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928B1 -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928B1
KR100272928B1 KR1019970053174A KR19970053174A KR100272928B1 KR 100272928 B1 KR100272928 B1 KR 100272928B1 KR 1019970053174 A KR1019970053174 A KR 1019970053174A KR 19970053174 A KR19970053174 A KR 19970053174A KR 100272928 B1 KR100272928 B1 KR 10027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learning
data
unit
caption
sub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198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박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228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729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진 filed Critical 박규진
Priority to KR101997005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928B1/ko
Priority to PCT/KR1998/000202 priority patent/WO1999003083A1/en
Priority to CN 98800962 priority patent/CN1201274C/zh
Priority to JP11508466A priority patent/JP2000508092A/ja
Priority to EP98932612A priority patent/EP0931302A1/en
Publication of KR1999003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98A/ko
Priority to HK00101810A priority patent/HK1022976A1/xx
Publication of KR10027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JP2003022882A priority patent/JP2003307998A/ja
Priority to US10/817,650 priority patent/US200402535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학습 시스템은 학습 분야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서버(11)와,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 교환국(12)과,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각종 유무선 통신 단말기(18, 19, 20, 22, 23, 24, 25, 26 27)와, 이들 단말기들로부터 또는 유선교환국(17)을 통해 또는 직접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자막 어학 학습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21) 또는 자막 어학 학습 기능을 내장한 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성되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유선교환국을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서버(11)로부터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모뎀부(31)와, 유무선 단말기와 PC 등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내부장치에서 독출 가능한 데이터로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2)와 어학 학습용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33)와,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키는 코덱부(34)와, 앰프부(35)와,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LCD 화면 표시부(38)를 구동시키는 LCD 드라이버(7)와, 자막 및 오디오 학습 데이터를 처리하고,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DSP/CPU부(39)로 구성되며, 자막 카세트 테이프와 카세트 플레이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보고들을 수 있으며, PC가 없더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외국어 습득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본 발명은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막 카세트 플레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모뎀과 데이터 메모리 모듈을 내장하여 유선, 무선 및 위성통신망과 유무선 CATV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어학 학습용 데이터를 전송받아 자막표시 및 오디오 출력을 가능케 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어 또는 일어 등의 외국어 학습시에는 카세트 테이프를 이용하는 카세트 플레이어나 나아가서는 오디오와 자막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자막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들 외국어 학습기들은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동시에 휴대하고 다녀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테이프 크기의 한계와 플레이어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서 출퇴근시간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시에는 불편한 점이 많았었다.
자막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경우에도 마그네틱 헤드의 조정 및 마모 상태와 제조회사별 생산 기준의 차이로 인해 오디오 신호에 노이즈가 유입되거나 자막 표시시 오동작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자막 카세트 테이프를 구입시에는 년간 구독을 하거나 세트로 구매할 수밖에 없고 자막용 플레이어도 구입해야 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돈을 들여야 했었다.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구매해 놓고도 동기 또는 흥미유발 등의 이유로 해서 돈만 투자해 놓고 외국어 학습을 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빈번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와 음악 및 게임 데이터를 학습분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킨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여두고, 필요시 이들 데이터를 인터넷, PC통신, 사설 BBS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교환국으로 전송하여 유선, 무선 및 위성통신망과 유무선 CATV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또는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능을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페이저, PCS, PHS, PDA, 셀룰러 등)로 필요한 분량의 데이터를 공급함으로써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어학 학습을 가능케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막 카세트 테이프나 카세트 플레이어 없이도 모뎀을 지닌 PC를 사용하지 않고서 내장된 모뎀을 이용하여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시 자막 어학 학습을 가능케 하는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 단말기로서 자막 카세트 테이프나 카세트 플레이어 없이도 모뎀을 지닌 PC를 사용하지 않고서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 메모리 모듈에 저장하여 두고 자막 어학 학습을 가능케 하는 자막 어학 학습 기능을 지닌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의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 기능을 내장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 기능을 내장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의 외관도.
제6(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의 또 다른 외관도.
제6(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 기능을 내장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외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 서버
12 : 통신 교환국 13 : 위성교환국
14 : 무선교환국 15 : 무선 CATV국
16 : 유선 CATV국 17 : 유신교환국
18 : 사용자 PC 19 : 무선 CATV수신기
20 : 유선 CATV 수신기 21 :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22 : FPLMTS 단말기 23 : 페이저
24 : PCS 단말기 25 : PHS 단말기
26 : PDA 단말기 27 : 셀룰러 단말기
31, 52 : 모뎀부 32 : 통신 인터페이스부
33 :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
34, 54 : 코덱부(CODEC) 35, 59 : 앰프부
36 : 스피커 37 : LCD 드라이버
38, 58 : LCD 화면 표시부 39, 55 : DSP/CPU 부
40 : 스위치부
41 : 외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 모듈
51 : RF/IF부 53 : 프로토콜 제어부
56 : 데이터 전송 제어부 57 : 키부
60 : ROM 및 RAM 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은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자막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으로서, 학습분야별로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구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제공 하기 위한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 서버(11);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 교환국(12); 및 상기 통신 교환국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통신 교환국에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교환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유무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의 접속을 통해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33); 상기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자막어학학습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분처리하는 DSP/CPU부; 상기 DSP/CPU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 및 상기 DSP/CPU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무선데이터 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RF/IF부(51); 상기 RF/IF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부(52); 상기 모뎀부로부터 복조되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받아들여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수신 데이터로 추출하는 프로토콜 제어부(53);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로부터 추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코덱부(54);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로부터 추출되는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8)에 전달하는 것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56);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고 플레이모드 선택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변환시켜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DSP/CPU(55)부; 상기 DSP/CPU부의 운영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ROM 및 RAM부(6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의 블록도로서, 학습 분야별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서버(11)와,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 교환국(12)과, 외부 통신망을 통해 통신특성에 맞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위성 교환국(13), 무선교환국(14), 무선 CATV국(15), 유선 CATV국(16) 및 유선교환국(17)과, 외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각종 유무선 통신 단말기(18, 19, 20, 22, 23, 24, 25, 26, 27)와, 이들 단말기들로부터, 또는 유선교환국(17)을 통해, 또는 직접 외부 통신망으로부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21) 또는 자막 어학 학습 기능을 내장한 무선통신 단말기로 구성된다.
먼저 사용자가 요구시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서버(11)에 저장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는 인터넷, 인트라넷, PC통신, 사설 BBS 망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교환국(12)으로 전송된다.
통신 교환국(12)으로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통신환경에 따라 위성교환국(13), 무선교환국(14), 무선 CATV국(15), 유선 CATV(16), 또는 유선교환국(7)으로 전송되어, 외부 통신망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의 유무선 단말기인 FPLMTS 단말기(22), 페이저(23). PCS 단말기(24), PHS 단말기(25), PDA 단말기(26),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27), 무선 CATV 수신기(19), 또는 유선 CATV 수신기(20)로 전송된다. 또한, 유무선 단말기는 전술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욱 다양하게 출현할 것이다.
한편, 유선교환국(17)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사용자PC(18)를 통하거나, 사용자PC(18)를 통하지 않고 직접 사용자의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21)로 전송된다.
각각의 유무선 단말기(19, 20, 22, 23, 24, 25, 26, 27)로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는 사용자의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되며, 저장된 학습 데이터는 사용자가 필요시 플레이시켜 학습에 이용하게 된다.
또한, 미리 저장된 외부 자막 데이터 메모리 모듈을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한 데이터 수신 없이도 학습에 직접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도는 제1도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막 어막 학습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유선교환국을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서버(11)로부터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모뎀부(31)와, 유무선 단말기와 PC 등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내부장치에서 독출가능한 데이터로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2)와, 어학 학습용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33)와,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키는 코덱부(34)와, 앰프부(35)와,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LCD 화면 표시부(38)를 구동시키는 LCD 드라이버(7)와, 자막 및 오디오 학습 데이터를 처리하고,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는 DSP/CPU부(39)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외부로부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의 입력시에 PC를 이용하지 않고서 직접 유선교환국을 통한 모뎀 통신 모드이면, 모뎀(31)을 구동하여 DTMF 다이얼링을 하여 유선교환국과 접속하여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모뎀(31)을 통해 수신하게 된다.
한편, PC를 이용하여 유선교환국을 통하거나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가 입력되는 PC 통신 모드이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DSP/CPU부(39)는 모뎀(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2)로부터 입력된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 및 제어하여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33)에 저장시킨다.
데이터 저장이 완료되면, 모뎀 통신 모드에서는 모뎀부(31)의 유선망 접속을 종료한 후에, PC 통신 모드에서는 그대로 데이터 수신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DSP/CPU부(39)에 연결된 스위치부의 플레이 스위치가 온 되어, 어학 학습 모드가 되면, DSP/CPU부(39)는 데이터 메모리부(33)의 데이터를 읽어서, 내부 RAM에 저장된 해당 어드레스에 따라서 어학 오디오 데이터이면 코덱부(34)로 보내어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시켜 앰프부(35)를 통해 증폭하여 스피커(36)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한편, 데이터 메모리부(33)의 데이터 부분이 자막 데이터이면 LCD 구동부(37)로 보내어, LCD 화면 표시부(38)를 구동 제어하게 되어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를 플레이백시킨다.
또한 어학 학습 모드에서 포워드 또는 리버스 스위치 입력시에는 전후의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플레이백시키므로서, 반복하여 자막 및 오디오 어학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 모듈(41)을 단말기에 착탈식으로 장착하면, 각종 학습용 자료데이터를 유무선 수신 없이도 직접 교환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코덱부(34)는 D/A 컨버터와 필터로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제4도는 자막 어학 학습 기능을 내장한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고주파 증폭시키는 RF/IF부(51)와, 고주파 증폭된 데이터신호를 복조하는 모뎀부(52)와, 수신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수신데이터로 추출 제어하는 프로토콜 제어부(53)와, 오디오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시키는 코덱부(54)와, 데이터종류에 따라 해당부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56)와, 단말기 전체를 제어하고 오디오학습데이터를 처리하는 DSP/CPU부(55)와, CPU 프로그램과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ROM 및 RAM부(60)와, 어학 학습용 오디오 및 자막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59)와,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는 LCD 화면표시부(58)로 이루어진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이다.
송/수신 모드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의 입력시에 DSP/CPU부(55)는 송/수신모드(Y)와 오디오 통화모드(N)를 확인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는 RF/IF부(51)를 통해 고주파 증폭되어, 모뎀부(52)를 통하면서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복조된다.
모뎀부(52)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프로토콜 제어부(53)로 전송되어,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수신 데이터로서 추출된다.
이때, DSP/CPU부(55)가 송/수신 모드(Y)와 오디오통화 모드(N)를, 확인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이면, 데이터를 코덱부(54)로 출력시켜 오디오를 송/수신하게 한다.
또한, DSP/CPU부(55)가 송수신모드(Y)와 오디오 통화모드(N)를 확인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가 아닌 정보 데이터이면 데이터 전송 제어부(56)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정보데이터를 출력하게 한다.
한편, 프로토콜 제어부(53)로부터 출력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는 DSP/CPU부(55)에 의해 처리, 제어되어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59)에 저장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키부(57)의 플레이키를 눌러 어학 학습 모드가 선택되면, DSP/CPU부(55)는 송/수신모드(Y)와 어학 학습 모드(N)를 확인하고, 데이터 메모리부(59)의 데이터를 읽어서, 내부 RAM에 저장된 해당 어드레스에 따라서 어학 오디오 데이터이면 코덱부(54)로 보내어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킨다.
한편, DSP/CPU부(55)는 데이터 메모리부(59)로부터 읽혀진 데이터가 자막 데이터이면 LCD 화면 표시부(58)로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자막 데이터를 출력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어학 학습 모드에서 키부(57)의 포워드 또는 리버스 키 입력시에는 전후의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를 LCD 화면 표시부(58)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됨으로서, 반복하여 자막 및 오디오 어학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제6(a)도와 제6(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실시예들이며, 제6(c)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어학 학습 기능을 지닌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들은 일예를 든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외관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자막 카세트 테이프와 플레이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자막 및 오디오 데이터를 보고 들을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고, 오동작 없이 간편하게 외국어 학습이 가능하고, 또한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PC가 없더라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데이터의 갱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싫증내지 않고 흥미롭게 외국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자막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분야별로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구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 서버(11);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네트워크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는 통신 교환국(12); 및 상기 통신교환국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사용자의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통신 교환국에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교환부를 포함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2. 유무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의 접속을 통해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33); 상기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분처리하는 DSP/CPU부; 상기 DSP/CPU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 및 상기 DSP/CPU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3.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RF/IF부(51); 상기 RF/IF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부(52); 상기 모뎀부로부터 복조되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받아들여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수신 데이터로 추출하는 프로토콜 제어부(53);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로부터 추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코덱부(54);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로부터 추출되는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8)에 전달하는 것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56);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고 플레이모드 선택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변환시켜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DSP/CPU(55)부; 상기 DSP/CPU부의 운영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ROM 및 RAM부(60)를 포함하는 자막 어학 학습 기능을 지닌 무선데이터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부는 상기 통신교환국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통신교환국에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외부로 전파하기 위한 무선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부는 위성 통신망과 연결되는 위성 교환국,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는 무선교환국, 무선 또는 유선 CATV 방송국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출부에서 전파되는 무선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 단말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부는 상기 통신교환국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통신교환국에 전송된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유선교환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교환국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교환국은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에 직접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부 또는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상기 유선교환국에 접속하여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한 모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외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 모듈을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3.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무선 단말기 또는 컴퓨터와의 접속을 통해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33); 상기 내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자막 어학학습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분처리하는 DSP/CPU부; 상기 DSP/CPU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덱부; 및 상기 DSP/CPU부의 제어에 따라 출력되는 상기 자막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단말기는 상기 무선송출부에서 전파되는 무선 데이터 신호를 직접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단말기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기 위한 RF/IF부(51); 상기 RF/IF부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모뎀부(52); 상기 모뎀 부로부터 복조되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받아들여 통신 프로토콜에 맞는 수신 데이터로 추출하는 프로토콜 제어부(53);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로부터 추출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코덱부(54);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로부터 추출되는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8) 또는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59)에 전달하는 것을 제어하는 데이터 전송 제어부(56);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시키고 플레이모드 선택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변환시켜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DSP/CPU(55)부; 상기 DSP/CPU부의 운영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ROM 및 RAM부(60)를 포함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SP/CPU부에 기능선택 및 모드 선택 정보를 제공하는 스위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는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미리 저장한 외부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 메모리 모듈을 착탈식으로 연결하여 상기 자막 어학 학습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SP/CPU부에 동작 모드 및 기능선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무선데이터 통신 단말기.
KR1019970053174A 1997-07-10 1997-10-16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KR10027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174A KR100272928B1 (ko) 1997-10-16 1997-10-16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EP98932612A EP0931302A1 (en) 1997-07-10 1998-07-10 Caption type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aption type learning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CN 98800962 CN1201274C (zh) 1997-07-10 1998-07-10 使用字幕型学习终端和通信网络的字幕型语言学习系统
JP11508466A JP2000508092A (ja) 1997-07-10 1998-07-10 キャプション型学習端末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キャプション型言語学習システム
PCT/KR1998/000202 WO1999003083A1 (en) 1997-07-10 1998-07-10 Caption type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aption type learning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HK00101810A HK1022976A1 (en) 1997-07-10 2000-03-23 Caption type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aption type learning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JP2003022882A JP2003307998A (ja) 1997-07-10 2003-01-30 キャプション型学習端末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キャプション型言語学習システム
US10/817,650 US20040253565A1 (en) 1997-07-10 2004-04-02 Caption type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aption type learning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174A KR100272928B1 (ko) 1997-10-16 1997-10-16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98A KR19990032198A (ko) 1999-05-06
KR100272928B1 true KR100272928B1 (ko) 2000-11-15

Family

ID=19522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174A KR100272928B1 (ko) 1997-07-10 1997-10-16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9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23A (ko) * 2000-09-07 2000-12-05 명성준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779A (ko) * 1999-05-25 2000-12-15 이혜정 컨텐트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6280B1 (ko) * 1999-07-2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KR100640382B1 (ko) * 1999-07-24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회화 학습방법
KR20010027416A (ko) * 1999-09-11 2001-04-06 양재룡 전화 한통화로 시험 공부 및 문제 풀이가 가능할 수
KR20010094147A (ko) * 2000-04-04 2001-10-31 노창현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정보 제공방법 및 그시스템
KR20010097249A (ko) * 2000-04-21 2001-11-08 김인배 페이저망을 이용한 무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462247B1 (ko) * 2002-02-02 2004-12-17 김지수 음성데이터인 모바일폰의 벨소리를 이용한언어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0458807B1 (ko) * 2002-05-10 2004-12-03 최병원 실시간 스피킹 지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23A (ko) * 2000-09-07 2000-12-05 명성준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정보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98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5175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acceso a servicios media en linea.
US734026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extual data embedded in broadcast media signals
US8595350B2 (en) Us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us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uni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20080060047A1 (en) Media Device
US20070236613A1 (en) TV remote with image capability
WO2005069618A1 (en) Portable audio/video system for mobile devices
KR100272928B1 (ko)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막 어학 학습 시스템 및 자막 어학 학습 단말기
GB2329737A (en) Earphone and terminal equipment
US8055361B2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providing content to portable terminal
US20040127201A1 (en) Cellular telephone having TV reproduction functions
KR100640374B1 (ko)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
WO1999003083A1 (en) Caption type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aption type learning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03741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KR100735429B1 (ko)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방법및 시스템
KR20000068624A (ko) 수신기에 의해 프로세스되는 동작 신호의 호환성 전송과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40253565A1 (en) Caption type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caption type learning terminal and communication network
KR100353217B1 (ko) 비디오 메일의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휴대폰 및 동영상재생방법
KR100386568B1 (ko)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WO2001011872A1 (fr) Procede d'affichage d'un numero d'appel d'un telephone sur un poste de television
JPH08243253A (ja) ゲーム装置用通信アダプタ
KR20040024368A (ko) 화상전화 기능을 갖는 tv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S58150384A (ja) 画像情報端末装置
JP2000022647A (ja) 番組データ伝送方法及び番組データ受信機
KR19990039526A (ko) 인터넷 티브이를 이용한 팩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611281B2 (ja) 文字放送受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107

Effective date: 2005010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10000293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107

Effective date: 200501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1301;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01

Effective date: 200504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000140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01

Effective date: 2005042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4447;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04

Effective date: 200512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000098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04

Effective date: 20051222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0862;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1056;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17

Effective date: 200603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1000000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17

Effective date: 200603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3977;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60208

Effective date: 200703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500001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60208

Effective date: 200703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RREC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5003455; CORREC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179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472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4731;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418

Effective date: 200709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5003455;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418

Effective date: 2007092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5017;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01

Effective date: 200709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444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601

Effective date: 200709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15

Effective date: 200803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472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15

Effective date: 20080313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40004820;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27

Effective date: 200709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086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127

Effective date: 200709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15

Effective date: 200804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4731;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15

Effective date: 200804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1220

Effective date: 2008050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5000131;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1220

Effective date: 2008050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21

Effective date: 200805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300000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321

Effective date: 2008051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201

Effective date: 2007092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20000105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201

Effective date: 200709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30

Effective date: 2008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30000501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30

Effective date: 20080710

J222 Remand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40009313; REMAND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821

Effective date: 2009010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500010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821

Effective date: 2009010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25

Effective date: 20081208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23

Effective date: 2008121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4000931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725

Effective date: 200812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4000482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423

Effective date: 200812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17

Effective date: 200904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000002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17

Effective date: 200904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326

Effective date: 200908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000090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326

Effective date: 2009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