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550B1 -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과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 Google Patents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과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550B1
KR100271550B1 KR1019930003477A KR930003477A KR100271550B1 KR 100271550 B1 KR100271550 B1 KR 100271550B1 KR 1019930003477 A KR1019930003477 A KR 1019930003477A KR 930003477 A KR930003477 A KR 930003477A KR 100271550 B1 KR100271550 B1 KR 10027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length
digital data
data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406A (ko
Inventor
히로유끼 이노
요시히데 심뿌꾸
야스유끼 자끼
도시유끼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3002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5/00Conversion of the form of the representation of individual digits
    • H03M5/02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 H03M5/04Conversion to or from representation by pulses the pulses having two levels
    • H03M5/14Code representation, e.g. transition, for a given bit cell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in one or more adjacent bit cells, e.g. delay modulation code, double density code
    • H03M5/145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변조 방법은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로 할때,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2.0T 이상이고, 동시에,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변조 장치는 상기 변조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 로 할때, 최소 반전 간격 Tmin 2.0T 이상이고, 동시에,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인 상기 가변 길이 부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고, 상기 기억 수단의 복수의 테이블의 어느 것이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과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변조 방법에 이용하는 기본 부호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기본 부호를 이용해서 얻어지는 유효 부호수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기본 부호를 이용해서 디지탈 데이타틀 부호어로 변환하는 테이블의 구체적인 예 (본 실시예에서는 2-5 변환)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구속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에 얻어지는 부호어의 수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각 변조 방법에 있어서, Tmin, Tmax 등을 비교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변조 방법과 종래의 변조 방법을 비교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8도는 제7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복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0도는 2-4 변환하기 위한 기본 부호를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2-5 변환하기 위한 기본 부호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부호어를 2-4 변환의 기본 부호에서 시작하는 경우의 유효 부호수를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부호어를 2-5 변환의 기본 부호에서 시작하는 경우의 유효 부호수를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부호어가 제12도로 나타내는 기본 부호(2-4)로 시작되는 경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부호어가 제13도로 나타내는 기본 부호(2-5)로 시작되는 경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제16도는 제14도, 제15도에 나타난 부호어의 Tmin, Tmax 등을 나타낸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변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8도는 제17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타는 타이밍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복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0도는 변환 입력 데이타 길이와 블럭 길이와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
제21도는 복조처리에 있어서 데이타에 복조 불능 또는 에러가 생기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변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복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24도는 제22도 및 제23도에서의 ROM1 및 ROM11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의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제25도는 복조 처리에 있어서 데이타가 정상으로 복조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이타 2 : 엔코더
3 : 셀렉터 4 : 테이블
5 : 멀티플렉서 6 : 버퍼
7 : 포맷터 8 : 클럭 발생 회로
본 발명은, 데이타를 예를들면 기록 매체에 디지탈적으로 기억 및 재생 시키는데 적당한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 및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에 관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이용되는 변조 부호는, 가변 길이 부호이며, m 비트 단위의 기록 데이타를 n 비트 단위의 기록 부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자기 기록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신호의 주파수 특성은 미분 특성이고, 또 고역에서의 열화도 있다. 이것은, 예를들면 헤드 캡에 의한 손실, 헤드 매체간의 스페이스에 의한 손실, 매체 두께에 의한 손실, 로우타리 트랜스에 의한 저역 손실등에 기인한 저역 손실 등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인접 트랙에서의 크로스 토우크 노이즈, 매체에서의 노이즈, 오버라이트 노이즈 등의 노이즈가 있으면, 랜덤에러의 원인이 된다. 또, 광기록 시스템에 있어서는 광원의 파장과 노이즈의 개폐율로 정해지는 광학적 차단 주파수(2NA/λ)로 향해서 략출력은 선형으로 감소한다.
이와 같은 손실이나 노이즈에 불구하고, 데이타를 정확하게 기록 재생하기 위해서는, 기록 재생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디지탈 정보를 변조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또 기록 매체에서의 재생 데이타를 복조하도록 한 것이, 보자 많은 정보를 안정하게 수용할 수가 있다. 이때문에, 데이타(기록 신호)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기록 부호(채널 코드)화 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기록 부호 중에는 블럭 부호가 있다. 이 블럭 부호는, 데이타예를 m × i 비트 씩 블럭화하고, 이 데이타어를 소정의 부호규칙에 따라서 n × 1 채널 비트의 기록부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i = 1 일때, 고정 길이 부호로 되고, i 가 1 보다 크고, 구속 길이 r 가 1 보다 큰 경우, 가변 길이 부호로 된다. 블럭 부호는, (d, k ; m, n ; r)부호라고도 일컬어진다. 여기에서, d 는 0의 최소 연속 개수를 나타내 고, k 는 0의 최대 연속 개수를 나타낸다.
이 블럭 부호에 관해서, 이하와 같은 공지 기술이 알려져 있다. 공지의 일본 특허 공개 HEI 01-221919 호 공보, 1989년 9월 5일 공개, 명칭 「가변 길이 부호 변환 방법」은, 부호어의 시단 및 종단에서의 “0” 의 란수를 제한하고, 동시에 일의로 복호 가능한 부호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2, 7) RLL 부호에 비해서 최소자화 반전 간격 Tmin 이 1.33 배, MFM에 대해서 2 배큰 부호를 얻는 것이다.
이 공지 기술의 구체적 구성은, 최소 데이타 길이 m = 2, 최소 부호어 길이 n = 6, 부호어 길이수 rmax = 4, 변환후의 부호어 끼리의 접속한 2 진 부호어열의 “0”의 란수를 5 이상, 16 이하로 (d, k)제한한다. 이러한 가변부호에 있어서 부호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조건은, 하나의 부호어내에서 (d, k) 제한을 충족하는 것, 부호어의 경계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고, 일의로 복호가능인 것의 3조건에 의해 선택하는 외, 평균 자화 반전 간격이 작게되도록 부호어중의 “1”의 수가 많은 것에서 우선해서 할당되는 것이다. 이 외에, 같은 공지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HEI 01-221920, HEI 01-221921, HEI 01-221922, HEI 01-221923, HEI 01-221925 (모두 1989 년 9 월 5 일 공개)가 있다. 상기 공지 기술로서 열거되는 가변 길이 부호는,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가변 길이 부호에 비해, 검출 창폭 Tw가 좁고, 복호시에 검출 효율이 나쁘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 공지의 일본 특허 공개의 SHO 59-160357 호 공보, 1983 년 3 월 3 일 공개, 「명칭 2 진 데이타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은, 2 비트의 2 진 데이타를 5 비트의 변환 코드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HDM-3 이 갖는 자화 반전 간격 2 를 계속 살릴 수 있고, 검출 창폭을 0.4T 로 향상시켜서 고밀도의 데이타의 기록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공지기술의 구체적 구성은, 10 비트의 직렬 병렬 레지스터의 병렬 출력의 단자에는 2 진 데이타가 클럭에 동기해서 축자 출력된다. 부호기에서는 출력 단자각에 2 진 데이타를 입력 단자로 받고, 부호화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5 비트 변환 코드를 발생시키고, 5 비트의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이 5 비트 변환 코드는, 5 비트 병렬 직렬 레지스터에 입력되고, 변환 코드열이 출력 단자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가변 길이 부호의 코드에 가깝지만 가변 길이가 아니고 고정 길이 부호이다. 또, 이 부호의 발생 방법의 알고리즘은 복잡하고, 따라서 하드웨어도 복잡하다.
또한, 공지의 전자 정버 통신 학회 춘추 전국 대회 논문, 1989 년, 명칭 「(3, 19 ; 4, 9 ; 3)부호의 제안」은, (3, K) VL 부호의 구체예로서 (3, 19 ; 4, 9 ; 3)에 관해서 서술하고 있다. 이 부호는, Tmin에 관해서 (2, 7) RLL 부호나, 2/3 부호보다 우수하고, Tmin * Tw 에 관해서는, (2, 7) RLL 부호보다 우수하다 또한, 이 부호를 광자기 시스템에 이용하는 것을 상정한 경우의 특성 평가에 관해서는, 공지의 텔레비젼 학회지 V 이 44, no10, pp + 1369 ∼ 1375 (1990년)에 서술되 어 있다.
이들 종래의 부호는, d 의 수치가 작고 (d = 2),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작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기록 매체, 특히 광학적 기록 매체에 있어서는, 고역에서의 재생 출력의 열화가 심하고, 고밀도 기록을 행하려면, d를 크게하고, 최소 반전 간격 Tmin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한편으로, d 를 크게하면, m 이 크게되고, 구속 길이 r도 크게된다. 그 결과, 디지탈 데이타를 가변 길이 부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도 크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가변 길이 부호의 경우는, 기록 데이타에 의해서 변조 부호가 다르기 때문에, 블럭 길이를 보이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블럭내만으로 완결하게 복조하려고 한 경우, 변조 부호에 하등의 궁리가 없으면 복조 불능 또는 복조 결과에 에러가 생기는 원인으로 될수가 있다. 또 그 블럭에 걸쳐서 변조를 행한 경우, 도중의 블럭에서 돌연 복조로 행하려고 한때에, 전 블럭의 부호가 없기때문에, 복조 불능으로 될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에 감안해서 된 것이고, 최소 반전 간격 Tmin을 보다 크게 할수가 있는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를 제공하고, 종래의 경우에 비해서, 보다 고밀도의 기록이 기록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구속 길이 r 를 길게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환 테이블이 크게 되는 것을 계속 방지하고, 동일 심볼이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를 크게하고, 최소 반전 간격을 크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 길이 변조 부호에 있어서, 고정 길이의 블럭내에서 정보의 결락이 없고, 필요 최소한의 용장으로 변복조가 완결할 수 있는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양상에 따르면, 변조 방법은,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방법에 있어서,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 을 T로 할때,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min이 2.0T 이상이고, 동시에, 동일 심볼 (예를들면 0)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변조 방법은,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d, k ; m, n ; r)로 변환하는 변조 방법에 있어서,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의 비트 수분 변화하는 것마다 적어도 2 개의 다른 소정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을, 적어도 n1비트 또는 n2(n1≠ n2)비트씩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변조 장치는,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장치에 있어서, 디지탈 데이타를 입력으로하고, 입력 데이타를 제 1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제 1 의 부호 열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수단과, 디지탈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 데이타를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제 2 의 부호열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수단과, 제 1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제 1 의 부호열 및 제 2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제 2 의 부호열이 공급되는 멀티플렉스 수단과, 디지탈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고, 디지탈 데이타의 블럭의 경계를 검출하고, 이 블럭의 경계를 검출한 때는, 멀티플렉서 수단에 대해서, 제 1 변환 수단에 의한 제 1 의 부호열에서 제 2 변환 수단에 의한 제 2 의 부호열로 출력을 바꾸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타이밍 관리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응용한 가변 길이 부호 (4, 22 ; 2, 5 ; 5) (이하, VFM 이라 한다)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2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를 갖는 데이타어를 5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를 갖는 부호어로 변환한다. 이를 위한 기본 부호로서, 제1도에 나타나는 6 종류의 기본 부호가 이용된다. 즉, 이 6 종류의 기본 부호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가 가변 길이의 부호어로 변환되게 된다.
제2도는, 이 기본 부호를 이용해서 얻어지는 유효 부호수를 니타내고 있다. 즉, 구속 길이 r 을 1, 2, 3, 4, 5 와 같이 차례로 증가시켜가면, 필요한 부호어의 수 N 은 4, 8, 16, 28, 32 로 변화한다. 이것에 대해서, 실제로 채용할 수 있는 부호어의 수 M 은 2, 4, 9, 20, 34 로 변화한다. 따라서, 그 차 D(= N - M)는 2, 4, 7, 8, -2 로 변화한다. 즉, 구속 길이 r 이 5 로 될때까지의 부호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를 과부족 없이 부호어로 변환할 수가 있다.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난 기본 부호를 이용해서 디지탈 데이타를 부호어로 변환하는 테이블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도에 나타내는 것같이, 2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가 5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부호어로 변환된다. 예를들면 데이타 “11”은 부호 ‘00000’으로 변환되고, 데이타 ‘10’ 은 부호 ‘10000’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하 똑같이해서, 4, 6, 8, 10 의 각 비트 길이의 데이타가, 10, 15, 20, 25 의 부호 길이를 갖는 부호어로 변환된다.
제3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디지탈 데이타가 “11”일때, 부호어는 ‘00000’으로 된다. 따라서, 특별의 규칙을 갖추지 않은 경우, 디지탈 데이타의 논리 (심볼)로서 1 이 연속하면, 부호어로서는 논리 0이 연속하게 된다. 이 경우, 부호어는 (4,00 ; 2, 5 ; 5)로 되고, 구속길이 r 을 변화시킨 경우에 얻어지는 부호어의 수 N 은, 제4도에 나타나도록 변화한다. 논리 0 이 무한으로 연속하면, 셀프클럭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해 진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지탈 데이타의 논리가 6 비트 연속해서 1 일때, 부호는 ‘000010000100000’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난 부호어의 최소 반전 간격 Tmin (= (m/n) (d + 1) T), 최대 반전 간격 Tmax (= (m/n) (k + 1) T), 데이타 검출 윈도우 폭 Tw (=(m/n)T), Tmin와 Tw의 합 및 Tmax 와 Tmin 의 비는, 제5도의 VFM의 란에 나타나도록 된다. 여기에서 T 는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이다. 제5도에는 이외에, d 의 수치를 3 으로 한 경우 (32), 및 EFM의 경우의 수치도 나타내지고 있다. 이것들의 수치와 비교해서 명확한 것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소 반전 간격 Tmin 가 2.0T 로 되고, 3Z 및 EFM의 경우에 비해서, 크게 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제6도는, MTF와 규격화 공간 주파수(NA/λ)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동도면에 나타내는 것같이, 규격화 공간 주파수가 크게됨 (주파수가 크게된다)에 따라서, MTF가 작게 되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제6도에는 EFM, 3Z 및 VFM의 방식에 의해, 같은 밀도로 부호를 기록한 경우에서의 규격화 공간 주파수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EFM의 경우, 규격화 공간 주파수가 0.43 에서 1.57 의 범위에 걸쳐 있는 것에 대해서, VFM의 경우, 0.24에서 1.1의 범위에 안정되어 있다. 따라서, 같은 기록 밀도를 실현하는 것에, VFM의 경우의 쪽이 EFM에 비해서, 보다 낮은 주파수로 끝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보다 고밀도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한층, 제6도의 괄호에 나타내는 배율(3.0 배)는, 통상의 CD (컴팩트 디스크)의 선밀도에 대한 배율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쉬프트레지스터(1)에는, 디지탈 데이타가 데이타 클럭에 동기해서 차례로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10 비트의 디지탈 데이타가 쉬프트 레지스터(1)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1)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엔코더(2)에 공급되고, 거기에 있어서 구속 길이 r 가 판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엔코더(2)는, 쉬프트 레지스터(1)에서 공급된 디지탈 데이타틀 셀렉터(3)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3)는, 엔코더(2)를 넣어서 쉬프트 레지스터(1)에서 공급된 디지탈 데이타를, 엔코더(2)가 출력하는 구속 길이 r 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고, ROM (4-1) 내지 (4-6)의 어느 것이든지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ROM (4-1)에는, 표 3 에 나타나는 2 비트의 데이타를 5 비트의 부호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똑같이해서, ROM (4-2) 내지 (4-5)에는, 제각기 4, 6, 8 또는 10 비트의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10, 15, 20 또는 25 의 부호 길이의 부호어로 변환하는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ROM (4-6)에는,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의 논리가 6 비트 연속해서 1 인 경우에서의 변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멀티플렉서(5)는 ROM (4-1) 내지 (4-6)의 출력을 합성하고, 버퍼(6)에 출력한다. 버퍼(6)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또한 포맷터(7)에 공급된다. 클럭 발생 회로(8)는, 데이타 클럭에 동기한 채널 클럭을 생성하고, 버퍼(8)에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엔코더(2)는, 쉬프트레지스터(1)에 기억되어 있는 10 비트의 데이타에서, 그 구속 길이 r 을 판정한다. 그리고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해서 셀렉터(3)을 제어하고,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를 ROM (4-1) 내지 (4-6)의 어느 것이든지 공급한다. 구속 길이 r 가 1 이라고 판정된 때, 그 2 비트의 데이타는 ROM (4-1)에 공급된다. 이 데이타는, ‘11’ 또는 ‘10’ 이다. 디지탈 데이타 ‘11’은, ROM (4-1)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에 따라서 부호 ‘00000’로 변환되고, 디지탈 데이타 ‘10’은, 부호 ‘10000’로 변환된다.
또, 예를들면 입력된 것이 디지탈 데이타 ‘0111’ 일때, 구속 길이 r 은 2 라고 판정되고, 이 데이타는 ROM (4-2)에 공급된다. 그리고, 거기에 기억되어 입는 테이블에 대응하고, 부호 ‘0100000000’ 로 변환된다.
이하 같게해서, 제3도에 나타나는 디지탈 데이타가 대응하는 부호로 변환된다.
제8도는, 이 변환예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가 16 진 수로 나타내어 18D2 (제8(a)도) 일때, 그 바이너리 데이타(제8(b)도)는 ‘0001100011010010’로 된다.
엔코더(2)는, 입력된 바이너리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을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최초의 2 비트 ‘00’에 대응하는 데이타는 제3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거기에 계속되는 2비트의 데이타를 부가한 합계 4 비트의 데이타 ‘0001’이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제3도에 나타나는 것 같이, 이 데이타도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한층더 2 비트 늘려서, 6 비트의 데이타 ‘000110’이 테이블중에 존재하는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이 데이타도 표 3 에 나타나는 테이블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 한층더 2 비트일 데이타가 부가된다. 8 비트의 데이타 ‘00011000’은, 제3도의 구속 길이 r = 4 의 테이블 중에 존재하는 데이타이다.
그래서 r = 4 로 판정되고, 셀렉터(3)은, 이 데이타 ‘00011000’ 을 ROM (4-4)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디지탈 데이타는 ROM (4-4)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에 따라서, 부호어 ‘01000010000000100000’로 변환된다(제8(c)도). 계속되는 2 비트의 데이 타 ‘11’은, 제3도에 나타나는 구속 길이 r = 1 의 데이타로서 판정되기 때문에, ROM (4-1)에 공급되고, 부호어 ‘00000’으로 변환된다(제8(c)도).
또한 그 후에 계속되는 2 비트의 데이타 ‘01’은 제3도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2 비트의 데이타가 부가된다.
데이타 ‘0100’은, 제3도의 구속 길이 r = 2 의 데이타로서 검출되기 때문에, ROM (4-2)에 공급된다. 그리고, 부호어 ‘0000100000’로 변환된다(제8(c)도).
계속되는 데이타 ‘10’은, 구속 길이 r = 1 로서 검출되기 때문에, ROM (4-1)에 공급되고, 부호어 ‘10000’로 변환된다(제8(c)도).
이와 같이해서 ROM (4-1) 내지 (4-6)에 의해 변환된 부호어는, 멀티플렉서 (5)에 공급되고, 연속한 부호로서 합성된다.
상술한 것 같이, 이 부호어의 단락은, 최초의 20 비트, 다음의 5 비트, 그 후의 10 비트, 한층더 그 후의 5 비트에 존재하게 된다(제8(d)도).
멀티플렉서(5)에 의해 합성된 부호어는, 채널 클럭 (제8(f)도)에 동기하여 버퍼(6)에 공급되고, 기억된다. 그리고, 거기에서 판독되고, 포맷터(7)에 공급된다. 포맷터(7)은, 버퍼(6)에서 공급되는 부호어를 인터리이브하고, 에러 정정 부호나 동기 신호를 부가하고, 소정의 포맷에 따른 부호로 한다. 그리고, 이 부호를 도시하지 않은 기록 회로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논리 1 이 발생할 때마다 레벨이 반전하는 기록 신호(제8(e)도)가 생성된다. 이 기록 신호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복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기록 매체에서 재생된 부호어는, 셀렉터(22)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변환 길이 판정 회로(21)는, 이 부호어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고, 셀렉터(2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22)는, 변환 길이 판정 회로(21)의 출력에 대응하고, 입력된 부호어를, ROM (23)을 구성하는 ROM (23-1) 내지 (23-6)의 어느것에 공급한다. ROM (23-1) 내지 (23-6)에는, 제3도에 나타난 테이블과 역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즉, 제3도에 나타난 부호어를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에 복호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멀티플렉서(24)는 ROM (23-1) 내지 (23-6)에서 판독된 데이타를 합성하고, 버퍼(25)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버퍼(25)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디포맷터(26)에 공급되고, 디포맷 된 후,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기준 클럭 발생 회로(27)은, 입력되는 부호어에 동기한 기준 클럭을 생성하고, 버퍼(21)과 동기 검출 회로(28)에 출력하고 있다. 동기 검출 회로(28)는, 기준 클럭 발생회로(27)에서 공급되는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서, 부호어의 동기 신호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신호를 ROM(2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변환 길이 판정 회로(21)는, 입력된 부호어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셀렉터(22)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기본 부호 길이 5 비트의 부호어는 ROM (23-1)에 공급되고, 10 비트의 부호어는 ROM (23-2)에 공급된다. 이하 똑같이해서, 기본 부호 길이가 15 비트, 20 비트 또는 25 비트인 부호어는, 제각기 ROM (23-3) 내지 (23-5)에 공급된다. 또, 입력된 부호어가 ‘000010000100000’의 15 비트의 부호 길이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는, ROM (23-6)에 공급된다.
ROM (23-1) 내지 (23-6)는, 입력된 부호어를,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에 따라서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에 복호한다. ROM (23-1) 내지 (23-6)에 의해 복호된 디지탈 데이타는, 멀티플렉서(24)에 의해 합성되고, 버퍼(25)에 기입된다.
그리고 버터 (25)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디포맷터(25)에 공급되고, 에러 정정, 디인터리이브, 동기 신호의 분리등의 처리가 실시된 후,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변조 방법에 의하면, 가변 길이 부호외 최소 반전 간격 을 2.0T 이상으로하고, 동일 심볼이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를 4이상으로 하도록 했기 때문에, 종래외 경우에 비해서, 보다 고밀도의 기록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변조 장치에 의하면, 최소 반전 간격 이 2.0T 이상이고, 동일 심볼이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가 4 이상인 가변 길이 부호를 복수의 테이블에 기억시키고,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에 대응하고, 이 복수의 테이블의 어느것을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신속하게 고밀도 기억이 가능한 부호를 얻을 수가 있다.
더 한층 본 발명의 복조 장치에 의하면, 최소 반전 간격이 2.0T 이고, 동일 심볼이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가 4 이상인 가변 길이 부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고, 가변 길이 부호의 변환 길이에 대응하고, 복수의 테이블의 어느것을 선택하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게, 고밀도에 기록된 데이타를 복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다른 가변 길이 부호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에서는, 2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를 갖는 데이타어를, 4 비트 또는 5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를 갖는 부호어로 변환한다. 이 때문에 기본 부호로서, 제10도에 나타나는 5 종류의 기본 부호 (2-4)와, 제11도에 나타나는 7 종류의 기본 부호 (2-5)가 이용된다. 즉, 이 합계 12 종류의 기본 부호를, 기본 부호 (2-4)와 기본 부호 (2-5)를 교대로 배치하여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가 가변 길이의 부호어로 변환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호어가, 기본 부호 (2-4)에서 시작되는 경우와, 기본 부호 (2-5)에서 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변환 테이블 (따라서, 다른 부호어)이 이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12도와 제13도는, 제각기 기본 부호(2-4)에서 시작하는 경우와, 기본 부호 (2-4)에서 시작하는 경우에서의 유효 부호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부호어를 기본 부호 (2-4)에서 시작하는 경우, 제12 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구속 길이 r 을 1, 2, 3, 4로 차례로 증가시켜가면, 필요한 부호어의 수 N 은 4, 8, 12, 12 로 변화한다. 이것에 대해서, 실제로 채용 할 수가 있는 부호어의 수 M은, 2, 5, 9, 18 로 변화한다. 따라서, 그 차 D (= N - M)은 2, 3, 3, -6 으로 변화한다. 즉, 구속 길이 r 이 4 로 될때까지의 부호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를 과부족없이, 부호화로 변환 할수가 있다.
똑같이, 부호어를 기본 부호 (2-5)에서 시작하는 경우, 제13도에 나타나는 것 같이, 구속 길이 r 을 1, 2, 3, 4 와 차례로 증가시켜가면, 필요한 부호어의 수 N 은, 4, 8, 12, 16으로 변화한다. 이 중, 실제로 채용할 수 있는 부호어의 수 M 은, 2, 5, 8, 17 로 변화한다. 따라서, 그 차 D 는 2, 3, 4, -1 로 변화한다.
즉, 구속 길이 r 가 4 로 되기까지의 부호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를 과부족 없이, 부호어로 변환할 수가 있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제10도와 제11도에 나타난 기본 부호를 이용하고, 디지탈 데이타를 부호어로 변환하는 테이블의 구체적인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4도는, 부호어가 제10도에서 나타내는 기본 부호(2-4)로 시작되는 경우의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고, 제15도는, 부호어가 제11도에서 나타내는 기본 부호(2-5)로 시작되는 경우의 변환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들의 테이블에서 명확한 것같이, 어느것의 경우라도, 제10도와 제11도에 나타나는 기본 부호가 교대로 조합되어 부호어로 되어있다.
즉, 제14도에 있어서는, 제10도의 기본 부호 (2-4)에서 시작되어 있기 때문에, 구속 길이 r 이 1 씩 증가하고, 디지탈 데이타가 2 비트씩 증가할 때마다, 제11도에 나타나는 기본 부호 (2-5)와 제10도에 나타나는 기본 부호 (2-4)이 교대로 차례로 더해지어 부호어가 구성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15도에 있어서는, 제11도에 나타나는 기본 부호 (2-5)에서 부호어가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구속 길이 r 가 1 씩 증가하고, 디지탈 데이타가 2 비트씩 증가할 때마다, 제10도에 나타나는 기본 부호(2-4)와 제11도에 나타나는 기본 부호 (2-5)가 교대로 차례로 가해지어 부호어가 구성되도록 되어있다.
즉, 이것들의 표에서 명확한 것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가변 길이 부호는, 실질적으로 (3, 15 ; 4, 9 ; 4)를 구성하고 있게된다. 단지, 변환율(m/n)이, 디지탈 데이타가 2 비트씩 증가하는 것마다 변화하기 때문에, (d, k ; m, n ; r)의 형식으로 나타내면, (d ; k ; (m, n)/(m′, n′) ; r), 즉, (3, 15 ; (2, 4)/(2, 5) ; 4)로 표현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변환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d = 3 으로서, 종래의 경우(d = 2)에서 d 의 수치를 크게한다고 해도, 구속 길이 r 이 너무 길게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 변환 테이블이 너무 크케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난 부호어의 최소 반전 간격 Tmin (= (m/n) (d + 1) T), 최대 반전 간격 Tmax (= (m/n) (k + 1) T), 데이타 검출 윈도우 폭 Tw (=(m/n) T), Tmax 와 Tmin 의 비는, 제16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제각기 1.78T, 7.1T, 0.44T 또는 4 로 된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변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쉬프트 레지스터(1)에는 디지탈 데이타가 데이타 클럭에 동기하여 차례로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10 비트의 디지탈 데이타가 쉬프트 레지스트(101)에 기억되도록 되어있다. 쉬프트 레지스터(101)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설렉터(102)에 공급된다. 셀럭터(102)는, 디지탈 데이타를 2 비트를 단위로서 구분하고,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타의 선두의 단위가 기수번째의 단위인지, 우수번째의 단위인지를 판정하고, 기수번째의 단위 일때는, 그 데이타를 엔코더(103)에 공급하고, 우수번째의 단위 일때는, 그 데이타를 엔코더(107)에 공급한다. 엔코더(103) 또는 (107)은,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을 판정한다. 또 엔코더(103) 또는 (107)은, 셀렉터(102)를 개재시켜, 쉬프트 레지스터(101)에서 공급된 디지탈 데이타를, 제각기 셀렉터(104) 또는 (108)에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셀렉터(104)는, 셀렉터(102)와 엔코더(103)을 개재시켜 쉬프트 레지스터(101)에서 공급된 디지탈 테이타를, 엔코더(103)가 출력하는 구속 길이 r의 판정 결과에 대응시키고, ROM (105-1) 내지 (105-5)의 어느것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ROM (105-1)에는, 제14도에 나타나는 2 비트의 데이타를 4 비트의 부호어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똑같게해서, ROM (105-2) 내지 (105-5)에는, 제각기 제14도에 나타나는 4, 6, 8 또는 10 비트의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9, 13, 18 또는 22 의 부호 길이의 부호어로 변환하는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똑같이 해서, 셀렉터(108)는, 셀렉터(102)와 엔코더(107)를 끼워서 쉬프트 레지스터(101)에서 공급된 디지탈 데이타를, 엔코더(107)가 출력하는 구속 길이 r 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고, ROM (109-1) 내지 (109-4)의 어느것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ROM (109-1)에는, 제15도에 나타나는 2 비트의 데이타를 5 비트의 부호어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똑같이해서, ROM (109-2) 내지 (109-4)에는, 제각기 4, 6 또는 8 의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9, 14 또는 18 의 부호 길이의 부호어로 변환하는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멀티플렉서(106)는, ROM (105-1) 내지 (105-5)의 출력과 ROM (109-1) 내지 (109-4)의 출력을 합성하고, 버퍼(110)에 출력하고 있다. 버퍼 (110)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또한, 포맷터(111)에 공급되어 있다. 클럭 발생 회로 (112)는, 디지탈 클럭에 동기한 채널 클럭을 생성하고, 버퍼(11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셀렉터(102)는, 최초로 처리 대상으로 되는 디지탈 데이타의 선두의 단위는 기수번째(1 번째)이기 때문에, 쉬프트 레지스터(10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예를들면 엔코더(103)에 출력한다. 엔코더(103)는, 쉬프트 레지스터(101)에 기억되어 있는 최대 10 비트의 데이타의 구속 길이 r을, 전부터 순번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그 판정결과에 대응하여 셀렉터(104)를 제어하고,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의 처리 대상 비트를 ROM (105-1) 내지 (105-5)의 어느것에 공급한다. 구속 길이 r 가 1 이라고 판정된때, 처리 대상으로 되는 것은 2 비트의 데이타이고, 이것은 ROM (105-1)에 공급된다. 이 데이타는, 제14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11’ 또는 ‘10’ 이다. 디지탈 데이타 ‘11’은, ROM (105-1)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에 딴라서 부호 ‘0000’로 변환되고, 디지탈 데이타 ‘10’ 은, 부호 ‘1000’으로 변환된다.
구속 길이 r 를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의 처리가 완료한 때, 셀렉터(102)는, 다음의 처리 대상으로 되는 데이타의 선두의 단위의 순번을 판정하고, 기수번째이면 엔코더(103)에, 우수 번째이면 엔코더(107)에, 제각기의 데이타를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해서, 셀렉터(102)는, 엔코더(103) 측 또는 엔코더(107)측으로 바뀌고, ROM (105)와 ROM (109)에 기억된 테이블을 이용하고, 디지탈 데이타가 가변 길이 부호로 변환된다.
제18도는, 이 변환예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된 디지탈 데이타가 16 진수로 나타내어 18D2 (제18(a)도) 일때, 그 바이너리 데이타(제18(b)도)는 ‘0001100011010010’으로 된다. 앤코더(103)는, 입력된 바이너리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을 다음과 같이 판정한다. 최초의 2 비트 ‘00’에 대응하는 데이타는, 제14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그것에 계속되는 2 비트(1 단위)의 데이타를 부가한 합계 4 비트 (2 단위)의 데이타 ‘0001’가 변환 테이블에 존재하는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제14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이 데이타도 변환 테이블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기에서 한층더 2 비트 (1 단위) 늘리고, 6 비트 (3 단위)의 데이타 ‘000110’가 변환 테이블중에 존재하는지 어떤지가 판정된다. 이 데이타는, 표 5 의 구속 길이 r = 3 의 변환 테이블중에 존재하는 데이타가 거기에서 r = 3 으로 판정되고, 셀렉터(103)는, 이 데이타 ‘000110’을 ROM (105-3)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디지탈 데이타는 ROM (105-3)에 기억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부호어 ‘0000100010000’로 변환된다(제18(c)도).
계속되는 2 비트의 데이타 ‘00’ 은, 제 4 번째(우수번째)의 단위이기 때문에, 이 데이타는 앤코더(107)에 공급된다. 데이타 ‘00’은, 다른쪽의 제15도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의 2 비트 (1 단위)의 데이타가 부가되고, 데이타 ‘0011’의 유무가 판정된다. 이 데이타는 제15도에 있어서, 구속 길이 r = 2 의 데이타로서 판정되기 때문에, ROM (109-2)에 공급되고, 부호어 ‘001000000’으로 변환된다(제18(c)도).
또한 그후에 계속되는 2 비트의 데이타 ‘01’는, 제 6 번째 (우수번째)의 단위이기 때문에, 역시 엔코더(107)에서 처리된다. 데이타 ‘01’ 는, 제15도의 구속 길이 r = 1 의 데이타로서 검출되기 때문에, ROM (109-1)에 공급된다. 그리고, 부호어 ‘01000’으로 변환된다(제18(c)도).
이와같이해서 ROM (105-1) 내지 (105-5) 및 ROM (109-1) 내지 (109-4)에 의해 변환된 부호어는, 멀티플렉서 (106)에 공급되고, 연속한 부호(기본 부호(2-4)와 기본 부호(2-5)가 교대로 배치된 부호)로서 합성된다. 상술과 같이, 이 부호어의 단락은, 최초의 13 비트, 다음의 9 비트, 그후의 5 비트에 존재하게 된다(제18(d)도).
멀티플렉서(106)에 의해 합성된 부호어는, 채널 클럭(제18(f)도)에 동기하여 버퍼(110)에 공급되고, 기억된다. 그리고, 거기에서 판독되고, 포맷터(111)에 공급된다. 포맷터(111)는, 버퍼 (110)에서 공급되는 부호어를 인터리이브하고, 에러 정정 부호나 동기 신호를 부가하고, 소정의 포맷에 따른 부호로 한다. 그리고, 이 부호를 도시하지 않은 기록회로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논리 1 이 발생할 때마다 레벨이 반전하는 기록 신호(제18(e)도)가 생성된다. 이 기록 신호가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정보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복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기준 클럭 발생 회로(131)는, 기록 매체에서 재생되고, 입력되는 부호어에 동기한 기준 클럭을 생성하고, 버퍼(129)와 동기 검출 회로 (132)에 출력하고 있다. 동기 검출 회로(132)는, 기준 클럭 발생 회로(131)에서 공급되는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서, 부호어의 동기 신호외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신호를 셀렉터(121)에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셀렉터 (121)는, 검출 신호가 입력된 때, 입력되는 부호어를 최초로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2)측에 공급하고, 그후, 각 단락 마다의 선두의 부호가 기본 부호 (2-5)이면, 그 단락의 부호를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2)측에 공급하고, 기본 부호(2-4)이면, 그 단락의 부호를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5)측에 공급한다.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2)는, 입력된 부호어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고, 셀렉터 (123)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셀렉터(123)는,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2)의 출력에 대응하고, 입력된 부호어를, ROM (124)를 구성하는 ROM (124-1) 내지 (124-5)의 어느것에 공급한다. ROM (124-1) 내지 (124-5)에는, 제14도에 나타내 변환 테이블과 역의 변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즉, 제14도에 나타난 부호어를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에 복조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똑같이,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5)는, 부호어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고, 셀렉터(126)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셀렉터(126)는,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5)외 출력에 대응하고, 입력된 부호어를, ROM (127)을 구성하는 ROM (127-1) 내지 (127-4)의 어느것에 공급한다. ROM (127-1) 내지 (127-4)에는, 제15도에 나타난 변환 테이블과 역의 변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즉, 제15도에 나타난 부호어를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에 복호하기 위한 변환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
멀티플렉서(128)는, ROM (124-1) 내지 (124-5) 및 ROM (127-1) 내지 (127-4)에서 출력된 데이타를 연속하는 디지탈 데이타로서 합성하고, 버퍼(129)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버퍼(129)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디포맷터 (130)에 공급되고, 디포맷된 후,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공급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2)는, 입력된 부호어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셀렉터(123)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기본 부호 길이가 4 비트인 부호어는 ROM (124-1)에 공급되고, 9 비트의 부호어는 ROM (124-2)에 공급된다. 이하 똑같이해서, 기본 부호 길이가 13 비트, 18 비트 또는 22 비트인 부호어는, 제각기 ROM (124-3) 내지 (124-5)에 공급된다.
똑같이, 변환 길이 판정 회로(125)는, 입력된 부호어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하여 셀렉터 (126)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기본 부호 길이가 5 비트인 부호어는 ROM (127-1)에 공급되고, 9 비트의 부호어는 ROM (127-2)에 공급된다. 이하 똑같이해서, 기본 부호 길이가 14 비트 또는 18 비트의 부호어는, 제각기 ROM (127-3) 또는 (127-4)에 공급된다.
ROM (124-1) 내지 ROM (124-5) 및 ROM (127-1) 내지 (127-4)는, 입력된 부호어를 기억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원래의 디지탈 데이타에 복호한다. ROM (124-1) 내지 (124-5) 및 ROM (127-1) 내지 (127-4)에 의해 복조된 디지탈 데이타는, 멀티플렉서(128)에 의해 합성되고, 버퍼 (129)에 기입된다. 그리고 버퍼(129)에서 판독된 데이타는, 디포맷터(130)에 공급되고, 에러 정정, 디인터리이브, 동기 신호의 분리 등의 처리가 실시된 후,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변조 방법에 의하면,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의 비트 수분 변화 할때 마다, 두개의 다른 소정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을 적어도 n1비트 또는 n2비트씩 변화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구속 길이를 길게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환 테이블이 크게되는 것을 계속 방지하고, 같은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를 크게하고, 최소 반전 간격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변조 장치에 의하면, 제 1 의 변환 테이블과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대응하고,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이 소정의 비트 수분 변화 할때마다,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을 n1비트 또는 n2비트씩 차례로 변화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신속하게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가 비교적 큰 부호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복조 장치에 의하면, 제 1 의 변환 테이블과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대응하고, 가면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가 n1비트 또는 n2비트씩 차례로 변화할때마다,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이 비트 수분씩 차례로 변화하도록, 부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 하도록 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신속하게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가 비교적 큰 부호를 복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예를들면, VFM (가변 길이 부호 (4, 22 ; 2, 5 ; 5))를 예로해서 생각하면, 이 가변 길이 부호는 제3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변환 입력 데이타 길이가 2, 4, 6, 8, 10 비트인 5 종류가 존재한다. 또 블럭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로서는 제20도에 나타나는 것같은 10 방법이 있다. 이 제20도에 있어서, 중앙의 종선 K 가 블럭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블럭안으로 완전히 복조하려고 한 경우, 즉, 제20도의 사선부만으로 복조를 행하려고 한 경우, 변조 부호에 하등의 궁리가 없으면 복조 불능 또는 복조 결과에 에러가 생기는 원인으로 될수 있다. 또 2 블럭에 걸쳐서 변조를 행한 경우, 도중의 블럭에서 돌연 복조를 행하려고 한때에, 전의 블럭의 부호가 없기 때문에, 복조 불능으로 될 수 있다.
제21도는, 상기한 복조 불능에 빠지는 경우 또는 복조 결과에 에러가 생기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제20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블럭 경계를 넘어서 변조 및 복조화를 행한 경우, 우선 변조에 있어서(A)에 나타나는 기록 데이타에 대해서는, 제3도의 좌열에 존재하는 부호에 의거하고, 그 우열에 나타난 부호로 변환된다. 이 경우, 제3도에 따라서 “00010111”은 그 우열에 나타나는 것같이 “01000000100000100000”으로서 가변 길이 부호로 변조된다. 이 모양은 제21(b)도에 나타내지고 있다. 그리고 이 가변 길이 부호를 복조하려고 한 경우, 블럭내에서의 “0100000010”의 부호가 제3도에 따라서 복조되려고 하지만, 이 경우의 부호는 제4도에 나타나는 테이블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제21(c)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복조(복호화) 불능으로 된다. 또 블럭 경계외에서의 “0000100000”는 제3도에 나타나는 테이블에 따라서 “0100”으로서 복조되지만, 이것은 제21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결과로서 입력 데이타, 즉 기록 데이타와는 다른 것이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감안해서 된 것이고, 가변길이 변조 부호에 있어서, 고정 길이의 블럭내에서, 정보의 결락이 없고, 필요안 최소한의 용장으로 변복조를 완결할 수 있는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있지만,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 데이타가, 제 1 변환 수단으로서의 ROM (1) 및 제 2 변환 수단으로서의 ROM (2)에 공급되고, 거기에 기록되어 있는 제 1 의 변환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1 및 제 2 의 변환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2에 따라서 기록 데이타가 부호화 되도록 되어 있다. ROM (1) 및 ROM (2)에서 출력된 부호열은, 멀티플렉스 수단으로서의 멀티플렉서(MUX) (203)에 공급된다.
상기 MUX (203)의 출력은, MUX (204)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MUX (204)에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에서 동기 신호(SYNC)가 공급된다. 또 상기 기록 데이타는 타이밍 관리 수단을 구성하는 타이밍 회로(205)에도 공급되어 있고, 이 타이밍 회로 (205)는 기록 데이타를 모니터하고, 기록 데이타의 블럭의 경계 (K)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회로(205)가 기록 데이타의 블럭의 경계를 검출하면, 타이밍 회로(205)에서는, MUX (203)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송출하고, MUX (203)에 있어서 ROM (1)에 의해서 변환되는 제 1 부호열에서 ROM (2)에 의해서 변환되는 제 2 부호열로 출력을 바꾸도록 된다. 또 타이밍 회로 (205)가 기록 데이타의 블럭의 경계를 검출하면, 타이밍 회로(205)에서 UX (204)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ROM (1)에는, 제3도에 나타나는 테이블 1 이 기억되어 있다. 즉, 이 테이블 1 은 제3도의 좌측에 나타나는 2 비트, 4 비트, 6 비트, 8 비트 또는 10 비트의 기록 데이타를, 그 우측에 나타나는 5 비트, 10 비트, 15 비트, 20 비트 또는 25 비트의 기록 부호로 변환한다. 또 상기 ROM (2)에는, 제24도에 나타나는 테이블 2 가 기억되어 있다. 즉, 이 테이블 2는, 제24도의 좌측에 나타나는 2 비트, 4 비트, 6 비트 또는 8 비트의 기록 데이타를, 그 우측에 나타나는 5 비트, 10 비트, 15 비트 또는 20 비트의 기록 부호로 변환한다.
제3도에 나타난 테이블 1 은, 기록 데이타의 처리 단위로서의 불럭의 경계내에 있어서 수납된 기록 데이타를 변환하는 것이고, 한편, 제24도에 나타난 테이블 2 는, 기록 데이타의 처리의 단위로서의 블럭은 초과하는 경우의 기록 데이타를 변환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22도에서의 타이밍 회로(205)는, 공급되는 기록 데이타를 모니터하고, 타이밍을 관리한다. 그리고 기록 데이타가 블럭내에 수납되어 있으면, ROM (1)에 기억된 테이블 1의 변환 규칙에 따라서 변환된 변조 데이타, 즉 부호화 데이타를 선택하고, 출력시킨다.
여기에서 기록 데이타로서, 예를들연 “00010111”이 도래하고, 그 4 비트의 부분에서 블럭 경계가 되는 것이 타이밍 회로(205)에 의해서 판별되면, 타이밍 회로 (205)는 MUX (203)에 대해서 제어신호를 보내고, 블럭내의 4 비트의 데이타, 즉, “0001”에 대해서는 ROM (2)에 기억된 테이블 2 의 변환 규칙에 따라서 변환된 데이타 “0100001000”을 선택한다. 또, 나머지의 4 비트인 “0111”의 데이타에 대해서는 ROM (1)에 기억된 테이블 1 의 변환규칙에 따라서 “0100000000”의 부호열로 변환한다.
제25도는 이때의 작용을 설명하는 것이고, (A)는 기록 데이타이고, (B)는 변환된 부호화 데이타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4 비트에 있어서 블럭 경계를 초과하는 상기 기록 데이타 “00010111”은, 결과로서 “01000010000100000000”의 부호열로 변환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MUX (204)를 넣어 블럭의 단락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SYNC)가 삽입된다.
다음에 제23도는, 본 발명의 복조 장치의 1 실시예의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 데이타 즉 가변 길이 부호가, 제 1 변환 수단으로서의 ROM (11) 및 제 2 변환 수단으로서의 ROM (12)에 공급되고, 거기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의 변환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1 및 제 2 의 변환 테이블을 구성하는 테이블 2 에 따라서 재생 데이타가 복호화 되도록 되어 있다. ROM (11) 및 ROM (12)에서 출력된 제 1 및 제 2의 복조 데이타는, 멀티플렉스 수단으로서의 MUX (213)에 공급된다.
한편, 재생 데이타는 동기 신호 검출 회로(214) 및 타이밍 관리 수단으로서의 타이밍 회로(215)에도 공급되어 있고, 타이밍 회로(215)는 동기 신호 검출 회로(214)의 출력과 재생 데이타를 모니터하고, 재생 데이타에 있어서 특정한 부호열을 검출한 때, 타이밍 회로(215)에서는, MUX (213)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 이 제어 신호의 송출을 받은 MUX (213)은, ROM (12)에 의해서 변환되는 제 2 복조 데이타에서 ROM (11)에 의해서 변환되는 제 1 복조 데이타에 출력을 바꾸도록 된다. 바꿔말하면, 타이밍 회로(215)는 재생 데이타에 있어서 특정한 부호열을 검출 하지 않으면, ROM (12)에 의해서 변환되는 제 2 복조 데이타를 출력한다.
즉, 제3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ROM (1)에 의해 변환된 데이타의 최후의 5문자는 모두 “00000”가 되는 것에 대해서, 제24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ROM (2)에 의해 변환된 데이타의 최후의 5 문자는 “00000”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최후의 5 문자가 “00000”이 되어 있는지 어떤지에 의해서, 어느것의 테이블에 의해 변환된 데이타인지를 식별할 수가 있다.
이 ROM (11) 및 ROM (12)는, 상기환 ROM (1) 및 ROM (2)에 격납된 테이블의 역변환 회로(제3도 및 제24도의 우측 부호를 좌측 부호로 변환하는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제25(b)도 및 제25(c)도는, 이때의 변환 작용을 설명하는 것이다. 즉, 제25(b)도로서 나타나는 재생 데이타가, 타이밍 회로 (215)에 있어서 검출되고, 타이밍 회로 (215)는 특정한 부호열인 “00000”로 블럭 최후 (블럭의 최후인지 어떤지는, 다음에 동기 신호가 오는지 어떤지로 판별할 수가 있다)의 데이타가 종료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제25(b)도에 나타나는 것같이, 블럭의 최후의 재생 데이타는 “0100001000”이고, 따라서 재생 데이타는 ROM (12)에서의 제 2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복조 데이타로서 복조되고, “0001”의 복조 데이타가 얻어진다.
또, 다음의 블럭의 선두(동기 신호를 제외한 선두)의 재생 데이타는 “0100000000”이고, 이때 특정한 부호열인 “00000”로 데이타가 종료하고 있는 것이 타이밍 회로 (215)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이때의 재생 데이타는, ROM (11)에서의 제 1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복조 데이타로서 복조되고, “0111”의 복조 데이타가 얻어진다.
이상의 설명으로 명확한 것같이, 이 변조 장치에 의하면, 타이밍 관리 수단이 기록 데이타의 블럭의 경계를 검출한 때, 타이밍 관리 수단에서 멀티플렉스 수단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제 1의 변환 테이블에 의한 제 1 부호열에서 제 2의 변환 테이블에 의한 제 2 부호열에 출력을 바꾸도록 된다. 따라서, 기록 데이타를 필요한 최소한의 용장으로 변조가 완결되는 가변 길이 부호로 변환할 수가 있다.
또, 이 복조 장치에 의하면, 타이밍 관리 수단이 가변 길이 부호에서의 특정한 부호열을 검출한 때, 타이밍 관리 수단에서 멀티플렉스 수단에 대해서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의한 제 2 복조 데이타에서 제 1 의 변환 테이블에 의한 제 1 복조 데이타로 출력을 바꾸도록 된다.
따라서, 정보의 결락 또는 복조 에러가 없는 복호화 데이타를 달성할 수가 있다.

Claims (27)

  1.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 로 할때,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min이 2.0T 이상이고, 동시에,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가 4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 Tmax 이 9.2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부호 길이의 최후의 5비트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가 1인 경우를 제외하고,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은 2, 4, 6, 8 또는 10 이고,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은 5, 10, 15, 20 또는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5.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 로 할때,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2.0T 이상이고, 동시에,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이상인 상기 가변 길이 부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고, 상기 기억 수단의 복수의 테이블의 어느 것이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 Tmax 가 9.2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부호 길이의 최후의 5비트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가 1인 경우를 제외하고,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은 2, 4, 6, 8 또는 10 이고,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은 5, 10, 15, 20 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9.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를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에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로 할때,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2.0T 이상이고, 동시에,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가 4 이상인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고, 상기 기억 수단의 복수 테이블의 어느것이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 Tmax 가 9.2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부호 길이의 최후의 5비트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가 1 인 경우를 제외하고, 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는 5, 10, 15, 20 또는 25 이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은 2, 4, 6, 8 또는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3.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다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 로 할때,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2.0T 이상, 0 최대 반전 간격 Tmax 이 9.2T 이하이고,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이고,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부호 길이의 최후의 5 비트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가 1인 경우를 제외하고, 0 이고, 동시에, 구속 길이 r = 5 인 상기 가변 길이 부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디지탈 데이탈의 구속 길이 r 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고, 상기 기억 수단의 복수의 테이블의 어느것이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14.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를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로 할때,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2.0T 이상, 최대 반전 간격 Tmax 이 9.2T 이하이고,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이고,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부호 길이의 최후의 5비트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구속 길이 r 가 1 인 경우를 제외하고, 0 이며, 동시에, 구속 길이 r = 5 인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인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복수의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변환 길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고, 상기 기억 수단의 복수의 테이블의 어느것이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15.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의 비트 수분 변화할때마다, 적어도 2 개가 다른 소정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을, 적어도 n1비트 또는 n2(n1≠ n2)비트씩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 는 3 이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 로 할때,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min는 1.78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을 Tmax 는 7.1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8. 제15, 16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테이블의 한쪽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2, 4, 6, 8 또는 10 비트일때, 제각기 4, 9, 13, 18 또는 22 비트의 부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 테이블의 다른쪽은, 상기 디지탈 데이타가 2, 4, 6 또는 8 비트 일때, 제각기 5, 9, 14 또는 18 비트의 부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방법.
  19.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환하는 변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의 비트 수분 변화할때마다,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을, n1비트 또는 n2(n1≠ n2)비트씩 차례로 변화시키는 제 1 의 변환 테이블을 기억하는 제 1 의 기억 수단과,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의 비트 수분 변화할때마다,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를, n2비트 또는 n1비트씩 차례로 변화시키는 제 2 의 변환 테이블을 기억하는 제 2 의 기억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대응해서 변환된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20.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를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데이타로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가, n1비트 또는 n2(n1≠ n2) 비트씩 차례로 변화할때마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가, 소정의 비트 수분씩 차례로 변화하는 것같이,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제 1 의 변환 테이블을 기억하는 제 1 의 기억 수단과,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기본 부호 길이 n 이, n2비트 또는 n1비트씩 차례로 변화할때마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기본 데이타 길이 m 가 소정의 비트 수분씩 차례로 변화하는 것 같이,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상기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제 2 의 변환 테이블을 기억하는 제 2 의 기억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대응하여 변환된 상기 디지탈 데이타를 합성하는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d 는 3 이고,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로 할때,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1.7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 Tmax 이 7.1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3. 제20, 21 또는 2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테이블의 한쪽은, 상기 가변 길이 부호가 4, 9, 13, 18 또는 22 비트일 때, 각각 2, 4, 6, 8 또는 10 비트의 상기 디지틀 데이타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 테이블의 다른쪽은, 상기 가변 길이 부호가 5, 9, 14 또는 18 비트인 때, 각각 2, 4, 6 또는 8 비트의 상기 디지틀 데이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4.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틀 데이타를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로 변조하는 변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틀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 데이타를 제 1 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제 1 의 부호별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디지틀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 데이타를 제 2 의 변환 테이블을 따라서 제 2 의 부호열에 변환하는 제 2 변환 수단과, 상기 제 1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제 1 부호열 및 상기 제 2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제 2 부호열이 공급되는 멀티플렉스 수단과, 상기 디지틀 데이타를 입력으로 하고, 디지틀 데이타의 블럭의 경계를 동기 신호에 의거해서 검출하고 상기 블럭의 경계를 검출했을 때는 상기 멀티플렉스 수단에 대해서 제 1 변환 수단에 의한 제 1 의 부호열로부터 제 2 변환 수단에 의한 제 2 의 부호열로 출력을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타이밍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로 할때,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imin 이 2.0T 이상,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이고,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 Tmax이 9.2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조 장치.
  26. n 비트의 기본 부호 길이의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를 m 비트의 기본 데이타 길이의 디지탈 테이타로 복조하는 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입력으로 하고, 입력 가변 길이 부호를 제 1 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제 1 복조 데이타로 변환하는 제 1 변환 수단과, 상기 가변 길이 부호를 입력으로 하고,입력 가변 길이 부호를 제 2 의 변환 테이블에 따라서 제 2 복조 데이타로 변환하는 제 2 변환 수단과, 상기 제 1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제 1 복조 데이타 및 상기 제 2 변환 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제 2 복조 데이타가 공급되는 멀티플렉스 수단과, 상기 가변 길이 부호 길이를 입력으로 하고, 가변 길이 부호에서의 특정한 부호열을 검출하고, 상기 특정한 부호열을 검출한 때, 상기 멀티플렉스 수단에 대해서,제 2 변환 수단에 의한 제 2 복조 데이타에서 제 1 변환 수단에 의한 제 1 복조 데이타로 출력을 바꾸는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타이밍 관리 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길이 부호 (d, k ; m, n ; r)는, 상기 디지탈 데이타의 간격을 T로 할때,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소 반전 간격 Tmin 이 2.0T 이상, 동일 심볼의 연속하는 최소의 길이 d 가 4 이상이고, 상기 가변 길이 부호의 최대 반전 간격 Tmax 이 9.2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조 장치.
KR1019930003477A 1992-03-10 1993-03-09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과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KR100271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640492A JP3318873B2 (ja) 1992-03-10 1992-03-10 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JP92-086404 1992-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06A KR930020406A (ko) 1993-10-19
KR100271550B1 true KR100271550B1 (ko) 2000-12-01

Family

ID=1388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477A KR100271550B1 (ko) 1992-03-10 1993-03-09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과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18873B2 (ko)
KR (1) KR100271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1439B2 (ja) * 1994-07-08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変調方法及び装置、並びに信号復調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406A (ko) 1993-10-19
JP3318873B2 (ja) 2002-08-26
JPH05258474A (ja) 199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0023A (en) Modulating method and demodulating method as well as modulating apparatus and demodulating apparatus
KR100263686B1 (ko) 부호화 방식
KR100288465B1 (ko) 변조 방법 및 복조 장치
KR20010022324A (ko) 연속 최소 런 길이 제한이 있는 변조/복조 장치 및 방법
US6664905B1 (en) Device for encoding n-bit source words into corresponding m-bit channel words and decoding m-bit channel words into corresponding n-bit source words
EP0555832B1 (en) Data 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ata demodulating method and apparatus
US6127951A (en) Modulating device, modulating device, demodulating device, demodulating device, and transmission medium run length limited coder/decoder with restricted repetition of minimum run of bit sequence
WO1996019044A1 (fr) Procede de codage de donnees et procede de decodage de donnees
US6225921B1 (en) Device for encoding/decoding n-bit source words into corresponding m-bit channel words, and vice versa
EP1087532B1 (en) Digital modulation method, digital modulation circuit, digital demodulation circuit and digital demodulation method
KR100271550B1 (ko) 변조 방법 및 복조 방법과 변조 장치 및 복조 장치
JP3848163B2 (ja) 情報をコーディング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そのコーディングされせた情報をデコーディング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記録媒体への変調信号の記録方法、記録媒体並びに変調信号の変換方法
KR19980087313A (ko) 변조 장치와 방법, 및 전송 매체
JP3187528B2 (ja) 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KR100470026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75638B1 (ko)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과, 그 코딩된 정보를디코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변조 신호 및 기록 매체제조방법
JP4095440B2 (ja) 情報の符号化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その符号化された情報を復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変調信号及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KR100908763B1 (ko) 데이터 스트림을 코딩하는 방법
KR100575658B1 (ko) 정보 코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3134500B2 (ja) 符号化方法ならびに符号化装置および復号化装置
JP3409788B2 (ja) 符号化方法
JPH02119434A (ja) 符合化回路及び復合化回路
KR100752880B1 (ko) 정보를 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H04266222A (ja) レート2/5(2、18、2)符号を使用する2進データの符号化および復号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