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0063B1 - 커넥터핀관통구멍을갖는전기신호분기어댑터 - Google Patents

커넥터핀관통구멍을갖는전기신호분기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063B1
KR100280063B1 KR1019970068426A KR19970068426A KR100280063B1 KR 100280063 B1 KR100280063 B1 KR 100280063B1 KR 1019970068426 A KR1019970068426 A KR 1019970068426A KR 19970068426 A KR19970068426 A KR 19970068426A KR 100280063 B1 KR100280063 B1 KR 10028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pin
pin
electrical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113A (ko
Inventor
도모히로 이세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8006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복수의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와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 사이에서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신호 분기 어댑터에 있어서, 커넥터 핀을 관통하기 위해 복수의 관통 구멍(31a)을 갖는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가 구비된다.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의 두께는 커넥터 핀의 길이보다 작다.

Description

커넥터 핀 관통 구멍을 갖는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
본 발명은 복수의 커넥터 핀을 갖는 수형 커넥터와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을 갖는 암형 커넥터 사이에서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전자 유닛(회로)사이에서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회로 분석 및 시스템 개발은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는 한 전기 유닛의 수형 커넥터의 커넥터 핀과 다른 암형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 사이에 삽입된다. 종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는 암형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에 대응하는 커넥터 핀, 커넥터의 커넥터 핀에 대응하는 커넥터 터미널 및 모니터 터미널을 포함한다.
전자 유닛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곳의 모니터링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의 커넥터 핀이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커넥터 터미널로 삽입되면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커넥터 핀은 암형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로 삽입된다. 그 결과로서, 2개의 전자 유닛은 전지 신호 분기 어댑터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니터 유닛은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모니터 터미널에 연결된다(일본 실용신안등록 공보 제 62-25489 호, 제 62-169482 호, 제 3-84561 호 및 제 6-88086 호 참조). 이것은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서, 수형 커넥터의 커넥터 핀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터미널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두께는 커넥터의 커넥터 핀의 길이보다 크다. 그러므로, 만약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 사이의 공간이 작다면, 2개의 전자 유닛사이에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를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신호의 모니터링도 불가능하다. 더욱이, 모니터링 상태에서 2개 전자 유닛 사이에 접촉 저항은 정상 동작 상태시 2개 전자 유닛 사이에 접촉 저항의 2배이기 때문에, 2개 전자 유닛 사이에 신호를 정밀하게 모니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접촉 저항을 갖는 소형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커넥터 핀을 갖는 수형 커넥터와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을 갖는 암형 커넥터 사이에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커넥터 핀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가 구비된다. 그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의 두께는 커넥터 핀의 길이보다 작다.
도 1은 2개의 전자 유닛에 삽입되는 종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2개의 전자 유닛 사이에 삽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자 유닛 사이에 조립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형 커넥터 11a : 커넥터 핀
21 : 암형 커넥터 21a : 커넥터 터미널
31 :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 31a : 관통 구멍
32 : 체크 터미널 유닛 33 : 케이블
바람직한 실시예 설명전에, 종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에서, 전자 유닛(100)은 커넥터 터미널(101a)을 갖는 암형 커넥터(101)를 구비하고, 전자 유닛(200)은 케이블(201)을 통해 커넥터 핀(202a)을 갖는 수형 커넥터(202)를 구비한다. 또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는 암형 커넥터(101)의 커넥터 터미널(101a)에 대응하는 커넥터 핀(301), 커넥터(202)의 커넥터 핀(202)에 대응하는 커넥터 터미널(302), 및 모니터 터미널(303)을 갖는다.
정상 동작 상태에서, 전자 유닛(100, 200)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곳에 커넥터(202)의 커넥터 핀(202a)이 커넥터(101)의 커넥터 터미널(101a)속으로 삽입되고, 그리하여 전자 유닛(100)은 전자 유닛(200)에 직접 연결된다.
모니터링 상태에서. 전자 유닛(100, 200)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곳에 수형 커넥터(202)의 커넥터 핀(202a)이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의 커넥터 터미널(302)로 삽입되면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의 커넥터 핀(301)은 암형 커넥터(101)의 커넥터 터미널(101a)로 삽입된다. 그 결과로서, 전자 유닛(100)은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를 통해 전자 유닛(200)에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모니터링 유닛(도시않됨)은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의 모니터링 터미널(303)에 연결된다.
그러나, 도 1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에서 수형 커넥터(202)의 커넥터 핀(202a)을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터미널(302)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의 두께는 커넥터(202)의 커넥터 핀(202a)의 길이보다 커야만 한다. 그러므로, 만약 암형 커넥터(101)와 수형 커넥터(202)사이에 공간이 작다면, 전자 유닛(100, 200) 사이에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00)를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신호의 모니터링도 불가능하다. 더욱이, 커넥터 터미널(101a)과 커넥터 핀(301)의 접촉부분 및 커넥터 터미널(302)과 커넥터 핀(202a)의 접촉부분이 전자 유닛(100, 200) 사이에 연속하여 삽입되기 때문에, 모니터링 상태동안에 전자유닛(100, 200)간에 접촉 저항은 정상 작동 상태동안에 전자 유닛(100, 200)간에 접촉저항의 2배가 되고, 따라서 전자 유닛(100, 200) 사이에 신호를 정밀하게 모니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에서, 전자 유닛(1)은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을 구비한다. 한편, 전자 유닛(2)은 커넥터 핀(11a)에 대응하는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21)을 구비한다.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3)는 관통 구멍(31a)을 갖는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 체크 터미널(32a)을 갖는 체크 터미널 유닛(32) 및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과 체크 터미널 유닛(32)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33)로 구성된다.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두께는 수형 커넥터(11)의 커넥터 핀(11a)의 길이보다 충분히 작다. 또한, 관통 구멍(31a)은 수형 커넥터(11), 즉 암형 커넥터(21)의 커넥터 터미널(21a)의 커넥터 핀(11a)에 대응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유닛(1,2) 사이에 신호의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모니터링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11)의 커넥터 핀(11a)은 암형 커넥터(21)의 커넥터 터미널(21a)과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관통 구멍(31a)속으로 삽입된다. 그 결과, 전자 유닛(1,2) 사이에 신호는 케이블(33)을 통해 체크 터미널 유닛(32)의 체크 터미널(32a)로 분기된다. 그리하여, 체크 터미널(32a)에서 신호는 전자 유닛(1,2)사이에 신호들을 확인하기 위해 모니터링 유닛(도시않됨)에 의해 모니터된다.
도 2에서,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두께는 수형 커넥터(11)의 커넥터 핀(11a)의 길이보다 충분히 작기 때문에, 커넥터 핀(11a)은 암형 커넥터(21)의 커넥터 터미널(21a)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니터링 상태동안 전자 유닛(1,2) 간에 접촉 저항은 정상 동작 상태동안 전자 유닛(1,2)간에 접촉 저항과 동일하다. 그 결과, 전자 유닛(1,2)간에 신호를 정밀하게 모니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전자 유닛(1,2)간에 공간이 작다면,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는 매우 얇기 때문에, 전자 유닛(1,2)사이에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2의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확대사시도인 도 4에서,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는 복수의 원형 구멍이 관통되는 필름 기판(311)에 의해 구성된다. 커넥터 핀 관통 구멍(31a)을 갖는 핀 수용 터미널(312)은 필름 기판(311)의 각 원형 구멍속에 부착된다. 또한, 복수의 커넥션(313)은 필름 기판(311)상에 형성되고, 이필름 기판(311)상에 형성된 신호 포착 터미널(314)에 연결된다. 또한, 커넥터 핀(11a)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션 터미널(315)은 대응하는 핀 수용 터미널(312)에 부착되고, 납땜 등에 의해 커넥션(313)에 연결된다. 필름 기판(311)은 케이스(316)에 부착되고 커넥터 핀 관통 구멍(31a)을 갖는 커버(317)에 의해 덮인다. 신호 포착 터미널(314)은 케이블(33)의 컨덕터(33a)에 연결된다.
수형 커넥터(11)의 커넥터 핀(11a)이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관통 구멍(31a)속으로 삽입될 때, 커넥터 핀(11a)은 대응하는 커넥션 터미널(315)에 접촉하고, 그 결과 신호는 커넥션(313), 신호 포착 터미널(314) 및 케이블(33)의 컨덕터(32a)를 통해 체크 터미널 유닛(32)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 5에서, 도 2의 체크 터미널 유닛(32)은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의 상부에 직접 부착된다. 이 경우에, 체크 터미널(32a)은 도 4의 대응 신호 포착 터미널(314)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도 2의 케이블(33)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케이블(33)의 컨덕터(33a)의 단선을 염려할 필요가 없고, 그리하여 신뢰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도 5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는 도 2에 도시된 것보다 휴대가 간편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커넥터의 커넥터 핀이 본 발명의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를 통해 암형 커넥터의 커넥터 터미널속으로 직접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 동안에 전자 유닛간의 접촉 저항은 정상 동작 상태동안에 전자 유닛간의 접촉저항과 같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전자 유닛간의 신호를 정밀하게 모니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자 유닛간에 공간이 작다면,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는 매우 얇기 때문에, 전자 유닛간에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Claims (5)

  1. 복수의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와 상기 커넥터 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21) 사이에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커넥터 핀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31a)을 갖는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커넥터 핀의 길이보다 작으며,
    또한, 체크 터미널(32a)을 갖는 체크 터미널 유닛(32)과,
    상기 체크 터미널과 상기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컨덕터(33a)를 갖는 케이블(33)을 더 포함하는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
  2. 복수의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와 상기 커넥터 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21) 사이에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커넥터 핀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31a)을 갖는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커넥터 핀의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는 체크 터미널(32a)을 갖는 체크 터미널 유닛(32)과 합체되는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
  3. 복수의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와 상기 커넥터 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21) 사이에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커넥터 핀을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31a)을 갖는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31)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커넥터 핀의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커넥터 핀 관통 플레이트는 관통 구멍을 갖는 기판(311)과, 상기 관통 구멍들중 하나에 각각 부착된 복수의 커넥션 터미널(312, 315)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션 터미널에 각각 연결된 신호 포착 터미널(314)을 포함하는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
  4. 복수의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와 상기 커넥터 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21) 사이에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복수의 제 1 구멍을 갖는 기판(311)과,
    제 2 구멍(31a)을 갖고 상기 제 1 구멍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커넥션 터미널(312, 315)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핀은 이 커넥터 핀이 제 2구멍에 삽입될때 커넥션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션 터미널중의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커넥션(313)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션중의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신호 포착 터미널(314)과,
    체크 터미널(32a)을 갖는 체크 터미널 유닛(32) 및,
    상기 체크 터미널과 상기 신호 포착 터미널 사이에 연결된 컨덕터(33a)를 갖는 케이블(33)을 더 포함하는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
  5. 복수의 커넥터 핀(11a)을 갖는 수형 커넥터(11)와 상기 커넥터 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커넥터 터미널(21a)을 갖는 암형 커넥터(21) 사이에 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복수의 제 1 구멍을 갖는 기판(311)과,
    제 2 구멍(31a)을 갖고 상기 제 1 구멍중 하나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커넥션 터미널(312, 315)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커넥터 핀은 이 커넥터 핀이 제 2구멍에 삽입될때 커넥션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션 터미널중의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커넥션(313)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커넥션중의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신호 포착 터미널(314)과,
    상기 신호 포착 터미널중의 하나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체크 터미널(32a)을 더 포함하는 전기 신호 분기 어댑터.
KR1019970068426A 1996-12-13 1997-12-13 커넥터핀관통구멍을갖는전기신호분기어댑터 KR100280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3906 1996-12-13
JP33390696A JP3150075B2 (ja) 1996-12-13 1996-12-13 電気信号分岐アダプ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13A KR19980064113A (ko) 1998-10-07
KR100280063B1 true KR100280063B1 (ko) 2001-02-01

Family

ID=1827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426A KR100280063B1 (ko) 1996-12-13 1997-12-13 커넥터핀관통구멍을갖는전기신호분기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50075B2 (ko)
KR (1) KR1002800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72698A (ja) 1998-06-26
JP3150075B2 (ja) 2001-03-26
KR19980064113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362B1 (ko) 세이프티 코넥터
US5076801A (en) Electronic component including insulation displacement interconnect means
EP0680113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ductive leads
KR20050074560A (ko) 네트워크 접속 센싱 어셈블리
US5967833A (en) Circuit connector with multiple contacts and built in strain relief
KR940006314A (ko) 전기적 커넥터 회로 웨이퍼
EP1835295A1 (en) Test connector, ki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a group of wires from other wires of a multi-wire cable
CN101828312A (zh) 用于监测数据端口中的连接状态的触头
CA2488832A1 (en) Multi-socket board for open/short tester
GB2139017A (en) A modular interconnector
EP0643448B1 (en) Coaxial connector for connection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280063B1 (ko) 커넥터핀관통구멍을갖는전기신호분기어댑터
CN102204025A (zh) 印刷电路板用插接连接器
US20050148233A1 (en) Method of confirming connection of a terminal connecting portion
US6932642B2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KR100324007B1 (ko) 모듈 디바이스용 상호 접속장치
US6382984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for solderlessly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H0963667A (ja) 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970001943B1 (ko) 동축도체의 접속장치
US5722535A (en) Coaxial conversion connector
JPS6011499Y2 (ja) コネクタ
JPS6023895Y2 (ja) 接続装置
JP3060454U (ja) コネクタ及びプリント基板
CN114122770A (zh) 一种芯片连接器
KR19980048139A (ko) 반도체 테스터기의 연결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