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485B1 -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 Google Patents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485B1
KR100275485B1 KR1019970073027A KR19970073027A KR100275485B1 KR 100275485 B1 KR100275485 B1 KR 100275485B1 KR 1019970073027 A KR1019970073027 A KR 1019970073027A KR 19970073027 A KR19970073027 A KR 19970073027A KR 100275485 B1 KR100275485 B1 KR 100275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converter
inrush current
capacitor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404A (ko
Inventor
남상식
이성일
이종현
나원산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3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4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1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DC-D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02H1/043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to inrush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절체 회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액티브(ACTIVE) 상태로 동작중인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되는 순간부터 일정한 시간동안 전원을 유지시켜 시스템 정보를 절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원 인가시 발생되는 순간적인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을 명령받아 입력 전원을 안정화시키고 구동 명령을 지연하여 전달하며,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 정지를 명령받아 절체 신호를 전송하고 구동 정지 명령을 지연하여 전달하기 위한 절체수단; 상기 절체수단으로부터 구동 명령 또는 구동 정지 명령을 받아 전원의 연결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원의 연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전원 연결 및 전원 연결 해제를 지연시켜 처리하기 위한 돌입전류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운영방식이 2중으로 구성된 교환기 시스템 내부에 장착되어 돌입전류 방지 및 서브시스템간 절체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CIRCUIT FOR CHANGING SYSTEM AND PROTECTING OF IN-RUSH CURRENT IN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영방식이 2중(ACTIVE/STAND-BY)으로 구성된 교환기 시스템 내부에 장착되어 돌입전류 방지 및 서브시스템간 시스템 절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직류/직류 컨버터는, 퓨즈(1)와, 돌입 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부(2)와, 이중화 절체신호 감지부(3)와, 이엠아이(EMI : Electro Magnetic Interface) 여파 및 입력 역극성 보호부(4)와, 스위칭부(5)와, 변압기(6)와, 정류 및 출력 여파부(7)와, 보조전원(8)과, 제 1 제어 및 보호부(9)와, 제 2 제어 및 보호부(10)와, 경고부(11)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직류/직류 컨버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i)은 퓨즈(1)를 통해 입력된다.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부(2)의 전단에 전원스위치가 위치하는데, 이 전원스위치가 온(On)되어지면,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부(2)에서 전원스위치의 온(On)에 따른 돌입전류 발생을 방지한다.
전원은, EMI 여파 및 입력 역극성 보호부(4)를 통해 스위칭부(5)로 인가된다. 또한,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부(2)에서는 전원스위치가 오프(Off)되는 경우에, 전원 차단신호를 이중화 절체신호 감지부(3)에 보내어 서브시스템을 절체하도록 한다.
이어서, 스위칭부(5)는 보조전원(8)에 의해 동작전압을 공급받는 제 1 제어 및 보호부(9)에 의해 제어되어 변압기(6)에 2차 전압을 유기시킨다. 변압기(6)에서 출력되는 유기 전압은 정류 및 출력 여파부(7)에서 소정의 직류 출력 전압으로 정류 및 여파된 후 출력된다.
제 2 제어 및 보호부(10)는 정류 및 출력 여파부(7)의 출력전압을 감지하여 감지 결과에 따라 제 1 제어 및 보호부(9)에 피드백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감지된 출력전압이 이상상태, 즉 과전류 또는 과전압 상태로 될 때, 경고부(11)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울린다.
도 2 는 종래의 돌입전류 방지 회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돌입전류 방지 회로는, 제 1 스위칭 소자(Q2)의 게이트로 입력되는 피더블유엠(PWM :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어, 트랜스포머(T1)로 인가되는 입력전원(Vi)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칭 소자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 Field Effect Transistor)(Q2)와, 상기 트랜스포머(T1)와 FET(Q2)의 소스 단자 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와, 입력전원(Vi)의 (+)/(-) 양단에 연결된 시정수회로(20)와, 시정수 회로(20)를 통해 게이트 구동 전압을 공급 받으며, 그 드레인 단자가 상기 커패시터(C1)의 부극성 단자와 상기 FET(Q2)의 소스 단자에 공급된 제2 스위칭 소자인 FET(Q1)와, 이 FET(Q1)의 소스-드레인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이 FET(Q1)의 오프(OFF)시 상기 커패시터(C1)에 FET(Q1)의 소스 단자 (-)극성의 입력전원(Vi)을 인가시키는 저항(R3)과, 최초 전원 투입시 각 FET(Q1, Q2)의 게이트 전압을 접지, 즉 입력전원(Vi)의 (-)단자로 접지시켜서, FET(Q1, Q2)들을 오프(OFF)시키기 위한 스위치(SW)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시정수 회로부(20)는 입력전원(Vi)을 분압시키기 위한 분압 저항(R1, R2)과, 커패시터(C2) 및 제너다이오드(ZD1)로 구성된다.
이 설명 부호중 D1, D2는 상기 스위치의 단락/개방시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돌입전류 방지 회로가 구비된 직류/직류 컨버터의 경우에, 액티브(ACTIVE)와 스탠바이(STAND-BY)의 2중 방식으로 동작하는 두 서브시스템중 한 서브시스템이 액티브(ACTIVE) 동작중 전원이 차단될 때, 액티브(ACTIVE) 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정보를 스탠바이(STAND-BY)로 동작하는 시스템에 전달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스위치가 오프(OFF)되는 순간 상기 종래의 직류/직류 컨버터 출력이 바로 차단되어, 시스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티브(ACTIVE) 상태로 동작중인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되는 순간부터 일정한 시간동안 전원을 유지시켜 시스템 정보를 절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원 인가시 발생되는 순간적인 돌입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돌입전류 방지 회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의 일실시예 출력 전압 타이밍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적용시와 미적용시의 시간에 대한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퓨즈 2: 돌입 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부
3: 이중화 절체신호 감지부 4: 여파 및 입력 역극성 보호부
5: 스위칭부 6: 변압기
7: 정류 및 출력 여파부 8: 보조전원
9: 제 1 제어 및 보호부 10: 제 2 제어 및 보호부
11: 경고부 310: 돌입전류 방지부
320: 구동부 330: 이중화 절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을 명령받아 입력 전원을 안정화시키고 구동 명령을 지연하여 전달하며,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 정지를 명령받아 절체 신호를 전송하고 구동 정지 명령을 지연하여 전달하기 위한 절체수단; 상기 절체수단으로부터 구동 명령 또는 구동 정지 명령을 받아 전원의 연결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원의 연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전원 연결 및 전원 연결 해제를 지연시켜 처리하기 위한 돌입전류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는,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돌입전류 방지부(310)와, 상기 돌입전류 방지부(310)와 PWM 소자(IC : Integrated Circuit)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320)와, 시스템의 절체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이중화 절체부(330)를 구비한다.
돌입전류 방지부(310)는 출력전원(Vo)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C1)와,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 연결된 저항(제1 저항(R1), 제2 저항(R2))들과, 게이트가 제1 및 제2 저항(R1, R2) 사이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제1 커패시터(C1)에 연결되고, 소오스가 제2 저항(R2)에 연결된 FET(Q1)와, FET(Q1)의 드레인과 소오스간에 연결된 제3 저항(R3)과, 제2 저항(R2)에 병렬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와, 양극이 FET(Q1)의 게이트에 연결되어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1)를 구비한다.
구동부(320)는 돌입전류 방지부(310)의 다이오드(D1)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릴레이 스위치(RY1-1)와, 외부의 PWM 소자의 동작을 위해 스위칭하는 제 2 릴레리 스위치(RY1-2)와, 제 1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RY1-1, RY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RY1)와, 전원(Vi)의 양극(+)과 릴레이(RY1) 사이에 연결된 제6 저항(R6)과, 컬렉터가 릴레이(RY1)에 연결되고, 베이스가 이중화 절체부(330)에 연결되며, 에미터가 제 1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 스위치(RY1-1, RY1-2)에 공통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TR1)를 구비한다.
이중화 절체부(330)는 전원의 차단을 명령받아 스위칭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SW1-1, SW1-2)와, 제 1 스위치(SW1-1)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안정화시켜 인가하는 정전류부(331)와, 정전류부(331)에 연결된 제4 저항(R4)과, 제4 저항(R4)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 시간을 지연하기 위한 지연부(332)를 구비한다.
지연부(332)는 제4 저항(R4)과 제2 스위치(SW1-2) 사이에 연결된 제3 커패시터(C3)와, 제3 커패시터(C3)에 병렬 연결된 제5 저항(R5)을 구비한다.
정전류부(331)는 제2 및 제3 트랜지스터(TR2, 3)와 제7 및 제8 저항(R7, R8)로 구성되며 제2 트랜지스터(TR2)와 제7 저항(R7)을 통하여 정전류가 흐르게 되며, 제3 트랜지스터(TR3)와 제8 저항(R8)에 의해 전류가 제어되도록 한다. 이러한 정전류부(331)는 정전류 기능을 담당하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정전류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돌입전류 방지용 절체 회로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류/직류 컨버터의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입력 전압이 투입되고 있지만, FET(Q1)가 차단되어 있고 제3 저항(R3)만을 통하여 제1 커패시터(C1)에 일부 전압이 서서히 충전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가 켜지는 순간 제1 스위치(SW1-1) 부분을 통하여 전원이 투입되고, 정전류부(331)를 지나면서 제3 커패시터(C3)의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충전이 완료된다.
제4 저항(R4)과 제5 저항(R5)으로 나누어진 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원이 제1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키고, 그와 직렬로 구성된 릴레이(RY1)가 동작되어, 제1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RY1-1, RY1-2) 접점이 떨어진다. 그리하여, 제1 릴레이 스위치(RY1-1)의 접점이 PWM 소자의 온/오프(ON/OFF) 단자를 접지(GND)에서 분리하면, PWM 소자가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에, 제2 릴레이 스위치(RY1-2)의 접점이 개방되었으므로, 제1 저항(R1)을 통해서 제2 커패시터(C2)가 충전된다.
그리고, 제2 커패시터(C2)에 정전류로 전원이 충전되므로 이 시간 동안 제3 저항(R3)을 통하여 제1 커패시터(C1)가 먼저 충전된다. 따라서, 제3 저항(R3)으로 전원이 공급될 때 입력전압/제3 저항(Vi/R3)값 이상의 돌입전류가 발생할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원이 차단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스위치가 오프(OFF)되는 순간, 이중화 절체부(330)의 제2 스위치(SW1-2)가 오프(OFF)되면서 이중화 절체신호가 시스템에 보내져 시스템 정보를 절체할 수 있다. 즉, 시스템으로 향하는 이중화 절체신호가 제2 스위치(SW1-2)가 동작중에는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어 접지된 상태였으나, 제2 스위치(SW1-2)가 오프(OFF)되면서 이중화 절체신호가 소정 전압을 갖게 되어,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절체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후에, 제1 스위치(SW1-1)에 인가된 전원은 차단되고,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값과 제5 저항(R5)을 통하여 시정수 값으로 방전이 완료된 후에, 제1 트랜지스터(TR1)가 턴오프되고, 제1 및 제2 릴레이 스위치(RY1-1, RY1-2)가 붙으므로서 PWM 소자가 접지(GND)로 연결되어 턴오프되고, 결국 FET(Q1)가 차단된다.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순간부터 FET(Q1)가 차단되는 시간 동안 출력전원(Vo)은 유지되므로, 그 여유시간동안 시스템 절체를 할 수 있다.
다이오드(D1)는 역극성 전원에 따른 FET(Q1)의 보호 역할을 하며, 제6 저항(R6)은 릴레이(RY1)와 제1 트랜지스터(TR1)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한다.
상기한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에 대해 정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한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는,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에서는 FET(Q1)가 동작하지 않고, 출력전압(Vo)은 제3 저항(R3)을 거치게 됨으로 해서 제대로된 출력을 얻을 수 없다.
스위치가 온(On)되면 정전류 회로(331)를 거쳐 지연부(332)의 제3 커패시터(C3)가 충전된 후에, 구동부(320)의 트랜지스터(TR)가 동작하고 릴레이(RY1)도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릴레이 스위치(RY1-1, RY1-2)가 오프(Off)되며, 제1 릴레이 스위치(RY1-1)가 연결 해제되어, 접지에 연결되었던 PWM 소자(IC)가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제2 릴레이 스위치(RY1-2)가 오프(Off)됨으로써 FET(Q1)의 게이트와 소스에 병렬 연결된 제2 커패시터(C2)가 충전되고, 이 제2 커패시터(C2)가 충전된 후에 FET(Q1)의 드레인에 소정의 전압이 걸려 FET(Q1)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제3 저항(R3)을 통해 미약하게 충전돼있던 커패시터(C1)는 돌입전류가 발생하여도 그 값은 입력전압(Vi)을 제3 저항(R3)값으로 나눈 값 이상이 될 수는 없다.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에서, 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이중화 절체신호는 접지 상태에서 소정 전압의 상태로 바뀌며 절체를 즉각 통보하게 되지만, 출력 전압(Vo)에 있어서는, 이중화 절체부(330)의 제3 커패시터(C3)가 방전된 후에, 릴레이(RY1)가 동작하고, 그 후에, FET(Q1)가 차단되며, FET(Q1)가 차단된 후, 제1 커패시터(C1)가 방전됨으로 해서 스위치가 오프(Off)된 후에도 출력전압(Vo)을 소정 시간 유지할 수 있어 시스템 절체에 따른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도 3 에서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는 도 1 에 제시된 직류/직류 컨버터를 구성하므로 도 3 에 제시된 신호의 흐름은 도 1 과 같이 외부에 연결 처리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이중화 절체 회로의 일실시예 출력 전압 타이밍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적용시와 미적용시의 시간에 대한 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직류/직류 컨버터와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은 직류/직류 컨버터의 입력 평균전류를 살펴보면 미적용시보다 더 낮은 평균전류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는, 돌입전류 방지회로와 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그의 작동을 제어하고 시스템에 절체신호를 보낼 수 있는 일정한 시간동안 전원을 유지시키도록 구성함에 따라 한 서브시스템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다른 서브시스템의 정보를 절체할 수 있어 항상 안정된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서브시스템간의 절체를 담당하는 절체 회로가 돌입전류 방지 회로와 함께 구성됨으로 절체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도 함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 및 절체 회로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을 명령받아 입력 전원을 안정화시키고 구동 명령을 지연하여 전달하며,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 정지를 명령받아 절체 신호를 전송하고 구동 정지 명령을 지연하여 전달하기 위한 절체수단;
    상기 절체수단으로부터 구동 명령 또는 구동 정지 명령을 받아 전원의 연결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수단; 및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전원의 연결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전원 연결 및 전원 연결 해제를 지연시켜 처리하기 위한 돌입전류 방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수단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 명령에 따라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스위칭수단;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의 구동 명령에 따라 절체신호의 전달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2 스위칭수단;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을 통해 인가된 상기 전원을 안정화시켜 인가하는 정전류수단;
    상기 정전류수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전압 강하를 수행하기 위한 제1 저항; 및
    상기 제1 저항에 연결되어 전류의 흐름 시간을 지연하기 위한 지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수단은,
    전류의 흐름 시간을 소정 시간 지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저항과 제2 스위칭수단 사이에 연결된 제1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에 병렬 연결된 제2 저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절체수단으로부터의 구동 명령 또는 구동 정지 명령에 따라 전류의 인가를 스위칭 처리하기 위한 제3 스위칭수단;
    상기 제3 스위칭수단에 의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전원의 연결 및 연결 해제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수단;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외부로 연결되는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제4 스위칭수단;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돌입전류 방지수단으로 연결되는 전원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제5 스위칭수단; 및
    전원의 양극과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과 상기 제3 스위칭수단에 흐르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제3 저항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칭수단은,
    컬렉터가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에 연결되고, 베이스가 상기 절체수단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전원의 음극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입전류 방지수단은,
    전원의 연결을 지연시켜 상기 돌입전류를 방지하고, 전원의 연결 해제를 지연시켜 절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전원 연결 제어 명령을 지연시켜 전달하기 위한 제2 커패시터;
    상기 제2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지연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제4 저항;
    상기 제2 커패시터에 의해 지연 처리된 전원 연결 제어 명령을 받아 상기 전원의 연결 스위칭을 처리하기 위한 제6 스위칭수단;
    상기 제6 스위칭수단의 전원 연결에 따라 출력 전압을 지연시키기 위한 제3 커패시터;
    전원의 양극과 상기 제2 커패시터, 상기 제4 저항 및 상기 제6 스위칭수단 사이에 위치하여 흐르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제5 저항; 및
    상기 제6 스위칭수단에 의해 스위칭되는 양 단자에 연결되어 전원 연결 해제시에도 소정의 전압을 상기 제3 커패시터에 제공하기 위한 제6 저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스위칭수단은,
    게이트가 상기 제5 저항과 상기 제2 커패시터 및 상기 제4 저항 사이에 연결되며, 소스가 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상기 제3 커패시터 및 출력 전압의 음극에 연결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
    를 포함하는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레인과 상기 구동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류 방지수단은,
    양극이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음극이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된 다이오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직류/직류 컨버터의 돌입전류 방지용 이중화 절체 장치.
KR1019970073027A 1997-12-24 1997-12-24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KR100275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027A KR100275485B1 (ko) 1997-12-24 1997-12-24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027A KR100275485B1 (ko) 1997-12-24 1997-12-24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404A KR19990053404A (ko) 1999-07-15
KR100275485B1 true KR100275485B1 (ko) 2001-01-15

Family

ID=4074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027A KR100275485B1 (ko) 1997-12-24 1997-12-24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4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272A (ko) * 2005-01-04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갑작스런 전원 유입에 의한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진ic칩과, 이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KR100721264B1 (ko) * 2006-01-31 2007-05-31 (주)아스텍 신호 지연을 이용한 순간 정전 방지 시스템 및 개조 방법
KR102562539B1 (ko) * 2021-09-17 2023-08-03 지에프텍 주식회사 시스템부하 전원 공급 장치의 릴레이 고장 모드 보강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404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871A (en) Power supply with inrush current limiter
US5930130A (en) Inrush protection circuit
EP1309060B1 (en) High voltage discharge lamp device
US5138515A (en) Pulse-controlled gate circuit with protection against short-circuit
US7835119B2 (en) Short-circuit control in the inductance of a voltage step-up converter
JP2007014193A (ja) デュアルゲート双方向hemtをもつ効率的な突入電流制限回路
CN110299835B (zh) 用于为开关转换器供电的系统和方法
EP0299088B1 (en) Pre-drive circuit
JP3993246B2 (ja) 改良形始動回路を有するスイッチトモード電源
US20040264084A1 (en) Polarity protection implemented with a mosfet
JP349707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WO2018131307A1 (ja) アーク抑制装置
KR100275485B1 (ko) 직류/직류컨버터의돌입전류방지및절체회로
US5825099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ircuit
JP3564694B2 (ja) 突入電流抑止装置
EP1058373A1 (en) Protection circuit for a switch, and a switched-mode power supply
JP2003133926A (ja) 突入電流抑止回路
KR20170095145A (ko) Dc-dc 컨버터
CN110768532B (zh) 道岔控制芯片的电源管理装置和道岔控制系统
WO1998038727A2 (en)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turned on and off in certain sequence
JPH1010845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用制御回路
CN217035537U (zh) 一种磁保持继电器驱动电路及电子设备
JP2004048888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JPH10143259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JP7353809B2 (ja)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