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158B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158B1
KR100277158B1 KR1019980016072A KR19980016072A KR100277158B1 KR 100277158 B1 KR100277158 B1 KR 100277158B1 KR 1019980016072 A KR1019980016072 A KR 1019980016072A KR 19980016072 A KR19980016072 A KR 19980016072A KR 100277158 B1 KR100277158 B1 KR 100277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width
variable
saddl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716A (ko
Inventor
이면우
윤명환
최병준
김재영
조창규
Original Assignee
이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면우 filed Critical 이면우
Priority to KR101998001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1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8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158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본체에 구비된 안장지지축에 고정결합되는 본체 결합축(10); 상기 본체 결합축(10)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어, 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장지지부(20);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상단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장지지부(20)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좌·우 대칭인 한 쌍으로 분리형성된 가변안장(30); 상기 안장지지부(20)의 하부 내측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가변안장(30)의 미고정 타측에 끼움결합되어 축회전방향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변안장(30)의 상호 이격폭을 가변시키는 폭조절축(40); 및 상기 폭조절축(40)의 양끝단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폭조절축(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중이 안장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포됨으로써 하중집중으로 인한 회음부의 통증 및 운행시 불편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며, 운행자별로, 또한 가족 구성원간 및 개인의 성장에 따라 상이한 좌골조면(IT) 폭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격된 곳을 통한 통풍이 잘 이루어지고, 각 안장별로 상이한 색채를 적용하여 디자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스프링 장착에 의한 높이가변형 안장의 경우에도, 페달운동시 자전거 운행자의 허벅지와 안장의 접촉에 따른 통증과 운행시 불편 및 피부손상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를 오목하게 형성한 안장을 좌우로 분리형성하고, 각 안장의 이격폭을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맞추어 가변시킬 수 있되, 그 가변된 이격폭을 사용자별로 측정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페달운동에 따라 각 안장의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높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한 폭가변형 안장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자전거 안장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길이방향 중심부가 좌우측에 비해 돌출형성된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된 자전거 안장의 최적설계를 위해,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막대 매트릭스(Rod Matrix) 방법을 이용하여,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대상자의 엉덩이 밀착면 각 부위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면,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힘의 분포곡선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 대상자의 엉덩이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좌우측에 위치한 좌골조면(坐骨粗面)(IT: Ischial Tuberosities, 이하 “IT”라 함)이 맞닿는 부위에 대상자의 하중이 가장 집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결과에 대한 하중분포를 평면상에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포곡선을 갖으며, 이에 반해 상기 종래의 자전거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의 하중분포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곡선을 갖는다.
즉, 종래의 자전거에서는 안장의 좌우측 폭이 정상인의 평균 IT간 거리에 비해 좁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중분포곡선에서도 IT간 거리(L)가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IT간 거리(l)에 비해 좁게 나타나고, 하중이 미치는 전체거리 또한 정상적인 상태에 비해 좁게 나타나는 것은 물론, 중심부의 돌출형상부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분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자전거를 타는 경우 상기 IT 접촉면이 운행자의 IT 위치와 동일위치에 있지 않아 승차감이 불편한 것은 물론, 상기 하중집중면에 위치한 회음부에서는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심할 경우 발기불능도 야기된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안장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도 사람마다 그 성별(性別), 연령(年齡), 체중(體重) 등으로 인해 다양한 위치를 갖는 IT을 모두 만족시킬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운행자에 따라 IT 접촉면을 조절할 수 있고, 안장전체에 걸쳐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폭가변형 안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달의 상하방향 운동에 따른 운행자의 빈번한 안장 접촉에 의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높이가변형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a)도는 막대 매트릭스(Rod Matrix) 방법을 이용한 작용하중 측정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제1(b)도는 제1(a)도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엉덩이 하중의 분포곡선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2도는 제1(b)도에 따른 하중분포곡선을 평면상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3도는 종래의 안장에 작용하는 하중분포곡선을 도시한 것이고,
제4(a)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일실시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4(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일실시예의 부분 결합상태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5도는 제4(a)도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제6도는 제4(a)도의 안장지지부를 도시한 것이고,
제7(a)도는 제4(a)도의 안장의 저면도이고,
제7(b)도는 안장의 평면도이고,
제7(c)도, 제7(d)도는 안장의 측면도이고,
제7(e)도는 안장의 정면도이고,
제8(a)도는 제4(a)도의 폭조절축을 도시한 것이고,
제8(b)도는 제8(a)도의 이동구의 저면 및 측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고,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형 안장의 일실시예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제10도는 폭조절축의 직선운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1(a)도, 제11(b)도는 폭조절축 직선운동에 따른 안장의 회전운동 원리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제11(c)도는 안장의 회전운동에 따른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안장지지부의 뒷면에 구분표시자를 구비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제12도는 폭조절축 및 안장의 이동에 따른 이동결합구의 운동궤적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결합축 20 : 안장지지부
21a,21b,21c : 결합구멍 22 : 관통구멍
23a,23b : 장공 24 : 축수납부
26 : 힌지 27 : 압축스프링
30 : 가변안장 31 : 고정결합구
33a,33b : 이동결합구 40 : 폭조절축
41 : 원통부 42a,42b : 나사부
43a,43b : 이동구 43c : 장공
44 : 관통구멍 45 : 축고정구
50 : 회전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은, 자전거 본체의 안장지지축 상부에 결합되어 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 결합부; 상기 본체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지지되되, 좌·우 양측이 상호 이격가능한 안장; 및 상기 각 안장의 좌·우 양측의 이격거리를 가변조절하기 위한 폭가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장의 좌·우측 중심부는 그 주변부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위치는 운행자의 좌골조면 부위에 대응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형 안장은, 자전거 본체의 안장지지축 상부에 결합되어 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 결합부; 상기 본체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 지지되되, 좌·우 양측이 별도로 분리형성된 안장; 상기 본체 결합부 및 상기 안장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된 탄성수단; 및 상기 안장의 좌·우 양측의 이격거리를 가변조절하기 위한 폭가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리형성된 각 안장의 전단부는 중력방향 하중작용시 높이가 가변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에서는, 상기 오목하게 형성된 안장부위에 운행자의 IT가 놓이게 되어 하중을 보다 잘 분사시킬 수 있게 되며, 운행자의 성별, 체형, 나이 등에 따라 상이한 IT 폭에 대해서는 상기 폭가변수단을 이용하여 각각 분리형성된 안장의 상호 이격폭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어떠한 운행자에게도 맞추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가변형 안장의 후단부는 힌지 결합등에 의해 상기 본체 결합부에 지지결합한 다음, 그 전단부는 높이가 가변가능하도록 하면, 자전거가 진행하면서 페달을 회전시킴에 따라 운행자의 허벅지 아랫부분이 상기 분리된 안장과 함께 오르내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일실시예의 결합상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의 측면도이고, 제6도 내지 제8도는 상기 제4도 및 제5도의 각 구성요소별로 구분하여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본체에 구비된 안장지지축(도면 미도시)에 고정결합되는 본체 결합축(10); 상기 본체 결합축(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어, 자전거 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안장지지부(20);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상단에 일측이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안장지지부(20)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좌·우 대칭인 한 쌍으로 분리형성된 가변안장(30); 상기 안장지지부(20)의 하부 내측에 고정결합되되, 상기 가변안장(30)의 미고정 타측에 끼움결합되어 축회전방향의 변화에 따라 상기 가변안장(30)의 상호 이격폭을 가변시키는 폭조절축(40); 및 상기 폭조절축(40)의 양끝단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폭조절축(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장지지부(20)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결합축(10)의 끝단이 각각 끼움결합되는 결합구멍(21a,21b,21c); 상기 가변안장(30)의 일측과 고정결합하기 위한 관통구멍(22); 상기 가변안장(30)의 폭 변경에 따른 하기 이동구(43)의 원주방향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장공(23a, 23b); 및 상기 폭조절축(40)의 중심을 상기 안장지지부(20)에 대하여 좌우이격없이 고정지지하기 위한 축수납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안자(30)은 제7(a)도 내지 제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22)에 삽입되어, 별도의 결합나사에 의해 상기 안장지지부(2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결합구(31); 및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상기 장공(23a, 23b)을 통과한 후 하기 이동구(43)의 하부에 형성된 장공(43c)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폭조절축(40)의 회전이동에 따른 하기 이동구(43)의 좌우방향 운동에 연동되어 각각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는 이동결합구(33a, 3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안장(30)의 상면은 제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운행자의 하중이 집중되는 IT 접촉면이 좌우측에 비하여 높이가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폭조절축(40)은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수납부(24)에 수납되어 상기 폭조절축(40)의 좌우방향 중심을 잡아주는 원통부(41); 상기 원통부(41)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동일 거리만큼 떨어져 각각 형성되되,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부가 형성된 나사부(42a,42b); 상기 나사부(42a,42b)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되, 각 나사부(42a,42b)에 형성된 나사의 방향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폭절축(40)의 축회전시 상기 나사부(42a,42b)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이동구(43a,43b); 및 상기 회전손잡이(5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폭조절축(4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4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나사부(42a,42b)의 길이는 상기 가변안장(30)의 회전각을 고려하여 상기 이동구(43a,43b)가 그에 상응하는 거리에 해당하는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정되며, 상기 이동구 (43a,43b)의 저면에는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결합구(33a,33b)가 끼워지는 장공(43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가변형 안장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높이가변형 안장의 구성을 더하여, 상기 가변안장(30)의 후단은 힌지(26)를 이용하여 상기 안장지지부(20)의 후단에 결합하고, 상기 가변안장(30)의 전단과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전단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안장(30)은 상호 이격폭 조절시 안장의 좌우방향(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동작설명에 앞서, 먼저 상기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구(43a,43b)를 상기 폭조절축(40)의 양측에서 끼워넣고 상기 나사부(42a,42b)의 외측에 각각 나사결합한 다음, 상기 폭조절축(40)의 양끝단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44)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손잡이(50)를 좌우양측에 각각 고정결합한다.
상기 회전손잡이(50)가 양측단에 결합된 상기 폭조절축(40)을 상기 안장지지부(20)의 하부 내측에 끼워넣되, 먼저 상기 원통부(41)를 상기 축수납부(24)에 수납하여 축의 중심을 잡은 다음, 축고정구(45)를 사용하여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양측에서 각각 고정결합한다. 이때, 상기 이동구(43a,43b)는 상기 안장지지부(20)에 대하여 자유롭게 운동가능하도록 별도의 결합을 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가변안장(30)의 상기 고정결합구(31)를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상기 관통구멍(22)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결합구(33a,33b)는 각각 상기 장공(23a,23b)을 관통시켜 상기 안장지지부(20)의 내측으로 돌출시킨 다음, 그 중에서 상기 돌출된 이동결합구(33b)는 상기 이동구(43a,43b)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장공(43c)에 끼움결합한다. 상기 고정결합구(31)에는 나사를 결합한 후 결합한 나사가 상기 관통구멍(22)에 걸침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안장지지부(20)와 상기 가변안장(30)의 일측을 견고하게 고정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본체결합축(10)의 전단을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상기 결합구멍(21a)에 끼우고, 후단 양측부는 상기 결합구멍(21a,21c)에 각각 끼움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조립이 완성되고, 일반 자전거에 구비된 안장지지축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최종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결합축(1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을 자전거의 안장지지축 상단에 고정결합한 다음,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의 성별, 신장 등에 맞추어 상기 회전손잡이(50)를 회전시키면, 이에 일체로 결합된 상기 폭조절축(40)(즉, 상기 나사부(42a,42b)이 회전된다.
상기 폭조절축(40)은 상기 안장지지부(20)의 상기 축수납부(24)에 수납된 상기 원통부(41) 및 상기 축고정구(45)에 의해, 상기 안장지지부(20)에 대해 좌·우 이격 운동을 하지 못하므로, 상기 나사부(42a, 42b)는 최초 위치에서 회전운동만을 하고, 그 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상기 이동구(43a, 43b)만이 상기 나사부(42a, 42b)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측 나사부(42a)와 우측 나사부(42b)는 각각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폭조절축(40)의 회전방향은 상기 각각의 나사부(42a, 42b)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회전방향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구(43a, 43b) 역시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측 나사부(42a)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나사부(42b)에는 왼나사가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축(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용·반작용에 의해 상기 좌측 이동구(43a)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 이동구(43b)는 왼쪽으로 이동하며, 반대로, 상기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축(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좌측 이동구(43a)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우측 이동구(43b)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폭조절축(40)의 회전방향 변경에 따라, 상기 좌우측 이동구(43a, 43b)가 상기 원통부(41)의 방향 또는 상기 원통부(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결합구(33b)에 의해 상기 이동구(43a, 43b)의 상기 장공(43c)에 끼움결합된 상기 좌우측 가변안장(30) 역시 제11(a)도 및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결합구(31)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안장간의 상호 이격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별로 상이한 상기 이동구(43a, 43b)의 이동후 위치, 즉 상기 가변안장(30)간의 상호 이격거리를 구별측정할 수 있도록, 제1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지지부(20)의 뒷면에 별도의 구분 표시자를 그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변안장(30)을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이동결합구(33a, 3b)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장공(23a, 23b)은 상기 폭조절축(40)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결합구(31)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동일각을 회전하더라도 원주방향 이동거리는 상호 차이가 있음을 감안하여 상기 고정결합구(31)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장공(23a)은 길이가 짧게, 먼곳에 위치한 장공(23b)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43a, 43b)의 저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장공(43c)은, 상기 이동구(43a, 43b)의 좌·우방향 직선운동 및 상기 이동결합구(33b)의 회전운동에 따른 수직방향으로의 위치변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폭조절축(40)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2도는 상기 이동구(43b)의 수평방향이동(H)에 의해 상기 이동결합구(33b)가 상기 장공(23b)을 따라 회전이동할 경우, 상기 장공(43a)을 따라 수직방향 이동(V)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9도의 높이가변형 안장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에 더하여 자전거 장착후 페달운동에 따른 발의 수직방향 상하 운동시, 안장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른쪽발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 경우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가변안장(30)의 전단에 수직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이 힘에 의해 상기 가변안장(30)은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안장(30)의 후단에 구비된 상기 힌지(26)를 축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안장지지부(20)의 내측 전단부에 구비된 상기 압축스프링(27)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아래로 회전이동한다.
저전거가 계속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왼쪽발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오른쪽 발이 다시 위로 올라올 경우, 제9(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안장(30)의 전단부에 가해졌던 수직방향의 힘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가변안장(30)은 상기 압축스프링(27)의 자체 탄성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자전거 진행에 따른 왼발 오른발의 상하방향 운동에 따라 상기 좌우측 가변안장(30)도 연동되어 함께 상하방향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폭가변형 안장은, 안장의 폭을 보다 넓게 형성하여 하중이 안장 중앙부에 집중되지 않고 보다 넓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회음부에의 하중집중으로 인한 통증이 감소되고 및 운행상의 불편함이 제거되며, 장시간 자전거를 타더라도 회음부 등에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분리형성된 각 인장의 이격폭을 가변조절할 수 있어서, 운행자의 다양한 체형에 따라 상이한 IT 폭에 맞추어 가변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족 구성원간에도 개일별로 각자에게 적합한 이격폭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고, 개인의 성장에 따른 체형 확대시에도 역시 이격폭을 가변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격된 곳을 통해 통풍이 잘 이루어지고, 각 안장별로 상이한 색채를 적용할 경우에는 디자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스프링 장착형 폭가변형 안장의 경우에는, 페달운동시 자전거 운행자의 허벅지와 안장의 접촉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증이 감소되고, 운행상의 불편이 제거되는 것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 따른 피부손상 등이 불편을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자전거 본체의 인장지지축 상부에 결합되어 운행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본체 결합부; 상기 본체 결합부의 상단에 결합지지되되, 좌·우 양측이 별도로 분리되어 상호 이격가능한 안장; 상기 본체 결합부와 상기 분리된 양측 안장의 전단부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 및 상기 본체 결합부와 상기 분리된 양측 안장의 후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힌지를 구비하여, 중력방향하중에 따라 상기 안장의 높이를 가변하기 위한 높이가변수단; 및 상기 본체 결합부의 후단부 저면에 장착 체결되고 상기 분리된 양측 안장의 저면과 접속되어 축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좌우측 안장의 상호 이격폭을 가변시키는 폭조절축 및 상기 폭조절축의 양단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폭조절축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양측 안장 후단부사이의 폭을 가변조절하기 위한 폭가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리된 양측 안장의 각 중심부는 그 주변부에 비해 높이가 낮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위치는 운행자의 좌골조면(坐骨粗面) 부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안장의 각 중심부에 형성된 오목부위는 충격흡수가 잘 이루어지는 별도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성된 양측의 각 안장은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결합부에는 상기 양측 안장의 좌·우측 이격량을 나타내는 구분표시자가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1019980016072A 1998-04-30 1998-04-30 자전거 안장 KR100277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72A KR100277158B1 (ko) 1998-04-30 1998-04-30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72A KR100277158B1 (ko) 1998-04-30 1998-04-30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716A KR19990081716A (ko) 1999-11-15
KR100277158B1 true KR100277158B1 (ko) 2001-01-15

Family

ID=6589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072A KR100277158B1 (ko) 1998-04-30 1998-04-30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7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I980034A1 (it) * 1998-02-19 1999-08-19 Did Italia Srl Sella per biciclette
KR101124016B1 (ko) * 2009-12-04 2012-03-23 이상재 자전거용 안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716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53684A1 (en) Walker frame
US4909504A (en) Multipurpose body exerciser
US5299851A (en) Adjustable cushion assembly for a chair
EP1104380B1 (en) Cycle seat
US6402235B1 (en) Split bicycle seat
US5342261A (en) Adjustable cycling apparatus
EP0925809B1 (en) Physical exercise device simulating the use of a bicycle
JPH11235A (ja) バースツール
US5762399A (en) Inclination positioning device for rocking type chairs
US6368261B1 (en) Desk chair for the prevention of repetitive stress injuries
KR100277158B1 (ko) 자전거 안장
US4572533A (en) Wheelchair shock absorbing apparatus
US6206018B1 (en) Crutchless leg support system
KR102186399B1 (ko) 자전거 안장 어셈블리
JP3960846B2 (ja) 車両用緩衝器の上部固定構造
US6106445A (en) Ergonomic, passive exercise chair with passive exercise headrest
US20180134196A1 (en) Movable armrest assembly
CN215875412U (zh) 脚部支撑附件
KR200299207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102480435B1 (ko)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JPH0391829U (ko)
KR100286107B1 (ko) 자전거 안장
KR0134301Y1 (ko) 회전의자의 좌대 유동장치
JP3108531U (ja) 車椅子
JPS627574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