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6729B1 -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729B1
KR100276729B1 KR1019970044122A KR19970044122A KR100276729B1 KR 100276729 B1 KR100276729 B1 KR 100276729B1 KR 1019970044122 A KR1019970044122 A KR 1019970044122A KR 19970044122 A KR19970044122 A KR 19970044122A KR 100276729 B1 KR100276729 B1 KR 100276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mergency light
negative pressure
terminal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656A (ko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7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72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고속 주행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급격히 릴리이즈시키면, 엔진의 부압으로 조작되는 피스톤과 스위치를 이용해서 비상등을 자동적으로 점등시켜 주위의 운전자에게 경고해 줌으로써, 추돌사고 등을 예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부압에 의해 서로 접속되거나 리턴스프링(7)의 탄성복원력으로 해방되면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2개의 접점단자(6a,6b)가 하우징속에 소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배열되고, 이 접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화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11)는 비상등의 2개의 단자판(20a,20b)을 서로 접속시키거나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피스톤(13)과 함께 제2하우징속에 대향되게 배열되며, 상기 2개의 단자판을 매개로 전원과 연결되어 단자판의 접속과 해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비상등(21)이 설치되는 한편, 차속감지스위치와 가속페달 위치감지스위치를 갖추고서 차속과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해서 차속과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라 상기 2개의 접점단자에 작용하는 엔진의 부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가속페달을 급격하게 릴리이즈 시킬 때에 엔진의 부압을 이용해서 비상등을 자동적으로 점등시켜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 주위 차량의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주기 위해 비상등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비상등은 운전자와 인접한 부위에 장착된 스위치를 매개로 점멸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고속 주행중에 갑작스럽게 돌발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부딪치게 되면, 가속 페달을 급격하게 릴리이즈시킴과 더불어 순차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해야 하고, 또 비상등 점멸스위치도 동시에 조작해야 하는 데, 위급한 상황에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한꺼번에 행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곤란하게 되어, 추돌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고속 주행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급격히 릴리이즈시키면, 엔진의 부압으로 조작되는 피스톤과 스위치를 이용해서 비상등을 자동적으로 점등시켜 주위의 운전자에게 경고해 줌으로써, 추돌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흡기다기관 2-연결관
3-하우징 4-체크밸브
5-콘트롤러 6a,6b-접점단자
7-리턴스프링 8-이그니션 스위치
9-다이오드 10-스위치
11-솔레노이드 12-하우징
13-피스톤 14-리턴스프링
15-로드 16-볼
17-연결로드 18-조작노브
19-크레쉬 패드 20a,20b-단자판
21-비상등 22-차속감지센서
23-가속페달 위치감지센서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부압에 의해 서로 접속되거나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해방되면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2개의 접점단자와, 이 접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화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이 솔레노의 자력으로 당겨져서 비상등의 2개의 단자판을 서로 접속시키거나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피스톤, 상기 2개의 단자판을 매개로 전원과 연결되어 단자판의 접속과 해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비상등, 차속감지스위치와 가속페달 위치감지스위치를 갖추고서 차속과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해서 차속과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라 상기 2개의 접점단자에 작용하는 엔진의 부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인 바, 즉 엔진의 서어지탱크나 흡기다기관(1)에 연결관(2)을 매개로 제1하우징(3)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2)의 소정부위에는 하우징에 작용하는 엔진의 부압을 제어하기 위해 체크밸브(4)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4)는 콘트롤러(5)에 의해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작동될 수 있도록 콘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는 2개의 접점단자(6a,6b)가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면서 이들사이에는 스프링(7)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1접점단자(6a)는 이그니션 스위치(8)와 다이오드(9)를 통해 밧데리 전원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접점단자(6b)는 스위치(10)를 통해 솔레노이드(11)와 연결되어 있고, 이 솔레노이드(11)는 제2하우징(12) 속에 수용되어 한쪽 측면에 장착되는 반면에 맞은편 측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피스톤(13)이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면서 이들 사이에는 리턴스프링(14)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3)에는 그 로드(15)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되어 있고, 이 로드의 선단부에는 볼(16)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볼(16)은 연결로드(17)를 통해 조작노브(18)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노브(18)는 크레쉬 패드(19)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볼은 크레쉬 패드(19)에 제1단자판(20a) 속에 수용되어 있으며, 이 제1단자판(20a)과 소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제2단자판(20b)은 크레쉬 패드에 상기 제1단자판과 대향되게 부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1단자판과 제2단자판에는 비상등(21)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콘트롤러에는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센서(22)와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3)가 그 입력측 단자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의 주행중에 차속은 상기 차속감지센서(22)에 의해 감지됨과 더불어 가속페달의 위치는 위치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되어 콘트롤러에 입력되게 되는 바, 예컨대 차속이 80km/h 이상인 상태로 주행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급격히 릴리이즈시키게 되면, 상기 콘트롤러가 체크밸브(4)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연결관(2)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2)이 개방되면 엔진의 부압이 연결관을 통해 하우징(3)에 작용하게 되고, 이 하우징에 작용하는 부압은 상기 제1접점단자(6a)를 스프링을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2접점단자(6b)쪽으로 당겨주게 되므로,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단자가 서로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접점단자가 서로 접속되면 밧데리 전원이 다이오드(9)와 이그니션 스위치(8), 제2접점단자(6b) 및 스위치(10)를 통해 솔레노이드(11)에 공급되어 솔레노이드가 자화되게 되고, 이 솔레노이드이 자력으로 상기 피스톤(13)이 스프링(14)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이 당겨지게 되면 이 피스톤에 로드를 매개로 연결된 볼(16)이 당겨지면서 제1단자판(20a)을 제2단자판(20b)쪽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2개의 단자판이 서로 잡속됨에 따라 상기 비상등(21)이 자동적으로 점등되게 되어, 주위의 운전자에게 위급한 상황을 자동적으로 알려주게 되므로, 추돌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위급한 상황이 종료되어 차속이 80km/h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콘트롤러가 체크밸브(4)에 인가시키고 있던 제어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체크밸브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연결관을 폐쇄시키고 엔진의 부압은 대기로 방출되게 되므로, 엔진의 부압이 상기 하우징(3)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점단자(6a)는 리턴스프링(7)의 탄성복원력으로 밀려져서 제2접점단자(6b)와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밧데리 전원은 더 이상 솔레노이드(11)에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솔레노이드의 자력이 소멸되면서 상기 피스톤(13)도 리턴스프링(14)의 탄성복원력으로 원래의 위치로 밀려지게 되고, 상기 볼도 피스톤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밀려짐에 따라 제1단자판(20a)은 제2단자판(20b)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비상등에 공급되고 있던 전원이 차단되어 비상등은 자동적으로 소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자동적인 동작이외에도 운전자가 필요한 경우에 수동으로도 비상등을 점멸시킬 수 있는 바, 즉 상기 조작노브(18)를 강제적으로 밀어서 볼(16)을 밀어주게 되면, 이 볼에 의해 2개의 단자판이 서로 접속되어 비상등이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속을 80km/h 로 한정하여 서술했지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의 차속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음은 몰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에 의하면, 자동차가 고속 주행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어 가속 페달을 급격히 릴리이즈시키면 엔진의 부압이 2개의 단자에 작용하여 접속시킴에 따라 전원이 비상등에 공급되어, 비상등을 자동적으로 점등시켜서 주위의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주게 되므로 추돌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엔진의 부압에 의해 서로 접속되거나 리턴스프링의 탄성복원력으로 해방되면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2개의 접점단자와, 이 접점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화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 이 솔레노의 자력으로 당겨져서 비상등의 2개의 단자판을 서로 접속시키거나 리턴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복귀되는 피스톤, 상기 2개의 단자판을 매개로 전원과 연결되어 단자판의 접속과 해방에 따라 자동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비상등, 차속감지스위치와 가속페달 위치감지스위치를 갖추고서 차속과 가속페달의 위치를 감지해서 차속과 가속페달의 위치에 따라 상기 2개의 접점단자에 작용하는 엔진의 부압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갖춘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다기관에 연결관을 매개로 하우징이 연결되고, 이 하우징속에 전원과 연결된 제1접점단자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연결된 제2접점단자가 대향되게 배열되면서 상기 스프링이 제1,2접점단자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하우징의 한쪽 측면에 배열되고, 이 하우징의 맞은편에는 상기 피스톤이 배열되며, 이 피스톤과 상기 솔레노이드사이에 리턴스프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로드가 장착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부에는 볼이 설치되며, 이 볼은 상기 제1단자판에 형성된 홈속에 수용되어, 이 볼에 의해 제1단자판이 밀려져서 제2단자판과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볼이 연결로드를 통해 조작노브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이 체크밸브는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연결관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도록 콘트롤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KR1019970044122A 1997-08-30 1997-08-30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KR10027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22A KR100276729B1 (ko) 1997-08-30 1997-08-30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22A KR100276729B1 (ko) 1997-08-30 1997-08-30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56A KR19990020656A (ko) 1999-03-25
KR100276729B1 true KR100276729B1 (ko) 2001-05-02

Family

ID=6603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122A KR100276729B1 (ko) 1997-08-30 1997-08-30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7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56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0554B1 (ko) 제동 제어장치의 자동 조종회로
US5736816A (en) Automatic on-off vehicle headlight system
JPH0365449A (ja) 車輌信号装置
US4990886A (en) Vehicle brake indicator system
US4059824A (en) Automotive light for preventing rear end collision
US7137674B2 (en) Reverse driving signal
US5426418A (en) Brake light configuration for a truck having an engine brake
US3821701A (en) Automobile deceleration indicating device
KR100276729B1 (ko) 엔진의 부압을 이용한 자동 비상등 점멸장치
US6744361B1 (en) Vehicular safety brake light system
US20020158757A1 (en) Vehicle brake light system
US4425560A (en) Highway hazard warning sign signal
US5865154A (en) Auxiliary brake control
KR100475796B1 (ko) 엔진의흡기부압을이용한비상경고등의자동점등장치및점등방법
KR0117293Y1 (ko) 자동차의 미등장치
KR0147005B1 (ko) 급제동시 비상점멸등 자동 제어장치
KR0113806Y1 (ko) 배기 브레이크 작동장치
KR970006291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970006292Y1 (ko) 주차브레이크조작시 브레이크등 점등장치
KR920001043Y1 (ko) 적외선을 이용한 충돌방지 브레이크장치
KR100471800B1 (ko) 자동차용비상램프점멸장치
JPS5984639A (ja) 減速感知機能を有するストツプランプ点灯装置
KR100245014B1 (ko) 기어 오조작 경보 장치
JPH08216780A (ja) 自動車表示灯の表示制御装置
KR0128187Y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램프의 작동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