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435B1 -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435B1
KR102480435B1 KR1020210055030A KR20210055030A KR102480435B1 KR 102480435 B1 KR102480435 B1 KR 102480435B1 KR 1020210055030 A KR1020210055030 A KR 1020210055030A KR 20210055030 A KR20210055030 A KR 20210055030A KR 102480435 B1 KR102480435 B1 KR 102480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base frame
fixing member
reference shaft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913A (ko
Inventor
박수신
Original Assignee
박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신 filed Critical 박수신
Priority to KR102021005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4Saddles capable of swinging about a horizontal piv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 샤프트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 유닛;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 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ERGONOMICAL BICYCLE SEAT}
본 발명은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설계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보통의 의자보다 면적이 좁다. 그러한 구조 속에서, 자전거 이용자가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상대적으로 좁고, 뒤 쪽은 이용자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골 및 대퇴부 뼈 부분을 받치는 부분과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를 받치는 부분이 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하중이 사타구니와 중앙(낭심부)으로 집중되게 된다.
이런 구조는,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항문과 생식기 사이) 등의 인체의 민감한 기관들이 있는 부분까지 이용자의 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많이 작용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주행 중 사타구니 및 회음부가 안장에 밀착된 상태에서 페달을 밟는 동작시마다 사타구니 및 회음부가 안장에 대한 압착상태에서 유동되는 현상에 의해 이용자에게는 통증과 발진, 멍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자전거 이용시 이용자의 사타구니와 회음부 등이 압박받는 구조를 개선하여 해당 부분에서 통증, 발진, 멍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은, 기준 샤프트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 유닛;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 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샤프트는, 기준 라인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라인에 의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각각의 양 단부 중 인접한 일 단부 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기준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그가 회전된 후에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회전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이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기준 샤프트와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각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제2 각도 구간을 덮는 소프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3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 몸체; 및 상기 중앙 몸체에서 상기 기준 샤프트로부터 상기 지지 몸체의 자유단을 넘어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각도 구간의 외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전후 지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은, 제1 고정 부재;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1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1-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마운팅 샤프트; 및 상기 마운팅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향해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2-1 플레이트; 상기 전후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제2-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제2-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높이 지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좌측 지지 유닛, 우측 지지 유닛, 및 코형 지지 유닛이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들은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받는 힘에 의해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자전거 이용시 이용자의 사타구니와 회음부 등이 압박받지 않게 하여 해당 부분에서 통증, 발진, 멍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코측 지지 유닛(1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을 포함하고, 나아가서는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해 차례로 설명하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110)은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을 지지하는 기반이 되는 구성이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기준 샤프트(111), 기반 샤프트(113), 서포트(115), 그리고 회전 복원 부재(117)를 가질 수 있다.
기준 샤프트(111)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상물이다. 기준 샤프트(111)는 기준 라인(SL)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직선형 부재일 수 있다. 그 경우,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은 기준 라인(SL)이라는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방향(S)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기준 샤프트(111)는 또한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의 인접한 일 단부 측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기반 샤프트(113)는 기준 샤프트(111)가 지지되는 기반이 되는 부재이다. 기반 샤프트(113)는 대체로 기준 샤프트(111)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기준 샤프트(11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115)는 높이 방향(H)을 따라 배치되어 기준 샤프트(111)와 기반 샤프트(113)를 연결할 수 있다. 서포트(115)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에 대응하여 3개로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포트(115)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 중 하나, 또는 둘에 대응하여 1개 또는 2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 복원 부재(117)는 기준 샤프트(111)에 설치되어,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자에 의해 회전된 후에 원래 상태로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하는 스프링이다. 회전 복원 부재(117)는 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 각각에 대응하여 하나씩 설치되거나 하나로 연결된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좌측 지지 유닛(120)은 이용자의 좌측 골반 및 좌측 엉덩이 그리고 궁둥이(엉덩이 아래 부분)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좌측 지지 유닛(1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우측 지지 유닛(130)은 이용자의 우측 골반 및 우측 엉덩이 그리고 궁둥이(엉덩이 아래 부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좌측 지지 유닛(1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우측 지지 유닛(130)은 코형 지지 유닛(140)를 기준으로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지지 유닛(130)은, 좌측 지지 유닛(120)과 동일하게, 대체로 곡면 형태인 상면을 가진다.
코형 지지 유닛(140)은 자전거의 코너링시에 이용자의 몸이 측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몸의 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그를 위해, 코형 지지 유닛(140)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사이에 배치되며, 그들보다 베이스 프레임(110)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코형 지지 유닛(140)의 기준 라인(SL)을 따른 폭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각각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코형 지지 유닛(140)도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과 동일하게,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방향(S)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코형 지지 유닛(140)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그들과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게 된다.
전후 지지 유닛(150)은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전후 방향(A)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도 포함]을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후 지지 유닛(150)은 베이스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기반 샤프트(113)에 결합될 수 있다.
높이 지지 유닛(160)은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하는 힘에 의해 높이 방향(V)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좌측 지지 유닛(120), 우측 지지 유닛(130), 및 코형 지지 유닛(140)도 포함]을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높이 지지 유닛(160)은 전후 지지 유닛(150)에 결합되고, 그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전거를 타는 이용자는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의 곡면 형상의 상부면에 걸터 앉을 수 있게 된다. 이용자의 엉덩이 및 궁둥이는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므로, 그들이 아래로 처지면서 중앙으로 모이지 않게 된다. 그에 의해, 이용자의 사타구니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지지 않으며 회음부의 눌림이 없어지므로, 사타구니 등에 통증과 멍, 발진 등이 생기는 일이 없어진다.
나아가, 코형 지지 유닛(140)에 의해 이용자는 자전거의 코너링 및 좌우 흔들림이 있을 시에 측방으로 몸이 쏠리지 않게 하여 몸의 중심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코형 지지 유닛(140)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페달링시에 코형 지지 유닛(140)이 작은 압력에도 회전하므로 그에 사타구니가 압착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이용자의 페달링 시에, 코형 지지 유닛(140)은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과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그들이 이용자에 가하는 압박을 고루 분산하고 흡수되게 한다.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그리고 코형 지지 유닛(140)의 회전에도, 그들의 상면은 곡면형이여서 이용자의 엉덩이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에 의하면, 이용자의 페달링에 연동하여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 그리고 코형 지지 유닛(140)이 전후 방향(A) 및/또는 높이 방향(V)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그들의 고정에 의해 이용자의 궁둥이 및 사타구니 등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좌측 지지 유닛(120)은 이용자의 좌측 골반(및 엉덩이)을 지지하는 지지 몸체(121)를 가진다.
지지 몸체(121)는 대체로 곡면 형태인 상면을 가지는 것임은 앞서 언급한 바오 같다. 해당 상면의 구체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지지 몸체(121)를 제1 각도 구간(123)과 제2 각도 구간(126)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각도 구간(123)은 도면상 우측의 영역으로서,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R1)을 갖는 외면을 갖는다. 그 외면은 제1 지지 영역(124)이라 칭해질 수 있다.
제1 각도 구간(123)은 도면상 수직한 경계선(B)의 우측 영역으로서,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하는 제1 곡률 반경(R1)을 갖는 외면을 갖는다. 그 외면은 제1 지지 영역(124)이라 칭해질 수 있다.
제2 각도 구간(126)은 도면상 수직한 경계선(B)의 좌측 영역으로서, 기준 샤프트(111)가 아닌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2 곡률 반경(R2)을 갖는 외면을 갖는다. 그 외면은 제2 지지 영역(127)이라 칭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곡률 반경(R2)은 제1 곡률 반경(R1) 보다 큰 것으로서, 예를 들어 3배 가량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 몸체(121)에는 스톱퍼(129)가 설치되어, 기준 샤프트(111)에 대해 일정 각도에서 걸리게 된다. 이는 지지 몸체(121)의 회전 방향(S)을 따른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범위 제한에 의해, 페달링시에 지지 몸체(12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제1 지지영역(124)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좌측 지지 유닛(120)은, 지지 몸체(121)를 덮는 소프트 커버(미도시)를 더 가질 수 있다. 소프트 커버는 제1 지지 영역(124)과 제2 지지 영역(127)을 덮어서, 이용자와 지지 몸체(121) 간의 부드러운 접촉을 유도한다.
이상에서는 좌측 지지 유닛(12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우측 지지 유닛(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1의 코측 지지 유닛(1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코형 지지 유닛(140)은 중앙 몸체(141)와 돌출 몸체(145)를 가질 수 있다.
중앙 몸체(141)는 기준 샤프트(111)를 중심으로 제3 곡률 반경(R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곡률 반경(R3)은 제1 곡률 반경(R1)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것일 수 있다. 중앙 몸체(141)의 외주면에는 오목부(143, 도 1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43)는 기준 샤프트(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그에 대한 좌측 지지 유닛(120) 및 우측 지지 유닛(130)의 대응 부분의 외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외면을 형성하게 된다.
돌출 몸체(145)는 중앙 몸체(141)에서 기준 샤프트(111)로부터 지지 몸체(121)의 자유단을 넘어서 돌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몸체(145)는 전후 방향(A)을 따라 중앙 몸체(141) 보다 몇 배는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 몸체(141)에는 스톱퍼(149)가 설치되어, 기준 샤프트(111)에 대해 일정 각도에서 걸리게 된다. 이는 중앙 몸체(141)의 회전 방향(S)을 따른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중앙 몸체(141)는 기준 샤프트(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회전 복원 부재(117)에 의해 탄성적으로 복원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중앙 몸체(141)의 오목부(143)는 회음부를 수용하기에, 회음부가 압박되는 일이 없게 한다.
돌출 몸체(145)는 이용자의 양쪽 허벅지 사이에 위치하여, 코너링 및 측면 흔들림 발생시에 이용자가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돌출 몸체(145)는 중앙 몸체(141)에 연결되어 중앙 몸체(141)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그 회전 각도를 크지 않게 유지할 수 있기도 하다. 이는 페달링시에 코형 지지 유닛(140)이 회전 방향(S, 도 1 참조)을 따라 급격하지 않게 회전하면서 이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중앙 몸체(141)와 돌출 몸체(145)도 소프트 커버(미도시)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후 지지 유닛(150) 및 높이 지지 유닛(160)을 보인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후 지지 유닛(150)은, 제1 고정 부재(151), 제1 가동 부재(153), 그리고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부재(151)는 대체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는 바닥부(151a)와 그에서 절곡된 측벽부(151b), 그리고 측벽부(151b)의 자유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상단부(151c)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상단부(151c)는 대체로 바닥부(151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측벽부(151b)로부터 바닥부(151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가동 부재(153)는 제1 고정 부재(151)와 베이스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의 기반 샤프트(113)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가동 부재(153)는, 제1-1 플레이트(153a)와, 제1-2 플레이트(153b), 그리고 제1 힌지(153c)를 가질 수 있다. 제1-1 플레이트(153a)는 제1 고정 부재(151)의 바닥부(15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제1-2 플레이트(153b)는 기반 샤프트(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힌지(153c)는 제1-1 플레이트(153a)와 제1-2 플레이트(153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2 플레이트(153b)는 상단부(151c)에 의해 측벽부(151b)에 대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는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엉덩이와 궁둥이의 뒤쪽으로 발생하는 힘에 의해 제1 가동 부재(153)가 제1 고정 부재(151)로부터 전후 방향(A)을 따라 변위시 제1 가동 부재(153)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성이다.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는, 구체적으로, 마운팅 샤프트(155a)와 코일 스프링(155b)을 가질 수 있다. 마운팅 샤프트(155a)는 제1 고정 부재(151)와 제1-2 플레이트(153b)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55b)은 마운팅 샤프트(155a)에 설치되어, 제1-2 플레이트(153b)를 측벽부(151b)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타구니에 끼는 구조의 안장이 아닌, 걸터 앉는 형태의 안장에서 페달링시 엉덩이와 궁둥이가 뒤로 밀리는 공간이 없으면 많은 저항이 동반되는데, 제1 이동 복원 부재(155)는 그러한 저항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 지지 유닛(160)은, 제2 고정 부재(161), 제2 가동 부재(163), 그리고 제2 이동 복원 부재(165)를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 부재(161)는 자전거의 받침 기둥에 삽입 고정되는 안장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가동 부재(163)는 제2 고정 부재(161)와 전후 지지 유닛(150), 구체적으로 제1 고정 부재(151)의 바닥부(151a)를 연결한다. 제2 가동 부재(163)는, 제2-1 플레이트(163a), 제2-2 플레이트(163b), 그리고 제2 힌지(163c)를 가질 수 있다. 제2-1 플레이트(163a)는 제2 고정 부재(161)와 연결되고, 제2-2 플레이트(163b)는 바닥부(15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힌지(163c)는 제2-1 플레이트(163a)와 제2-2 플레이트(163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 힌지(163c)는 제2-2 플레이트(163b)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작동하게 하는 스톱퍼(stopper, 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해당 스톱퍼는 제2 힌지(163c)의 고정부 측에 형성되는 정지홈과 가동부 측에 형성되며 특정 각도에서 상기 정지홈과 맞물리게 되는 정지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 복원 부재(165)는,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제2 가동 부재(163)가 제2 고정 부재(161)로부터 높이 방향(V)을 따라 하강시에 제2 가동 부재(163)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구성이다. 제2 이동 복원 부재(165)는 제2 고정 부재(161)와 제2-1 플레이트(163a)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과 함께 결합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제2-2 플레이트(163b)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에는 탄성 조정볼트(165a)가 설치되어 제2-2 플레이트(163b)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서는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기반 샤프트(113)와 제2 고정 부재(161) 사이에 전후 지지 유닛(150) 및 제2 가동 부재(163), 그리고 제2 이동 복원 부재(165)가 모두 구비된 구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 지지 유닛(150)이 불필요한 경우라면, 기반 샤프트(113)를 제2 가동 부재(163) 또는 제2 고정 부재(161)에 대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제1 고정 부재(151)가 제2 고정 부재(161)에 바로 결합되게 하여, 제2 가동 부재(163) 및 제2 이동 복원 부재(165)가 배제된 형태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10: 베이스 프레임
111: 기준 샤프트 117: 회전 복원 부재
120: 좌측 지지 유닛 121: 지지 몸체
123: 제1 각도 구간 126: 제2 각도 구간
130: 우측 지지 유닛 140: 코형 지지 유닛
141: 중앙 몸체 145: 돌출 몸체 150: 전후 지지 유닛 151: 제1 고정 부재
153: 제1 가동 부재 155: 제1 이동 복원 부재
160: 높이 지지 유닛 161: 제2 고정 부재
163: 제2 가동 부재 165: 제2 이동 복원 부재

Claims (18)

  1. 기준 샤프트를 갖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 유닛;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 보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이용자가 페달링시에 가하는 힘에 따라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각기 독립적으로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이용자의 골반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제1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기준 샤프트와 다른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곡률 반경보다 큰 제2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지지 영역을 형성하는 제2 각도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3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 몸체; 및 상기 중앙 몸체에서 상기 기준 샤프트로부터 상기 지지 몸체의 자유단을 넘어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몸체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샤프트는,
    기준 라인을 따라 연장하는 직선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은, 상기 기준 라인에 의한 동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라인은,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각각의 양 단부 중 인접한 일 단부 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기준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좌측 지지 유닛, 상기 우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코형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그가 회전된 후에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회전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 유닛 및 상기 우측 지지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지지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각도 구간 및 상기 제2 각도 구간을 덮는 소프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몸체는,
    상기 기준 샤프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각도 구간의 외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전후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은,
    제1 고정 부재;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고정 부재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1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1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1-1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힌지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마운팅 샤프트; 및
    상기 마운팅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 부재를 향해 상기 제1-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지지 유닛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높이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전후 지지 유닛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제2-1 플레이트;
    상기 전후 지지 유닛과 결합되는 제2-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복원 부재는,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제2-1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과 함께 결합되어, 상기 제2-2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높이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지지 유닛은,
    제2 고정 부재;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가동 부재; 및
    이용자의 페달링시에 발생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가동 부재가 상기 제2 고정 부재로부터 높이 방향을 따라 변위시에 상기 제2 가동 부재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제2 이동 복원 부재를 포함하는,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KR1020210055030A 2021-04-28 2021-04-28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KR10248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30A KR102480435B1 (ko) 2021-04-28 2021-04-28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30A KR102480435B1 (ko) 2021-04-28 2021-04-28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913A KR20220147913A (ko) 2022-11-04
KR102480435B1 true KR102480435B1 (ko) 2022-12-22

Family

ID=8404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030A KR102480435B1 (ko) 2021-04-28 2021-04-28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0771A1 (en) * 2007-09-28 2009-04-02 Hobart Anthony Kay A saddle arrangement for a bicycle
US20150321718A1 (en) 2014-05-12 2015-11-12 Nan Kai University Of Technology Bicycle saddle structure
CN207072396U (zh) 2017-06-14 2018-03-06 韩社军 一种抗疲劳骑行车座
US20200102033A1 (en) 2018-10-02 2020-04-02 Xsensor Technology Corporation Bicycle Sea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606B1 (ko) * 2003-11-27 2007-02-05 박광용 자전거용 승마형 안장
KR20120086470A (ko) * 2011-01-26 2012-08-03 박민서 자전거의 안장 지지장치
KR101628663B1 (ko) * 2014-11-05 2016-06-14 김원수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0771A1 (en) * 2007-09-28 2009-04-02 Hobart Anthony Kay A saddle arrangement for a bicycle
US20150321718A1 (en) 2014-05-12 2015-11-12 Nan Kai University Of Technology Bicycle saddle structure
CN207072396U (zh) 2017-06-14 2018-03-06 韩社军 一种抗疲劳骑行车座
US20200102033A1 (en) 2018-10-02 2020-04-02 Xsensor Technology Corporation Bicycle Sea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913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3762B2 (ja) サイクルシート
US9321496B2 (en) Bicycle seat
US5769492A (en) Back saver sport seat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7121622B1 (en) Suspension bicycle seat
US6786542B1 (en) Articulating adjustable resistance suspension seat
US20120086246A1 (en) Twin-pad bicycle seat for long distance cycling
EP0925809B1 (en) Physical exercise device simulating the use of a bicycle
EP1879787A1 (en) Bicycle seat
KR101230633B1 (ko) 자전거용 안장
US11760431B2 (en) Bicycle seat for improved comfort, performance, and safety
WO2009040771A1 (en) A saddle arrangement for a bicycle
JPH06171566A (ja) 自転車またはエクササイザにおいて使用されるシートおよびサドル
KR102480435B1 (ko) 인체공학적 자전거 안장
US6874849B1 (en) Saddles for pedal-operated machines
JP4454460B2 (ja) 歩行器
KR102332986B1 (ko)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US20060061022A1 (en) Shock-absorbing device for wheeled vehicle
JP4160405B2 (ja) 自転車乗り用座席
GB2524471A (en) A bicycle saddle
CA2716831A1 (en) Twin-pad bicycle seat for long distance cycling
US20110193376A1 (en) Auxiliary Support for Bicycle Saddle
JP3162139U (ja) パチンコ遊戯者用椅子
KR200385449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0284899B1 (ko) 자전거 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