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781B1 -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781B1
KR100273781B1 KR1019960058424A KR19960058424A KR100273781B1 KR 100273781 B1 KR100273781 B1 KR 100273781B1 KR 1019960058424 A KR1019960058424 A KR 1019960058424A KR 19960058424 A KR19960058424 A KR 19960058424A KR 100273781 B1 KR100273781 B1 KR 100273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ressure
voltage
air dischar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403A (ko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58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78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기계(10) 단부에 2개의 소음기(100)(110)를 순차적으로 연설하고, 소음기중 후단의 소음기(110) 일측에 공기배출로(120)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배출로(120)의 단부에는 진공모터(130)를 설치하여 후술할 배기압감지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배기압력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로(120)를 통해 유출되는 배기가스량을 조절하여 대기압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 배기압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전압변환기(150)를 통해 전압으로 변화되고, 상기 전압변화기(150)에서 출력된 (+)(-)신호는 각각 기준값이 설정된 제1비교기(160)와 제2비교기(161)에 입력되어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되어 소정 레벨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후단에 연결된 제1,2스위칭소자(170)(171)를 제어하여 감압된 배터리전원이 진공모터(130)에 인가되도록 하여 진공모터(13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서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시험에 사용되는 배기토출음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초기상태 즉, 배기계의 끝단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주행시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촉각, 시각에 의해 진동을 느끼고 청각에 의해 소리를 듣는다. 그러나 진동과 소리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왜냐하면 소리는 공기의 진동이기 때문이다. 즉 진동과 소리는 파형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1초간의 파형의 수로 표현된다.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소리가 발생하고 있으나 그 중에서 각자가 필요한 소리를 선택하여 듣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리 중에서 선택하지 않았는데도 들려오는 소리가 있는데, 듣는 사람에게 불쾌함을 주는 이러한 소리를 소음이라 한다. 소음인지 아닌지는 음의 크기 보다도 듣는 사람의 느낌에 의해 정해지기 때문에 한마디로 이야기할 수 없지만 본래 있어서는 안되는 소리, 불쾌한 음색이 일반적으로 소음으로 불린다.
이러한 측면에서 차량 주행시 배기토출음에 의해 차체에 전달되는 소음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장치가 있다.
이의 시험장치는 실내소음이 배기토출음에 의한 것인가 아니면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도1과 같이 배기계(10) 끝단에 2개의 소음기(20)(3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배기 토출음이 배기계 끝단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장치는 배기계에 소음기 2개와 덕트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면 엔진 구동시 엔진 실린더 내부에 엄청난 부압이 발생하여 차량의 상태가 변화되어 본래의 시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배기토출음 제거상태와 같이 배기계 끝단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계 단부에 2개의 소음기를 순차적으로 연설하고, 상기 소음기중 후단의 소음기 일측에 공기배출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계의 배기로에 배기압을 감지하는 배기압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배기압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배기압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공기배출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판단된 신호에 인가전압을 조절하여 공기배출로를 통해 유출되는 배기가스량을 조절하여 대기압으로 유지되게 하는 공기량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배기압 감지수단에 감지된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기와, 상기 전압변환기의 (+)(-)출력신호를 각각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제1 및 제2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중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구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스위칭소자 및 릴레이 후단에 각각 다른 저항값으로 설정된 저항에 의해 공기량조절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가변저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량조절수단은 진공모터의 진공압력에 의해 공기배출량이 조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배기계로 배출되는 배출압을 감지하여 공기배출로를 제어함으로써 배기계 단부의 압력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배기토출음 제거장치를 보인 계통도,
도2는 본 발명의 배기토출음 제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기계 100, 110:소음기
120:공기배출로 130:진공모터
140:배기압감지센서 150:전압변화기
160:제1비교기 161:제2비교기
170:제1스위칭소자 171:제2스위칭소자
180:오어게이트 RY1:릴레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배기토출음 제거장치를 보인 구성도로써, 본 발명은 차량주행시 실내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배기토출음이 제거된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배기계(10) 단부에 2개의 소음기(100)(110)를 순차적으로 연설하고, 상기 소음기중 후단의 소음기(110) 일측에 공기배출로(120)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배출로(120)의 단부에는 진공모터(130)를 설치하여 후술할 배기압감지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배기압력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로(120)를 통해 유출되는 배기가스량을 조절하여 대기압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상기 배기압감지센서(140)는 배기계의 배기로에 설치하여 배기압에 따라 진공모터(130)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배기압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전압변환기(150)를 통해 전압으로 변화되고, 상기 전압변화기(150)에서 출력된 (+)(-)신호는 각각 기준값이 설정된 제1비교기(160)와 제2비교기(161)에 입력되어 각각의 기준값과 비교되어 소정 레벨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후단에 연결된 제1,2스위칭소자(170)(171)를 제어하여 배터리전원이 진공모터(130)에 인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스위칭소자(170)(171)의 스위칭상태를 오어게이트(180)로 감지하여 이중 어느 하나가 절환될 경우 릴레이(RY1)를 단락시켜 진공모터(13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진공모터(130)에 인가되는 전원라인 즉, 릴레이(RY1)와 접속된 전원라인에는 저항(RA)이 연결되며, 제1스위칭소자(170)와 접속된 전원라인에는 저항(RC)이 연결되고, 제2스위칭소자(171)의 전원라인에는 저항이 구비되지 않아 스위칭절환시 배터리 전압이 감압되지 않고 인가되게 한다.
따라서 스위칭절환에 다라 이의 저항값에 의해 감압된 전압이 진공모터(130)에 인가되어 진공모터(130)의 회전량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공기배출로(12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량을 조절하여 대기압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진공모터(130)는 3단계의 모드를 갖는다. 즉, 배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할 경우, 대기압 보다 낮을 경우, 대기압 보다 높을 경우의 3단계 모드로 동작된다.
첫째 배기압감지센서(140)에서 감지된 배기압이 -Pref < P < +Pref 일 경우 즉, 배기압이 설정된 (-)기준값과 (+)기준값 사이에 있을 경우 상기 제1비교기(160) 및 제2비교기(161)의 출력레벨은 "로우레벨"을 유지하므로 제1,2스위칭소자(170)(171)는 단락상태가 되고, 이와 동시에 오어게이트(180)의 출력도 "로우레벨"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오어게이트(180)의 출력단에 접속된 릴레이(RY1)는 상기 오어게이트(180)의 출력신호 "로우레벨"일 때 "온"되어 있기 때문에 진공모터(130)에는 저항(RA)을 통해 전원이 인가된다. 다시말해 현재 배기압이 대기압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진공모터(130)는 정속을 유지하게 된다.
둘째, 배기압이 P>Pref 일 경우 즉, 배기압이 설정된 기준압 보다 높을 경우 제1비교기(160)의 출력레벨은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반대로 제2비교기(161)의 출력레벨은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제2스위칭소자(171)가 통전되고 아울러 오어게이트(180)의 출력레벨이 "하이레벨"상태가 되어 이와 접속된 릴레이(RY1)는 단락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모터(130)에는 제2스위칭소자(171)를 통해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므로 회전량이 증가되어 배기압을 감소시키게 된다.
셋째, 배기압이 P<Pref 일 경우 즉, 배기압이 설정된 기준압 보다 낮을 경우 제1비교기(160)의 출력레벨은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반대로 제2비교기(161)의 출력레벨은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제1스위칭소자(170)가 통전되고 제2스위칭소자(171)는 단락되며, 아울러 오어게이트(180)의 출력레벨이 "하이레벨"상태가 되어 이와 접속된 릴레이(RY1)는 단락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공모터(130)에는 제1스위칭소자(170)를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배터리 전원은 저항(RC)에 의해 감압되어 회전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배기압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기압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진공모터의 회전량을 제어함으로써 항상 배기로에는 일정한 압력 즉, 대기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시험에 있어서 정확한 시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배기계 단부에 2개의 소음기를 순차적으로 연설하고, 상기 소음기중 후단의 소음기 일측에 공기배출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기계 단부에 배기압을 감지하는 배기압 감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배기압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신호를 근거로 공기배출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판단된 신호에 의해 공기배출로를 공기유출량을 제어하여 배기압이 대기압으로 유지되게 하는 공기량조절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배기압 감지수단에 감지된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기와, 상기 전압변환기의 (+)(-)출력신호를 각각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제1 및 제2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1 및 제2 스위칭소자와, 상기 스위칭 소자중 어느 하나의 출력신호가 있을 경우 구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스위칭소자 및 릴레이 후단에 각각 다른 저항값으로 설정된 저항에 의해 공기량조절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가변저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로 공기량조절수단은 진공모터의 진공압력에 의해 공기배출량이 조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KR1019960058424A 1996-11-27 1996-11-27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KR100273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424A KR100273781B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424A KR100273781B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403A KR19980039403A (ko) 1998-08-17
KR100273781B1 true KR100273781B1 (ko) 2001-01-15

Family

ID=4074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424A KR100273781B1 (ko) 1996-11-27 1996-11-27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78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403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3748B2 (ja) 車両運行通知音発生用スピーカ回路の異常検出装置
KR100273781B1 (ko) 자동차 주행시험용 배기토출음 제거장치
WO2022067289A1 (en) Diagnostic system
US6157878A (en) Chassis dynamometer control system
JPH10153634A (ja) スピーカ出力自己診断装置
GB2378081A (en) Active noise cancellation using recorded sounds
KR970063908A (ko) 집적 회로 디스크 드라이브 독출 채널에서의 잡음 생성기 구현 방법 및 장치
KR100418664B1 (ko) 서미스터 타입 연료부족 경보 판정전압 도출장치
JPH11146496A (ja) スピーカ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スピーカの異常検出装置
KR100494780B1 (ko) 엔진시험 시스템의 냄새감지에 의한 이상경보장치
KR960007233A (ko) 산소 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제어장치
JP2009021840A (ja) オーディオ増幅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オーディオシステム
SU883691A1 (ru) Стенд дл испытани насоса-регул тора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
KR970024527A (ko) 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출력 조절장치
JPH09284424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KR960023649A (ko) 자동차 배기 소음의 능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2177U (ko)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JP3231995B2 (ja) 断線判定装置
KR960020211A (ko) 전화기의 다이얼링톤 레벨 조절장치
KR19980051419A (ko) 이퀄라이즈 충전용 알람표시장치
JPS63293599A (ja) 電子サイレン
KR960012695A (ko) 조정볼륨 파손방지장치
KR960043485A (ko) 소음적응형 카오디오기기의 음량제어장치
KR20030020725A (ko) 차량의 유해가스 유입 차단 시스템
JP2002372569A (ja) 電圧監視回路および電圧監視回路が内蔵されたic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