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114Y1 -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114Y1
KR950002114Y1 KR2019900001074U KR900001074U KR950002114Y1 KR 950002114 Y1 KR950002114 Y1 KR 950002114Y1 KR 2019900001074 U KR2019900001074 U KR 2019900001074U KR 900001074 U KR900001074 U KR 900001074U KR 950002114 Y1 KR950002114 Y1 KR 950002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ustom
microprocessor
data bus
ke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1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764U (ko
Inventor
이강송
Original Assignee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통신 주식회사, 임종염 filed Critical 금성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1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114Y1/ko
Publication of KR910014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4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in systems involving main and subordinate switching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인터페이스회로도.
제2도는 커스텀 IC의 회로도
제3도는 본고안의 블럭구성도.
제4도는 본고안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퍼 2 : 래치
3 : 커스텀 IC부 4 : M/DM부
IC1,IC2, IC3,IC4: 커스텀 IC B1, B2, B3, : :데이타버스
IC5, IC6: M/DM C1, C2, C3, C4: 콘트롤라인
X, Y :공통압출력단 T1, T2- T11: 키폰
본 고안은 간이교환장치에서 주장치와 키폰사이의 데이타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시에 다수의 키폰과 데이티통신을 행하도록 한것이다.
종래의 간이교환장치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1도와 같이 커스텀IC (IC11)에 디코도 (IC12)를 관련접속시키게 되어 주장치가 키폰과 데이타통신을 하고자할때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콘트롤라인을 이용하여 커스텀 IC (IC11)의 주장치에 키폰으로의 데이타전송 (이하 Tx라 칭함)과 키폰에서 주장치로의 데이타전송 (이하 Rx라 칭함)을 위한 트랜스/디시버단 (Tx/Rx)과 데이타 통신라인중 통신을 하고자 하는 라인과 연결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데이타 입, 출력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타통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호로는 데이타통신을 행할때 주장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하나의 키폰과 데이타통신을 할 수 있으므로 다른 키폰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데이타통신을 할 수 있는 키폰의 수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되는 결점이 있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소하고저 안출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시에 여러대의 키폰과 데이타통신을 할 수 있도록 버퍼 및 래치를 이용하여 커스텀 IC부와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부 (이하 M/DM부라 칭함)를 주장치의 콘트롤 신호에 의해 전기적접속을 콘트롤하에 여러개의 통신라인과 주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연결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본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고안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주장치의 콘트롤라인 (C1, C2)의 레벨에 따라 커스텀 IC의 입력을 데이타버스와 연결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 (도시치 않음)가 데이타버스를 이용하여 키폰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도록한 버퍼부(1)와 콘트롤라인(C1)의 레벨에 따라 커스텀 IC의 출력을 데이타버스를 통해 주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하도록한 래치(2)와, 상기 버퍼(1)와 래치(2)에 전송데이터를 연결시켜 키폰과 마이크로 프로세서와의 전송을 연결하는 커스텀IC부(3)와, 콘트롤라인(C2, C4)에 의해 각 키폰과 커스텀 IC부(3)와의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M/DM(4)를 구비한 관련구성으로 되었다.
제4도는 상기한 본 고안을 실시한 상세회로구성을 나타낸것으로 먼저 버퍼(1)는 일예로 IC HC541을 사용하였으며 래치(2)는 IC HC573을 사용하여 버퍼(1)의 출력단 (Q6- Q7)과 래치(2)의 데이타 입력단 (D0-D7)을 데이타버스(B1)을 통해 주장치에 연결하였다. 또한 버퍼(1)의 데이타 입력단(D0-D7)은 데이타버스(B2)에 연결시키고 래치(2)의 출력단(Q0-Q7)은 데이타버스(B3)에 연결하였다.
한편 커스컴 IC부(3)는 4단의 커스텀 IC (IC1, IC2, IC3, IC4)를 구비시킨 구성으로 하였는데 각 커스텀 IC (IC1-IC4)의 데이타입력단(DI1, DI2)을 상기 데이타버스(B2)에 연결하여 버퍼(1) 연결되게 하고, 커스텀IC(IC1-IC4)의 데이터출력단(DO1,DO2)인 데이타버스(B3)에 연결시켜 래치(2)의 출력단 (Q0-Q7)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M/DM부(4)는 IC HC4052인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IC (이하 M/DM이라 칭함)를 2단으로 실시하였는데 일단의 M/DM (IC3)의 공통입출력단 (X, Y)을 커스텀 IC (IC2) (IC2)의 각 Tx/Rx단에 각각 접속시키고 다음단의 M/DM (IC6)의 공통입출력단 (X, Y)는 커스텀 IC (IC3) (IC4)의 Tx/Rx단에 각기 접속시키며 각 M/DM (IC5) (IC6)의 아날로그 입/출력단 (X0, X1, X2, Y0, Y1, Y2)은 데이타통신라인을 통해 각 키폰 (T1-T12)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한편 주장치의 콘트롤라인 (C1)은 래치(2)의 래치인에이블단 (LE)에 연결되고, 콘트롤라인(C2)는 버퍼 (IC1)의 G2단에 연결하며 콘트롤 라인 (C3, C4)은 각 M/DM (IC5, IC6)의 각 찬넬섹렉트 입력단 (A,B)에 각각 연결하여 주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콘트롤라인 (C1-C4)의 레벨을 콘트롤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각 키폰과의 연결을 콘트롤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및 효과는 먼저 데이타통신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콘트롤라인 (C3, C4)의 값은 [표-1]과 같다.
[표-1]
주장치가 키폰으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콘트롤 라인 (C1, C2)을 로직 "H"로 하면 데이타버스 (B2)의 D0, D1을 이용하여 키폰 (T1, T2, T3)에 데이타를 전송하고 D2, D9를 이용하여서는 T4, T5, T6에 데이타를 전송하며 D4, D5를 이용하여서는 T7, T8, T9와, D6, D7을 통해서는 T10, T11, T12와 데이타를 전송하게 되는데 주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데이타를 키폰으로 전송하기 의해서는 즉 Tx하기 위해서는 콘트롤라인(C1, C2)을 로직 "H"로 하여 데이타버스 (B2)와 커스텀 IC부(3)의 각 입력측과 연결시키게 하고 키폰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즉 Rx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트롤 라인 (C1, C2)을 모두 로직 "L"로 하여 커스텀 IC(3)의 각 출력측이 데이타버스(B2)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라인(C1, C2)를 각기 로직 "H"로 하면 버퍼 (1)의 데이타입력단 (D0-D7)과 연결된 각 커스텀 IC(IC1-IC4)의 각 데이타입력단(야1, DI2)이 데이타버스 (B2)의 D0-D7과는 오프된 상태로 되고 래치(2)의 출력단(Q0-Q7)과 연결된 커스텀 IC (IC1-IC4)의 데이타 출력단 (DO1,DO2)이 데이타버스 (B3)의 Q0-Q7과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커스텀 IC스펙값(OV 또는 5V)의 변화를 주어 각 커스텀 IC (IC1-IC4)의 Tx/Rx단 값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표-1]과 같이 콘트롤라인 (C3, C4)의 값을 결정하면 각 키폰 (T1-T12)을 선택적으로 연결하게 되어 데이타 통신을 행하게 된다.
즉 M/DM부(4)의 각 M/DM(IC5, IC6)의 키폰연결단(X0, X1, X2) (Y0, Y1, Y2)이 각기 한그룹의 키폰과 연결되어 [표-1]과 같은 콘트롤라인 (C3, C4)의 레벨에 따라 각 그룹에서 각기 일측의 키폰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Tx, Rx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스텀 IC는 <표-2> <표-3>와 같은 전송 및 수신의 진리값을 갖는다.
[표-2]
[표-3]
본 고안의 한동작예를 들면 주장치에서 콘트롤라인 (C1, C2)에 로직 "H"를 인가하고 콘트롤라인 (C2, C4)에는 각기 로직 "L"로 하였다면 M/DM(IC5, IC6)의 각 입출력단 (X0-X2) (Y0-Y2)에서 각 X0단 Y0단이 공통입출력단 (X,Y)의 각 X단, Y단에 연결되어 키폰은 (T1, T4, T7, T10)만이 커스텀 IC부 (3)의 각 커스텀 IC (IC1-IC4)의 Tx/Rx단에 연결된다.
또한 콘트롤라인 (C1,C2)이 각기 로직 "H"이므로 Tx가 행해진다.
이때 Rx를 행하고자 할때는 상기 콘트롤라인 (C1, C2)의 값을 로직 "L"로 하면 키폰 (T1, T4, T7, T10)에서 보내지는 정보가 주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측으로 전송된다.
즉 콘트롤라인 (C3, C4)이 모두 로직 "L"이므로 M/DM(IC5)의 공통입출력단(X)과 키폰(T1)이 연결되고 Y와 T4가 연결되며 M/DM(IC5)의 X와 T7, Y와 T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콘트롤라인 (C1, C2)이 로직 " L"이므로 커스텀 IC (IC1-IC4)의 데이타출력단 (DO1, DO2)이 연결된 래치 (2)의 출력단 (Q0-Q7)은 데이타버스(B8)와는 오프된 상태가 되고, 커스텀 IC (IC1-IC4)의 데이타입력단 (DI1, DI2)이 연결된 버퍼 (1)의 입력단 (D0-D7)은 데이타버스 (B2)와 연결된다.
따라서 키폰(T1)의 데이타는 데이타버스 (B2)의 D0, D1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되고 키폰(T4)에서 보내지는 데이타는 데이타버스 (B2)의 D2, D3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되며 키폰(T7)은 데이타버스(B2)의 D4, D5를 통해, 키폰 (T10)은 데이타버스 (B2)의 D6, D7,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키폰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트롤라인 (C3, C4)의 레벨을 변경하면 된다.
이와같이 데이타버스 (B2)의 D0~D7은 키폰으로 데이타를 전송할때의 전송로로되고 데이타버스(B3)의 Q0-Q7는 키폰으로부터 데이타를 받을때 데이타의 전송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트롤라인의 레벨을 선택결정하여 하나의 마이프로프로세서로써 동시에 다수의 키폰과의 데이타통신을 행하게 되고 Rx, Tx를 결정하게 되므로 전체 데이타통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되어 고속의 통신운영에 매우 적합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간이교환 장치이 주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다수대의 키폰간에 데이타 통신을 행하도록한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데이타버스 (B1)에 각 출력단을 연결하고 데이타버스 (B2)에 각 데이타 입력단을 연결하여 콘트롤라인 (C2)의 신호 레벨에 의해 키폰에서 주장치로의 데이타 전송 (RX)을 하도록 한 버퍼(1)와, 데이터버스(B1)에 데이타 입력단을 연결하고 데이타버스 (B3)에 출력단을 연결하여 콘트롤라인 (C1)의 신호 레벨에 의해 주장치에서 키폰으로의 데이타 전송(Tx)을 행하는 래치(2)와, 다수개의 커스텀 IC (IC1-IC4)를 구비하여 상기 데이타버스(B2) (B3)에 각 입.출력단(DI1, DI2, DO1, DO2)을 상호접속시켜 상기 Rx, Tx기능을 전환 선택하는 커스텀 IC부(3)와, 각 키폰 (T1-T12)을 연결하는 M/DM부 (IC5, IC6)을 구비하여 콘트롤라인(C8, C4)의 신호레벨에 의해 각 공통입출력단(X, Y)과 각 키폰(T1-T12)라인의 선택을 행하는 M/DM부(4)를 구비하여 주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동시에 다수개의 카폰과 데이타 통신을 행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KR2019900001074U 1990-01-31 1990-01-31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KR950002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074U KR950002114Y1 (ko) 1990-01-31 1990-01-31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1074U KR950002114Y1 (ko) 1990-01-31 1990-01-31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64U KR910014764U (ko) 1991-08-31
KR950002114Y1 true KR950002114Y1 (ko) 1995-03-24

Family

ID=1929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1074U KR950002114Y1 (ko) 1990-01-31 1990-01-31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1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764U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8392C (en) Multi-functional port
KR980006296A (ko) 적응성 입력-출력 포트를 갖는 집적 회로 칩과 이의 전기적 시스템
CA2219360A1 (en) Single-chip software configurable transceiver for asymmetric communication system
KR950002114Y1 (ko) 데이타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회로
KR100359422B1 (ko) 시리얼 통신회로
CA2100702C (en) Option bus
KR100263978B1 (ko) 내장형의 멀티 모뎀 시스템
KR920006553B1 (ko) 데이타 통신장치 및 그 통신방법
CN214474974U (zh) 一种实现信号复用的转换电路
JPH0370423B2 (ko)
GB2251766A (en) Key telephone device
KR910006678B1 (ko) 데이타 통신용 인터페이스회로
KR100257596B1 (ko) 3단 스위치 버퍼를 사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회로
KR950004949B1 (ko) 키폰 주장치의 메인카드와 로칼카드간의 고속 데이타 송/수신 회로
KR950003902Y1 (ko) 겸용 포트 인테페이스 회로
KR100202993B1 (ko)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US59784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o a modem in a key telephone
KR20000009541A (ko) 직렬통신장치 및 방법
KR100390579B1 (ko) 상위 보드 및 하위 보드간 멀티 통신 장치 및 방법
KR0164420B1 (ko) 키폰전화기에서 통화회로의 크로스토크 방지장치
KR910002622B1 (ko) 다중주파수 송수신 및 싱글톤 감지회로
KR900006189Y1 (ko) 데이터 전송회로
KR20010055468A (ko) 소호 라우터의 인터페이스 선택 회로
KR200211594Y1 (ko) 두 개의 터미널 접속 규격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0557108B1 (ko) 교환시스템의 타이밍 동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