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285B1 -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285B1
KR100277285B1 KR1019980038936A KR19980038936A KR100277285B1 KR 100277285 B1 KR100277285 B1 KR 100277285B1 KR 1019980038936 A KR1019980038936 A KR 1019980038936A KR 19980038936 A KR19980038936 A KR 19980038936A KR 100277285 B1 KR100277285 B1 KR 10027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doug
sensor
rot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8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345A (ko
Inventor
도영칠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이형석
삼중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석, 삼중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석
Priority to KR1019980038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2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Abstract

목적 : 리프트의 회전방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입출고되는 차량이 리프트에 안전하게 탑재될 수 있도록 리프트를 정위치시키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성 : 턴테이블을 보유한 리프트(4)가 건물에 고정된 리프트 프레임(2)과 회전축(16)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16)을 중심으로 상기 리프트 프레임(2)의 대향되는 양측으로 다른 동심원상에 감속센서(100a)(200a), 정위치센서(100b)(200b) 및 정지센서(100c)(200c)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센서들과 대응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감속더그(110a)(220a), 정위치더그(110b)(220b) 및 정지더그(110c)(220c)가 상기 리프트(4)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센서와 더그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리프트(4)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콘트롤하는 제어수단(18)으로 구성되어 리프트(4)가 리프트 프레임(2) 상에서 승하강함과 동시에 회전하며 차량의 입출고를 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효과 : 리프트 프레임과 리프트에 각각 설치되는 센서와 더그가 상호 접촉하여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수단에서 감지하여 리프트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 및 정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차량의 입출고시나 로봇의 작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차설비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턴테이블이 내장된 리프트를 이용하여 차량을 입출고시킬 때 리프트의 회전방향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고장을 줄일 수 있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한가구당 한 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하게 되고, 나날이 늘어가는 차량은 도심 곳곳에서 심각한 주차 난을 발생시킨다. 이는 무단주차나 불법주차를 야기시켜 차량의 흐름이나 도시 생활 환경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이런 주차 난을 타개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형태의 주차설비를 갖춘 주차장이나 건물들이 들어서고 있는데, 특히,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를 채용하는 주차설비는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를 수직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회전하여 원하는 주차실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설비이다.
도 3에서는 일반적인 주차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4에서는 주차설비의 일부인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건물에 고정된 리프트 프레임(2)에 회전축으로 연결된 리프트(4)는 턴테이블을 내장하고, 게이트(6)와 브리지(8)를 통해 입고된 차량은 리프트(4)에 탑재되며, 리프트(4)는 도시 생략된 구동장치에 의해 승하강하며 정해진 층으로 이동되어서 차량이 로봇(10)에 의해 트롤리(12)로 인계된다.
이어서, 차량이 얹혀진 트롤리(12)는 빈 주차실로 이동하여 멈추고, 로봇(10)이 브리지(8)를 넘어 차량을 견인하여 주차실(14) 내로 주차시킨다.
이렇게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는 차량의 입고 게이트가 비좁거나 차량 회전이 어려운 건물 구조이거나 또는 입구와 출구의 방향이 동일하거나 90도 다른 경우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서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가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였으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턴테이블의 회전을 위해 설치된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축케이블이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소프트웨어을 이용하여 리프트가 일방향으로 회전한 것을 기억하고, 차량이 입고되거나 출고에 따른 리프트의 다음 동작으로 타방향 회전을 지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에 리프트의 입력방향을 잘못 입력하거나 에러 또는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동축케이블이 꼬이거나 차량의 입고 방향에 따른 리프트의 방향이 잘못 설정되어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차량이 리프트나 트롤리로 탑재될 때 리프트의 정확한 탑재 자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타이머가 채택되고 있다. 즉, 리프트의 회전속도가 일정할 때 회전속도에 따른 회전각도를 리프트의 동작시간으로 산출하여 타이머가 0로 되면 리프트의 회전이 종료하는 것이다.
그러나, 타이머를 채용했을 경우에 리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정밀성이 리프트의 정위치 오차범위내에서 작동되었을 경우에는 별무리가 없으나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모터의 마모에 따른 회전속도의 변동으로 타이머가 0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리프트가 정위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차량이 브리지를 지나 리프트로 진입할 때나 로봇이 작동하여 리프트에서 트롤리로 또는 트롤리에서 리프트로 차량을 인계할 때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리프트의 회전방향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입출고되는 차량이 리프트에 안전하게 탑재될 수 있도록 리프트를 정위치시키는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턴테이블을 보유한 리프트가 건물에 고정된 리프트 프레임과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리프트 프레임의 대향되는 양측으로 다른 동심원상에 감속센서, 정위치센서 및 정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센서들과 대응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감속더그, 정위치더그 및 정지더그가 상기 리프트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센서와 더그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리프트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콘트롤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리프트가 리프트 프레임 상에서 승하강함과 동시에 회전하며 차량의 입출고를 행할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센서 및 더그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리프트의 일 방향 회전각도가 180도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a와 도 b와 도 c는 상기 리프트에서의 차량 출고시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일반적인 주차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리프트 프레임 4 : 리프트
6 : 게이트 8 : 브리지
10 : 로봇 12 : 트롤리
14 : 주차실 16 : 회전축
18 : 제어수단 100, 200 : 센서
110, 220 : 더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호의 일부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리프트가 설치된 주차설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의 지상에는 차량이 입출고 할 수 있는 게이트(6)가 마련되고, 이 게이트(6)와 연계된 리프트 프레임(2)에는 도시 생략된 구동장치에 의해 승하강하는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4)가 설치되며, 이 리프트(4)는 리프트 프레임(2)과 회전축(16)으로 연결되어 승하강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리프트(4)에는 브리지(8)가 연장됨으로써 게이트(6)를 통한 차량의 입고시 안전성을 보장하게 된다.
그리고, 보통 건물의 지하 각 층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트롤리(12)를 사이에 두고 주차실(14)이 배열되고, 상기 트롤리(12)에는 로봇(10)이 장착되어 차량을 주차실(14)로 인계하거나 리프트(4)에서 인계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지는 주차설비에서, 상기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4)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회전축(16)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리프트 프레임(2)의 양측에 2조로 제1센서부(100)와 제2센서부(200)를 설치하는데, 각 센서부(100)(200)에는 회전축(16)에서 먼 쪽에서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감속센서(100a)(200a), 정위치센서(100b)(200b) 및 정지센서(100c)(200c)가 구비되어 대향되는 센서와 한 쌍을 이룬다. 특히 이들은 각각 다른 동심원 상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더그부(110)(220)와 신호 전달에 중복됨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각 센서부(100)(200)는 제어수단(18)과 연결되어 센서와 더그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신호로 리프트(4)의 회전이나 정지 및 정위치를 콘트롤할 수 있다.
상기 더그도 2조를 이루어 턴테이블 내장형 리프트(4)에 설치하되, 리프트 프레임(2) 상에 설치되는 각 센서부(100(200)와 대응되도록 제1더그부(110)와 제2더그부(220)로 나누어 설치하나, 이들 더그부(110)(220)는 상기 센서부(100)(200)와는 다르게 회전축(16)에 대해 대향되지 아니하고 일측에 편중되게 설치한다. 이는 회전되는 리프트(4)의 회전각도를 염두해 둔 것이며, 좀 더 상세한 설명은 작동과정에서 기술하고, 상기 각 더그부(110)(220)에도 상기 센서들과 대응되는 동심원 상에 회전축(16)과 먼 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감속더그(110a)(220a), 정위치더그(110b)(220b) 및 정지더그(110c)(220c)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주차설비는 게이트(6)를 통하여 차량이 입고되어 리프트(4)에 탑재되고, 리프트(4)는 리프트 프레임(2) 상에서 정해진 주차실(14)의 지하 층으로 하강하게 되며, 로봇(10)에 의해 리프트(4)에서 트롤리(12)로 인계된 차량은 트롤리(12)의 이동 후 로봇(10)에 의해 주차실(14)로 견인되어 주차를 마치게 된다.
한편, 주차된 차량을 출고하기 위해 로봇(10)이 차량을 트롤리(12)로 탑재시키고, 트롤리(12)가 이동하여 로봇(10)에 의해 리프트(4)로 차량을 이동시키면, 탑재된 차량의 정면은 게이트(6)와 180도 다른 방향으로 자리를 잡게 되어 리프트(4)가 리프트 프레임(2) 상에서 승강하며 180도 회전해야 하는 것이다.
이 때, 회전 중이던 리프트(4)에 장착된 제1더그부(110)의 제1감속더그(110a)가 리프트 프레임(2)에 부착된 제1센서부(100)의 제1감속센서(100a)와 접촉됨에 따라 제1감속센서(100a)에서 신호를 발생하고, 이 신호는 제어수단(18)으로 입력되어 회전축(16)과 연결되는 모터에 신호를 보내어 속도를 줄임으로써 리프트(4)의 속도를 단속하게 된다.
이어서, 감속된 리프트(4)는 자체내에 장착된 제1정위치더그(110b)와 리프트 프레임(2)에 부착된 제1정위치센서(100b)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신호로 차량이 게이트(6)로 빠져 나갈 수 있는 정위치 자세로 되어진다.
특히, 제1정지센서(100c)와 제1정지더그(110c)는 정위치되어야 할 리프트(4)가 멈추지 않을 경우에 신호를 발생하여 리프트(4)를 멈추게 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차량이 출고한 후 재출고할 경우에는 리프트(4)가 회전없이 정해진 지하층으로 하강하게 되고, 차량은 로봇(10)에 의해 트롤리(12)로부터 리프트(4)로 인계되며, 이 상태는 차량의 정면이 게이트(6)와 180도 다른 방향임으로 리프트(4)가 리프트 프레임(2) 상에서 승강하며 180도 회전해야 하되, 앞서 출고할 때 일방향으로 회전된 바 있는 리프트(4)는 타방향으로 180도 회전한다. 이 때, 타방향으로의 회전순서는 제어수단(18)에 입력되었슴으로 자동으로 실행되어 동축케이블의 꼬임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리프트 프레임(2)에 부착된 센서들(100)(200)은 회전축(16)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배치하고 리프트(4)에 장착된 더그들(110)(220)은 회전축(16)을 중심으로 일측에 장착하여 18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입출고 게이트(6)가 동일한 것에 대응되도록 한다. 이는 입출고 게이트(6)가 180도 미만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그 배치각도에 맞게 더그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수의 센서들(100a)(100b)(100c)(200a)(200b)(200c)은 리프트(4)에, 이와 대응되는 더그들(110a)(110b)(110c)(220a)(220b)(220c)은 리프트 프레임(2)에 부착되어도 무관하며, 아울러 상기 센서와 더그들이 리프트(4)와 리프트 프레임(2)에 혼재되어 부착되어도 된다. 단, 상호 대응되는 센서와 더그가 상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접촉가능한 동심원상에 부착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리프트 프레임과 리프트에 각각 설치되는 센서와 더그가 상호 접촉하여 발생되는 신호를 제어수단에서 감지하여 리프트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 및 정위치 자세를 조절하여 차량의 입출고시나 로봇의 작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턴테이블을 보유한 리프트가 건물에 고정된 리프트 프레임과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기 리프트 프레임 상에서 승하강함과 동시에 회전하며 차량의 입출고를 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6)을 중심으로 다른 동심원상에 다수의 더그(110a)(110b)(110c)(220a)(220b)(220c)가 상기 리프트 프레임(2) 또는 리프트(4)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각 더그에 대응되어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센서(100a)(100b)(100c)(200a)(200b)(200c)가 상기 리프트 프레임(2) 또는 리프트(4)의 어느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4)의 회전속도,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을 콘트롤하는 제어수단(1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감속센서, 정위치센서 및 정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그는 감속더그, 정위치더그 및 정지더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및 더그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리프트의 일 방향 회전각도가 180도 미만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KR1019980038936A 1998-09-21 1998-09-21 주차설비 KR10027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936A KR100277285B1 (ko) 1998-09-21 1998-09-21 주차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8936A KR100277285B1 (ko) 1998-09-21 1998-09-21 주차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45A KR20000020345A (ko) 2000-04-15
KR100277285B1 true KR100277285B1 (ko) 2001-01-15

Family

ID=1955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8936A KR100277285B1 (ko) 1998-09-21 1998-09-21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698B1 (ko) * 2007-03-23 2008-03-07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차량용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345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8267A (en) Elevator system having an improved selector
US4787481A (en) Hydraulic elevator having microprocessor-based, distributed control system
US20080035430A1 (en) Stairlift
CN102343913A (zh) 悬索铁道系统及其运行方法
KR100277285B1 (ko) 주차설비
KR20050079824A (ko)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JPH04266392A (ja) エレベータかごドアロック装置
US11091351B2 (en) Elevator lintel door lock safety devices
CN1034212C (zh) 电梯控制装置
CN112829799B (zh) 一种自动化车辆基地的信号应答器变位系统及其控制方法
GB2201811A (en) Microprocessor controlled elevator door
KR200463847Y1 (ko) 차량 진출입 차단기
CN110617822A (zh) 导航仪、车辆及导航仪的自动调平方法
KR102590093B1 (ko) 회전문의 구동 제어장치
KR102573539B1 (ko) 게이트의 출입통제용 플랩도어 장치
JP3156118B2 (ja) 移動壁の自動方向転換装置
CN211201710U (zh) 一种全高式通道门
GB2523405A (en) Actuated barrier
CN211143920U (zh) 一种回转升降装置及立体车库
KR200350120Y1 (ko)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JP3596946B2 (ja) 立体駐車設備用安全柵
JPS6321789B2 (ko)
CN213650882U (zh) 一种适用于轨道的断开装置
US20220277627A1 (en) Do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JPH02279877A (ja) 立体駐車装置のケージ位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