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245B1 - 광도에의존하는주파수또는충격계수를변경함으로서냉음극관을제어하는압전트랜스포머에접속된광제어기 - Google Patents

광도에의존하는주파수또는충격계수를변경함으로서냉음극관을제어하는압전트랜스포머에접속된광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245B1
KR100280245B1 KR1019980004242A KR19980004242A KR100280245B1 KR 100280245 B1 KR100280245 B1 KR 100280245B1 KR 1019980004242 A KR1019980004242 A KR 1019980004242A KR 19980004242 A KR19980004242 A KR 19980004242A KR 100280245 B1 KR100280245 B1 KR 10028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light
control
level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304A (ko
Inventor
에이따로 니시가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71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05B41/24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for a plurality of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Abstract

압전 트랜스포머 (11) 는 광제어기 (12) 의 제어 하에서 냉음극관 (10) 을 구동하고, 냉음극관이 낮은 광도 범위에서 방사되는 경우, 광제어기는 압전 트랜스포머에 공급된 구동 신호 (DR) 의 충격 계수를 변경시켜 냉음극관을 목적 광도로 조절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광도 경사로부터 냉음극관을 보호한다. 냉음극관이 높은 광도 범위내에서 방사된 경우, 광도 제어기는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를 변경시켜 냉음극관을 목적 광도로 조절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주파수 부하 변화로부터 전력부를 보호한다.

Description

광도에 의존하는 주파수 또는 충격 계수를 변경함으로서 냉음극관을 제어하는 압전 트랜스포머에 접속된 광제어기{LIGHT CONTROLLER CONNECTED TO PIEZOELECTRIC TRANSFORMER FOR CONTROLLING COLD CATHODE TUBE BY CHANGING FREQUENCY OR DUTY FACTOR DEPENDING UPON LUMINOUS INTENSITY}
본 발명은 압전 트랜스포머용 광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음극관과 결합된 압전 트랜지스포머용 광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압전 트랜스포머는 냉음극관을 제어하는 인버터로서 제공되고, 압전 트랜스포머에 대한 종래 제어 방법은 두 군으로 나누어진다. 제 1 군의 제어 기술은 압전 트랜스포머에 제공된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승압비를 변화시키고, 따라서 냉음극관을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의 양을 변경시켜 냉음극관의 광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이하 "가변 주파수 광제어 기술" 이라 한다. 한편, 제 2 군의 제어 기술은 구동 신호의 충격 계수 (duty factor) 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이를 이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 기술" 이라 한다.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의 통상적인 예는 일본국 특개평 제 8-14985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에 기재된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위상 비교기는 압전 트랜스포머의 1 차 전극 및 2 차 전극에 접속되고, 위상 비교기는 입력 구동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위상 검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출력 신호와 입력 구동 신호를 비교한다. 위상 검출 신호는 주파수 제어기로 공급되고, 주파수 제어기는 제거될 위상차를 나타내는 주파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주파수 제어 신호는 전압 제어 발진기로 공급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는 주파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출력 발진 신호를 변경시킨다. 출력 발진 신호는 구동 회로로 공급되고, 구동 회로는 위상차를 최소화시키는 방식으로 입력 구동 신호를 변경시킨다. 출력 신호는 냉음극관으로 공급되고, 냉음극관은 광을 방사시킨다.
일본국 특개평 제 8-107678 호 공보에는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및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은 일본국 특개평 제 8-107678 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가변 주파수 제어기 (1) 는 압전 트랜지스포머 (3) 에 의해서 광을 방사하도록 구동되는 냉음극관 (2) 과 결합된다. 압전 트랜지스포머 (3) 는 한쌍의 1 차 전극들 (3a/3b) 을 갖는다.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는 압전 트랜스포머 (3) 의 1 차 전극들 (3a/3b) 에 접속되고, 이에 구동 신호 (DR) 를 공급한다.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구동 신호 (DR) 를 증폭하고, 2 차 전극 (3c) 로부터 냉음극관 (2) 의 고전위측 단자 (2a) 로 승압된 구동 신호 (BDR) 를 공급한다. 냉음극관 (2) 은 광을 발생하고, 부하 전류 (CR) 는 저전위측 단자 (2b) 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저전위측 단자 (2b) 는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에 접속된다.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는 비교기 (1a), 소인 발진기 (1b), 및 구동 회로 (1c) 로 이루어진다. 비교기 (1a) 는 2 개의 입력 노드를 가지며, 그중 하나는 저전위측 단자 (2b) 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기준 전압 (VrefA) 이 공급된다. 비교기 (1a) 는 부하 전류 (CR) 를 대응 전압으로 변환시키고, 기준 전압 (VrefA) 과 비교한다. 전압이 기준 전압 (VrefA) 으로부터 벗어난 경우, 비교기 (1a) 는 소인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소인 발진기 (1b) 로 공급한다. 비교기 (1a) 는 상기 전압과 기준 전압 (VrefA) 사이의 차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소인 방향을 결정한다.
소인 발진기 (1b) 는 제어 신호 (CTR1) 에 응답하여, 소인 방향으로 발진 신호 (OSC1) 의 주파수를 가변한다. 발진 신호 (OSC1) 는 구동 회로 (1c) 로 공급되고, 구동 회로 (1c) 는 발진 신호 (OSC1) 를 구동신호 (DR) 로 적절한 형태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종래 광제어기 (1), 압전 트랜스포머 (3) 및 냉음극관 (2) 은 제어 루푸를 형성한다.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공진 주파수에서 승압비가 최대가 되며,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는 제어 루프를 통해 부하 전류 (CR1) 를 일정하게 한다.
기준 전압 (VrefA) 이 변경되는 경우, 소인 발진기 (1b) 는 발진기 신호 (OSC1) 의 주파수를 변경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 회로 (1c) 는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를 변경하게 된다. 압전 트랜스포머 (3) 의 발진 조건이 변경되어, 부하 전류 (CR1) 가 가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는 냉음극관의 광도를 가변시킨다.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에 개시된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가 도 2 에 도시된다.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는 비교기 (4a), 소인 발진기 (4b), 충격 계수 제어기 (4c) 및 구동 회로 (4d) 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는 압전 트랜지스포머 (3) 에 의해서 구동되는 냉음극관 (2) 과 결합된다. 비교기 (4a) 는 비교기 (1a) 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충격 계수 제어기 (4c) 는 인에이블 신호 (EBL1) 의 충격 계수를 나타내는 제어 전압 (DTYA) 에 응답하여, 활성 레벨과 비활성 레벨 사이에서 인에이블 신호 (EBL1) 를 절환시킨다. 인에이블 신호의 주파수는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의 1/100 미만이다. 충격 계수 제어기 (4c) 는 인에이블 신호를 소인 발진기 ( 4b) 로 공급한다.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 (EBL1) 는 소인 발진기 (4b) 로 하여금 발진 신호 (OSC1) 의 주파수를 소인 방향으로 가변시키게한다. 그러나, 충격 계수 제어기 (4c) 가 인에이블 신호 (EBL1) 을 비활성 레벨로 변경시키는 경우, 소인 발진기 (4b) 는 소인 동작을 정지하여, 발진 신호 (OSC1) 의 주파수를 유지시킨다.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 (EBL1) 가 구동 회로 (4d) 로 공급되는 경우, 구동 회로 (4d) 는 발진 신호 (OSC1) 를 구동 신호 (DR) 로 형성시키고, 구동 신호 (DR) 를 압전 트랜스포머 (3) 의 1 차 전극들 (3a/3b) 로 공급한다. 비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 (EBL1) 는 구동 회로 (4d) 로 하여금 구동 신호 (DR) 를 종료하도록 하여,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승압된 구동 신호 (BDR) 를 냉음극관 (2) 에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충격 계수 제어기 (4c) 는 단위 시간에 대한 활성 시간 주기의 비율, 즉, 제어 전압 (DTYA) 에 의존하는 구동 신호 (DR) 의 충격 계수를 변조시켜, 냉음극관 (2) 의 광도가 가변된다.
냉음극관 (2) 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비되는 백라이트 (back light) 광원으로서 이용되고,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냉음극관 (2) 용 인버터로서 작용한다. 본 적용에서, 광도는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또는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러나,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및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는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에서의 근본적인 제 1 문제는 관전류가 감소되는 경우의 광도의 급변이다. 이 현상은 냉음극관 (2) 의 임피던스와 압전 트랜스포머 (3) 의 임피던스 사이의 불일치로부터 유도된다. 임피던스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 관전류가 바람직하지 않게 발진하여, 유효 관전류가 극도로 감소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도 3 에 도시한 플로트 (plot)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시된 구동 주파수에 의존하는 승압비를 가변시킨다. 냉음극관 (2) 같은 부하가 압전 트랜스포머 (3) 에 결합된 경우, 화살표 (AR1)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임피던스를 증가시켜, 플로트가 변경된다. 한편, 냉음극관 (2) 은 포인트 (B) 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기준 전압 (VrefA) 이 변경되는 경우, 냉음극관 (2) 은 동작 포인트 B 로부터 C 로 변경되고, 냉음극관 (2) 은 부 (negative) 임피던스 특성에 기인하여 불안정해진다. 냉음극관 (2) 의 임피던스는 화살표 (b1)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 B 로부터 C 로 이동되는 동안 증가되고, 증가된 임피던스는 화살표 (a1) (도 3 에 도시함)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를 변경한다.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큰 전위를 냉음극관 (2) 으로 인가하여, 냉음극관 (2) 의 전류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동작 포인트가 화살표 (b2)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고, 냉음극관 (2) 의 임피던스가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플로트는 화살표 (a2) 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스팁 (steep) Q 특성을 가지며, 기계적인 진동이 목표 주파수에 도달할 때까지 장시간을 소비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압전 트랜스포머 (3) 는 화살표 (a1 및 a2)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승압비를 왕복시키고, 따라서, 냉음극관 (2) 은 화살표 (b1 및 b2) 에 따라 전류를 주기적으로 가변시킨다. 도 5a 는 발진 없는 부하 전류 (CR1) 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진이 발생한 경우, 부하 전류 (CR1) 는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가변된다. 결과적으로, 냉음극관 (2) 은 광도가 급격하게 감소된다.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의 근본적인 제 2 문제는 "광도 경사" 이다. 광도 경사는 도 6 에 나타낸 냉음극관 (2) 의 양단부 사이에서 광도차가 생기는 현상이다. 광도 경사는 냉음극관 (2) 의 구조로부터 유도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음극관 (2) 은 고전위측 단부와 저전위측 단부사이로 연장하는 반사기 (2c) 를 가지며,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생 커패시터 (CP1) 가 고전위 단부와 저전위 단부사이의 전류 경로에 결합된다. 기생 커패시터 (CP1) 는 관전류 경사도를 형성하여, 광도 경사가 관의 전류 경로를 따라 발생한다.
한편,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는 구동 부하의 급변이 제 1 문제이다. 구동 회로 (4d) 는 충격 계수 제어기 (4c) 의 제어 하에서, 간헐적으로 구동 신호 (DR) 를 압전 트랜스포머 (3) 로 공급하기 때문에, 전력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 는 부하의 고속 가변에 대한 내구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력부를 설계하는 것은 곤란하다.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의 근본적인 제 2 문제는 음향 잡음이다. 광도를 가변시키는 동안 제어 전압 (DTYA) 이 변경되는 경우, 압전 트랜스포머 (3) 의 구동 주파수가 변조되고, 음향 잡음이 발생한다. 관전류가 커지면 커질 수록 음향 잡음이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도의 급변, 광도 경사 및 전력부와 음향 잡음에 대한 설계작업의 곤란성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광제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종래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압전 트랜스포머의 주파수와 승압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 는 냉음극관의 전압에 대한 전류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
도 5a 는 발진이 없는 부하 전류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5b 는 발진하에서의 부하 전류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냉음극관의 광도 경사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냉음극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 8 은 냉음극관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 은 광제어기에 일체된 광도 조정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 은 제어 전압에 대한 스위칭부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광제어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 은 도 12 에 도시한 광제어기에 일체된 광도 조정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4 는 광도 조정기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도.
도 15a 내지 15b 는 발진 부하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도.
도 16 은 목적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어 전압과 목적 충격 계수를 나타내는 제어 전압 사이의 합성 제어 전압과, 목적 광도를 나타내는 제어 전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음극관 10a : 고전위측 단자
10b : 저전위측 단자 11 : 압전 트랜스포머
11a , 11b : 1 차측 단자 11c : 2 차측 단자
12d : 비교기 12e : 기준 전압원
12f : 광도 조정기 12g : 소인 발진기
12h : 충격 계수 제어기 12i : 구동 회로
12 : 광제어기 15 : 스위치
본 발명가는 가변 주파수 광제어기 (1) 의 문제점 및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기 (4) 의 문제점이 상이한 광도 범위 또는 관전류의 상이한 범위내에서 심각하게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고 상기 문제를 숙고하였다. 냉음극관은 높은 광도로 광을 방사하는 경우, 부하의 변화가 심했고 전력부가 파손되었다. 그러나, 광도 경사는 센 광도에서 무시할 수 있다. 한편, 부하가 자주 가변되더라도, 약한 광도에서 전력부는 부하의 가변에 용이하게 대처했다. 그러나, 광도 경사는 심했다. 또한, 또 다른 문제가 광도 또는 관전류에 따라 가중되었다. 본 발명가는 압전 트랜스포머가 광도에 의존하는 적절한 광제어 기술에 의해서 제어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도에 의존하는 광제어 기술의 변경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는, 광원을 제어하기 위해서 압전 트랜스포머에 접속된 광제어기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어기는 광원의 목적 광도를 나타내는 제 1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령수단, 광원을 목적 광도로 조정하기 위해 가변 주파수 구동 신호를 압전 트랜스포머로 공급하는 제 1 광도 제어 수단, 광원을 목적 광도로 조정하기 위해 가변 충격 계수를 압전 트랜스포머로 공급하는 제 2 광도 제어 수단 및 제 1 광도 제어 수단과 제 2 광도 제어 수단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절환 수단 (change-over) 으로 이루어진다.
광제어기의 형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도 9 를 참조하면, 냉음극관 (10) 은 본 발명을 구현한 광제어기 (12) 의 제어하에서 압전 트랜스포머 (11) 에 의해서 광을 방사하도록 구동된다. 압전 트랜스포머 (11) 는 한쌍의 1 차 전극들 (11a/11b) 및 2 차 전극 (11c) 을 가지며, 전자는 광제어기의 한쌍의 신호 출력 노드 (12a/12b) 에 접속되고, 후자는 냉음극관 (10) 의 고전위측 단자 (10a) 에 접속된다. 냉음극관 (10) 의 저전위측 단자 (10b) 는 광제어기 (12) 의 제어 노드 (12c) 에 접속되고, 부하 전류 (CR2) 는 저전위측 단자 (10b) 를 통해 밖으로 흐른다. 냉음극관 (10) 은 냉음극관 (2) 과 구조가 유사하고, 또한 반사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를 갖는다.
광제어기 (12) 는 구동신호 (DR) 를 한쌍의 신호 출력 노드 (12a/12b) 로부터 1 차 전극들 (11a/11b) 로 공급하고, 압전 트랜스포머 (11) 는 구동 신호 (DR) 를 증폭하여 승압된 구동 신호 (BDR) 를 냉음극관 (10) 으로 공급한다. 관 전류는 냉음극관 (10) 을 통해 흘러, 냉음극관 (10) 으로 하여금 광을 방사하도록 한다. 광제어기 (12) 는 가변 주파수 광제어 기술과 가변 충격 계수 광제어 기술 사이를 절충하여,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의 가변 또는 구동 신호 (DR) 의 충격 계수의 가변을 통해 부하 전류 (CR2) 를 제어한다. 광제어기 (12) 가 주파수의 가변을 통해 광도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 모드는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 라 일컬어진다. 한편, 광제어기 (12) 가 충격 계수의 가변을 통해 광도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 모드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 라 일컬어진다. 광제어기는 조절될 광도에 의존하여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와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사이에서 제어 모드를 절환한다.
광제어기 (12) 는 비교기 (12d), 기준 전압원 (12e), 광도 조정기 (12f), 소인 발진기 (12g),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및 구동 회로 (12i) 로 이루어진다.
비교기 (12d) 는 2 개의 입력 노드를 가지며, 그중 하나는 제어 노드 (12c) 에 접속되고, 다른 하나는 광도 조정기 (12f) 에 접속된다. 광도 조정기 (12f) 는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에서 제어 전압 (VrefB) 을 비교기 (12d) 로 공급한다. 부하 전류 (CR2) 는 대응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제어 전압 (VrefB) 은 목적 부하 전류 또는 목적 주파수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음극관 (10) 의 광도는 제어 전압 (VrefB) 와 함께 증가된다. 비교기 (12d) 는 부하 전류 (CR2) 에 대응하는 전압과 제어 전압 (VrefB) 을 비교하여, 소인 방향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 (CTL2) 를 소인 발진기 (12g) 로 공급한다.
소인 발진기 (12g) 는 발진기 신호 (OSC2) 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 (CTL2) 에 응답하여 소인 방향으로 발진 신호 (OSC2) 의 주파수를 가변시킨다. 부하 전류 (CR2) 에 대응하는 전압이 제어 전압 (VrefB) 과 일치하는 경우, 비교기 (12d) 는 임의의 소인 방향을 소인 발진기 (12g) 로 지령하지 않고, 소인 발진기 (12g) 는 발진 신호 (OSC2) 를 목적 주파수로 고정시킨다. 발진 신호 (OSC2) 는 소인 발진기 (12g) 로부터 구동 회로 (12i) 로 공급된다. 구동 회로 (12i) 는 발진 신호 (OSC2) 를 증폭하여 압전 트랜스포머 (11) 에 적절한 구동 신호 (DR) 형태로 형성시킨다. 제어 전압 (VrefB) 이 변경되는 경우, 소인 발진기 (12g) 는 발진기 신호 (OSC2) 를 새로운 목적 주파수로 변경시키고, 따라서, 구동 회로 (12i) 는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를 변경시킨다. 압전 트랜스포머 (11) 는 승압비를 가변시키고, 이에 따라,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 및 발진 신호 (OSC2) 의 주파수에 의존하는 승압된 구동 신호 (BDR) 의 진폭을 가변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부하 전류 (CR2) 의 양은 구동 신호 (DR) 와 같이 가변되고, 부하 전류 (CR2) 는 목적 부하 전류로 제어된다. 냉음극관 (10) 은 부하 전류 (CR2) 의 양과 함께 광도를 가변시킨다. 따라서, 비교기 (12d), 소인 발진기 (12g) 및 구동 회로 (12i) 의 전체로서 제 1 광도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는 광도 조정기 (12f) 에 접속되고, 광도 조정기 (12f) 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에서 제어 전압 (DTYB) 을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로 공급한다. 제어 전압 (DTYB) 은 구동 신호 (DR) 의 목적 충격 계수를 나타내고, 냉음극관 (10) 의 광도는 제어 전압 (DTYB) 과 함께 증가된다.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는 목적 충격 계수를 성취하는 방식으로 활성 레벨 및 비활성 레벨 사이에서 인에이블 신호 (EBL2) 를 절환시킨다. 인에이블 신호 (EBL2) 의 주파수는 냉음극관 (10) 의 깜박임 (flickering) 을 사람이 감지하지 못할 정도로 낮은 주파수이다. 인에이블 신호 (EBL2) 는 소인 발진기 (12g) 및 구동 회로 (12i) 에 공급된다.
소인 발진기 (12g) 는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 (EBL2) 로 인에이블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소인 방향으로 발진 신호 (OSC2) 의 주파수를 변경시킨다. 인에이블 신호 (EBL2) 가 비활성 레벨로 변경된 경우, 소인 발진기 (12g) 는 발진 신호 (OSC2) 를 임의의 주파수로 고정시킨다. 또한, 구동 회로 (12i) 는 활성 레벨의 인에이블 신호 (EBL2) 로 인에이블되고, 발진 신호를 증폭하여 형성시킨다. 인에이블 신호 (EBL2) 가 비활성화 레벨로 변경되는 경우, 구동 회로 (12i) 는 구동 신호 (DR) 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구동 회로 (12i) 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에서 구동 신호 (DR) 를 압전 트랜스포머 (11) 로 간헐적으로 공급하여, 평균 부하 전류 (CR2) 를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는 평균 부하 전류 (CR2) 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인에이블 신호 (EBL2) 로 광도를 제어한다. 비교기 (12d), 소인 발진기 (12g),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및 구동 회로 (12i) 의 전체로서 제 2 광도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광도 조정기 (12f) 는 목적 광도를 나타내는 제어 전압 (Vcnt) 에 응답하여 제어 전압 (VrefB) 또는 제어 전압 (DTYB) 을 변경시킨다. 다시 말해, 광도 조정기 (12f) 는 제어 전압 (DTYB) 또는 제어 전압 (VrefB) 을 통해 냉음극관 (10) 의 광도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유지한다. 기준 전압원 (12e) 은 광도 조정기 (12f) 에 접속되고,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와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사이의 경계 광도를 나타내는 경계 전압 (Vb) 을 광도 조정기 (12f) 로 공급한다. 경계 전압 (Vb) 은 관전류가 발진하지 않고, 광도 경사가 심하지 않은 최소 광도를 나타낸다. 이하, 최소 강도 이상의 강도는 "가변 주파수 제어 범위" 라 하고, 최소 강도 미만의 광도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범위" 라 한다.
목적 광도가 경계이상인 경우, 광제어기 (12) 는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에서 광도를 제어하고, 광도 조정기 (12f) 는 기준 전압 (VrefB) 을 목적 광도에 대응하는 목적 주파수로 변경시킨다. 한편, 목적 광도가 경계 미만인 경우, 광도 제어기 (12) 는 가변 충격 제어 모드에서 광도를 제어하고, 광도 조정기 (12f) 는 제어 전압 (DTYB) 을 변경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도 조정기 (12f) 는 제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기준 전압원 (12e) 과 협력하고, 광도 조정기 (12f) 및 기준 전압원 (12e) 의 전체로서 절환 수단을 구성한다.
도면의 도 10 을 참조하면, 광도 조정기 (12f) 는 비교기 (12fa), 정전압원 (12fb), 제 1 스위칭부 (12fc) 및 제 2 스위칭부 (12fd) 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음극관 (10) 의 광도는 제어 전압 (VrefB 또는 DTYB) 과 함께 증가되고, 경계 전압 (Vb) 은 관전류의 발진 및 심한 광도 경사가 없는 최소 광도를 나타낸다. 정전압원 (12fb) 은 항상 정전압 (Vcst) 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제어 전압 (Vcnt) 은 지령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스위치 (15) 로부터 공급된다.
제어 전압 (Vcnt) 은 제 1 스위칭부 (12fc) 의 제 1 입력 노드 및 제 2 스위칭부 (12fd) 의 제 1 입력 노드로 공급되고, 정전압원 (12fb) 은 제 1 스위칭부 (12fc) 의 제 2 입력 노드 및 제 2 스위칭부 (12fd) 의 제 2 입력 노드에 접속된다. 제어 전압 (Vcnt) 및 경계 전압 (Vb) 은 비교기 (12fa) 로 공급되고, 비교기 (12fa) 의 출력 노드는 제 1 스위칭부 (12fc) 의 제어 노드 및 제 2 스위칭부 (12fd) 의 제어 노드에 접속된다.
비교기 (12fa) 는 사용자가 가변 주파수 제어 범위 또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범위내로 또는 그 범위로 광도를 변경시키를 원하는 지를 알기 위해, 목적 광도를 나타내는 제어 전압 (Vcnt) 과 최소 광도를 나타내는 경계 전압 (Vb) 을 비교한다.
사용자가 가변 주파수 제어 범위내 또는 그 범위로 광도를 변경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비교기 (12fa) 는 제어 전압 (VrefB) 으로서 제어 전압 (Vcnt) 을 비교기 (12d) 로 전송하도록 제 1 스위칭부 (12fc) 에 지령하고, 제 2 스위칭부 (12fd) 는 제어 전압 (DTYB) 으로서 정전압 (Vcst) 을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로 전송한다. 비교기 (12d) 및 소인 발진기 (12g) 는 발진 신호 (OSC2) 를 제어 전압 (VrefB) 에 의해서 나타나는 새로운 목적 주파수로 변경하고, 냉음극관 (10) 은 목적 광도로 조정된다. 한편,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는 제어 전압 (DTYB) 에 응답하지 않고, 활성 레벨로 인에이블 신호 (EBL2) 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제어기 (12) 는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에서 동작한다.
사용자가 최소 광도하에서 광도를 변경하는 경우, 비교기 (12fa) 는 제어 전압 (DTYB) 으로서 제어 전압 (Vcnt)을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로 전송하도록 제 2 스위칭부 (12fd) 에 지령하고, 제 1 스위칭부 (12fc) 는 제어 전압 (VrefB) 으로서 정전압 (Vcst) 을 비교기 (12d) 로 전송한다. 그후, 광제어기 (12) 는 제어 모드를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로 변경시키고, 충격 계수 제어기 (12h) 는 활성 레벨과 비활성 레벨 사이에서 인에이블 신호 (EBL2) 를 적절하게 절환시켜, 평균 부하 전류를 제어한다. 비교기 (12d) 에는 일정 제어 전압 (Vcst) 이 공급되기 때문에, 제어 전압 (Vcnt) 에 응답하지 않는다.
도 11 은 제 1 스위칭부 (12fc) 의 출력 전압 및 제 2 스위칭부 (12fd) 의 출력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 전압 (Vcnt) 이 경계 전압 (Vb) 을 초과하여 증가되는 동안, 제 1 스위칭부 (12fc) 의 출력 전압은 점선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가변되고, 제 2 스위칭부 (12fd) 의 출력 전압은 실선에 의해서 지지된 바와 같이 가변된다. 출력 전압들은 거꾸로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제어기 (12) 는 최소 광도 또는 냉음극관 (10) 의 저임피던스 영역에 대한 구동 신호 (DR) 의 주파수를 변경시켜 냉음극관 (10) 을 제어하고, 전원부는 계속해서 구동 회로 (12i) 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전원부의 손상이 감소된다. 한편, 광도가 최소 광도 미만인 경우, 광제어기 (12) 는 구동 신호의 충격 계수를 변경시켜 냉음극관 (10) 을 제어하고, 냉음극관 (10) 은 심한 광도 경사 및 관전류의 발진에 기인하는 광도의 갑작스런 변화에 무관하다. 더욱이, 음향 잡음이 발생한 경우에도, 부하 전류가 감소되고, 음향 잡음이 무시된다.
제 2 실시예
도면의 도 12 를 참조하면, 냉음극관 (10) 은 본발명을 구현한 다른 광제어기 (20) 에 의해서 제어된다. 광제어기 (20) 는 광도 조정기 (20a) 를 제외하고는 광제어기 (12) 와 유사하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다른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 없이 광제어기 (12) 의 대응 구성 요소를 지시하는 것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명명되며, 광도 조정기 (20a) 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하 전류 (CR2) 는 비교기 (12d) 뿐만 아니라 광도 조정기 (20a) 에도 공급된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도 조정기 (20a) 는 파형 판별기 (20aa), 스위칭 회로 (20ab),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및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를 포함한다.
파형 판별기 (20aa) 는 파형이 도 5b 에 도시된 발진을 하는지의 여부를 알기 위해 부하 전류 (CR2) 를 감시한다. 부하 전류 (CR2) 가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경우, 파형 판별기 (20aa) 는 검출 신호 (DTC) 를 로우 레벨로 유지한다. 파형 판별기 (20aa) 가 발진을 검출하는 경우, 파형 판별기 (20aa) 는 검출 신호 (DTC) 를 하이 레벨로 변경시킨다. 검출 신호 (DTC) 는 스위칭 회로 (20ab) 로 공급된다.
스위칭 회로 (20ab) 가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와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검출 신호 (DTC) 가 로우 레벨로 머물러 있는 동안, 스위칭 회로 (20ab) 는 제 1 인에이블 신호 (EBL3) 와 제 2 인에이블 신호 (EBL4) 를 각각 활성 하이 레벨과 비활성 로우 레벨로 유지하고, 제 1 인에이블 신호 (EBL3) 및 제 2 인에이블 신호 (EBL4) 는 각각 가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및 제 2 전압 발생기 (20ad) 로 공급된다.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는 제 1 인에이블 신호 (EBL3) 로 인에이블되고, 제어 전압 (Vcnt) 으로부터 제어 전압 (VrefB) 을 생성한다. 한편, 검출 신호 (DTC) 가 하이 레벨로 변경되는 경우, 스위칭 회로 (20ab) 는 제 1 인에이블 신호 (EBL3) 및 제 2 인에이블 신호 (EBL4) 를 각각 비활성 레벨 및 활성 레벨로 변경시키고,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는 제어 전압 (Vcnt) 로부터 제어 전압 (DTYB) 을 생성한다. 제어 전압 (VrefB 및 DTYB) 은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전압 (Vcnt) 과 함께 가변된다. 제어 전압 (Vcnt) 은 0 에서부터 100 퍼센트 까지 연속적으로 가변된다. 0 퍼센트 및 100 퍼센트는 각각 최저 광도 및 최고 광도를 의미한다.
광도 조정기 (20a) 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4 의 플로트 (PL 10)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최고 광도로부터 최저 광도를 향해 사용자가 제어 전압을 감소시키는 동안, 부하 전류 (CR2) 는 발진할 때까지 도 5a 에 도시한 파형을 가지며, 파형 판별기 (20aa) 는 검출 신호 (DTC) 를 로우 (플로트 PL11) 로 유지시킨다. 이 상황에서, 스위칭 회로 (20ab) 는 활성 레벨의 제 3 인에이블 신호 (EBL3) 로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를 활성화시키고, 비활성 레벨 (플로트 PL12) 의 인에이블 신호 (EBL4) 로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를 비활성화시킨다.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는 제어 전압 (VrefB) 을 감소시키기위해 (플로트 PL 13) 제어 전압 (Vcnt) 에 응답하고,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는 제어 전압 (DTYB) 을 일정 (플로트 PL14) 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광제어기 (20) 는 가변 주파수 제어 기술을 통해 발진할때까지 냉음극관 (10) 을 제어한다.
부하 전류 (CR2) 가 도 1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1 에서 발진하기 시작하면, 파형 판별기 (20aa) 는 검출 신호 (DTC) 를 하이 레벨로 변경하고 (플로트 PL11), 스위칭 회로 (20ab) 는 인에블 신호 (EBL3 및 EBL4) 를 반전시킨다. 그후,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는 제어 전압 (VrefB) 을 일정 (플로트 PL13) 하게 유지하고,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는 제어 전압 (DTYB) (플로트 PL14) 을 감소시키기 시작한다. 제어 전압 (Vcnt) 은 t2 에서 최저값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제어 전압 (DTYB) 은 상기 값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광제어기 (20) 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기술을 통해 냉음극관 (10) 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시간 (t2) 으로부터 제어 전압 (Vcnt) 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가정했다 (플로트 PL10) . 부하 전류는 도 15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지며, 파형 판별기 (20aa) 는 검출 신호를 하이로 유지시킨다 (플로트 PL11).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는 구동 회로 (12i) 가 구동 신호 (DR) 의 충격 계수를 증가시키도록 하고, 부하 전류 (CR2) 는 시간 (t3) 에서 도 5a 에 도시된 파형으로 회복된다. 그러면, 파형 판별기 (20aa) 는 검출 신호 (DTC) 를 로우 레벨로 변경시키고, 스위칭 회로 (20ab) 는 인에이블 신호 (EBL3 및 EBL4) 를 다시 반전시킨다. 그후,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가 활성화되어 플로트 (PL13)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제어 전압 (Vcnt) 과 함께 제어 전압 (VrefB) 을 증가시킨다. 한편,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는 플로트 (PL14) 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제어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광제어기 (20) 는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로부터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로 제어 모드를 절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형 판별기 (20aa) 는 발진 파형을 판별하여, 가변 주파수 제어 모드와 가변 충격 계수 제어 모드 사이에서 제어모드를 자동적으로 절환시킨다. 광제어기 (20) 는 제 1 실시예의 모든 이점을 성취한다. 더욱이, 광제어기 (20) 는 냉음극관의 개별 특성에 관계없이 냉음극관 (10) 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광제어기 (12/20) 는 적절한 제어 모드를 통해 냉음극관 (10) 을 제어하고, 혼합 제어 전압 (VrefB/DTYB) 은 도 16 에 도시된 플로트 (PL15) 에 의해서 지시된바와 같이 가변된다. 혼합 제어 전압 (PL15) 에 의해서, 광제어기 (12/20) 는 이하 이점을 성취한다.
첫번 째로, 광제어기 (12/20) 가 가변 충격 계수 제어 기술을 통해 부하 전류 (CR2) 의 바람직하지 않은 발진을 방지하기 때문에, 냉음극관 (10) 은 광도를 급변시키지 않는다.
두번 째로, 광제어기 (12/20) 가 가변 충격 계수 제어 기술을 통해 냉음극관 (10) 의 임피던스를 유지하기 때문에, 냉음극관 (10) 은 광도 경사가 방지된다.
세번 째로, 간헐적인 파워온/파워오프 제어가 없는 가변 주파수 제어 기술을 통해 광제어기 (12/20) 가 중부하 (heavy load) 를 제어하기 때문에, 구동 회로 (12i)를 위한 전원부가 용이하게 설계된다.
네번 째로, 간헐적인 파워온/파워오프 제어가 약한 광도 범위로 한정되기 때문에, 음향 잡음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최종적으로, 제어 모드가 자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광제어기 (12/20) 는 반도체칩상의 집적화에 적절하다.
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고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당해 숙련된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제어기는 광도 범위가 상이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다른 종류의 광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광도의 급변, 광도 경사 및 전력부와 음향 잡음에 대한 설계작업의 곤란성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광제어기를 제공한다.

Claims (9)

  1. 광원 (10) 을 제어하기 위해 압전 트랜스포머 (11) 에 접속된 광제어기 (12,20) 로서,
    상기 광원의 목적 광도를 나타내는 제 1 제어 신호 (Vcnt) 를 생성하는 지령 수단 (15); 및
    상기 광원을 상기 목적 광도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광도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광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광도 제어 수단은,
    상기 광원을 상기 목적 광도로 조절하기 위해 가변 주파수 구동 신호 (DR) 를 상기 압전 트랜스포머로 공급하는 제 1 광도 제어 수단 (12d/12g/12i); 및
    상기 광원을 상기 목적 광도로 조절하기 위해 가변 충격 계수 구동 신호 (DR) 를 상기 압전 트랜스포머로 공급하는 제 2 광도 제어 수단 (12d/12g/12h/
    12i) 을 포함하고,
    상기 광제어기는 상기 제 1 광도 제어 수단 및 제 2 광도 제어 수단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절환 수단 (12e/12f;20a)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 1 광도 범위에서 매우 심각한 제 1 문제 및 상기 광도 범위와 상이한 제 2 광도 범위에서 매우 심각한 제 2 문제를 가지며, 상기 제 1 문제 및 제 2 문제는 각각 상기 제 2 광도 범위 및 상기 제 1 광도 범위에서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으며, 상기 절환 수단이 상기 제 1 광도 범위에서는 상기 제 1 광도 제어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광원을 상기 제 2 문제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제 2 광도 범위에서는 상기 제 2 광도 제어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광원을 상기 제 1 문제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음극관 (10) 이고, 상기 제 1 광도 범위는 상기 제 2 광도 범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 (12e/12f) 은,
    상기 제 1 광도 범위와 상기 제 2 광도 범위 사이의 경계 광도를 나타내는 일정 경계 전압 (Vb) 을 생성하는 기준 전압원 (12e); 및
    상기 제 1 제어 신호 (Vcnt) 로 나타낸 목적 광도와 상기 경계 광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와 함께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제 2 제어 신호 (VrefB) 와 제 3 제어 신호 (DTYB) 를 각각 상기 제 1 광도 제어 수단 및 상기 제 2 광도 제어 수단으로 공급하는 광도 조정기 (12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신호 (VrefB) 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Vcnt) 와 함께 상기 제 3 제어 신호 (DTYB) 가 가변하는 동안 임의의 전위 레벨로 고정되고, 상기 제 3 제어 신호 (DTYB) 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 (Vcnt) 와 함께 상기 제 2 제어 신호 (VrefB) 가 가변되는 동안 임의의 전위 레벨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 조정기 (12f) 는,
    제 1 레벨과 제 2 레벨 사이에서 변경되는 제 4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경계 광도와 상기 목적 광도를 비교하는 비교기 (12fa);
    일정 전위 레벨 (Vcst) 를 생성하는 정전압원 (12fb);
    상기 정전압원 및 상기 지령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레벨의 상기 제 4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변경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레벨의 상기 제 4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일정 전위 레벨로 상기 제 2 제어 신호를 유지시키도록 동작하는 제 1 스위칭부 (12fc); 및
    상기 정전압원 및 상기 지령 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레벨의 상기 제 4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제 3 제어 신호를 변경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상기 제 4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일정 전위 레벨로 상기 제 3 제어 신호를 유지시키도록 동작하는 제 2 스위칭부 (12f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음극관 (10) 이고, 상기 제 1 광도 범위는 상기 제 2 광도 범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 (20a) 은,
    상기 광원을 통해 흐르는 부하 전류 (CR2) 가 공급되고, 상기 전류의 파형이 발진하는 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부하 전류를 검사하여, 발진 상태와 비발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제 2 제어 신호 (DTC) 를 생성하는 파형 판별기 (20aa);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 3 제어 신호 (EBL3) 를 활성 레벨과 비활성 레벨 사이에서 절환시키고, 제 4 제어 신호 (EBL4) 를 상기 제 3 제어 신호에 대해 상보적으로 비활성 레벨과 활성 레벨 사이에서 절환시키는 스위칭 회로 (20ab);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제 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와 함께 가변하며, 상기 비활성 레벨의 상기 제 3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일정 전위 레벨로 유지되는 제 5 제어 신호 (VrefB) 를 상기 제 1 광도 제어 수단으로 공급되도록 동작되는 제 1 제어 전압 발생기 (20ac); 및
    상기 활성 레벨의 상기 제 4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제어 신호와 함께 가변하며, 상기 비활성 레벨의 상기 제 4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일정 전위 레벨로 유지되는 제 6 제어 신호 (DTYB) 를 상기 제 2 광도 제어 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동작되는 제 2 제어 전압 발생기 (20a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음극관 (10) 이고, 상기 제 1 광도 범위는 상기 제 2 광도 범위보다 높으며,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제 1 광도 범위에서 상기 제 1 광도 제어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광원을 상기 제 2 문제로부터 보호하고, 상기 제 2 광도 범위내에서 상기 제 2 광도 제어 수단을 활성화시켜 상기 광원을 상기 제 1 문제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제어기.
KR1019980004242A 1997-02-13 1998-02-12 광도에의존하는주파수또는충격계수를변경함으로서냉음극관을제어하는압전트랜스포머에접속된광제어기 KR100280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472997A JP3262014B2 (ja) 1997-02-13 1997-02-13 圧電トランスインバータ装置
JP97-44729 1997-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304A KR19980071304A (ko) 1998-10-26
KR100280245B1 true KR100280245B1 (ko) 2001-02-01

Family

ID=1269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242A KR100280245B1 (ko) 1997-02-13 1998-02-12 광도에의존하는주파수또는충격계수를변경함으로서냉음극관을제어하는압전트랜스포머에접속된광제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8937A (ko)
JP (1) JP3262014B2 (ko)
KR (1) KR100280245B1 (ko)
TW (1) TW391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7364B2 (ja) * 1998-02-13 2010-12-15 ルトロン・エレクトロニクス・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的に減光する安定器
JP3269460B2 (ja) * 1998-07-29 2002-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駆動回路及び駆動方法
JP2000268988A (ja) * 1999-03-18 2000-09-29 Nippon Soken Inc 放電灯駆動装置
US6509671B2 (en) * 2000-06-05 2003-0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iving method and driving circuit for piezoelectric transformer, cold cathode tube emission devic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panel built-in apparatus
JP2002064977A (ja) * 2000-08-21 2002-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トランスの駆動方法及び電源装置
EP1267426A3 (en) * 2001-06-14 2005-06-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ezoelectric transformer
US7701001B2 (en) * 2002-05-03 2010-04-20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Short channel trench power MOSFET with low threshold voltage
US7202592B2 (en) * 2003-05-16 2007-04-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iezoelectric transformer, power supply circuit and lighting unit using the same
US7768806B2 (en) * 2006-12-11 2010-08-03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Mixed-code DC/AC inverter
JP4979016B2 (ja) * 2007-11-20 2012-07-1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駆動回路
JP5263503B2 (ja) * 2008-08-06 2013-08-1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
WO2010125843A1 (ja) * 2009-04-28 2010-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5735758B2 (ja) * 2010-05-25 2015-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圧トランス式高圧電源装置、高圧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82020B2 (en) * 2013-03-15 2017-02-28 Dominion Resources, Inc. Maximizing of energy delivery system compatibility with voltage optimization using AMI-based data control and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1439A (en) * 1993-04-20 1994-12-06 The Genlyte Group Incorporated Electronic ballast with lamp power regulation and brownout accommodation
JP2946388B2 (ja) * 1993-11-30 1999-09-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放電灯の点灯回路
JPH0894996A (ja) * 1994-09-27 1996-04-12 Toshiba Corp 調光信号制御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751842B2 (ja) * 1994-10-05 1998-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JP3271042B2 (ja) * 1994-11-25 2002-04-02 株式会社トーキン 圧電トランスを用いた電圧変換装置
DE69626455T2 (de) * 1995-08-31 2004-0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Umrichter mit einem piezoelektrischen Wandler
CN1069461C (zh) * 1995-12-26 2001-08-08 株式会社东金 倒相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304A (ko) 1998-10-26
US5998937A (en) 1999-12-07
JPH10228993A (ja) 1998-08-25
TW391081B (en) 2000-05-21
JP3262014B2 (ja)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0245B1 (ko) 광도에의존하는주파수또는충격계수를변경함으로서냉음극관을제어하는압전트랜스포머에접속된광제어기
KR100268507B1 (ko) 압전 변압기-인버터 및 그의 제어 회로와 구동 방법
KR100261613B1 (ko) 인버터회로를 이루는 전자부품으로부터 생기는 열을 감소시킬수 있는 압전 변압기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US6075325A (en) I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a plurality of cold cathode tubes in parallel
KR100325187B1 (ko) 압전변압기의구동방법및구동장치
JPH09289416A (ja) 水晶発振回路
JP2001190063A5 (ko)
US690962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tandby power
JP3599570B2 (ja) 放電灯の輝度調整方法及び放電灯点灯装置
KR100320895B1 (ko) 압전 변압기 구동 회로 및 구동 방법
KR0177105B1 (ko) 대 전력 수평 드라이브 회로
JPH05219730A (ja) 電源装置
JP2002100496A (ja) 平面ランプの調光装置
JP3598852B2 (ja) 電子機器用電源装置
KR100256090B1 (ko) 압전 변압기 및 그를 이용한 고전압 발생회로
KR100393545B1 (ko) 인버터 잡음방지회로
JPH0936471A (ja) レーザダイオード駆動回路
JPH08251926A (ja) インバータ回路
US6924708B2 (en) Oscillator circuit having an expanded operating range
KR200239224Y1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KR19990004625A (ko) 압전체 변압기를 사용한 인버터
JP3461647B2 (ja) 圧電トランスの駆動装置
JP2000058288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9219292A (ja) 冷陰極管点灯用インバータ
JPH0818205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