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705B1 -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705B1
KR100275705B1 KR1019980041073A KR19980041073A KR100275705B1 KR 100275705 B1 KR100275705 B1 KR 100275705B1 KR 1019980041073 A KR1019980041073 A KR 1019980041073A KR 19980041073 A KR19980041073 A KR 19980041073A KR 100275705 B1 KR100275705 B1 KR 100275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eceiver
transmitter
recept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801A (ko
Inventor
임택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7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RS-232C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232C용 송/수신기와, RS-485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485용 송/수신기와, 외부의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라인을 구비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RS-485용 송/수신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한편,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논리 회로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된 논리 회로에 의해 RS232와 RS485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송/수신하므로, 외부에서 통신 사양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고, 딥 스위치나 점퍼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요소와 RS-485용 송/수신기의 송/수신 방향전환을 위한 제어문제가 배제되어, RS-232C 및 RS-485의 겸용 통신 포트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본 발명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에 채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딥 스위치(dip switch)나 점퍼(jumper)를 사용하지 않고도 RS-232C와 RS-485 겸용 통신 포트를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LC에 있어서, CPU의 통신 포트는 통상 RS-232C와 RS-485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필요로 한다. RS-232C는 통신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로서 컴퓨터와 단말기, 프린터, 플로터, 모뎀 등의 각종 주변장치를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동기 또는 비동기의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이와 같은 RS-232C의 제약을 개선하기 위해서 새로 정한 고속 전송 기능을 갖춘 직렬 통신 규격으로 RS-422 및 RS-423이 있으며, 이보다 한층 더 성능을 개선한 규격이 RS-485이다.
도 1은 RS-232C와 RS-485 통신 인터페이스가 채용된 종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은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11)와, RS-232C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232C용 송/수신기(12)와, RS-485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485용 송/수신기(13)와, 외부의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14)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11)와 RS-232C용 송/수신기(12) 및 RS-485용 송/수신기(13) 사이에 위치되어 그 RS-232C용 송/수신기(12) 및 RS-485용 송/수신기(13)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11)로 전송하는 딥 스위치 또는 점퍼(15)와,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라인(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11)와 RS-485용 송/수신기(13) 사이에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11)로부터의 RS-485용 송/수신기(13)의 송/수신 방향전환을 위한 별도의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한 신호 전송 라인(17)이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종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장치(11)로부터 출력된 송신 데이터는 각각 RS-232C용 송/수신기(12) 및 RS-485용 송/수신기(13)를 거쳐 통신 포트(14)를 통하여 외부의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는 각각 RS-232C용 송/수신기(12) 및 RS-485용 송/수신기(13)를 거쳐 수신된 후, 딥 스위치나 점퍼(15)를 통해 선택된 경로의 데이터만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11)로 전송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딥 스위치나 점퍼에 의해 외부에서 통신 사양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RS-232C 및 RS-485의 겸용 통신 포트의 설계 시, 딥 스위치나 점퍼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요소와 RS-485용 송/수신기의 송/수신 방향전환을 위한 제어문제가 수반되어, 설계자에게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의 기술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딥 스위치나 점퍼와 같은 장치요소와 방향전환을 위한 제어신호의 사용없이도 RS-232C나 RS-485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종래)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11,21...데이터 송/수신 장치
12,22...RS-232C용 송/수신기 13,23...RS-485용 송/수신기
14,24...통신 포트 16,25...데이터 전송 라인
20...(본 발명)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26...논리 회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RS-232C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232C용 송/수신기와, RS-485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485용 송/수신기와, 외부의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라인을 구비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RS-485용 송/수신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한편,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논리 회로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RS-485용 송/수신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NOT" 게이트와,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데 관여하는 "AND"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그 구성에 있어서,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과 크게 다르지는 않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20)은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21)와, RS-232C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232C용 송/수신기(22)와, RS-485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485용 송/수신기(23)와, 외부의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24)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라인(25)을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20)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21)와 RS-232C용 송/수신기(22) 및 RS-485용 송/수신기(23)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21)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RS-485용 송/수신기(13)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한편,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22) 및 RS-485용 송/수신기(23)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21)로 전송하는 논리 회로(26)가 마련되는 점이 종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과 특징적으로 다르다. 여기서, 이와 같은 논리 회로(26)는 상기 RS-485용 송/수신기(23)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NOT" 게이트(26n)와,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22) 및 RS-485용 송/수신기(23)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21)로 전송하는데 관여하는 "AND" 게이트(26a)의 조합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22)는 로직(logic) "1"을 10V로, 로직"0"을 0(zero)V로 변환시켜 주고, 상기 RS-485용 송/수신기(23)는 로직 "1"을 5V로, 로직"0"을 0V로 변환시켜 준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20)에 있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지 않을 때는 송/수신 데이터는 각각의 풀-업(pull-up), 풀-다운(pull-down) 저항들(R1∼R6)에 의해 모두 "1"의 상태로 유지된다. 데이터의 송신 시, 송신 데이터가 "1"이면 통신 포트(24)의 'RS232 TXD'는 RS232 드라이버에 의해 10V(logic 1)를 출력하고, RS485 측은 "NOT" 게이트(26n)에 의해 상기 송신 데이터 "1"이 "0"으로 변환되어 방향결정핀이 수신 상태로 유지되고, 'RS485 T/R+'와 'RS485 T/R-'는 각각 저항 'R5'와 'R6'에 의해 5V, 0V가 되어, 전압차가 5V가 되며, 그 5V(logic 1)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 데이터가 "0"이면 통신 포트(24)의 'RS232 TXD'는 RS232 드라이버에 의해 0V(logic 0)를 유지하고, RS485 측은 "NOT" 게이트(26n)에 의해 상기 송신 데이터 "0"이 "1"로 변환되어 방향결정핀이 송신 상태로 유지되고, 'RS485 T/R+'와 'RS485 T/R-'의 전압차는 OV가 되며, 그 0V(logic 0)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RS232 데이터의 수신 시, 'RS232 RXD' 데이터가 0V/10V(logic 0/1)이면 RS232 송/수신기(22)에 의해 0V/10V(logic 0/1)가 수신되어 논리 회로(26)의 "AND" 게이트(26a)에 입력되고, 이때 RS485 수신값은 5V(logic 1)를 유지하므로, "AND" 게이트(26a)의 출력은 RS232 데이터가 그대로 반영되어 데이터 송/수신 장치(21)로 전송된다. 또한, RS485 데이터의 수신 시, RS485 RXD 데이터가 0V/5V(logic 0/1)이면 RS485 송/수신기(23)에 의해 0V/5V(logic 0/1)가 수신되어 논리 회로(26)의 "AND" 게이트(26a)에 입력되고, 이때 RS232 수신값은 10V(logic 1)를 유지하므로, "AND" 게이트(26a)의 출력은 RS485 데이터가 그대로 반영되어 데이터 송/수신 장치(21)로 전송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종래와는 달리 AND 게이트와 NOT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된 논리 회로에 의해 RS232와 RS485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송/수신하므로, 종래와 같이 딥 스위치나 점퍼에 의해 외부에서 통신 사양을 선택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RS-232C 및 RS-485의 겸용 통신 포트의 설계 시, 딥 스위치나 점퍼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요소와 RS-485용 송/수신기의 송/수신 방향전환을 위한 제어문제가 배제되어, 설계자가 기술적인 부담없이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임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RS-232C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232C용 송/수신기와, RS-485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RS-485용 송/수신기와, 외부의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포트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상호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라인을 구비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 사이에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RS-485용 송/수신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 한편,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논리 회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RS-485용 송/수신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향을 결정하는데 관여하는 "NOT" 게이트와, 상기 RS-232C용 송/수신기 및 RS-485용 송/수신기를 거쳐 수신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데 관여하는 "AND" 게이트의 조합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19980041073A 1998-09-30 1998-09-30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0275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73A KR100275705B1 (ko) 1998-09-30 1998-09-30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73A KR100275705B1 (ko) 1998-09-30 1998-09-30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801A KR20000021801A (ko) 2000-04-25
KR100275705B1 true KR100275705B1 (ko) 2000-12-15

Family

ID=1955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073A KR100275705B1 (ko) 1998-09-30 1998-09-30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33B1 (ko) * 2013-03-18 2018-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공통 통신포트로 rs-232c와 rs-485 통신을 수행하는 시리얼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5316B (zh) * 2019-10-25 2021-07-16 天津航空机电有限公司 一种rs485自动收发隔离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333B1 (ko) * 2013-03-18 2018-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공통 통신포트로 rs-232c와 rs-485 통신을 수행하는 시리얼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801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3623A (en) Switchable multi-mode transceiver interface device
US20180373662A1 (en) I2c device extender for inter-board communication over a single-channel bidirectional link
KR100275705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US4210777A (en) Pseudo-transparent stop bit generator
EP3108607B1 (en) Control of tx/rx mode in serial half-duplex transceiver separately from communicating host
KR101815333B1 (ko) 공통 통신포트로 rs-232c와 rs-485 통신을 수행하는 시리얼 통신 장치
CA2048939C (en) Zero-sync-time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KR100942108B1 (ko) Rs-485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rs-422 통신 처리장치
JPS6376653A (ja) 片整合終端伝送路の終端自動切替方式
KR200156564Y1 (ko) 직렬 통신장치
KR100218395B1 (ko) 멀티-마스터 통신을 이용한 모니터링 기기
GB2074426A (en) Logic circuitry for intercommunication between distant bus systems
KR100263978B1 (ko) 내장형의 멀티 모뎀 시스템
KR200184113Y1 (ko) 데이터 전송 포트용 스위칭 장치
KR100223867B1 (ko)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950002114Y1 (ko)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KR900007677B1 (ko) 다기능 전송제어회로
KR890005367B1 (ko) 상호 신호 변환장치
KR100275566B1 (ko) 피엘씨 통신장치 및 통신방법
SU165841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и передачи дискретных сигналов
KR20050038854A (ko) 데이터 송수신방법
JPH11266209A (ja) 光伝送装置
JPH04223513A (ja) 端末カード
JPH0614087A (ja) 通信距離延長装置
KR20040045144A (ko) 소호 라우터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