 쌍의 L 부재를 가진다. T 부재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입력측 코일 및 출력측 코일이 감긴 보빈이 삽입되는 삽입축을 가진다. 그리고, L 부재는 그 일측은 상기 T 부재의 베이스에, 그 타측은 T 부재의 삽입축 상단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L 부재는 그의 내측면이 보빈에 감긴 코일과 밀착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의 코어
본 발명은 전자 렌지와 같은 전기 기구에서 입력 전압을 소정의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적 특성 및 방열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형상을 가지는 트랜스포머의 코어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포머(transformer)는 하나의 회로에서 교류 전력을 받아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다른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0)라고 불리우는 철심에 입력측 코일(22)과 출력측 코일(24)이 감겨져 있다. 이에 따라 입력측 코일(22)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 유도 작용에 의해 출력측 코일(24)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때 입력측과 출력측의 전류 및 전압은 N1/N2=V1/V2=I2/I1의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N과 V, 및 I는 각각 코일의 권수와 전압 및 전류를 나타내며, 첨자 1과 2는 각각 입력측과 출력측을 나타낸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이 감겨져 있는 코어(10)는 각각 E와 I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부재(12, 18)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재(12, 18)는 다수의 얇은 철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져 있다(도 1 참조).
이 E형 부재(12)의 삽입축(14)에 입력측 코일(22)이 감긴 보빈과 출력측 코일(24)이 감긴 보빈을 끼운 다음, I형 부재(18)를 E형 부재(12)에 대하여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트랜스포머가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I형 부재(18)를 E형 부재(12)에 대하여 고정할 때, E형 부재(12)의 삽입축(14) 끝단과 I형 부재(18) 사이는 용접 작업이 불가능하여 그 사이가 접촉만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전자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E형 부재12의 삽입축(14)에 보빈을 삽입할 때 E형 부재(12)의 창틀부(16)와의 간섭을 피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E형 부재(12)의 삽입축(14)과 한 쌍의 창틀부(16) 사이(통상 창(window)이라 부른다.)의 폭은 코일이 감긴 보빈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코일과 E형 부재112의 창틀부(16)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므로, 트랜스포머의 방열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삽입축의 다른 부분에 접촉되는 부분이 모두 용접이 가능하도록 코어의 형상을 개선하여 트랜스포머의 전자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빈이 끼워지는 삽입축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들뜨지 않게 고정할 수 있도록 코어의 형상을 변경하여 트랜스포머의 전자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빈이 끼워진 상태에서 보빈에 감긴 코일과 코어의 창틀부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트랜스포머의 방열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코어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코어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T 부재 52 ; 베이스부
54 ; 삽입축 58 ; 창
60 ; L 부재 62 ; 창틀부
64 ; 고정부 72 ; 입력측 코일
74 ; 출력측 코일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코어는 T 부재와 L 부재를 포함한다. T 부재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입력측 코일 및 출력측 코일이 감긴 보빈이 삽입되는 삽입축을 가진다. 그리고, L 부재는 그 일측은 상기 T 부재의 베이스에, 그 타측은 T 부재의 삽입축 상단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 부재가 그의 내측면이 상기 보빈에 감긴 코일과 밀착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명세서의 말미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코어는 T(티) 부재(50)와, 한 쌍의 L(엘) 부재(60)를 포함한다.
T 부재(50)는 베이스부(52)와 베이스부(52)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삽입축(5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L 부재(60)는 삽입축(52)과 평행한 창틀부(62)와 창틀부(62)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고정부(64)를 가지고 있다. T 부재(50)와 한 쌍의 L 부재(60) 사이에는 한 쌍의 창(58)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우선 T 부재(50)의 삽입축(54)에 입력측 코일(72)이 감긴 보빈과 출력측 코일(74)이 감긴 보빈을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L 부재(60)의 고정부(64)를 T 부재(50)의 삽입축(54) 상단(이하 도면 기준)에, 또 L 부재(60)의 창틀부(62) 하단을 T 부재(50)의 베이스(52) 양측단에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에 의해 트랜스포머가 완성된다.
여기서, T 부재(50)의 삽입축(54)에 대한 보빈의 삽입 작업이 이루어진 다음 L 부재(60)가 T 부재(50)에 대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보빈의 삽입시 보빈에 감긴 코일(72, 74)이 L 부재(60)의 창틀부(62)와 간섭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창틀부(62)가 코일(72, 74)에 밀착되도록 창(58)의 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틀부(62)와 코일(72, 74)이 밀착되는 경우 코일(72, 74)에서 발생되는 열이 창틀부(62)를 통해 용이하게 방열된다.
또한, 삽입축(54)의 상하측단 모두 L 부재(60)에 대하여 직접 또는 베이스부(52)를 통해 용접 고정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이 불가능한 부분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의 전자기적 특성이 향상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T 부재의 상하 양측단 모두 용접에 의해 L 부재에 고정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의 전자기적 특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빈이 삽입축에 삽입된 다음 창틀부가 조립되기 때문에 창틀부가 보빈에 감긴 코일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의 방열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간 일측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입력측 코일 및 출력측 코일이 감긴 보빈이 삽입되는 삽입축을 가지는 T 부재, 및
    그 일측은 상기 T 부재의 베이스에, 그 타측은 상기 T 부재의 삽입축 상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L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코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 부재는 그의 내측면이 상기 보빈에 감긴 코일과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의 코어.
KR1019980030168A 1998-07-27 1998-07-27 트랜스포머의 코어 KR10028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168A KR100280745B1 (ko) 1998-07-27 1998-07-27 트랜스포머의 코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168A KR100280745B1 (ko) 1998-07-27 1998-07-27 트랜스포머의 코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19A KR20000009619A (ko) 2000-02-15
KR100280745B1 true KR100280745B1 (ko) 2001-03-02

Family

ID=1954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168A KR100280745B1 (ko) 1998-07-27 1998-07-27 트랜스포머의 코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619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948B1 (ko) 초크 코일
EP1106036B1 (en) Magnetron drive step-up transformer and transformer of magnetron drive power supply
US7218199B1 (en) Structure of transformer
US6144282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method of making a high voltage transformer having radiating ribs
JP2010232272A (ja) トランス
WO2012073246A1 (en) Magnetic core, methods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thereof and devices including same
KR100280745B1 (ko) 트랜스포머의 코어
JP2005123299A (ja) 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000009618A (ko) 트랜스포머의 코어
US2815492A (en) Inductive device
JP200917048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0149918B1 (ko) 고압트랜스
US20050270133A1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2421178B1 (ko) 고조파 저감용 리액터
JPH08213261A (ja) チョークコイル
KR101031589B1 (ko) 변압기
US20050270132A1 (en) Modified transformer structure
JP3261658B2 (ja) トランス
KR0134139Y1 (ko) 고압트랜스
KR200363707Y1 (ko) 개량된 트랜스포머 구조체
JPH10144528A (ja) インダ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トランス
KR200301584Y1 (ko) 인버터방식 전자렌지의 트랜스
KR100544705B1 (ko) 전자레인지용 고압 변압기
KR970005573Y1 (ko) 초크 코일용 자심
JPH06181131A (ja) 高周波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