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177U -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177U
KR20000012177U KR2019980025075U KR19980025075U KR20000012177U KR 20000012177 U KR20000012177 U KR 20000012177U KR 2019980025075 U KR2019980025075 U KR 2019980025075U KR 19980025075 U KR19980025075 U KR 19980025075U KR 20000012177 U KR20000012177 U KR 200000121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ume control
noise
leve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25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177U/ko
Publication of KR20000012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77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차량 내부에서 감지되는 소음에 적응적으로 오디오 출력 음량을 자동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음량 조절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음량 조절부와,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소음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차이값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차이값과 미리 설정된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값을 발생하는 분석부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발생되는 출력값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음량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음량 조절부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에 따른 차실 내부의 오디오 청취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오디오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청취자에게 보다 양질의 오디오 청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
본 고안은 차량 오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음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부에서 감지되는 소음에 적응적으로 오디오 출력 음량을 자동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의 오디오 시스템의 청취환경 변화는 차량의 위치나 속도 등에 따라서 주변 소음의 상태가 변화되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에 따라서 변화한다. 특히 차량의 속도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청취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그에 따른 엔진소음의 증가되며, 주행중인 차량과 공기사이에 발생되는 공기저항과 마찰음의 증가 등으로 차량 내부의 소음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음량 조절이 없는 한 사용자의 오디오 청취는 차량 속도의 증가 정도에 비례하여 어려워진다.
한편, 저속으로 운행하면서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량을 적절하게 맞춰서 듣고 있던 운전자가 차량을 고속으로 주행시키게 되거나 주행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더라도 외부 소음이 커지게 되면 오디오 청취가 어려워져서 음량을 높여주어야 한다. 반대의 경우에는 물론 낮추어 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운전을 하면서 이와 같은 조작을 한다거나 신경을 쓰는 것은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떨어뜨려 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크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내부 소음 등에 따른 내부의 청취 환경에 적응적으로 오디오 출력 음량을 자동 조절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음량 조절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음량 조절부와,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소음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차이값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차이값과 미리 설정된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값을 발생하는 분석부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발생되는 출력값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음량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음량 조절부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 시스템(12)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차량 오디오 시스템(12)의 음량 조절장치는 음량 조절부(14), 소음 검출부(26), 차이값 검출부(20), 분석부(22), 조작부(30), 제어부(2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오디오 시스템(12)이라 함은 튜너 혹은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오디오 신호의 공급원을 의미한다. 상기 오디오 시스템(1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음량 조절부(14)를 통해 오디오 증폭부(16)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18)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된다.
상기 음량 조절부(14)는 음량 조절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시스템(12)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킨다.
상기 소음 검출부(26)는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 상기 소음 검출부(26)는 마이크로폰, 증폭부, 소음 레벨 검출부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폰은 고속 주행이나 외부의 환경 등과 같은 요인으로 발생한 소음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소음변화를 전류 혹은 전압의 변화(이하 "소음 신호"라 함)로 바꾼다. 차량 내부의 소음을 가장 적절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인 마이크로폰의 위치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상기 마이크로폰의 설치 위치로는 운전자가 음을 청취하는 위치와 비슷한 곳, 예를 들면 리어 하이 마운트 브레이크등이 장착되는 위치가 적절할 것이다. 상기 증폭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감지한 소음 신호를 일정한 레벨 이상으로 증폭한다. 상기 소음 레벨 검출부는 소음의 레벨에 대응하는 직류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차이값 검출부(20)는 상기 검출된 오디오 신호(A)의 레벨과 실내 소음 신호(B)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감산한 값(이하 "차이값"이라 함)을 검출하여 상기 분석부(22)로 공급한다.
상기 분석부(22)는 상기 검출된 차이값과 미리 설정된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값을 발생한다. 상기 분석부(22)로부터 발생된 출력값은 A/D(Analog to Digital)변환부(24)를 통해 디지털화 하여 제어부(28)로 공급된다.
상기 조작부(3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조작부(30)에는 제1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모드 스위치(32)와 제2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2모드 스위치(34)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8)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그에 따른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과 상기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과 같은 메모리를 가진다.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분석부(22)로부터 발생되는 출력값과, 상기 조작부(30)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음량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음량 조절부(14)로 공급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 시스템(12)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제어부(28)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101)과정에서 제어부(28)는 오디오 전원 스위치가 온 되었는가를 확인하고, 온이 되었으면 (102)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102)과정에서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온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부(28)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103)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103)과정에서 오디오 신호(A)를 검출하고 (104)과정으로 진행하여 소음 검출부(26)로부터 차량의 실내 소음 신호(B)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는 (105)과정으로 진행하여 모드 선택 스위치의 입력상태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28)는 (105)과정에서 제1모드 스위치(32)를 통해 제1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106)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8)는 (106)과정에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실내 소음신호(C)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107)과정으로 진행하여 오디오 출력음을 증가시키는 음량 증가 조절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106)과정에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실내 소음신호(C)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107)과정으로 진행하여 오디오 출력음을 감소시키는 음량 감소 조절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28)는 전술한 (105)과정에서 제2모드 스위치(34)를 통해 제2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109)과정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8)는 (109)과정에서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 소음신호(D)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110)과정으로 진행하여 오디오 시스템(12)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111)과정에서 검출된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을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28)는 (112)과정으로 진행하여 오디오 시스템(12)의 전원을 공급하고 (113)과정에서 상기 분석된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오디오 특정 주파수 영역을 증폭하는 음량 증폭 조절신호를 발생한다. 즉, 분석된 실내 소음의 주파수 성분을 파악하고 이중 마스킹되기 쉬운 주파수 영역의 오디오 레벨을 특히 더욱 증폭시킨다.
상기 제어부(28)는 (113)과정에서 (106)과정으로 리턴하여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전술한 (109)과정에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 소음신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106)과정으로 리턴하여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8)는 전술한 (101)과정에서 오디오 전원 스위치가 온 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술한 일련의 과정을 종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는 (102)과정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114)과정으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오디오 시스템(12)동작을 수행한다. 즉, 모드 선택 스위치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A/D 컨버터, 분석부(22), 소음 검출부(26)가 작동되지 않게 되며, 실내 소음에 자동적으로 감응하여 오디오 출력음을 조절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는 차량의 실내에서 발생되는 소음 등에 따른 차실 내부의 오디오 청취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오디오로부터 출력되는 음량을 자동 조절함으로써 청취자에게 보다 양질의 오디오 청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음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음량 조절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가변시키는 음량 조절부와,
    차량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소음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오디오 신호의 레벨과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차이값 검출부와,
    상기 검출된 차이값과 미리 설정된 소음 신호의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값을 발생하는 분석부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조작부와,
    상기 분석부로부터 발생되는 출력값과, 상기 조작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해당 음량 조절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음량 조절부로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제1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모드 스위치와 제2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2모드 스위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 스위치를 통해 제1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상태에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실내 소음신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음을 증가시키는 음량 증가 조절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실내 소음신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음을 감소시키는 음량 감소 조절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 스위치를 통해 제2음량 조절 모드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상태에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 소음신호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하고 검출된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을 분석한 후, 상기 분석된 실내 소음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오디오 특정 주파수 영역을 증폭하는 음량 증폭 조절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한계 소음신호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청구항 제3항의 과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검출부는 차실 내부 소음의 변화를 전류 혹은 전압의 변화로 바꾸어 소음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에서 출력하는 소음신호를 일정한 레벨 이상으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소음신호의 레벨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소음 레벨 검출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 조절장치.
KR2019980025075U 1998-12-15 1998-12-15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KR200000121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75U KR20000012177U (ko) 1998-12-15 1998-12-15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75U KR20000012177U (ko) 1998-12-15 1998-12-15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77U true KR20000012177U (ko) 2000-07-05

Family

ID=6950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075U KR20000012177U (ko) 1998-12-15 1998-12-15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17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20030072184A (ko) * 2002-08-10 2003-09-13 김승룡 오디오의 무선 볼륨 조절장치
KR100513544B1 (ko) * 2001-12-17 2005-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행 상황별 노이즈 샘플을 이용한 차량의 노이즈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4177A (ko) * 2000-12-27 2002-07-06 이계안 차량용 오디오 오토 튜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시스템
KR100513544B1 (ko) * 2001-12-17 2005-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행 상황별 노이즈 샘플을 이용한 차량의 노이즈제거장치
KR20030072184A (ko) * 2002-08-10 2003-09-13 김승룡 오디오의 무선 볼륨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59563A (zh) 基于音频系统输出的有源噪声控制系统
JPH0837701A (ja) 無人搬送車
US7058190B1 (en) Acoustic signal enhancement system
JPH06318085A (ja) 騒音制御装置
KR20000012177U (ko) 차량 오디오 시스템의 실내 소음 감응형 음량조절장치
JPH0786857A (ja) 自動車用再生装置の音量を周囲ノイズに適合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11308062A (ja) 音声出力装置の音量自動調整装置
KR101601370B1 (ko) 자동차용 avn 시스템의 앰프 리셋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82776A (ko)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의 소음 적응형 음량 조절 장치 및 방법
JPH05218769A (ja) 自動車用音響装置
JP3350106B2 (ja) 音声認識装置
KR0114190Y1 (ko) 휴대용 음향기기의 자동음량보정회로
KR20040088245A (ko) 차량 오디오의 음량 조절 장치
KR0135112B1 (ko) 오디오 기기의 음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5141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자동이득 조절회로
JPS6349833Y2 (ko)
KR20070019165A (ko) 차량용 지능형 사운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8650A (ko) 카 오디오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9990055650A (ko) 카오디오의 볼륨레벨을 뮤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13662A (ko) 자동차 오디오 음량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69832B2 (ja) 車載音響装置
WO202315710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0165230B1 (ko) 자동 음량제어방법 및 장치
JP3267866B2 (ja) 騒音感応ボリューム
KR19990031650A (ko) 오디오시스템의 자동음량조절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