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801B1 -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 Google Patents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801B1
KR100278801B1 KR1019980044300A KR19980044300A KR100278801B1 KR 100278801 B1 KR100278801 B1 KR 100278801B1 KR 1019980044300 A KR1019980044300 A KR 1019980044300A KR 19980044300 A KR19980044300 A KR 19980044300A KR 100278801 B1 KR100278801 B1 KR 10027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signal
circuit
uni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3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26660A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801B1/en
Publication of KR2000002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6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클럭발생회로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 1,2 동기지연라인들 사이에 접속된 탭들을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다. 즉, 각 구간들은 동일한 지연량을 갖지만, 앞단에 구간들에는 많은 수의 탭들이 구성되며 후단에 구간들에는 적은 수의 탭들이 구성된다. 따라서, 후단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탭들에는 스위칭신호들(Ti)을 제공하기 위한 위상비교기들이 구성되며 이러한 스위칭신호들에 의해 최종 클럭 이후 구간의 스위칭 동작이 차단되어 후단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브지연회로 100를 구비하여 두번째 사이클에서는 앞단의 구간에서 최종 클럭이 제공될 수 있어 이후에 소모되는 전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aps connected between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s into predetermined sections. That is, although each section has the same delay amount, a large number of taps are configured in the sections at the front end and a small number of taps are formed in the sections at the rear end. Therefor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at the rear end can be reduced. Also, each of the taps includes phase comparators for providing the switching signals Ti,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terval after the final clock is blocked by the switching signal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subsequent stage. In addition, since the final clock may be provided in the preceding section in the second cycle with the sub delay circuit 1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reduce the current consumed thereafter.

Description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내부클럭발생회로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 장치의 내부클럭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일반적으로, 동기형(Synchronous Type) 다이나믹 메모리 반도체 장치내에는 내부클럭발생회로가 채용된다. 내부클럭발생회로는 시스템 클럭(CLK)을 입력으로 하여 반도체 내부 회로에 적합한 내부클럭신호(PCLK)를 제공한다. 이러한 내부클럭발생회로내에는 클럭버퍼가 내장되며, 클럭버퍼는 상기 시스템 클럭(CLK)을 내부 회로에 적합한 레벨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반도체 장치내의 내부클럭발생회로로 부터 제공되는 내부클럭(PCLK)에 의해 칩내의 각각의 소자들은 결국, 상기 시스템클럭(CLK)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상기 클럭버퍼는 단순히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클럭(CLK)등과 같은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칩의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내부클럭을 발생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외부클럭(CLK)과 내부클럭(PCLK)간에는 버퍼의 지연현상에 기인한 위상 차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위상 차로 인하여, 클럭들간의 위상차가 발생되면 외부클럭(CLK)의 인가시 칩 내부의 동작은 상기 위상차 만큼 지연된 후에 수행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클럭(CLK)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내부클럭(PCLK), 즉 외부클럭(CLK)에 완전히 동기되어 타임스큐가 발생하지 않는 위상차 "0"의 내부클럭(PCLK)을 생성하기 내부클럭발생회로가 요구된다.Generally,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is employed in a synchronous dynamic memory semiconductor device. The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inputs the system clock CLK to provide an internal clock signal PCLK suitable for the semiconductor internal circuit. A clock buffer is embedded in the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the clock buffer converts the system clock CLK to a level suitable for the internal circuit. Each element in the chip is operated in response to the system clock CLK by the internal clock PCLK provided from the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in the semiconductor device. However, since the clock buffer merely serves to buffer an external clock such as a system clock (CLK)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n internal clock required inside the chip, the external clock (CLK) and the internal clock (PCLK). Phase difference due to the delay of the buffer is necessarily generated. Due to such a phase difference, when a phase difference between clocks is generated, an operation inside the chip is applied after the external clock CLK is delayed by the phase difference. Therefore, the internal clock PCLK having the same phase as the external clock CLK su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internal clock PCLK of phase difference " 0 " in which time skew does not occu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CLK is generated. The following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is requir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지연라인(synchronous delay line; 이하 "SDL"이라 칭함)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내부클럭발생회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주요 신호들의 파형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버퍼회로 2, 메인지연회로 4, 복수개의 단위지연기들 6a…6n·8a…8n, 위상비교기들 10a…10n, 그리고, 스위치들 12a…12n을 포함한다. 메인지연회로 4, 그리고 복수개의 단위지연기들 6a…6n은 상호 직렬접속되어 제 1동기지연라인(SDL1)를 구성하고, 복수개의 단위지연기들 8a…8n은 상호 직렬접속되어 제 2동기지연라인(SDL2)를 구성한다. 이때, 제 2동기지연라인(SDL2)에는 메인지연회로 4가 없이 단위지연기들로만 구성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동작을 제시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퍼회로 2는 외부클럭 예를 들어, 시스템 클럭(CLK)을 버퍼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된 신호 BD를 제공한다. 신호 BD는 메인지연회로 4에 의해 상기 설정된 시간 만큼 반복 지연된 신호 D1을 각각의 단위지연기들 6로 제공한다. 위상검출기들 10은 각각의 단위지연기들 6의 출력노드에 제공되는 신호들(Dn)과 상기 신호 BD를 순차적으로 비교한다. 만일, 도 2에 보인 것 처럼, 신호 BD와 신호 D12의 위상이 일치되었을 경우, 즉, 12번째 탭(tap)에서 위상이 일치되었을 경우 12번째 위상검출기에서는 활성화된 신호 F12를 제공한다. 신호 F12에 의해 12번째 스위치가 턴온된다. 한편, 제 2동기지연라인(SDL2)는 메인지연기 4없이 신호 BD를 단위지연기들 8만으로 지연된 신호들 Dn'을 제공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12번째 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의해 12번째 단위지연기의 출력신호 D12'가 내부클럭(PCLK)으로서 제공된다. 내부클럭(PCLK)은 버퍼회로 2의 출력신호 BD보다 메인지연회로 4의 지연량 만큼 빠른 신호가 된다. 결국, 시스템클럭(CLK)와 내부클럭(PCLK) 사이의 위상차는 "0"가 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한 탭(tap)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단위지연기 6, 위상비교기 10, 스위치 12, 그리고 단위지연기 8의 세로 구성임을 의미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ynchronous delay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D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waveforms of main signals according to FIG. 1. to be. 1, the buffer circuit 2, the main delay circuit 4, the plurality of unit delays 6a. 6n · 8a... 8n, phase comparators 10a... 10n and switches 12a... 12n. Main delay circuit 4 and a plurality of unit delays 6a... 6n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o form a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1, and the plurality of unit delayers 8a... 8n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to form a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2.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2 includes only unit delay units without the main delay circuit 4.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buffer circuit 2 buffers an external clock, for example, the system clock CLK to provide a signal BD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The signal BD provides the signal delays D1 repeatedly delayed by the time set by the main delay circuit 4 to the respective unit delays 6. The phase detectors 10 sequentially compare the signals BD and the signals BD provided to the output nodes of the respective unit delays 6. As shown in Fig. 2, when the phases of the signal BD and the signal D12 are matched, that is, when the phases are matched at the 12th tap, the 12th phase detector provides the activated signal F12. The twelfth switch is turned on by the signal F12.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2 provides the signals Dn 'which are delayed by the unit BDs only with the signal BD without the main delay unit 4. Therefore, the output signal D12 'of the 12th unit delay unit is provided as the internal clock PCLK by the turn-on operation of the 12th switch. The internal clock PCLK is a signal which is faster than the output signal BD of the buffer circuit 2 by the delay amount of the main delay circuit 4. As a resul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 clock CLK and the internal clock PCLK becomes "0".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ap is a vertical configuration of the unit delay unit 6, the phase comparator 10, the switch 12, and the unit delay unit 8 as shown in FIG.

상기한 제 1, 2동기지연라인들(SDL1,SDL2)을 이용하여 시스템클럭(CLK)와 내부클럭(PCLK)의 위상차는 없앨 수 있다. 하지만, SDL에는 복수개의 단위지연기들 6a…6n·8a…8n이 직렬로 접속되며 이들 지연기들은 내부클럭(PCLK)으로 동기되어 출력될때까지 모두 동작하게 된다. 이때, 소모되는 전력의 양은 상당히 크다. 더우기, 저주파수를 위하여, 상기 탭들의 수를 증가시킬 경우 상기 소모되는 전력의 양은 더욱 커지게 된다.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 clock CLK and the internal clock PCLK may be eliminat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s SDL1 and SDL2. However, the SDL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delays 6a... 6n · 8a... 8n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se delays are all operated until they ar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ternal clock (PCLK). At this tim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is quite large. Moreover, for low frequencies, increasing the number of taps results in a greater amount of power consumed.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SDL을 가지는 내부클럭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nal clock generating circuit having an SDL that can minimize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류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의 내부클럭발생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for minimizing current consum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기지연라인(SDL)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내부클럭발생회로를 보인 도면.1 illustrates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따른 주요 신호들의 파형들을 보인 도면.2 shows the waveforms of the main signals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지연라인(SDL)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내부클럭발생회로를 보인 도면.3 illustrates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제 1지연구간부와 제 2지연구간부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들.4 and 5 are views provided to explain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and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

도 6은 상기 도 3의 동기지연라인(SDL)들내에 접속된 각각의 구간부들의 상세 회로들.FIG. 6 shows detailed circuits of respective sections connected in the synchronization delay lines SDL of FIG.

도 7은 도 3의 서브지연회로 100의 상세 회로.7 is a detailed circuit of the sub delay circuit 100 of FIG.

도 8은 도 3에 따른 주요 신호들의 파형들.8 shows waveforms of the main signals according to FIG. 3;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클럭을 수신하여 버퍼지연신호(BD)를 제공하기 위한 버퍼회로와, 상기 버퍼지연신호를 메인 지연시킨 메인지연회로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폭 만큼씩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의 노드들로 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1동기지연라인과, 상기 버퍼지연신호(BD)를 상기 메인 지연 없이 미리 설정된 폭 만큼씩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의 노드들로 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동기지연라인을 포함하는 내부클럭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동기지연라인내의 각각의 신호들(Di)과 상기 버퍼지연신호(BD)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 2동기지연라인내의 특정신호(Di')를 상기 내부클럭으로서 제공하도록 특정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 1제어신호(Fi)와, 다음단의 스위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제어신호(Ti)를 제공하는 위상비교기를 가지는 장치를 향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ffer circuit for receiving an external clock and providing a buffer delay signal BD, and a predetermined width of an output signal of a main delay circuit for delaying the buffer delay signal. A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for outputting the nodes of the respective unit delayers by the unit, and outputs the buffer delay signal BD from the nodes of the unit delayers by a predetermined width without the main delay.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comprising a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for the purpose of; A specific switch for comparing the phases of the respective signals Di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and the buffer delay signal BD to provide a specific signal Di 'in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as the internal clock. The apparatus has a phase comparator for providing a first control signal Fi for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Ti for controlling the next switch ope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클럭발생회로의 일실시예가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 도면들내에는 다양한 소자들의 구성들이 도식적으로 제공된다. 도면들내에서는 다양한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order to help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lements in the drawings are schematically provided.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something to do.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기지연라인(SDL)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내부클럭발생회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퍼회로 2는 외부클럭 예컨대, 시스템 클럭(CLK)를 입력으로 하여 버퍼지연신호(BD)를 제공한다. 버퍼지연신호(BD)는 반도체 장치내의 소자들의 동작 전압으로 이용된다. 버퍼회로 2내에는 복수개의 인버터들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클럭(CLK)를 버퍼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버퍼링된 버퍼지연신호(BD)는 메인지연회로 4로 입력된다. 메인지연회로 4는 상기 버퍼회로 2와 동일한 지연폭을 갖도록 설계된다. 메인지연회로 4의 출력노드는 제 1동기지연라인(SDL1)과 접속되며 버퍼회로 2의 출력노드는 제 2동기지연라인(SDL2)에 접속된다. 각각의 제 1, 2동기지연라인 사이에는 단위지연구간부 1, 제 1지연구간부 3, 복수개의 제 2지연구간부들 5,7,9…이 접속된다. 단위지연구간부 1은 상기 제 1동기지연라인(SDL1)에 접속된 단위지연기 6a, 위상비교기 10a, 스위치 12a, 그리고 상기 제 2동기지연라인(SDL2)에 접속된 단위지연기 8a를 포함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2동기지연라인 사이에 접속된 각각의 단위지연기, 위상비교기, 그리고 스위치의 구성을 "탭(또는 세트)"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단위지연구간부 1은 하나의 탭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제 1지연구간부 3은 복수개의 탭들로 구성된 구간이며, 제 2지연구간부 5, 7, 9…는 상기 제 1지연구간부 3의 탭들의 수 보다 작은 수로서 구성된 구간이다. 도 4는 제 1지연구간부 3이 복수개의 탭들로서 나란히 배열됨을 나타낸다. 각각의 탭은 제 1동기지연라인(SDL1)에 접속된 단위지연기 6, 위상비교기 10, 스위칭 12, 그리고 제 2동기지연라인(SDL2)에 접속된 단위지연기 8로 구성됨을 보인다. 한편, 도 5는 제 2지연구간들 5,7,9를 대표하여 보이고 있으며, 탭들의 수가 상기 제 1지연구간보다 적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탭은 단위지연기 6, 위상비교기 10, 스위칭 12, 그리고 단위지연기 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 1지연구간부 1의 탭들의 수가 제 2지연구간부들의 탭들의 수보다 많지만, 그 지연량은 제 2지연구간부들 5,7,9…이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된다. 즉, 제 2지연구간부들 5,7,9…내의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은 기본적으로 낸드게이트와, 인버터를 가지며, 그 인버터의 수가 상기 제 1지연구간부내의 단위지연기들 보다 많은 수로 설계된다. 도 5에서 빗금친 단위지연기 6, 8내에는 낸드게이트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인버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 1지연구간부 1과 제 2지연구간부들 5,7,9…은 그 구성된 탭들의 수가 다르며, 그 탭들의 수가 다른 만큼의 단위지연기들내의 인버터들의 수가 변화된다. 결국, 제 1지연구간부와 제 2지연구간부들은 동일한 지연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 1지연구간부 1에서는 탭들의 수가 많아 시스템 클럭(CLK)과 이에 동기되는 내부클럭(PCLK)과의 위상차를 거의 없앨 수 있으며, 지연량은 비록 동일하지만 탭들의 수가 적은 제 2지연구간부들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일수 있다. 도 3을 다시 보면, 각각의 지연구간부들 1, 3, 5, 7, 9…은 신호 Di, BD, Ti, Di', 0를 제공한다. 각각의 신호들은 후술되는 내용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버퍼회로 2와 메인지연신호 4 사이에는 서브지연회로 100이 접속된다. 서브지연회로 100은 단위지연기 S/D1들, 스위치 SSW0, SSW1, SSW2, SSW3, SSW4들로 구성된다. 서브지연회로 100은 상기 제 1지연구간부 3 및 제 2지연구간부들 3…과 동일한 지연폭을 가진다. 서브지연회로 100은 신호 Ti에 응답하는 스위칭동작에 의해 상기 버퍼지연신호(BD)를 미리 설정된 폭으로 미리 지연시켜 신호 SD를 메인지연회로 4와 단위지연구간부 1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서브지연회로 100은 두번째 사이클에서 위상비교기들의 출력신호 Ti의 조합들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결정된다. 스위치들 SSW들의 동작에 의해 지연기들 S/D1이 하나, 두개, 세개를 거치거나 또는 안 거치게 된다. 예를들어, 첫번째 사이클에서 스위칭 신호(Ti)가 모두 "하이"가 되면 두번째 사이클에서는 그 스위칭신호가 변화된다. 이때, 각각의 지연구간부들로 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신호(Ti)의 조합에 의해 스위치들(SSW) 중 하나의 스위치가 턴온되어 지연기 S/D1이 동작한다. 이와 같이 서브지연회로 100의 지연기들 S/D1을 경유하면 경유한 지연량 만큼을 지연구간부들에서 경유하지 않고 앞단의 지연구간부에서 최종 클럭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앞단의 지연구간부에서 최종 클럭이 결정되면 그 다음단 부터의 구간에서는 클럭의 천이에 따른 천이를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위칭 신호(Ti)가 모두 "하이" 이거나 모두 "로우"일 경우 서브지연회로 100내의 스위치들 SSW은 동작하지 않는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신호(Ti)가 "로우" 또는 "하이" 일 경우만 상기 서브지연회로 100이 동작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칭 신호(Ti)에 의해 하나의 스위치 SSW가 턴온되고, 특정 스위치 SSW가 턴온되면 그 스위칭 정보를 받은 다음 사이클의 클럭 정보인 스위칭 신호(Ti)를 차단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of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buffer circuit 2 receives the external clock, for example, the system clock CLK, and provides the buffer delay signal BD. The buffer delay signal BD is used as an operating voltage of elements in the semiconductor device. The buffer circuit 2 includes a plurality of inverters and serves to buffer the system clock CLK. The buffered buffer delay signal BD is input to the main delay circuit 4. The main delay circuit 4 is designed to have the same delay width as the buffer circuit 2. The output node of the main delay circuit 4 is connected to the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1, and the output node of the buffer circuit 2 is connected to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2. 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ynchronous delay lines, the unit site research officer 1, the first site research officer 3,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ite research officers 5, 7, 9; Is connected. The unit delay study unit 1 includes a unit delay unit 6a connected to the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1, a phase comparator 10a, a switch 12a, and a unit delay unit 8a connected to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2. .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figuration of each unit delay unit, phase comparator, and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s is defined as a "tap (or se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unit study executive 1 is composed of one tap. Meanwhile,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3 is a sec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tabs, and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 5, 7, 9... Is a section configured as the number less than the number of taps in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3. 4 shows that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3 is arranged side by side as a plurality of tabs. Each tap is composed of a unit delay unit 6 connected to the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1, a phase comparator 10, a switching 12, and a unit delay unit 8 connected to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2. Meanwhile, FIG. 5 is representative of the second paper studies 5, 7, and 9, and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tap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paper studies. Similarly, the tap consists of a unit delay unit 6, a phase comparator 10, a switching 12, and a unit delay unit 8. Thus, although the number of taps of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1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taps of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s, the delay amount is 5, 7, 9... This is designed relatively large. That is,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s 5,7,9... Each of the unit delays in the unit basically has a NAND gate and an inverter, and the number of the inverters is designed to be larger than the number of unit delays in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In the unit delay units 6 and 8 shown in FIG. 5, the NAND gate an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inverters are included. Therefore,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s 1 and the second branch research staffs 5, 7, 9. Is different in the number of configured taps, and the number of inverters in the unit delay units varies by the number of taps. As a result, the first branch and second branch executives have the same delay. Therefore, in the first branch research board 1, the number of taps is large,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ystem clock CLK and the internal clock PCLK synchronized with it can be almost eliminated. I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in the parts. 3, each of the delay sections 1, 3, 5, 7, 9... Provides the signals Di, BD, Ti, Di ', 0. Each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 the other hand, the sub delay circuit 100 is connected between the buffer circuit 2 and the main delay signal 4. The sub delay circuit 100 is composed of unit delay units S / D1s, switches SSW0, SSW1, SSW2, SSW3, and SSW4. The sub-delay circuit 100 includes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3 and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 3. It has the same delay width as The sub delay circuit 100 delays the buffer delay signal BD to a predetermined width by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signal Ti to provide the signal SD to the main delay circuit 4 and the unit delay researcher 1. That is, in the second delay circuit 100, the switching operation is determined by combinations of the output signals Ti of the phase comparators in the second cycle.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SSW causes the delays S / D1 to go through one, two, three or not. For example, when the switching signals Ti all become "high" in the first cycle, the switching signals change in the second cycle. At this time, one of the switches SSW is turned on by the combination of the switching signals Ti provided from the respective delay sections to operate the delay unit S / D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lay units S / D1 of the sub delay circuit 100 pass, the final clock is determined in the preceding delay section instead of passing through the delay sections. In this way, when the final clock is determined in the delay section of the preceding stage, the transition from the next stage is not performed. For example, when the switching signals Ti are all "high" or all "low", the switches SSW in the sub delay circuit 100 do not operate. That is, the sub delay circuit 100 is operated only when at least one switching signal Ti is "low" or "high". Then, one switch SSW is turned on by the switching signal Ti, and when the specific switch SSW is turned on, the switching signal Ti, which is clock information of the next cycle, receives the switching information.

도 6은 상기 도 3의 동기지연라인(SDL)들내에 접속된 제 1지연구간부 1의 상세 회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동기지연라인(SDL1)에 복수개의 단위지연기들 6b, 6c, 6d…이 직렬접속된다. 하단부의 제 2동기지연라인(SDL2)에도 복수개의 단위지연기들 8b, 8c, 8d…이 직렬접속된다.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은 낸드게이트 14와 인버터 16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 2지연구간부들 5, 7, 9…의 단위지연기들내에는 낸드게이트와 복수개의 인버터들로 구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의 출력노드들에는 각각의 지연신호들 Di, Di'이 제공된다. 상기 출력노드들 사이에는 위상비교기들 10b, 10c, 10d,…이 접속된다. 위상비교기들 10b, 10c, 10d,…은 각각 전송게이트 18, 26과, 복수개의 인버터들 20, 22, 24, 28, 30, 34와, 낸드게이트 32, 36으로 구성된다. 위상비교기 10는 상기 단위지연기 6의 출력노드로 부터 제공된 지연신호 Di와 버퍼지연신호 BD(또는 서브지연회로의 출력신호 SD)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이 일치할 경우 낸드게이트 36을 통하여 활성화신호 F를 제공한다. 인에이블된 신호 F는 스위치 12로 제공된다. 스위치 12는 인버터 38과 전송게이트 40으로 구성되어 인에이블된 신호 F에 의해 스위칭 된다. 따라서, 제 2동기지연라인내에 접속된 단위지연기들 12 중 하나의 지연신호 D'가 최종 출력으로 출력된다. 이 최종 출력은 내부클럭 PCLK가 된다. 한편, 위상비교기 10의 인버터 34는 상술한 스위칭 신호(Ti)를 제공한다. 이 스위칭 신호(Ti)는 후단의 단위지연기들 6, 12내에 구성된 낸드게이트들 14에 입력된다. 한편, 스위칭 신호(Ti)는 서브지연회로 100의 입력으로 이용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첫번째 사이클에서 위상비교기 10b에 의해 내부클럭 PCLK으로 최종 출력되면 스위칭신호 T3에 의해 후단의 단위지연기들 6, 8의 동작이 차단된다. 도 6은 미리 설정된 수의 탭들로 구성된 제 1지연구간부 3을 보이고 있으며, 단위지연기들의 구성과 그 탭들의 수만 달리하여 제 2지연구간부들 5, 7, 9…도 유사한 구성 및 작용을 한다.FIG. 6 is a detailed circuit of the first paper research manager 1 connected in the synchronization delay lines SDL of FIG. 3. Referring to FIG. 6, a plurality of unit delayers 6b, 6c, 6d...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SDL1. This is connected in series. The plurality of unit delay units 8b, 8c, 8d. This is connected in series. Each unit delay unit consists of a NAND gate 14 and an inverter 16. Meanwhile,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s 5, 7, 9... The unit delay units of the NAND gate and the plurality of inverters are as described above. On the other hand, the output nodes of the respective unit delays are provided with respective delay signals Di and Di '. Phase comparators 10b, 10c, 10d,... Between the output nodes. Is connected. Phase comparators 10b, 10c, 10d,... Is composed of a transmission gate 18, 26, a plurality of inverters 20, 22, 24, 28, 30, 34, and NAND gates 32, 36, respectively. The phase comparator 10 compare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delay signal Di provided from the output node of the unit delay unit 6 and the buffer delay signal BD (or the output signal SD of the sub delay circuit) and activates the NAND gate 36 when the phases coincide with each other. Provide the signal F. Enabled signal F is provided to switch 12. The switch 12 is composed of an inverter 38 and a transmission gate 40 which is switched by an enabled signal F. Therefore, the delay signal D 'of one of the unit delay units 12 connected in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is output to the final output. This final output is the internal clock PCLK. On the other hand, the inverter 34 of the phase comparator 10 provides the above-described switching signal Ti. The switching signal Ti is input to the NAND gates 14 configured in the unit delay units 6 and 12 of the rear stage. Meanwhile, the switching signal Ti is used as an input of the sub delay circuit 10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final cycle is outputted to the internal clock PCLK by the phase comparator 10b in the first cycle, the operation of the unit delay units 6 and 8 of the subsequent stage is blocked by the switching signal T3. 6 shows the first branch research officer 3 composed of a preset number of tabs, and the second branch research officers 5, 7, 9... Similar configuration and action.

도 7은 도 3의 서브지연회로 100의 상세 회로이다. 도 7을 보면, 위상비교기10들의 출력신호들(Ti; T1, T2, T3, T4, T5)은 각각의 인버터들 및 낸드게이트들 107, 109, 111, 113, 108, 110, 112, 114로 제공되며, 낸드게이트 124로 제공된다. 낸드게이트들 108, 110, 112, 114의 출력신호는 제어부 104로 제공된다. 제어부 104는 전송게이트 TR1, TR2, TR3, TR4와 인버터 117로 구성된다. 제어부 104의 출력은 스위치 103으로 전송된다. 스위치 103은 스위치부 S4, S3, S2, S1과 래치형 인버터들 L1, L2, L3, L4로 구성된다. 한편, 낸드게이트 102의 출력노드에는 각각의 지연기들 SD3, SD2, SD1이 직렬접속된다. 지연기들 SD에는 전원전압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된 저항 및 인버터 R1, R2, I1과, 전원전압과 접지전압단 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C1, C2와, 인버터 I2로 구성된다. 즉, 스위치 103의 동작에 의해 낸드게이트 102를 경유한 버퍼지연신호(BD)가 상기 지연기들 SD3, SD2, SD1로 입력된다.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부위의 전송게이트 TR5, 인버터 121,그리고 엔 채널 모오스 트랜지스터 122와, 낸드게이트 119에 접속된 엔 채널 모오스 트랜지스터 106의 구성으로 상기 스위칭 신호(Ti)가 모두 "하이" 또는 모두 "로우"일때 신호 BD가 상기 지연기들 SD로 거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FIG. 7 is a detailed circuit of the sub delay circuit 100 of FIG. 3. Referring to FIG. 7, the output signals Ti of the phase comparators 10 (Ti; T1, T2, T3, T4, and T5) are respectively inverters and NAND gates 107, 109, 111, 113, 108, 110, 112, and 114. And NANDGATE 124. The output signals of the NAND gates 108, 110, 112, and 114 ar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04. The control unit 104 is composed of the transmission gates TR1, TR2, TR3, TR4 and the inverter 117.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104 is sent to the switch 103. The switch 103 is composed of switch sections S4, S3, S2, S1 and latched inverters L1, L2, L3, L4. On the other hand, the delay nodes SD3, SD2 and SD1 are serially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NAND gate 102. The delays SD include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inverters R1, R2 and I1,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terminal and the inverter I2. That is, the buffer delay signal BD via the NAND gate 102 is input to the delayers SD3, SD2, and SD1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03. As shown in FIG. 7, the switching signal Ti is composed of the transfer gate TR5, the inverter 121, and the N-channel MOS transistor 122 and the N-channel MOS transistor 106 connected to the NAND gate 119. High "or both" low "serves to prevent the signal BD from going through the delays SD.

도 8은 도 3에 따른 주요 신호들의 파형들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도 3에 따른 간략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첫번째 사이클에서 D11이 포함된 구간에서 BD와 일치된 위상이 검출된다. L11∼L14구간의 천이에 따라 스위칭신호 T11∼T14가 천이된다. L11∼L14구간의 천이와 "하이"레벨의 T10에 의해 F11이 천이된다. F11이 "로우"레벨로 활성화됨에 따라 11번째의 스위치 12가 스위칭되어 D11'가 최종 클럭으로서(내부클럭으로서) 출력된다. 이때부터 내부클럭 PCLK와 외부클럭 예컨대, 시스템클럭 CLK간의 위상이 일치됨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T11∼T14의 천이에 따라 F12∼F14는 "하이"레벨을 유지함으로서 후단(11번째 이후)의 스위치들 12와 단위지연기들 6,8의 동작이 차단된다. 두번째 사이클에서는 T6의 "하이"레벨과 T13의 "로우"레벨에 의해 서브지연회로 100내의 지연구간이 설정된다. 버퍼지연신호 BD는 서브지연회로 100내의 지연기들 S/D1을 경유하여 설정된 만큼 지연된 신호 SD가 메인지연회로를 거친 제 1동기지연라인(SDL1)과 제 2동기지연라인(SDL2)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두번째 사이클에서는 11번째의 탭이 포함된 지연구간(3, 5, 7, 9 중 어느한 구간)이 아닌 3번째의 탭이 포함된 구간(제 1지연구간부 3)에서 최종 클럭(내부클럭)이 제공된다. 이때, L3에 의해 T3의 "로우"레벨로 되고, D7'이후 부터는 천이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T3이후의 신호들에 의해 F4이후의 신호들은 모두 "하이"레벨이 되어 F3 후단의 스위치들은 모두 차단된다. F3의 천이에 따라 D3'가 최종 클럭으로서 출력된다.8 are waveforms of the main signals according to FIG. 3. A brief operation according to FIG. 3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First, the phase coinciding with the BD is detected in the section including D11 in the first cycle. The switching signals T11 to T14 are transitioned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of the L11 to L14 sections. The transition between the sections L11 to L14 and T10 at the "high" level causes F11 to transition. As F11 is activated to the "low" level, the eleventh switch 12 is switched to output D11 'as the final clock (as an internal clock). From this time,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phase between the internal clock PCLK and the external clock, for example, the system clock CLK, coincides. 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of T11 to T14, F12 to F14 maintain the " high " level so that the operations of the switches 12 and the unit delay units 6 and 8 at the rear end (after the eleventh) are blocked. In the second cycle, the delay period in the sub delay circuit 100 is set by the "high" level of T6 and the "low" level of T13. The buffer delay signal BD is provided to the first synchronous delay line SDL1 and the second synchronous delay line SDL2 through which the delayed signal SD is set via the delays S / D1 in the sub delay circuit 100 through the main delay circuit. . Therefore, in the second cycle, the final clock (internal zone 3) is included in the 3rd tap section (first paper research section 3), not the delay section including the 11th tap section (any one of 3, 5, 7, and 9). Clock) is provided. At this time, L3 becomes the "low" level of T3, and it can be seen that no transition occurs after D7 '. Then, the signals after F3 are all "high" level by the signals after T3, so that the switches after F3 are all cut off. In response to the transition of F3, D3 'is output as the final clock.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내부클럭발생회로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유사한 구조를 채용하는 다른 형태의 반도체 장치들에도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려된 최적의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has been limited to the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semiconductor devices employing a similar structure known in the art.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s the best method contemplated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below. Shoul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2 동기지연라인들 사이에 접속된 탭들을 미리 설정된 구간으로 구분한다. 즉, 앞단에 구간들에는 많은 수의 탭들이 구성되며 후단에 구간들에는 적은 수의 탭들이 구성된다. 하지만, 각 구간들의 지연량은 동일하다. 따라서, 후단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탭들에는 스위칭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위상비교기들이 구성되며 이러한 스위칭신호들에 의해 최종 클럭 이후 구간의 스위칭 동작이 차단되어 후단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브지연회로 100를 구비하여 두번째 사이클에서는 앞단의 구간에서 최종 클럭이 제공될 수 있어 이후의 소모되는 전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ap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s are divided into preset sections. That is, a large number of taps are configured in the sections at the front end and a small number of taps are formed in the sections at the rear end. However, the delay amount of each section is the same. Therefore,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at the rear end can be reduced. In addition, each of the taps is configured with a phase comparator for providing switching signals, and the switching operations of the interval after the final clock are blocked by the switching signal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current consumed in the subsequent stage. In addition, since the final clock may be provided in the preceding section in the second cycle with the sub delay circuit 10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reduce the current consumed thereafter.

Claims (6)

외부클럭을 수신하여 버퍼지연신호(BD)를 제공하기 위한 버퍼회로와, 상기 버퍼지연신호를 메인 지연시킨 메인지연회로의 출력신호를 미리 설정된 폭 만큼씩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의 노드들로 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1동기지연라인과, 상기 버퍼지연신호(BD)를 상기 메인 지연 없이 미리 설정된 폭 만큼씩 각각의 단위지연기들의 노드들로 부터 출력하기 위한 제 2동기지연라인을 포함하는 내부클럭발생회로에 있어서;A buffer circuit for receiving an external clock and providing a buffer delay signal BD,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ain delay circuit which delayed the buffer delay signal from the nodes of the unit delayers by a predetermined width. An internal clock generation including a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for outputting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for outputting the buffer delay signal BD from the nodes of the respective unit delayers by a predetermined width without the main delay; In a circuit; 상기 제 1동기지연라인내의 각각의 신호들(Di)과 상기 버퍼지연신호(BD)의 위상을 비교하여, 상기 제 2동기지연라인내의 특정신호(Di')를 상기 내부클럭으로서 제공하도록 특정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 1제어신호(Fi)와, 다음단의 스위치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 2제어신호(Ti)를 제공하는 위상비교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A specific switch for comparing the phases of the respective signals Di in the first synchronization delay line and the buffer delay signal BD to provide a specific signal Di 'in the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 as the internal clock. And a phase comparator for providing a first control signal (Fi) for controlling the control signal and a second control signal (Ti) for controlling the next switch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단위지연기들은 낸드게이트와 인버터로 구성되며, 상기 낸드게이트는 전단의 상기 단위지연기들의 출력신호와, 전단의 상기 위상비교기의 제 2제어신호(Ti)를 입력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delays are composed of a NAND gate and an inverter, the NAND gate is the input signal of the unit delays of the previous stage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i) of the phase comparator of the previous stage as an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동기지연라인들내의 상기 단위지연기들, 위상비교기들, 그리고 스위치들을 n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각 구간의 마지막 상기 위상비교기들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delays, the phase comparators, and the switches in the first and second synchronization delay lines are divided into n sections to control the switching operation by us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last phase comparators of each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연회로는 상기 구분된 구간의 지연량에 상당하는 지연량을 가지는 서브지연회로의 출력신호(SD)를 입력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main delay circuit inputs an output signal SD of a sub delay circuit having a delay amount corresponding to a delay amount of the divided s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지연회로는 상기 구분된 구간의 수 보다 하나 적은 n-1개의 단위지연기들, n개의 스위칭들, 상기 스위칭 제어부들, 그리고 복수개의 입출력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sub delay circuit includes n-1 unit delays, n switchings, the switching controllers, an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elements, which are one less than the number of divided section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지연회로는 상기 제 2제어신호(Ti)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신호들이 모두 "하이" 또는 "로우"이면 상기 서브지연회로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 또는 "하이"이면 상기 서브지연회로를 경유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sub delay circuit inputs the second control signals Ti and if the signals are all "high" or "low", the sub delay circuit does not pass through the sub delay circuit, and at least one of the signals is "low" or " High ", the controller has a control for passing through the sub delay circuit.
KR1019980044300A 1998-10-22 1998-10-22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KR1002788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300A KR100278801B1 (en) 1998-10-22 1998-10-22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300A KR100278801B1 (en) 1998-10-22 1998-10-22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660A KR20000026660A (en) 2000-05-15
KR100278801B1 true KR100278801B1 (en) 2001-01-15

Family

ID=1955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300A KR100278801B1 (en) 1998-10-22 1998-10-22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8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37606B (en) * 2023-08-15 2023-12-05 英诺达(成都)电子科技有限公司 Data cach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based on hardware simulation accel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660A (en)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3525A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TW577087B (en) Register controlled DLL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US7501866B2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KR960011709A (en) Semiconductor memory
US6222894B1 (en) Digital delay locked loop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728551B2 (en) Phase synchronization delay circuit
US6262613B1 (en) Pulse duration changer for stably generating output pulse signal from high-frequency input pulse signal and method used therein
US7685455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hich generates internal clock signal for fetching input data synchronously with the internal clock signal without decrease of timing margin
KR100278801B1 (e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to reduce current consumption
US6377100B1 (en) Semiconductor device
JPH11120768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278923B1 (en) Ultra Fast Sequential Column Decoder
KR100308068B1 (en) Pulse generator
KR960004566B1 (en) Address input circuit of sram
KR100283191B1 (en) Internal clock generating circuit in semiconductor device
KR100206725B1 (en) Delayed synchronous circuit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5260907A (en) Repair circuit for integrated circuits
KR100197560B1 (en) Pulse generating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10078195A (en) Circuit for generating output-clocksignal at optimized signal generating time
KR100228528B1 (en) Digital delay synchronous circuit for reduction of power
KR0152421B1 (en) Digital delay synchronizing loop circuit
US5831464A (en) Simplified differential single-shot
KR100289398B1 (en) Address transition detection sum circuit
JP3080038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0279726B1 (e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