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059B1 -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059B1
KR100273059B1 KR1019980043099A KR19980043099A KR100273059B1 KR 100273059 B1 KR100273059 B1 KR 100273059B1 KR 1019980043099 A KR1019980043099 A KR 1019980043099A KR 19980043099 A KR19980043099 A KR 19980043099A KR 100273059 B1 KR100273059 B1 KR 10027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very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relay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1412A (ko
Inventor
김우택
정현철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4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059B1/ko
Publication of KR1999007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통신기기(P32-T, HDSL, TDX교환기, SUP16-8) 등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장애검출 및 복구가 불가능한 장애 발생시 이를 외부에서 감지하여 랫칭루프(Latching Loop) 현상 및 기타 원인을 제거한 후 재점호 시키므로서, 정보통신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인 바, 본 발명에 의한 재점호 장치는 전자통신기기들의 장애 자동 복구는 물론, 여러종류의 특성이 상이한 통신기기에서도 효과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애신호의 지속시간에 관계없이 동작되도록 구현하므로써, 재점호 장치의 호완성 및 동작신뢰성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본 발명은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통신기기의 일종인 단국장치(P32-T), 고속 디지틀 전송장치(HDSL), 'TDX교환기' 및 전원감시장치(SUP16-8) 등에 장애 발생시 이를 외부에서 감지하여 랫칭루프(Latching Loop) 현상 및 기타 원인을 제거한 후 복구 시키므로서, 정보통신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때 상기에서 의미하는 장애란, 랫칭루프현상(TR 역바이어스에 의한 기능정지)및 외견상 전혀 이상이 없이 밝혀지지 않은 여러가지 원인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단국전송장치의 기능인 디지탈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출하지 못할경우 일반적인 정지시 재구동 방식으로는 재동작이 불가능한 특이한 상태를 B접점의 펄스 신호로서 제거해주고, 다시 재점호 해주므로서 자동 복구 시키는 기술이다.
종래 정보통신기기 단국장치(P-32T), 고속디지틀전송장치(HDSL), 전원감시장치(SUP16-8)등은 정상동작중 전송로에 낙뇌로 인한 유도전류 및 파동전압(surge voltage)등이 내습하게 되면 피뢰기 및 접지시설이 적절히 보강되어 있어 기계적인 결함이 발생되지 않아도 위와 같은 현상에 의해 단국장치의 출력단에 역으로 서지(surge)전압 등이 인입되고, 이로인한 전자적인 영향으로 일시정지(shut down)된다.
이때 상기 전자·통신기기에는 자체보호회로 등과 같은 자체적으로 장치를 재점호(recovery)시키는 기능이 없거나, 혹은 있다하더라도 외견상이나 회로 동작상에는 문제가 없는것으로 인지되어 자체보호회로가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일부 현상에서 동작하여도 랫칭 루프 현상은 제거될 수 없기 때문에 자체복구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운용자가 원거리 무인국사에 출동하여 정지된 정보통신기기를 직접 오프(off)시키고 일정시간 후 재운전 시켜야만 정상적인 회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통신기기의 일종인 단국장치, 디지탈전송장치, 전원 감시장치는 주,야간으로 상시감시 인력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출동대기 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감시 소홀시 통신장치의 정지로 장시간 통신두절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사항을 살펴보면, 보편적으로는 P-32T단국장치 각각의 단말기에 전화단자를 연결하여 장애발생시 전화를 걸어 리셋시켜 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주,야간 근무자가 상시대기해서 고장발생시 마다 전화를 해야하며, 모든 단국장치별로 추가 전화선로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P-32T 단일 기종에만 적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단국장치와 교환기에 동시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화가 불가능하므로 복구가 불가능한 문제점으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 복구 장치가 필요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랫칭루프 현상 및 기타 원인에 의해 발생된 전자적인 장애 발생시 일반적인 복구 방식으로는 정상복구가 불가능한 정보통신기기에 대해 지속적으로 정상적인 운전을 보장함은 물론, 단일 기종에 한정되는 복구 장치가 아닌 범용의 복구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랫칭루프 현상시에만 발생하는 단국장치(P32-T)의 백-보드 알람(BACK BORD ARM)단자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0.2~30[sec]의 신호(-48V⇒GROUND)를 시스팀이 경보로 인지하여 복구를 위한 B접점의 펄스 신호로 변환 시킬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전송로상의 역기전력이나 이상신호의 유입에 의해 나타나는 출력단의 조합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Base)단자와의 랫칭루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대역을 포함하는 B접점 펄스 신호를 만드는 대역폭 조절기술을 이용하였으며, 아울러 이러한 복구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단국장치(P32-T)가 정상적으로 복구 운용되고 있을때 즉시 시스팀의 전원을 차단하여 평상시 소비전력이 없도록 하는 절전방식과, 예민한 단국장치 및 정보통신기기에 복구 장치 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역기전력 및 서지 등을 차단하는 기술과, 시스팀 자체 고장시에도 절대 정보통신기기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이용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통신기기 자동 복구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통신기기 자동 복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상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가 : 단국장치/디지탈 전송장치 나 : 장애검출부
다 : 복구 구동부 라 : 복구상태검출부
마 : 원격감시 제어 시스팀
10 : 전자·통신기기 20 : 장애검출부
30 :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 40 : 복구 구동부
50 : 장치 동작 및 감시전환부 60 : 원격감시제어기
단자 1, 2 : 복구단자 단자 3 : 경보신호입력단자
단자 4 : 그라운드 단자 5 : -48V
SW1 : 장치 동작·정지스위치 LL1, LL2, LL3 : 릴레이
R1 ∼ R15 : 저항 ZD1 ∼ ZD5 : 제너다이오드
C1 ∼ C12 : 콘덴서 VR1 ∼ VR3 : 가변저항
IC1 ∼ IC2 : 집적회로 TR1 : 트랜지스터
D1 ∼ D2 : 다이오드
LED1 ∼ LED2 : 발광다이오드 TD : 지연 타이머
TTL : 트윈 타이머
상기와 같이 동작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복구 장치는 전자·통신기기의 경보검출단에서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치 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와, 제 1 릴레이의 자화부와,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전자·통신기기로 부터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부와;
상기 장애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통신기기에서의 디지털 장애와 같은 경보신호 만을 감지하여 복구 동작을 하도록 경보입력상태를 유지시키며, 이상전압으로 부터 복구 장치 및 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는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와;
상기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랫칭루프현상 제거 및 복구 구동신호인 B접점의 펄스대역폭 신호를 생성하는 복구 구동부와;
콘덴서와 지연타이머를 구비하여, 복구 동작중 오경보 발생을 차단하고, 복구 장치의 동작을 보장하며, 정상적인 동작후 감시상태로 전환하는 장치동작 및 감시전환부; 및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자에게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통신정지 및 불능상태를 통신장치로 연락할 수 있는 제어장치인 원격감시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동작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복구 장치는 단국장치의 경보검출단에서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치 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와, 릴레이와,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단국장치 부터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부와;
제너다이오드, 저항, 트랜지스터, 트윈타이머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장애검출부의 릴레이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감시자가 임의로 설정한 소정의 시간 및 횟수동안 상기 단국장치에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복구 구동부와;
제너다이오드, 저항, 트랜지스터, 지연타이머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복구 구동부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단국장치의 복구 유무상태를 검출하여, 복구가 안되면 시스팀의 복구동작을 정지시키고 원격으로 감시자에 장애상태를 통보하는 복구상태검출부; 및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자에게 상기 단국장치의 통신정지 및 불능상태를 통신장치로 연락할 수 있는 제어장치인 원격감시제어 시스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통신장비 자동 복구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로, 이는 국내특허출원 98-5137호(전자,통신기기의 자동 재점호시스팀 : 이하 본 발명에서는 '재점호'라는 단어를 '복구'라는 단어로 변경사용함)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동일 발명자가 출원한 것이다.
상기 특허의 기술을 살펴보면, 정보통신기기인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경보검출단자(B)로 부터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스위치(SW1), 제너다이오드(ZD1), 저항(R1), 릴레이(LL1)로 구성되는 장애검출부(나)와;
상기 장애검출부(나)의 릴레이(LL1)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감시자가 임의로 설정한 소정의 시간 및 횟수동안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전원스위치(POWER SW)에 복구신호(RECOVERY SIGNAL)를 출력하는 제너다이오드(ZD2), 저항(R2), 트랜지스터(Q1), 트윈타이머릴레이(TTL1)로 구성되는 복구 구동부(다)와;
상기 복구구동부(다)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단국장치(가)의 복구 유무상태를 검출하여 복구가 안되면 시스팀의 복구동작을 정지시키고 원격으로 감지자에 장애상태를 통보하는 제너다이오드(ZD3), 저항(R3), 트랜지스터(Q2), 지연타이머릴레이(TTL2)로 구성된 복구상태검출부(라); 및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자에게 상기 단국장치(가)의 통신정지 및 불능상태를 전화 및 음성통보기 또는 호출기로 연락할 수 있는 제어장치인 원격감시제어시스팀(마)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복구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통신기기의 일종인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전원스위치(POWER SW), 경보출력단자(B), 구동전원출력단자(±12V)에 자동복구장치의 복구단자, 장애발생신호검출입력단자, 구동전원입력단자(±12V INPUT)를 각각 접속시키고 상기 자동복구시스팀의 전원스위치(SW1)를 온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를 감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에 낙뇌로 인한 유도전류 및 파동전압, 또는 외부영향에 의한 순간 서지전압에 의하여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경보검출출력단자(B)는 A 접점동작을 하면서 단국장치신호와 ±48V 를 상기 자동복구시스팀의 경보검출신호(SIGNAL INPUT)입력단자를 통해 장애검출부(나)로 입력하고, 이 신호는 전원스위치(SW1)와 제너다이오드(ZD1), 저항(R1)을 통해서 릴레이(LL1)에 입력되어 상기 릴레이(LL1)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LL1)에는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로 부터 구동전압(±12V)이 입력되게 되고, 이 릴레이(LL1)에 입력되는 구동전압(±12V)은 복구구동부(다)와 복구상태검출부(라)에 각각 입력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복구구동부(다)로 입력되는 릴레이(LL1)의 동작신호는 제너다이오드(ZD2), 저항(R2)를 통해서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되고, 이 트랜지스터(Q1)는 스위칭하면서 타이머릴레이(TTL1)에 12V의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트윈타이머릴레이(TTL1)는 감시자가 임의로 설정한 소정의 시간과 횟수동안 지연후 상기 자동 복구시스팀의 복구단자를 통해서 복구신호(RECOVERY SIGNAL)를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로 출력한다.
이어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에 입력된 신호는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전원스위치(SW)를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시간(5초 - 10초)오프시킨 후 복구 가능한 시간(오프시간 5초 ∼ 10초)이 경과하면 오프시켰던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전원스위치(SW)을 온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복구 가능한 시간이 경과하여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전원스위치(SW)를 온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가 동작을 하지 않게 되면 상기 장애검출부(나)의 릴레이(LL1)는 계속 자기유지를 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릴레이(LL1)에 의하여 상기 복구구동부(다)의 트윈타이머릴레이(TTL1)은 복구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를 복구시키게 된다.
이때 타이머릴레이(TTL1)의 복구동작 횟수는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특성에 맞도록 감시자가 임의로 설정하여 동작을 하게 되고, 상기 트윈타이머릴레이(TTL1)의 시간 및 동작횟수는 상기 복구상태검출부(라)의 지연타이머릴레이(TTL2)를 통해서 감지되며, 이때 상기 트윈타이머릴레이(TTL1)의 복구동작 시간 및 횟수가 상기 임의로 설정된 소정의 시간 및 횟수가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가 복구 되지 않으면 상기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기계적 결함 및 회복 불능으로 인지한다.
이어 회복불능으로 인지되면 상기 지연타이머릴레이(TTL2)는 자체 동작하여 상기 장애검출부(나)의 릴레이(LL1)로 부터 입력되는 구동전압(±12V)을 복구상태검출부(라)의 제너다이오드(ZD3), 저항(R3), 트랜지스터(Q2)를 통해서 지연타이머릴레이(TTL2)에 인가해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로 부터 구동전압(±12V)이 복구시스팀에 인가되지 않게 차단시켜 복구시스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지연타이머릴레이(TTL2)의 동작신호를 원격감시제어시스팀(마)에 출력하여 감시자에게 단국장치/디지탈전송장치(가)의 장애발생을 통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원격감시제어시스팀(마)에서 감시자에게 장애발생을 알리는 통보수단으로는 일반전화, 휴대전화, 음성통보기 및 호출기가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국내특허출원 98-5137호에 기술된 전자·통신장비 자동 복구 장치를 P32-T에 적용하여 운용해본 결과 P32-T 단국장치의 경보신호(error signal)가 장치의 오프시에도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 극히 일부 제작업체의 경우에만 동작이 보장되었고, 일반적인 단국장치(P32-T), 고속전송망장치(HDSL) 및 전원감시장치용(SUP16-8)등에 적용시에는 복구 장치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통신기기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복구 장치의 구현이 필요로 되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를 구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통신기기 자동 복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전자·통신기기(단국장치, 고속전송망시스팀, 감시장치)(10)로 부터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부(20)와;
상기 검출된 장애를 복구 장치 구동신호로 변환시키고, 이상전압으로 부터 복구 장치 및 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는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30)와;
랫칭루프현상 소거 및 복구를 가능하게 만드는 B접점의 펄스대역폭 신호(Pulse BandWidth Signal)를 생성하는 복구구동부(40)와;
복구 장치의 동작을 감시하며 중복신호 송출을 억제하고, 복구 장치가 정상적으로 복구 동작을 완료한 후에는 감시상태로 전환시키는 장치동작 및 감시전환부(50); 및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자에게 상기 정보통신기기(10)의 통신정지 및 불능상태를 전화 및 음성통보기 또는 호출기로 연락할 수 있는 제어장치인 원격감시제어기(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각 부의 상세 회로를 나타내며, 이를 단국장치(P-32T)에 적용시켰을 경우를 나타낸 회로도로써, 이하 설명에서는 전자·통신기기(10) 대신 단국장치(10)로 기재한다.
단국장치(10)의 경보검출단 등에서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치 단자 3번과 연결되는 스위치(SW1)와, 제 1 릴레이(LL1)의 자화부와, 저항(R1), 및 제너다이오드(ZD1)를 구비하는 장애검출부(20)와;
단국장치(10)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경보신호를 복구 장치에서 인지하여, 이를 복구를 위한 B접점의 펄스신호로 변환 시킬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단국장치(10) 및 복구 장치에서 자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차단시키는 보호회로가 포함된 상기 제 1릴레이(LL1)의 접점부와, 제 2릴레이(LL2)와, 저항(R2,R3), 및 제너다이오드(ZD2, ZD3, ZD4)를 구비하는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30)와;
상기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30)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국장치(10)에 랫칭루프현상, 일시정지(Shut Down)현상 및 각종의 장애상황을 제거하기 위한 B접점의 펄스를 생성하는 트윈타이머(TTL)와, 제 1 ∼ 제 3릴레이(LL1∼LL3)의 릴레이에 의한 역기전력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5), 저항(R15), 콘덴서(C12)와, 복구 장치의 복구단자(Recovery Terminal) 1번, 2번을 구비하는 복구 구동부(40)와;
콘덴서(C1)와, 지연타이머(TD)를 구비하여, 복구 동작중 오경보 발생을 차단하고, 장치의 동작을 보장하며 정상적인 동작후 감시상태로 전환하는 장치동작 및 감시전환부(50)를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현된 복구 장치를 통해 장애 발생시 상기 복구 구동부(40)에서 출력하는 B접점의 펄스 신호와, 복구 접점신호를 복구단자 1, 단자 2로 인가하여 정보 통신 기기를 복구 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전자·통신기기 자동 복구 장치의 복구단자인 1번과 2번 단자를 단국장치(10)의 전원입력부 단자에 연결하고, 복구 장치의 단자 4번에 그라운드(Ground)를, 단자 5번에는 -48V 전원을 연결하고, 그리고 단국장치(10)에서 장애발생시 장애발생신호가 출력되는 마이너(Miner)경보신호입력단자(B)에는 복구 장치의 경보검출단자인 단자 3번에 각각 접속시킨다.
이때 상기 단국장치(10)의 마이너 경보출력단자(B)에서 발생되는 장애신호는 P32-T 변환장치 유니트(TRU)의 일시정지(Shut Down)현상 또는 전송장치 유니트(DP-A/R)의 랫칭루프 현상(총3종류)인지 여부와, 기타 퓨즈 오류(Fuse Fail)(총9종) 등과 같은 총12개 경보를 분류하여 전자의 3종류(Miner)경보 발생시 단국장치(10)의 백-보드 알람단자 'B'점에서 순간적(0.2∼30 [sec])으로 발생하는 신호(-48V⇒Ground)이다.
이처럼 각 단자들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에서 기재한 경보가 발생되어 백-보드 알람단자 'B'점(경보신호입력단자)에서 -48V의 신호가 그라운드 상태가 되는 순간을, 복구 장치의 단자 3번(경보신호입력단자)에서 인지하면 단자 5번에서 각각 -48V로 유지되고 있던 전압 평형 상태가 깨지면서 48V의 전위차가 발생하여 제 1 릴레이(LL1)가 자화되고, 이로 인해 장애가 검출된다.
이어 상기 제 1 릴레이(LL1)의 자화로 인하여 제 1 릴레이(LL1)의 3번과 4번이 A접점 동작을 하고, 이로 인해 복구 장치의 단자 5번과 제 2 릴레이(LL2) 사이에는 폐회로가 구성되고, 제 2 릴레이(LL2)의 3번과 4번의 A접점동작으로 자기유지 회로가 구성되어 복구 장치의 단자 3번의 그라운드 신호가 즉각 차단되어도 지속적으로 복구 구동부(40)와 장치동작 및 감시전환부(50)로 전원을 공급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복구 구동부(40)의 트윈타이머(TTL)에서는 트윈타이머(TTL) 내부의 제 1가변저항(VR1)에 의해 오경보에 의한 지연동작대기시간 20∼40[sec]와, 제 2가변저항(VR2)에 의한 15∼20[sec]로 생성되는 B접점 펄스 폭 신호가 생성되고, 이 펄스신호는 트윈타이머(TTL) 내부의 제 3 릴레이(LL3)를 거쳐 복구 장치의 단자 1번과, 단자 2번으로 인가되어 랫칭루프현상을 제거한 확실한 복구를 보장 하게되며, 제 3 릴레이(LL3)의 릴레이에 의해 발생된 역기전력은 제너다이오드(ZD5)와, 저항(R15)과, 콘덴서(C12)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트윈타이머(TTL) 동작 시 내부의 발광다이오드 점등 및 소등 상태를 보면 하기와 같다.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30)에 의해 복구 구동부(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발광다이오드(LEDl)는 온(ON)이 되면서 트윈타이머(TTL)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알려준다.
이어 제 2가변저항(VR2)에 의해 조절되는 지연시간 이후 제 2 발광다이오드(LED2)가 온 되면 제 3릴레이(LL3)의 B접점이 오프(개방, OFF) 되고, 제 2발광다이오드(LED2)가 오프(OFF) 되면 제 3릴레이(LL3)의 B접점이 온(폐쇄, ON)되며 이것으로 인하여 B접점의 폭이 결정된다.
이상 상기 트윈타이머(TTL)는 이미 공지·공용의 회로이므로 내부의 상세 동작은 생략한다.
상기 동작과 함께 상기 펄스 신호는 다시 제 2릴레이(LL2)를 거쳐, 저항(R3)과 제너다이오드(ZD4) 및 지연타이머(TD)의 동작을 지원하는 콘덴서(C1)를 거쳐 시스팀의 동작을 보장한다.
그리고 단국장치(10)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복구 장치의 동작을 정시시키고 감시상태로 전환시키는 장치동작 및 감시전환부(50)는 트윈타이머(TTL)의 상기 펄스 발생 시간을 고려하여 최초 제 2릴레이(LL2)의 동작시로부터 60∼70[sec]동안 지연후 B접점에서 오프되고, 제 2릴레이(LL2)의 전원을 차단하므로서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릴레이(LL1, LL2)와, 트윈타이머(TTL)와, 지연타이머(TD)의 전원공급을 전부 차단하게 되며, 제 1 릴레이(LL1)은 초기의 감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복구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구동작이 일정 횟수 이상 연속동작시에는 지연타이머(TD)의 접점횟수를 감지하여 이때는 단국장치(10)의 기계적 결함 및 복구불능으로 인지하며, 이런 상태에서는 단국장치(10)에서 지속적인 경보가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를 원격감시제어기(RMU)(60)를 통하여 감시자에게 통보하게 된다.
여기서 통보 신호의 종류로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일반전화나 휴대전화로 통보하여 주는 음성통보기능과, 호출기 연락기능 등이 있고, 감시제어기(60)에 통신이상 경보(Communication Error)로 나타나도록 하는 등의 경보송신 기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복구 장치는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범용으로 구현된 것으로, 도 3에서는 단국장치(1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고, 이하에서 다른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고속전송망시스팀(HDSL)에 적용할 경우를 보면, 이 경우에는 고속전송망 시스팀의 디지탈전송신호가 175±75 펄스 주기동안 신호가 없을시 발생되는 DS1의 신호손실(Loss of Signal)을, 고속전송망 시스팀 내부의 집적회로(IC : JK Flip Flop)에서 상기 복구 장치의 에러신호 입력으로 처리하여 제 1 릴레이(LL1)를 구동시키고, 고속전송망시스팀의 주전원을 차단하므로서 복구 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세 동작 특성 및 원리는 상기 단국장치의 동작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복구 장치를 전원감시장치(SUP16-8)에 적용할 경우를 보면, 이 경우에는 전원감시장치의 중앙처리장치(정확히 U24번 IC의 26번 핀임)에서 장애발생시 나타나는 동작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전원감시장치 내의 집적회로(IC : JK Flip Flop)에서 상기 복구 장치의 에러신호 입력으로 처리하여 제 1릴레이(LL1)를 구동시킨다.
이하 상세 동작 및 원리는 상기 단국장치의 동작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며, 최종적으로 복구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구신호는 상기 전원감시장치 내 중앙처리장치의 스위치를 온/오프시켜 자동 복구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구 장치를 전자통신기기에 접속시켜 장애 발생시 자가진단을 통해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시킴은 물론, 여러종류의 특성이 상이한 통신기기에서도 효과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애신호의 지속시간에 관계없이 동작되도록 구현하므로써, 복구 장치의 호완성 및 동작신뢰성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실제로 지금까지 각 전자통신기기에서 장애 발생시 무인통신 교환국소에 1국소당 월평균 12회 이상 출동한 결과를 놓고 보았을 경우, 이때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차단하여 예산절감과 시스팀의 안정적인 운용으로 통신서비스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을 수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전자·통신기기의 경보검출단에서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치 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와, 제 1 릴레이의 자화부와,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를 구비하여, 전자·통신기기로 부터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부와;
    상기 장애검출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통신기기에서의 디지털 장애와 같은 경보신호 만을 감지하여 복구 동작을 하도록 경보입력상태를 유지시키며, 이상전압으로 부터 복구 장치 및 정보통신기기를 보호하는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와;
    상기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랫칭루프현상 제거 및 복구 구동신호인 B접점의 펄스대역폭 신호를 생성하는 복구 구동부와;
    콘덴서와 지연타이머를 구비하여, 복구 동작중 오경보 발생을 차단하고, 복구 장치의 동작을 보장하며, 정상적인 동작후 감시상태로 전환하는 장치동작 및 감시전환부; 및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자에게 상기 전자·통신기기의 통신정지 및 불능상태를 통신장치로 연락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는 상기 장애검출부의 동작에 연동되어, 경보상태를 B접점의 펄스신호로 변환 시킬때까지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제 1릴레이의 접점부와;
    전자·통신기기 및 복구 장치에서 자체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차단시켜 회로를 보호하는 다수의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구동부는 상기 자기유지 및 보호회로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통신기기에서 발생하는 장애상황을 제거하기 위한 B접점의 펄스를 생성하는 트윈타이머와;
    복구 장치 내부의 각 릴레이에 의한 역기전력 발생을 차단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 저항 및 콘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4. 단국장치의 경보검출단에서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치 단자와 연결되는 스위치와, 릴레이와, 저항, 및 제너다이오드를 구비하여, 단국장치 부터 장애상태를 검출하는 장애 검출부와;
    제너다이오드, 저항, 트랜지스터, 트윈타이머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장애검출부의 릴레이로 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면서 감시자가 임의로 설정한 소정의 시간 및 횟수동안 상기 단국장치에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복구 구동부와;
    제너다이오드, 저항, 트랜지스터, 지연타이머릴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복구 구동부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면서 상기 단국장치의 복구 유무상태를 검출하여, 복구가 안되면 시스팀의 복구동작을 정지시키고 원격으로 감시자에 장애상태를 통보하는 복구상태검출부; 및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감시자에게 상기 단국장치의 통신정지 및 불능상태를 통신장치로 연락할 수 있는 원격감시제어 시스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KR1019980043099A 1998-02-19 1998-10-15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KR10027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099A KR100273059B1 (ko) 1998-02-19 1998-10-15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137 1998-02-19
KR1998-005137 1998-02-19
KR19980005137 1998-02-19
KR1019980043099A KR100273059B1 (ko) 1998-02-19 1998-10-15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12A KR19990071412A (ko) 1999-09-27
KR100273059B1 true KR100273059B1 (ko) 2000-12-01

Family

ID=65895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099A KR100273059B1 (ko) 1998-02-19 1998-10-15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0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412A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4103A (en) Transmission line-monitoring apparatus for use in a fire alarm system
JPH04342352A (ja) 通信端末装置
KR100273059B1 (ko) 전자·통신기기의 자동 복구 장치
US3996426A (en) Protection circuit for telephone switching system
KR0165201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정전시 대피 국선 복귀회로 및 방법
JP3382364B2 (ja) 火災報知設備の短絡制御ユニット
US6661893B1 (en) Telephone loop monitoring and isolation system
US3587082A (en) Holdup alarm system
JP3287966B2 (ja) 火災報知設備の伝送線路監視装置
US6067345A (en) Emergency alarming apparatus
KR100496190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국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816465B2 (ja) 端末機器配線の導通試験回路
JPH08185585A (ja) 火災報知設備の伝送線路監視装置
JP2854495B2 (ja) 防災監視装置の過電圧保護装置
JP3205482B2 (ja) 防災監視装置の非常電話回路
JP3370209B2 (ja) 加入者線異常監視方式
JPS62262550A (ja) ブランチ電話機使用中検出回路
JPH02246457A (ja) メッセージ・ウェイティング電源監視方式
JPH0226446A (ja) 呼出し信号送出制御回路
JPH0218632Y2 (ko)
JPH02166867A (ja) 地気信号発生回路
JPS6239946A (ja) 電話機
JPH0457442A (ja) 電話機の回線切り離し警告方法及び電話機
JPS6271338A (ja) 電話機用アダプタ
JPH04312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