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902B1 - 이미지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902B1
KR100275902B1 KR1019970075944A KR19970075944A KR100275902B1 KR 100275902 B1 KR100275902 B1 KR 100275902B1 KR 1019970075944 A KR1019970075944 A KR 1019970075944A KR 19970075944 A KR19970075944 A KR 19970075944A KR 100275902 B1 KR100275902 B1 KR 100275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input
pixels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968A (ko
Inventor
강경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902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 장치의 이미지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간단하여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이미지의 화질을 악화시키지 않는 이미지 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수평방향으로 입력되는 픽셀들 중 왜곡이 심한 이미지의 양종단 픽셀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제거하여 구성된 왜곡 제거 픽셀열을 출력하는 픽셀 제거부와, 상기 픽셀 제거부에서 출력되는 왜곡 제거 픽셀열을 입력하며, 상기 픽셀 제거부로부터 소정 개수의 왜곡 제거 픽셀열이 순차적으로 입력될 경우, 최초 왜곡 제거 픽셀열은 최초 출력으로 계산하며, 두번째 왜곡 제거 픽셀열부터 입력 순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트 팩터와 해당 입력 왜곡 제거 픽셀열을 곱한값과 그 다음 입력 순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트 팩터와 해당 입력 왜곡 제거 픽셀열을 곱한값을 가산하여 출력으로 계산하는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탈 카메라 장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이미지 변환장치{APPARATUS OF CONVERTING IMAGE}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준 이미지 규격의 CIF는 352[픽셀]×288[픽셀]이고, QCIF의 176[픽셀]×144[픽셀]이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탈 카메라 장치는 CCD를 통하여 촬상한 이미지를 출력함에 있어서 510[픽셀]×240[픽셀]로 출력하였다. 즉 종래의 디지탈 카메라 장치는 표준과 스케일이 맞지 않는 형태로 이미지를 출력하였다. 이에따라 종래에 디지탈 카메라 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디지탈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이미지를 스케일링하여야 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이 스케일링시에 화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실시간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디지탈 카메라 장치로부터의 이미지를 다운샘플링하였다. 종래의 다운 샘플링방식으로는 싱크 펑션(sync function)을 이용한 다운샘플링 방식과 라그랑지 인터폴레이션(lagrange interpolation) 또는 기본적인 2 포인트 리니어 인터폴레이션(2 point linear interpolation) 등이 있다.
상기 싱크 펑션을 이용하여 7:5 다운 샘플링하는 것은 수학식 1에 따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면 상기
Figure pat00003
가 되며 이는 연산량이 매우 많은 데, 그 연산량에 비해 화질이 좋지 않다.
그리고 상기 라그랑지 인터폴레이션을 사용하는 2 포인트 리니어 인터폴레이션을 개선한 방법으로 2 포인트 인터폴레이션보다 연산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카메라로부터의 이미지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할 때에 사용되는 종래의 다운 샘플링방식 중 이미지 화질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운샘플링하는 것은 그 연산량이 많은 단점이 있었으며, 간단하게 구성되는 다운 샘플링 방식은 이미지의 화질을 저하시키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회로로 구성되며, 이미지의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미지 변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미지 변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입력되는 픽셀들 중 왜곡이 심한 이미지의 양종단 픽셀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제거하여 구성된 왜곡 제거 픽셀열을 출력하는 픽셀 제거부와, 상기 픽셀 제거부에서 출력되는 왜곡 제거 픽셀열을 입력하며, 상기 픽셀 제거부로부터 소정 개수의 왜곡 제거 픽셀열이 순차적으로 입력될 경우, 최초 왜곡 제거 픽셀열은 최초 출력으로 계산하며, 두번째 왜곡 제거 픽셀열부터 입력 순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트 팩터와 해당 입력 왜곡 제거 픽셀열을 곱한값과 그 다음 입력 순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트 팩터와 해당 입력 왜곡 제거 픽셀열을 곱한값을 가산하여 출력으로 계산하는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장치의 블럭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장치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버퍼(10)는 디지탈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510개의 픽셀을 입력받아 버퍼링한다. 픽셀제거부(12)는 통상적으로 왜곡이 가장 심한 이미지의 양종단부분을 제거하는 데, 상기 버퍼(10)로부터의 510개의 픽셀을 제공받아 양종단부분에서 8픽셀씩을 제거하여 494개의 픽셀, 즉 왜곡이 제거된 왜곡 제거 픽셀열을 출력한다.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부(14)는 입력된 픽셀에 대해 변형된 2 포인트 리니어 인터폴레이션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변형된 2 포인트 리니어 인터폴레이션은 수학식 2에 따른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상기 수학식 2에 따르면 제1출력은 제1입력이고, 제2출력은 제2입력에 19/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하고, 제3입력에 13/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한 것이며, 제3출력은 제3입력에 6/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하고, 제4입력에 26/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한 것이며, 제4출력은 제5입력에 26/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하고, 제6입력에 6/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한 것이며, 제5출력은 제6입력에 13/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하고, 제7입력에 19/32의 웨이트의 펙터를 곱한 것이다. 그리고 제6출력부터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방식을 반복하여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된 출력은 출력버퍼(16)에 버퍼링되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탈 카메라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타를 입력받아 왜곡이 심한 양쪽 가장자리 8픽셀씩을 제거한 후에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방식에 따라 각 위치로 다른 웨이트의 펙터를 곱한 값을 합산하여 7:5 다운 샘플링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하게 구성되는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방식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처리함으로서 그 구현이 간단하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며, 그 이미지의 화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미지 변환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입력되는 픽셀들 중 왜곡이 심한 이미지의 양종단 픽셀을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 제거하여 구성된 왜곡 제거 픽셀열을 출력하는 픽셀 제거부와,
    상기 픽셀 제거부에서 출력되는 왜곡 제거 픽셀열을 입력하며, 상기 픽셀 제거부로부터 소정 개수의 왜곡 제거 픽셀열이 순차적으로 입력될 경우, 최초 왜곡 제거 픽셀열은 최초 출력으로 계산하며, 두번째 왜곡 제거 픽셀열부터 입력 순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트 팩터와 해당 입력 왜곡 제거 픽셀열을 곱한값과 그 다음 입력 순서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웨이트 팩터와 해당 입력 왜곡 제거 픽셀열을 곱한값을 가산하여 출력으로 계산하는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2. 이미지 변환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510개의 픽셀들을 제공받아 그 픽셀의 양종단 부분에서 8개의 픽셀을 제거하는 픽셀제거부와,
    상기 픽셀제거부의 출력에 대해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처리하여 출력하는 모디파이드 인터폴레이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변환장치.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KR1019970075944A 1997-12-29 1997-12-29 이미지변환장치 KR100275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44A KR100275902B1 (ko) 1997-12-29 1997-12-29 이미지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44A KR100275902B1 (ko) 1997-12-29 1997-12-29 이미지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68A KR19990055968A (ko) 1999-07-15
KR100275902B1 true KR100275902B1 (ko) 2000-12-15

Family

ID=19529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944A KR100275902B1 (ko) 1997-12-29 1997-12-29 이미지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9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968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1127B2 (ja) 映像データ処理方式
EP0794525A3 (en) Pixel conversion apparatus
CA1196091A (en) Non-linear filtering of gray scale images
EP068694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 processing
KR100852752B1 (ko) 디지털 매트릭스 이미지의 다운스케일링 방법 및 장치
EP11013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licker in a video image sequence
JP2557899B2 (ja) ビデオ信号の伝送方法
JPH06105241A (ja) 画素欠陥補正方法
KR100275902B1 (ko) 이미지변환장치
JPH10257328A (ja) 画像処理装置
EP0926899A3 (en) A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coding motion pictures
JP2004102904A (ja) フィルタ処理装置およびフィルタ処理方法
JP2003308529A (ja) 画像処理装置
JP3157706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11272861A (ja) 画像処理装置
KR0153994B1 (ko) 컬러 그래픽 병렬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KR0153993B1 (ko) 컬러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JP2508473B2 (ja) 変換符号化におけるバツフアリング装置
JPH044548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0153977B1 (ko) 3차원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JP2001274995A (ja) 雑音除去装置
KR0154937B1 (ko) 3차원 컬러 그래픽 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KR0181053B1 (ko) 3차원 컬러 그래픽 병렬처리를 위한 아핀 변환 장치
KR0154947B1 (ko) 3차원 컬러 스테레오 스코픽 병렬처리를 위한 아핀변환 장치
JP3577525B2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