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430B1 - 테이프 로딩 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로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430B1
KR100275430B1 KR1019940011515A KR19940011515A KR100275430B1 KR 100275430 B1 KR100275430 B1 KR 100275430B1 KR 1019940011515 A KR1019940011515 A KR 1019940011515A KR 19940011515 A KR19940011515 A KR 19940011515A KR 100275430 B1 KR100275430 B1 KR 10027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link plate
guide
tap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1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다마사히꼬
야마기시히로마사
요네다하루히꼬
스즈끼아끼히로
오꾸이에다까히로
다까오오사무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30B1/ko

Link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도 가이드 블록을 원활하게 미끄러지게 하기 의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 로딩 장치에 있어서, 샤시 상의 안내홈(122)를 따라 미끄러지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를 링크만(424)를 거쳐서 회전 레버(420)에 피봇 연결하고, 선도 가이드 블록에는 링크만(424)의 선단을 얹어서 지지하는 지지편(807)을 돌출 설치하고 있다. 링크판의 선단은 이 가이드 블록의 지지면(807)에 얹어서 지지되고, 링그만의 선단이 하방으로 위치 어굿나거나, 혹은 이 블록의 축(805)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갈 수 있으며, 링크만 선단의 높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 가이드 블록(804)로 부터의 빠짐에 기인한 링크만(424)와 회전 레버(420)의 피봇 연결부의 뒤집어짐, 혹은 테이프 선도 가이드의 동작 불능을 해소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로딩 기구
제1도는 테이프 로딩 완료 상태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선도 가이드 블록이 대기 위치에 있는 로딩 장치의 평면도.
제3도는 T측 선도 가이드 블록의 전진 위치의 평면도.
제4도는 선도 가이드 블록과 링크판의 조립시의 설명도.
제5도는 선도 가이드 블록과 링크판의 사시도.
제6도는 선도 가이드 블록과 링크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7도는 보조 샤시의 부착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샤시 122 : 안내홈
125 : 보조 샤시 804 : 선도 가이드 블록
807 : 지지편
본 발명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 내에 수납된 자기 테이프를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에 의해 카세트 내로부터 인출하고, 회전 실린더에 감아 주는 테이프 로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로딩 기구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OO) 상에 카세트(600)의 장착 위치로부터 회전 실린더(800)의 양측을 향해 한 쌍의 안내홈(122)이 설치되고, 이 안내홈(122)에 주행 가능하게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배치되어 있다.
제2도와 같이, 샤시(100)에는 이면측에 한 쌍의 회전 레버(420)(420)가 배치되고, 각 회전 레버(420)와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링크판(424)을 거쳐서 피봇 연결되어 있다.
회전 레버(420)(420)가 서로 역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카세트(600)로부터 자기 테이프(601)를 인출하여 회전 실린더(800)에 감아주는 테이프 로딩이 행해지고(제1도), 또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카세트측의 대기 위치로 복귀하여 테이프를 카세트에 수납하는 테이프 언로딩이 행해진다(제2도).
상기 로딩 장치에 있어서, 링크판(424)의 기부단은 회전 레버(420)의 자유단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피봇되어 있으나, 링크판(424)의 선단은 디프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된 구멍(426)에 선도 가이드 블록(804)에 하향으로 돌출 설치된 축(805)을 회전 가능하게 끼워넣고 있을 뿐이며, 링크판(424)의 선단의 높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링크판(424)은 높이 방향의 어긋남에 대해서는 회전 레버(420)에 외팔보형으로 지지되어 있는 데 불과하다.
따라서, 테이프의 로딩, 언로딩 동작시에, 얼마간의 진동, 충격이 가해지면, 링크판(424)이 휘어져서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축(805)이 링크판(424)의 구멍(426)으로부터 빠져 나오고, 링크판(424)과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연결이 풀릴 우려가 있다.
링크판(424)과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연결이 풀리지 않는다 해도, 링크판(424) 선단의 위치가 아래로 어긋나 피봇부에 무리가 가고, 링크판(424)과 회전 레버(420)의 피봇 연결부가 뒤집어져서, 테이프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위치 결정 성능이 나빠지거나, 혹은 테이프 선도 가이드의 동작 불능을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한 테이프 로딩 장치를 명백히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테이프 로딩 장치는, 샤시(100) 상의 안내홈(122)(122)을 따라 미끄러지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804)에 의해 카세트(600)로부터 자기 테이프(601)를 인출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에 있어서, 이 로딩 기구는, 샤시(10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 레버(420)(420)와, 각 회전 레버(420)와 선도 가이드 블록(804)을 피봇 연결하는 링크판(424)에 의해 구성되고, 선도 가이드 블록(804)에는 링크판(424)의 선단을 앉어서 지지하는 지지편(807)을 돌출 설치하고 있다.
링크판(424)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측 선단은 이 가이드 블록(804)에 설치된 지지편(807)에 얹어서 지지되기 때문에, 테이프 로딩 장치에 얼마간의 진동, 충격이 가해져도 링크판(424)의 선단이 하방으로 그 위치가 어긋나거나, 혹은 이 블록(804)의 축(805)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판(424) 선단의 높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 가이드 블록(804)으로 부터의 빠짐에 기인한 링크판(424)과 회전 레버(420)의 피봇 연결부의 뒤집어짐, 테이프 선도 가이드의 동작 불능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제1도는 VHS 방식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에 사용되고 있는 소위 M-로딩식의 테이프 로딩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샤시(100) 상에는 전방의 카세트 장전부에 권취측 및 공급측인 한 쌍의 릴 대(200a, 200b)가 배치되고, 후방에 회전 실린더(800)가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 장전부로부터 회전 실린더(800)의 양측을 향해서 한 쌍의 안내홈(122)(122)가 설치되고,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안내홈(122)의 회전 실린더(800)측의 단부는 확대되어 창 구멍(124)을 형성하고 있다.
샤시(100)의 후방부에는 보조 샤시(125)가 나사 고정되어 씌워지고, 이 보조 샤시(125)의 양측에는 하면에 상기 안내홈 안쪽 끝의 창 구멍(124)에 끼워지는 돌출부(127), 상면에 회전 실린더(800)를 축심을 기울여서 지지하는 경사대(12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27)에는 샤시(100)의 안내홈(122)에 연속하는 보조 안내홈(126)이 설치되고, 또 보조 안내홈(126)의 안쪽 끝 위치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테이프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전진단을 규제하는 캐처(80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각 안내홈(122)에는 카세트(600)로부터 자기 테이프(601)를 인출하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 실린더(800)에 대해서 좌측의 테이프 공급측을 S측, 우측의 테이프 권취측을 T측이라고 한다.
각 선도 가이드 블록(804)에는 경사핀(802)과 안내 롤러(801)가 각각 설치되며,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대기 위치에서 경사핀(802) 및 안내 롤러(801)는 카세트(600) 내의 절결부(602)에 끼워져 있다. 양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자기 테이프(601)를 인출하면서 안내홈(122)을 따라 전진하고, 캐처(806)와의 맞닿음 위치까지 이동하면, 자기 테이프(601)는 회전 실린더(800)에 감겨지고, 로딩이 완료된다.
테이프 로딩의 완료시, 카세트(600)의 S측 릴 대(200a)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601)는 백 텐션 레버(720)에 세워 설치된 텐션 핀(721)에 감겨지고, 완전소거헤드(920)에 접촉한다. 백 텐션 레버(720)는 S측 릴 대(200a)의 외주벽에 감겨진 텐션 밴드(722)를 인장하고, S측 릴 대(200a)에 소정의 회전 부하를 주며, S측 릴 대(200a)로부터 송출된 자기 테이프의 안정 주행을 보장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회전 실린더(800)에 감겨진 자기 테이프(601)는 제어 헤드(921)를 경유하여 핀치 롤러(503)와 캡스턴 모터(500)의 회전축(502)에 끼워져 반송되고, T측 릴 대(200b)에 권취된다.
제2도는 양 선도 가이드 블록(804)를 대기 위치와 테이프 로딩 완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본 발명의 로딩 기구의 평면도이다.
샤시(100)의 이면측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대기 위치 근방에서, 서로 맞물리는 한 쌍의 구동 기어(320)(320)가 배치되고, 어느 한쪽의 기어에 회전 구동 장치(도시 안됨)가 연결된다.
각 기어(320)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로딩 장치는 S측, T측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의 기재에서는 T측의 로딩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 기어(320) 상에 이 기어와 동심으로 회전 레버(420)가 부착되고, 이 레버(420)와 상기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링크판(424)에 의해서 연결된다.
링크판(424)의 기부단은 회전 레버(420)의 자유단에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 상태에서 피봇되고, 타단은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축(80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링크판(424)의 선단의 축 삽입 구멍(426)은 디프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구멍 가장자리에 상향으로 짧은 슬리브(4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짧은 슬리브(427)에 축(805)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축 삽입 구멍(426)을 단순한 타발 구멍으로 하면, 축(805)이 구멍 가장자리에 닿아서 국부적으로 마모되지만, 실시예에서는 축(805)은 짧은 슬리브(427)에 지지되어 있어, 국부적인 마모를 억제할 수가 있다.
선도 가이드 블록(804)에는 링크판(424)의 선단을 얹어서 지지하는 지지편(80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선도 가이드 블록(804)과 링크판(424)의 연결시에, 선도 가이드 블록(804)이 안내홈(122)에 끼워지고, 링크판(424)이 회전 레버(420)의 선단에 피봇된 상태에서, 링크판(424) 선단의 구멍(426)에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축(805)을 끼우려고 해도, 지지편(807)이 방해하게 되어 끼워 넣을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보조 샤시(125)를 떼어내고, 안내홈(122)의 안쪽 끝의 창 구멍(124)을 개방하여,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창 구멍(124) 내에서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안쪽 끝을 회전 실린더(800) 측으로 기울이고, 링크판(424)의 선단이 선도 가이드 블록(804)의 지지편(807)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축(805)을 구멍(426)에 끼운다.
선도 가이드 블록(804)과 링크판(424)을 연결한 후, 선도 가이드 블록(804)을 안내홈(122)에 끼우고, 샤시(100)에 보조 샤시(125)를 나사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링크판(424)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측 선단은 이 가이드 블록(804)의 지지편(807)에 얹어서 지지되고, 링크판(424)의 선단이 하방으로 위치 어긋나거나, 혹은 이 블록(804)의 축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링크판(424) 선단의 높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 가이드 블록(804)으로부터의 빠짐에 기인한 링크판(424)과 회전 레버(420)의 피봇 연결부의 뒤집어짐, 혹은 테이프 선도 가이드의 동작 불능을 해소할 수가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T측에 대해서만 하였으나, S측에 대해서도 로딩 기구의 구조는 마찬가지이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발명을 한정하거나, 혹은 그 범위를 감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샤시(100) 상의 안내홈(122)(122)을 따라 미끄러지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804)(804)에 의해 카세트(600)로부터 자기 테이프(601)를 인출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에 있어서, 샤시(1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 레버(420)(420)와, 각 회전 레버(420)와 선도 가이드 블록(804)을 피봇 연결하는 링크판(424)으로 구성되고, 선도 가이드 블록(804)에는 링크판(424)의 선단을 얹어서 지지하는 지지편(807)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로딩 기구.
KR1019940011515A 1993-05-27 1994-05-26 테이프 로딩 기구 KR100275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25631 1993-05-27
JP5125631A JP2931504B2 (ja) 1993-05-27 1993-05-27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430B1 true KR100275430B1 (ko) 2000-12-15

Family

ID=1491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1515A KR100275430B1 (ko) 1993-05-27 1994-05-26 테이프 로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31504B2 (ko)
KR (1) KR100275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091B1 (ko) * 1995-04-06 2003-04-03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구 및 그 기구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31504B2 (ja) 1999-08-09
JPH06338110A (ja) 1994-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6732A (en) Device for continuously driving a tape reel support as a tape is unloaded
KR900008358B1 (ko) 회전헤드형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0275430B1 (ko) 테이프 로딩 기구
US5583719A (en) Magnetic head mounting arrangement for a reversible drive tape cassette apparatus
KR10020768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메카니즘
JP320315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36424A (ja) リニヤスケートシャーシ移動機構
JPS6356618B2 (ko)
JP2840523B2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3348486B2 (ja) テープカセットプレーヤ
JPH042438Y2 (ko)
JP3423350B2 (ja) テープ用ピンチローラの作動装置
JP2840167B2 (ja) テープデッキ及びその組立方法
JP2529408Y2 (ja) 回転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
US5594604A (en) Tape loading device incorporating therein an intermediate gear for actuating loading gears
US5621584A (en) Tape loading device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2890453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10046129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JPH048498Y2 (ko)
KR100277153B1 (ko) 릴대의 후방 장력 기구
JPH051027Y2 (ko)
JP3095674U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のピンチローラ支持構造
JPH0447777Y2 (ko)
JPH0337162Y2 (ko)
KR93000312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