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316B1 -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316B1
KR100271316B1 KR1019980008378A KR19980008378A KR100271316B1 KR 100271316 B1 KR100271316 B1 KR 100271316B1 KR 1019980008378 A KR1019980008378 A KR 1019980008378A KR 19980008378 A KR19980008378 A KR 19980008378A KR 100271316 B1 KR100271316 B1 KR 100271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torage hopper
calcium chloride
hopper
snow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659A (ko
Inventor
민병률
Original Assignee
민병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률 filed Critical 민병률
Priority to KR101998000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3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8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other rotating means, e.g. rotating pressure sluices in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재(염화칼슘과 모래의 혼합물)를 자동으로 혼합 이동시켜 차량에 적제가능케 하므로서 대용량의 제설재를 용이하게 혼합 적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음은 물론, 제설재의 혼합비율(모래50 : 염화칼슘1)을 정량으로 맞추어 도로적설 및 결빙시 제거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제설재 혼합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간에 중력압 조절밴, 하부에 경사 배출구, 일측에 진동모터가 각각 구비된 모래 투입호퍼와; 상기 경사 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래 이송컨베이어와; 몸체, 이 몸체의 하부 양측에 제 1,2호퍼, 및 상기 제 1,2호퍼의 상측과 몸체 사이에 장착되는 중력압 조절벤, 호퍼일측에 설치되는 진동모터가 구비된 모래 저장호퍼와; 이 모래 저장호퍼의 하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모래의 양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정량 조절게이트가 구비된 저장모래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모래 저장호퍼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측에 설치된 호이스트, 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양측 날로 구비된 나이프, 하부에 장착된 정량공급 스크류가 구비된 배출구, 및 하부에 장착되는 이동스크류로 이루어진 염화칼슘 저장호퍼와; 상기 모래 저장호퍼 및 염화칼슘 저장호퍼를 통해 배출된 모래 및 염화칼슘을 서로 혼합하여 차량에 적제하는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AN APPARTUS FOR MIXING AND TRANSFERRING THE SNOW-REMOVING MATERIAL)
본 발명은 제설재(염화칼슘과 모래의 혼합물)를 자동으로 혼합 이동시켜 차량에 적제가능케 하므로서, 대용량의 제설재를 용이하게 혼합 적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음은 물론, 제설재의 혼합비율(모래50 : 염화칼슘1)을 정량으로 맞추어 도로적설 및 결빙시 제거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제설재 혼합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도로가 적설 및 결빙되었을 경우에 미끄럼을 방지 위하여 모래와 염화칼슘이 혼합된 제설재를 도로 표면에 뿌려 주었다.
그러나 종래에 모래와 염화칼슘이 혼합된 제설재를 생산할 경우에는 일정량의 모래를 공터 등의 넓은공간에 야적한후, 삽 또는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염화칼슘을 운반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대용량의 제설재를 생산할 경우에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모래와 염화 칼슘을 혼합할 경우 수작업에 의존하므로서, 모래와 염화 칼슘이 적정 비율(50:1)로 혼합되지 않아 도로 적설 및 결빙에 대한 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제설재(염화칼슘과 모래의 혼합물)를 자동으로 혼합 이동시켜 차량에 적제가능케 하므로서, 대용량의 제설재를 용이하게 혼합 적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재설재의 혼합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설재의 혼합비율(모래50 : 염화칼슘1)을 정확히 맞추어 도로적설 및 결빙시 제거효율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간에 설치된 중력압 조절밴, 하부에 형성된 경사 배출구, 일측에 진동모터가 구비된 모래 투입호퍼와; 상기 경사 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로 경사져 모터에 의해 상승되는 모래 이송컨베이어와; 상부에 형성된 몸체, 이 몸체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제 1,2호퍼, 및 상기 제 1,2호퍼의 상측과 몸체 사이에 장착되는 중력압 조절벤, 호퍼일측에 설치되는 진동모터가 구비된 모래 저장호퍼와; 이 모래 저장호퍼의 하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모래의 양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정량 조절게이트가 구비된 저장모래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모래 저장호퍼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측에 설치된 호이스트, 몸체의 중간에 설치되며 양측 날로 구비된 나이프, 하부에 장착된 정량공급 스크류가 구비된 배출구, 및 하부에 장착되는 이동스크류로 이루어진 염화칼슘 저장호퍼와; 상기 모래 저장호퍼 및 염화칼슘 저장호퍼를 통해 배출된 모래 및 염화칼슘을 서로 혼합하여 차량에 적제하는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 이송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 이송장치를 이루는 염화칼슘 저장호퍼를 나타낸 개략 도.
도 3은 본 발명을 이루는 모래 이송컨베이어 및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루는 모래 저장호퍼의 중간에 장착되는 중력압 조절밴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래 투입호퍼
11 : 중력압 조절밴, 12 : 경사배출구, 13 : 진동모터
111 : 경사부, 112 : 배출구
2 : 모래이송 컨베이어
21 : 측판, 22 : 브라켓, 23 : 로울러부, 24 : 컨베이어 밸트
231 : 가로축, 232 : 경사축, 233 : 수평축, 234 : 로울러
3 : 모래 저장호퍼
31 : 몸체, 32 : 제 1호퍼, 33 : 제 2호퍼, 34 : 중력압 조절밴,
35 : 진동모터
321, 322 : 배출구, 341 : 경사부, 342 : 배출구
4 : 저장모래 이송컨베이
41 : 정량 조절게이트
5 : 염화칼슘 저장호퍼
51 : 몸체, 52 : 호이스트, 53 : 나이프, 54 : 배출구, 55 파쇄부,
56 : 이동스크류
531 : 날, 541 : 정량공급 스크류 , 551 : 회전익, 561 : 모터
6 :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
61 : 측판, 62 : 브라켓, 63 : 로울러부, 64 : 컨베이어 밸트
631 : 가로축, 632 : 경사축, 633 : 수평축, 634 : 로울러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이송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우측면도, 도 1c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최초로 모래가 투입되는 모래 투입호퍼(1)와, 이 모래 투입호퍼(1)를 통해 배출된 모래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2)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2)를 통해 운반된 모래가 이동된후 일정량을 하부로 배출하는 모래 저장호퍼(3)와, 이 모래 저장호퍼(3)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된 모래를 정량으로 이동 시킬 수 있는 저장모래 이송 컨베이어(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이송 컨베이어(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량의 염화 칼슘이 배출되는 염화칼슘 저장호퍼(5) 및, 상기 저장모래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된 모래와 염화칼슘을 서로 혼합하여 차량의 적재함으로 운반하는 제설재 혼합 컨베이어(6)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모래 투입호퍼(1)는 중간에 다수의 모래 배출구가 형성된 중력압 조절밴(11)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투입된 모래가 일정 압력으로 배출되는 경사 배출구(12)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중력압 조절벤(11)은 사방에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부(111)의 상단에는 투입된 모래를 배출 할 수 있도록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래 투입호퍼(1)의 일측에는 모래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주기적(약 15초)으로 진동하는 진동모터(13)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모래 이송컨베이어(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배출구(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로 경사져 모터에 의해 상승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에 의해 세워지는 측판(21)과, 이 측판(21)의 상부 양측에 세워지는 브라켓(22)과, 양 브라켓(22) 사이에 설치되며 양쪽에 경사축(232)과 중앙에 수평축(233)으로 구성된 가로축(231) 및 상기 경사축(232)과 수평축(233)에 끼워져 회전되는 로울러(234)로 이루어진 다수의 로울러부(23)와, 상기 로울러부(23)의 상측에는 구동모터(241)를 통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밸트(24)가 구비된다.
상기 모래 저장호퍼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된 몸체(31)와, 이 몸체(3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배출구(321,322)가 형성된 제 1,2호퍼(32,33) 및 상기 제 1,2호퍼(32,33)의 상측과 몸체(31) 사이에 장착되는 중력압 조절벤(3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중력압 조절벤(34)은 사방에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부(341)의 상단과 양측에는 투입된 모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4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래 저장호퍼(3)의 일측에는 모래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주기적(약 15초)으로 진동하는 진동모터(35)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모래 이송컨베이어(4)는 모래 저장호퍼(3)의 하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모래의 양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정량 조절게이트(41)가 구비된다.
상기 염화칼슘 저장호퍼(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 저장호퍼(3)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측에 설치된 호이스트(52)와, 몸체(51)의 중간에 설치되며 양측 날(531)로 구비된 나이프(53) 및 하부에 정량공급 스크류(541)가 구비된 배출구(54)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중앙에는 염화칼슘 덩어리를 파쇄하는 다수의 회전익(551)을 갖는 파쇄부(55)가 설치되고, 호퍼하부인 배출구(54)에는 제설재 혼합이송 컨베이어(6)로 염화칼슘을 투입할 수 있도록 모터(561)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스크류(56)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 저장호퍼(3) 및 염화칼슘 저장호퍼(5)를 통해 배출된 모래 와 염화칼슘을 서로 혼합시켜 차량의 적재함으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송컨베이어(6)는 기둥에 의해 세워지는 측판(61)과, 이 측판(61)의 상부 양측에 세워지는 브라켓(62)과, 양 브라켓(62) 사이에 설치되며 양쪽에 경사축(632)과 중앙에 수평축(633)으로 구성된 가로축(631) 및 상기 경사축(632)과 수평축(633)에 끼워져 회전되는 로울러(634)로 이루어진 다수의 로울러부(63)와, 상기 로울러부(63)의 상측에는 구동모터(641)를 통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밸트(64)가 구비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래 투입호퍼(1)로 모래를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모래는 중력압 조절벤(34)의 상부로 쌓이게 됨과 동시에 경사부(341)의 상측과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342)를 통과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되며, 이때 모래 투입호퍼(1)의 일측에 설치된 진동모터(13)가 동작되어 모래가 호퍼의 내면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342)를 통과한 모래는 하부에 형성된 경사 배출구(12)를 통해 하부에 위치된 모래 이송컨베이어(2)상에 올려져 상승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모래 저장호퍼(3)에 모래를 투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만 간헐적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모래 이송컨베이어(2)를 통해 올려진 모래는 모래 저장호퍼(3)의 제 1,2호퍼(32)(33)에 중간을 경계로 유입되고, 유입된 모래는 제 1,2호퍼(32)(33)의 상측에 위치된 중력압 조절벤(11)의 상측에 쌓임과 동시에 경사부(341)의 상측과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342)를 통과하여 하부로 떨어지며, 이때 일측에 설치된 진동모터(35)가 작동되어 호퍼 내측면에 모래의 잔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중력압 조절벤(34)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 모래는 호퍼 하부의 배출구(321,322)를 통해 하부로 떨어져 저장모래 이송컨베이어(4)의 상측에 올려진후 일측으로 이동되어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로 투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측에 설치된 조절게이트(41)의 개폐를 통해 모래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래 저장호퍼(3)의 일측인 상기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에 설치된 염화칼슘 저장호퍼(5)를 통해 염화칼슘을 모래로 유입시켜 모래와 염화칼슘이 혼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염화칼슘 저장호퍼(5)의 상측에 위치된 호이스트(52)를 이용하여 염화칼슘 포대를 들어올린후 하강시키게 되면, 염화칼슘 저장호퍼(5)의 상측에 설치된 양측 날(531)이 회전되어 포대의 하부가 개방된다. 그후, 염화칼슘이 모래 저장호퍼(5)로 유입됨과 동시에 중앙에 위치된 파쇄부(55)가 회전됨에 따라 염화칼슘 덩어리가 파쇄되어 가루의 입자로 떨어지는 것이다. 그후 염화칼슘 저장호퍼(5)의 하측에 설치된 정량공급 스크류(541)가 회전됨에 따라 일정량의 염화칼슘이 이동스크류(56)을 통해 상기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에 유입된 모래의 상측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 상에 올려진 모래와 염화칼슘의 혼합물(제설재)은 상승되어 차량의 적재함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차량의 적재함으로 제설재 투입이 마감되면, 재설재 혼합 컨베이어(6)의 동작을 멈추게 됨과 동시에 상기 염화칼슘 저장호퍼(5)의 하부에 장착된 정량공급 스크류(541) 및 이동스크류(56)의 동작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대용량의 제설재를 용이하게 혼합 적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음은 물론, 제설재의 혼합비율(모래50 : 염화칼슘1)을 정확히 맞추어 도로 적설 및 결빙시 제거 효율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중간에 설치된 중력압 조절밴(11), 하부에 형성된 경사 배출구(12), 일측에 진동모터(13)가 구비된 모래 투입호퍼(1)와,
    상기 경사 배출구(1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로 경사져 모터에 의해 상승되는 모래 이송컨베이어(2)와,
    상부에 형성된 몸체(31), 이 몸체(3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제 1,2호퍼(32)(33), 및 상기 제 1,2호퍼(32)(33)의 상측과 몸체(31) 사이에 장착되는 중력압 조절벤(34), 호퍼일측에 설치되는 진동모터(35)가 구비된 모래 저장호퍼(3)와,
    이 모래 저장호퍼(3)의 하측에 설치되며 일측에 모래의 양을 정량으로 공급하는 정량 조절게이트(41)가 구비된 저장모래 이송컨베이어(4)와,
    상기 모래 저장호퍼(3)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측에 설치된 호이스트(52), 몸체(51)의 중간에 설치되며 양측 날(531)로 구비된 나이프(53), 하부에 장착된 정량공급 스크류(541)가 구비된 배출구(54), 및 하부에 장착되는 이동스크류(56)로 이루어진 염화칼슘 저장호퍼(5)와,
    상기 모래 저장호퍼(3) 및 염화칼슘 저장호퍼(5)를 통해 배출된 모래 및 염화칼슘을 서로 혼합하여 차량에 적제하는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혼합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이송 컨베이어(2)와 제설재 혼합 이송컨베이어(6)는 기둥에 의해 세워지는 측판(21,61)과, 이 측판(21,61)의 상부 양측에 세워지는 브라켓(22,62)과, 양 브라켓(22,62) 사이에 설치되며 양쪽에 경사축(232,632)과 중앙에 수평축(233,633)으로 구성된 가로축(231,631) 및 상기 경사축(232,632)과 수평축(233,633)에 끼워져 회전되는 로울러(234,634)로 이루어진 다수의 로울러부(23,63)와, 그리고 상기 로울러부(23,63)의 상측에는 구동모터(241,641)를 통해 회전되는 컨베이어 밸트(24,6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혼합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압 조절벤(11,34)은 사방에 상부로 경사진 경사부(111,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부(111,341)의 상단과 양측에는 투입된 모래를 배출 할 수 있도록 배출구(3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혼합이송장치.
KR1019980008378A 1998-03-12 1998-03-12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KR100271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78A KR100271316B1 (ko) 1998-03-12 1998-03-12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78A KR100271316B1 (ko) 1998-03-12 1998-03-12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659A KR19990074659A (ko) 1999-10-05
KR100271316B1 true KR100271316B1 (ko) 2001-04-02

Family

ID=40290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378A KR100271316B1 (ko) 1998-03-12 1998-03-12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3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55B1 (ko) 2018-02-01 2018-06-20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철도차량용 급사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31B1 (ko) * 2002-07-26 2008-07-28 주식회사 포스코 경사벨트컨베이어의 낙석처리장치
KR102473500B1 (ko) * 2020-11-20 2022-12-02 김태완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55B1 (ko) 2018-02-01 2018-06-20 (주)에스엘인더스트리 철도차량용 급사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659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463A (en) Portable volumetric concrete mixer/silo
US11141882B2 (en) Concrete batching plant having reduced cycle time and reduced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time
CN1082421C (zh) 制造和同时分配水泥混合物用的设备
KR100528984B1 (ko) 자주식 리사이클기계, 자주식 리사이클기계의 베이스유닛및 베이스프레임
CN113042172B (zh) 煤矸石固废转化建材智能系统
KR100271316B1 (ko) 제설재의 혼합 이송장치
KR100476686B1 (ko) 일괄방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US4359381A (en) Asphalt recycling apparatus
KR100271317B1 (ko) 제설재혼합이송장치의염화칼슘저장호퍼
KR20010007810A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장치
US6776198B1 (en) Mobile automated bagging machine for in bulk material
KR100776358B1 (ko) 분리수단이 구비된 폐아스콘 또는 폐콘크리트 재생 플랜트
JP3793160B2 (ja) 食品通箱内への自動氷投入装置
KR20030019756A (ko) 연속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JP2003305714A (ja) コンクリート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の製造装置
CN207714080U (zh) 方便下料的冷料供应装置
KR200428356Y1 (ko)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는 제설제 살포장치
CN211282705U (zh) 尾砂自动计量下料装置
CN211734944U (zh) 一种沥青搅拌站
CN216760378U (zh) 一种混凝土搅拌站输送装置
CN219407976U (zh) 一种废料运输防漏结构
CN217322538U (zh) 一种沥青站骨料输送装置
CN211360036U (zh) 一种加气砌块切割废料的回收装置
JPH0711144Y2 (ja) コンクリート、舗装用合材用砂の製造装置
CN213226900U (zh) 一种碾轮式混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