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755B1 -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755B1
KR100270755B1 KR1019970009845A KR19970009845A KR100270755B1 KR 100270755 B1 KR100270755 B1 KR 100270755B1 KR 1019970009845 A KR1019970009845 A KR 1019970009845A KR 19970009845 A KR19970009845 A KR 19970009845A KR 100270755 B1 KR100270755 B1 KR 10027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sectors
transmission
base st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8218A (ko
Inventor
에츠히로 나까노
타케히로 나카무라
세이조 오노
Original Assignee
다치카와 게이지
엔.티.티 이토츠신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치카와 게이지, 엔.티.티 이토츠신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치카와 게이지
Publication of KR97006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섹터의 수는 증가되지만 퍼치 채널 확산 부호의 수는 증가되지 않고 또한 제어 채널 전송 또한 마비되지 않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섹터 구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용량 증가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에서,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 동일한 퍼치 채널이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전송된다. 그 후,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가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수신되고,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수신된 역방향 신호는 동일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역확산되고,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 수신이 수행되는 경우에 역확산된 역방향 신호가 최대로 결합된다. 또한, 순방향 신호가 동일한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되고,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이 수행되는 경우에 확산된 순방향 신호가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각 이동국으로 송신된다.

Description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
이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섹터(sector) 구성을 갖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확산 부호 사용 방식, 섹터 선택 방식, 그리고 송신 출력 제어 방식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은 통신망과 이동국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을 포함하는데, 이 기지국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 의하여 각각 통신하고, 각 기지국의 셀은 다수 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다.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접속 방식인 대역확산 방식(spectrum spread scheme) 중의 하나인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부호분할 다중접속에서, 다수의 채널(이동국)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채널의 송신 데이터 열(sequence)은 서로 상관(correlation)이 적은 다른 확산 부호에 의해 곱해지고 다중화되어, 각 채널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가 있게 된다.
확산 부호를 곱할 때, 확산된 데이터 열의 데이터 송신률보다 더 빠른 송신률(칩속도:chip rate)을 갖는 확산 부호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 데이터 보다 수백배 내지 수천배 더 빠른 송신률을 갖는 가상 잡음(PN:pseudo noise) 열이 사용된다.
칩속도가 큰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시킴으로써 송신 대역폭이 더 넓어질 수가 있다. 송신 대역폭이 넓어지게 되면, 전파 방해가 어렵게 되고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채널의 수도 증가된다.
수신측에서는 확산시 사용된 확산 부호와 동일한 확산 부호를 수신된 데이터 열에 곱하는 역확산을 수행하여 필요한 신호를 복원한다. 대역확산 방식에서의 파형 변화(주파수 영역)의 일례가 첨부한 제26도에 도시되어 있다.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기지국 가까이에 있는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채널은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채널에 관하여 매우 큰 간섭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것이 소위 전파의 원근 문제(near/far problem)이다. 따라서, 제한된 대역폭 내에서 보다 많은 채널이 통신을 하기 위해서, 즉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정한 송신 전력 제어가 필요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화 품질을 만족시키고 송신 전력도 적어지게 된다.
한편,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에서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이다. 소프트 핸드오버는 이동국이 하나의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했을 때 이동국과 다수의 기지국 사이의 무선 채널을 동시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다수의 무선 채널을 동시에 연결하고, 사이트(site) 다이버시티(diversity)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송신 전력이 적게 들고 간섭 또한 줄어들게 된다.
셀을 섹터로 구성하는 것 또한 용량을 증가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섹터 구조가 사용되면, 간섭이 줄어들고 그 만큼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경우에는 주파수 재사용 거리를 짧게 하여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섹터 구성이 사용되었지만,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경우에는 섹터 구성의 사용에 의해 간섭이 줄어들고 그 만큼 용량도 증가될 수가 있다. 또한, 셀들 사이에 사이트 다이버시티가 사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섹터들 사이에 사이트 다이버시티가 사용되는 경우에 최대의 결합(combining)이 실현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구조 효과가 매우 높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 동작에서의 셀/섹터 판별은 이동국 측에서 수행되어 왔는데, 이것은 기지국 측의 제어 부하를 감소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경우에 각 셀/섹터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호를 사용하여 셀/섹터를 판별한다. 즉 이동국은 셀/섹터의 퍼치(perch) 채널로 미리 규정되어 있는 확산 부호를 조사(scan)하고, 역확산 이후에 수신된 퍼치 채널의 레벨(level)을 비교함으로써 셀/섹터를 판별한다. 이동국의 전원을 온시켰을 때 조사 시간을 짧게 하는 관점에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의 수를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퍼치 채널 확산 부호가 재사용을 위해서 다시 조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섹터에 다른 퍼치 채널 확산 부호가 할당되기 때문에 섹터의 수가 증가되면 이에 필요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의 수도 증가되어야하고, 상관 특성이 좋은 부호의 수가 제한될 때 퍼치 채널 확산 부호의 상관 특성이 열악해진다.
더욱이, 퍼치 채널 확산 부호의 수가 증가되면 이동국에서의 조사 시간이 더욱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섹터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섹터 사이의 핸드오버의 빈도도 또한 증가하게 되어서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의 제어 신호의 교환이 자주 요구되고 제어 신호 전달이 마비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섹터의 수는 약 3개이지만, 사용자의 증가와 관련하여 장래의 시스템에서 사용될 섹터의 수는 약 12 또는 그 이상이 될 것이고, 이로 인해 섹터수의 증가와 관련하여 상기한 문제점들이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섹터 구성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용량 증가 효과를 얻고 퍼치 채널 확산 부호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제어 채널 전달을 마비시키지 않고 섹터의 수를 증가시키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각 기지국의 블록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퍼치 채널 송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4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블록도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각 기지국의 블록도이고,
제8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7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조사 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9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11도는 이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10도의 송수신 수단에서의 수신 섹터 선택부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고,
제12도는 이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13도는 이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14도는 이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15도는 이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퍼치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6도는 이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17도는 이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퍼치 채널 송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18도는 이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블록도이고,
제19도는 이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20도는 이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수신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21도는 이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22도는 이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의 블록도이고,
제23도는 이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블록도이고,
제24도는 이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각 기지국의 블록도이고,
제25도는 이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수신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26도는 대역 확산 방식에 의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파형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은,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 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는 부호 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 퍼치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동일 역방향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역확산하고,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역확산되는 역방향 신호의 결합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단계와; 동일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순방향 신호를 확산하고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오는 확산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수단은,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퍼치 채널 확산을 송신하기 위한 퍼치 채널 송신 수단과;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동일 역방향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역확산하고,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역확산되는 역방향 신호의 합성비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통신 채널 수신 수단과; 동일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순방향 신호를 확산하고,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오는 확산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고,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기지국이 퍼치 채널 확산을 송신하고,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퍼치 채널이 각 섹터를 확인하기 위한 섹터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퍼치 채널을 수신하고,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퍼치 채널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퍼치 채널 수신 수단과;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순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채널 수신 수단과;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퍼치 채널에 포함된 섹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를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역방향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기지국이 상기에서 통보된 하나의 송신 섹터로부터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고,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기지국이 퍼치 채널 확산을 송신하고, 퍼치 채널의 송신 시기와 다른 시기에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른 섹터로부터 오는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섹터로부터 송신되는 퍼치 채널을 수신하는 퍼치 채널 수신 수단과;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순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퍼치 채널의 수신 시기와 각 통신 채널의 수신 시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각 섹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한 통신 채널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통신 채널 수신 수단과; 확인된 각 섹터와 상기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을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역방향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기지국이 상기 통보된 각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 기지국(1, 2)은 통신망(90)에 연결되어 있고, 다수의 섹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섹터(섹터1, 섹터2, 섹터3)로 형성된다. 이러한 섹터1 내지 섹터3으로부터 미리 각 기지국에 할당된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각 기지국(1, 2)은 퍼치 채널을 송신한다. 또한, 이동국(92)은 기지국(1)과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이동국(92)은 기지국(1)과 관련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code0)를 송신하고 있고, 기지국(1)은 이동국(92)과 관련하여 섹터2와 섹터3으로부터 같은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code1)을 송신하고 있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각 기지국(1, 2)의 블록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 기지국은 섹터1에 대한 안테나(11a), 섹터2에 대한 안테나(11b), 섹터3에 대한 안테나(11c)를 갖고 있는데, 이것들은 각 섹터에 대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이 안테나(11a, 11b, 11c)는 송수신을 겸용하기 위하여 각각 송수신 분파기(13a, 13b, 13c)에 연결되어 있다. 이 송수신 분파기(13a, 13b, 13c)는 RF 송신 증폭기(15a, 15b, 15c)와 RF 수신 증폭기(17a, 17b, 17c)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각 RF 송신 증폭기(17)는 RF 대역폭에서 송신 신호를 증폭시키고, 각 RF 수신 증폭기(17)는 RF 대역폭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시킨다.
각 RF 송신 증폭기(15)는 퍼치 채널을 송신하는 퍼치 채널 송신 수단(19)에 연결되어 있고, 반면에 각 RF 송신 증폭기(15)와 각 RF 수신 증폭기(17)는 통신 채널에 대응되도록 제공되고 다수의 이동국과 동시에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송수신 수단(21a, 21b…21n)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송수신 수단(21)은 통신망(90)을 통하여 해당 송수신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제3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퍼치 채널 송신 수단(19)의 블록도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퍼치 채널 송신 수단(19)은 퍼치 채널을 통하여 송신될 데이터를 생성하는 퍼치 채널 데이터 생성부(191)를 포함한다. 퍼치 채널 데이터 생성부(191)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는 부호기(193)에 의해 암호화되고, 제1변조기(195)에 의해 1차 변조되어 제2변조기(199)로 공급된다. 또한, 각 기지국에 미리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제2변조기(199)로 공급하는 부호 발생기(197)를 포함한다. 제2변조기는 부호 발생기(197)로부터 공급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제1변조기(195)로부터 공급된 1차 변조된 데이터를 2차 변조, 즉 확산에 적용한다. 그 후, 제2변조기(197)에 의해 얻어진 확산된 데이터는 분배기(201)에 의해 세 개의 섹터의 RF 송신 증폭기(15)로 분배된다.
제4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도의 기지국에서의 각 송수신 수단(21)의 블록도이며, (a)는 송신측이고 (b)는 수신측이다.
제4도의 송신측(a)에서, 통신망(90)으로부터 송신된 통신 데이터는 부호기(31)에 의해 암호화되고, 제1변조기(33)에 의해 1차 변조되어 제2변조기(37)로 공급된다. 또한, 각 이동국 즉 각 통신 채널에 미리 할당된 순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발생하고, 제2변조기(37)로 공급하는 순방향 부호 발생기(35)가 제공된다.
제2변조기(37)는 순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35)로부터 공급된 순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제1변조기(33)로부터 공급된 1차 변조 데이터를 2차 변조 즉 확산에 적용한다. 그 후, 제2변조기(37)에 의해 얻어진 확산 데이터는 스위칭 회로(41)로 공급된다. 또한,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섹터를 선택하기 위한 송신 섹터 선택부(39)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가 송신 섹터 선택부(39)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스위칭 회로(41)는 선택된 섹터의 RF 송신 증폭기(15)로 통신 데이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하여 송신 섹터 선택부(39)에 의해 얻어진 선택 결과에 따라 제2변조기(37)에 의해 2차 변조된 데이터를 스위칭시킨다.
제4도의 수신측(b)에서,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수신 섹터 선택부(53)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섹터가 수신 섹터 선택부(53)에 의해 선택되어진다. 또한. 수신 섹터 선택부(53)에 의해 얻어진 선택 결과에 따라서 선택된 섹터의 RF 수신 증폭기(17)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관기(57)로 공급하는 스위칭 회로(51)가 제공된다. 또한, 각 이동국 즉 각 통신 채널에 미리 할당된 역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상관기(57)로 공급하는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55)가 제공된다.
각 상관기(57)는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55)로부터 공급된 역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스위칭 회로(51)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를 역확산시킨다. 여기에서 상관기(57)의 수는 래이크(rake) 수신기(59)의 수신 분기(branch)의 수에 달려있는데, 제1실시예에서는 충분히 많은 상관기(57)가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즉, 제4도의 송수신 수단(21)은 모든 가능한 통로로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래이크 수신기(59)는 상관기(57)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결합되고, 이 출력은 복호기(61)에 의해 복호화된 후 통신망(90)으로 송신된다.
제5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도의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블록도이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 이동국은 기지국과 관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71)를 포함하고, 안테나(71)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송수신 분파기(73)를 통하여 RF 수신 증폭기(75)로 공급되고, RF 수신 증폭기(75)에서 증폭된 후 상관기(79)로 공급된다. 또한, 각 이동국 즉 각 통신 채널에 미리 할당된 순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상관기(79)로 공급하는 순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77)를 포함한다.
각 상관기(79)는 순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77)로부터 공급된 순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RF 수신 증폭기(75)로부터 공급된 수신 신호를 역확산시킨다. 여기에서 상관기(79)의 수는 래이크 수신기(81)의 수신 분기의 수에 달려있는데, 제1실시예에서는 충분히 많은 상관기(79)가 제공된다고 가정한다. 즉, 제5도의 이동국은 모든 가능한 통로로부터 오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래이크 수신기(81)는 상관기(79)의 출력이 최대가 되도록 결합되고, 이 출력은 복호기(83)에 의해 복호화된다. 그 후, 복호화된 신호는 음성 CODEC(85)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송수화기(handset)(87)로 전송된다.
한편, 송수화기(87)로 입력되는 음성 신호는 음성 CODEC(85)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다음, 부호기(89)에 의해 암호화되고 다시 제1변조기(91)에 의해 1차 변조되어 제2변조기(95)로 공급된다. 또한, 각 이동국 즉 각 통신 채널에 미리 할당된 역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제2변조기(95)로 공급하는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93)가 제공된다. 제2변조기(97)는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93)로부터 공급된 역방향 링크 통신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제1변조기(91)로부터 공급된 1차 변조된 데이터를 2차 변조 즉 확산시킨다. 그리고나서 제2변조기(95)에 의해 얻어진 확산 데이터는 RF 대역폭에서 신호를 증폭시키는 RF 송신 증폭기(97)로 공급되고, 송수신 분파기(73)를 통하여 안테나(71)로부터 송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기지국은 퍼치 채널을 생성하고, 이 퍼치 채널은 퍼치 채널 송신 수단(19)으로부터 미리 각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다. 그 후, 이 퍼치 채널은 RF 송신 증폭기(15a, 15b, 15c)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분파기(13a, 13b, 13c)를 통하여 안테나(11a, 11b, 11c)로부터 세 개의 섹터로 각각 송신된다. 즉, 제1실시예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종래와 같이 다른 섹터에는 다른 퍼치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퍼치 채널이 세 개 섹터 모두에게 송신된다. 그 후, 기지국측에서 섹터가 선택되므로 이동국에서 섹터를 선택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동국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 셀의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계속 퍼치 채널을 수신하고, 이 퍼치 채널 확산 부호로부터 기지국을 지정하지만 현재 기지국의 섹터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기지국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이 수신된 신호는 수신 섹터 선택부(53)에 의한 선택 제어에 따라 스위칭 회로(51)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그 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상관기(57)에서 동일 역방향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역확산 된다. 다음에, 래이크 수신기(59)에 의해 최대가 되도록 결합되고, 이 출력은 복호기(61)에 의해 복호화된 후 통신망(90)으로 송신된다.
또한, 기지국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로부터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 신호는 제2변조기(37)에서 동일한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확산된다. 그 후, 확산된 송신 신호는 송신 섹터 선택부(39)에 의한 선택 제어에 따라서 스위칭 회로(41)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고,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섹터로부터 송신된다.
더욱이, 이동국이 같은 기지국 내의 한 섹터에서 다른 섹터로 이동할 때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와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선택된 섹터를 이동국으로 통보할 필요가 없고, 또한 섹터 선택에 관한 제어 신호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교환할 필요가 없다. 용량에 관해서도, 기지국이 송신 섹터와 수신 섹터를 선택하고, 이런 구성으로 인해 용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과 비교하여, 제1실시예의 시스템은 섹터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퍼치 채널의 수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상관 특성이 좋은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사용할 수가 있고, 이동국에서 셀/섹터를 판별하기 위한 조사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셀/섹터가 정확하게 판별될 수가 있다. 게다가, 이동국이 한 섹터에서 다른 섹터로 이동할 때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 제어 신호의 교환이 없어서 섹터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제어 신호 전달이 마비되지 않기 때문에 섹터수의 증가로 인해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다음, 제6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신호는 같은 기지국 내의 모든 섹터에 의해 항상 동시에 수신되고, 이 때문에 각 기지국에 있는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이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정된다. 제2실시예에서의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송수신 수단(21)에서, 송신측(a)은 제4도의 송신측과 같지만, 수신측(b)은 스위칭 회로(51)와 수신 섹터 선택부(53) 대신에 모든 섹터로부터 오는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63)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4도의 수신측과 다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모든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분배기(63)를 통해 항상 수행되고, 모든 섹터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동일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상관기(57)에 의해 역확산되고, 래이크 수신기(59)에 의해 최대로 결합된다.
제6도로부터 명백한 것은 모든 섹터에서 분배기(63)를 통해 동시에 수신될때, 수신 섹터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용량에 관해서는, 모든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라도 최대로 결합될 때 역방향 링크 통신에 대한 수신 특성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섹터 구성으로 인한 용량 증가 효과가 있고, 또한 제4도의 구성을 사용하는 경우와 같거나 보다 더 나은 용량이 보장된다.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 각 섹터에 대한 조사 수신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수신 섹터를 선택하고, 그 결과로 각 기지국의 구성이 제7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정된다. 제3실시예에서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와 같다.
기지국은 세 개의 섹터 각각에 대응하는 조사 수신 수단(23a, 23b, 23c)을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각 섹터의 RF 수신 증폭기(17a, 17b, 17c)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7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2도의 것과 같다.
제8도는 각 조사 수신 수단(23)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 조사 수신 수단(23)은 해당 섹터의 RF 수신 증폭기(17)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111)를 포함하고, 분배기(111)에 의해 분배된 신호는 상관기(115)로 공급된다. 또한 기지국과 통신중인 모든 이동국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와 이에 사용된 수신 수단(21) 사이의 대응 관계를 관리하는 통신중 역방향 링크 부호 관리부(121)가 제공된다.
통신중 역방향 링크 부호 관리부(121)는 저장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113)로 계속 통보하고,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113)는 통보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발생하여 상관기(115)로 공급한다. 상관기(115)는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113)로부터 공급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분배기(111)로부터 오는 신호를 역확산시키고, 이 역확산된 신호는 래이크 수신기(117)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래이크 수신기(117)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119)가 제공되는데, 이 측정부(119)는 통신중 역방향 링크 부호 관리부(121)에 의해 특정된 송수신 수단(21)의 수신 섹터 선택부(53)로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다음에, 수신 섹터 선택부(53)는 모든 섹터로부터 보고된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수신 섹터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가 수신 섹터로 선택될 수도 있고, 또는 최대 수신 레벨과 측정된 수신 레벨 사이의 차가 규정된 값 예를들어 5dB같은 값보다 크지 않은 섹터가 수신 섹터로 선택될 수도 있다.
각 섹터에 대한 조사 수신 수단(23)을 제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 수신 섹터를 선택함으로써, 기지국내에 있는 수신기 자원을 저장하기 위하여 모든 섹터를 선택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각 섹터당 단지 하나의 조사 수신 수단(23)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조사 수신 수단(23)의 사용 효율이 매우 높다.
제9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 조사 수신부는 각 송수신 수단(21) 내에서 제공되는데, 각 기지국에서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정된다. 제4실시예의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송수신 수단(21)에서, 송신측(a)은 제4도의 것과 같지만, 수신측(b)은 스위칭 회로(123), 상관기(115), 래이크 수신기(117), 그리고 레벨 측정부(119)로 형성된 조사 수신부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제4도의 수신측과 다르다. 여기에서, 상관기(115)는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55)에 연결되어 있고, 레벨 측정부(119)는 수신 섹터 선택부(53)에 연결되어 있다. 제9도의 나머지 부분은 제4도의 것과 같다.
송수신 수단(21)의 조사 수신부에서, 스위칭 회로(123)는 모든 섹터의 RF 수신 증폭기(17)로부터 상관기(115)로 신호를 계속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섹터1→섹터2→섹터3와 같은 식으로 미리 규정된 시간 간격으로 스위칭된다. 수신 섹터 선택부(53)에 의해 선택된 섹터에 있어서, 제4도의 통상의 수신측을 사용하여 수신 레벨이 측정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사 수신부는 수신 섹터 선택부(53)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섹터에 한해서만 조사되어질 수가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관기(115)는 제4도의 통상의 수신측의 역방향 링크 부호 발생기(55)에 의해 발생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스위칭 회로(123)로부터 오는 신호를 역확산시키고, 이 역확산된 신호는 래이크 수신기(117)에 의해 수신된다.
레벨 측정부(119)는 래이크 수신기(117)에서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수신 섹터 선택부(53)로 공급한다. 동시에, 수신 섹터 선택부(53)는 스위칭 회로(57)로부터 현재 수신되고 있는 섹터를 알 수 있어서 수신 섹터 선택부(51)는 수신 섹터와 수신 레벨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가 있다. 다음에, 수신 섹터 선택부(53)는 모든 섹터로부터 보고된 수신 레벨을 비교하여 수신 섹터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가 수신 섹터로 선택되어질 수도 있고, 최대 수신 레벨과 측정된 수신 레벨 사이의 차가 미리 규정된 값 예를 들어 5dB과 같은 값보다 더 크지 않은 섹터가 수신 섹터로 선택될 수도 있다.
각 송수신 수단(21)에서 조사 수신부를 제공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 수신 섹터를 선택함으로써, 기지국 내의 수신기 자원이 저장될 때 항상 모든 섹터를 선택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레벨 조사를 위한 수신기가 각 이동국에 대응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섹터 선택 정확도가 개선될 수가 있다.
제10도와 제11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 제9도의 조사 수신부와 제4도의 수신측이 합해져서 구성되고, 각 기지국에서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이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정된다. 제5실시예에서의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제10도의 송수신 수단(21)에서, 송신측(a)은 제4도의 것과 같지만, 수신측(b)에 있어서는 수신 섹터 선택부(53)와 래이크 수신기(59)에 연결된 레벨 측정부(119)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이 제4도의 것과 다르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송수신 수단(21)의 레벨 측정부(119)에서, 래이크 수신기(59)에서 현재 수신하고 있는 각 섹터의 수신 레벨이 측정되고, 측정 결과가 수신 섹터 선택부(53)로 통보된다. 그 후, 수신 섹터 선택부(53)는 레벨 측정 결과에 따라서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알고리듬을 수행하여 제어한다.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알고리듬에서, 수신 섹터의 최대수는 n으로 정해지고, L(MAX)는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의 수신 레벨을 나타내고, L(i)는 i번째 섹터의 수신 레벨을 나타낸다.
제11도에서, n개의 섹터에서 수신이 수행되는 동안(S110), 가장 큰 수신 레벨 섹터의 가장 큰 수신 레벨 L(MAX)와 i번째 섹터의 수신 레벨 L(i)와의 차이가 미리 규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5dB과 같은 값)보다 큰가가 레벨 측정 결과에 따라 판단된다(S120). L(MAX)-L(i)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보다 크지않을 때에는 n개의 섹터들에서의 수신이 계속된다. 한편, L(MAX)-L(i)이 규정된 임계값보다 더 클때, 수신 섹터의 수가 n-1로 감소되고, 이 n-1개의 섹터들에 대한 수신 레벨이 조사된다(S130). 다음에, n-1개의 섹터에서 수신이 수행되는 동안(S110), 가장 큰 수신 레벨 섹터의 가장 큰 수신 레벨 L(MAX)와 i번째 섹터의 수신 레벨 L(i)과의 차이가 미리 규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5dB과 같은 값)보다 더 작은가가 레벨 측정 결과에 따라 판단된다(S140). L(MAX)-L(i)이 미리 규정된 임계값보다 더 작지않을 때에는 n-1개의 섹터들에서의 수신이 계속된다. 한편, L(MAX)-L(i)이 규정된 임계값보다 더 적을 때, 수신 섹터의 수가 n으로 증가되어 n섹터들에서의 수신이 수행되는 단계(S110)로 리턴된다.
다수의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에, 이동국이 수신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 섹터로 이동할 때 수신 섹터의 스위칭이 필요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현재 수신을 수행 중인 몇몇 섹터들의 수신 레벨은 보통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몇몇 섹터들의 수신 레벨이 떨어질 때 레벨 조사를 수행하면 된다. 제11도의 알고리듬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섹터 선택이 필요할 때에만 레벨 조사가 수행되고, 송수신 수단(21)의 사용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송수신 수단(21)은 다른 방법으로 통신에 사용된다.
제12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6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실시예에서, 모든 송신 섹터가 각 기지국 내에서 같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제어되는 동안 모든 수신 섹터는 송신 섹터로서 선택되고, 그 결과로, 각 기지국에서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이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정된다. 제6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의 것과 같다.
제12도의 송수신 수단(21)은 제4도의 송수신 수단과 차이가 있는데, 제4도의 송신 섹터 선택부(39)가 빠져 있고, 수신 섹터 선택부(53)가 수신측 내의 스위칭 회로(51)는 물론 송신측 내의 스위칭 회로(41)까지도 제어하는 것이 그 차이점이다. 제12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4도의 것과 같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현재 수신을 수행 중인 섹터들로부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역방향 링크와 순방향 링크 수신 레벨은 서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역방향 링크 통신에 효과적인 섹터는 순방향 링크 통신에도 또한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다수의 수신 섹터가 기지국 내에서의 역방향 링크 통신을 위해 선택되었을 때, 순방향 링크 통신에 있어서의 송신 또한 다수의 섹터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역방향 링크 통신에서와 마찬가지로, 순방향 링크 통신에서도 사이트 다이버시티 합성 이득이 얻어질 수 있다.
제13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실시예에서, 현재의 수신 섹터들 중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가 각 기지국에서 송신 섹터로 선택되고, 그 결과로, 각 기지국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이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정된다. 제7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의 것과 같다.
제13도의 송수신 수단(21)이 제4도의 것과 다른 점은 송신 섹터 선택부(39)와 래이크 수신기(59)에 연결된 레벨 측정부(119)가 부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제13도의 나머지는 제4도의 것과 동일하다.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송수신 수단(21)의 레벨 측정부(119)에서, 래이크 수신기(59)에서 현재 수신하고 있는 각 섹터의 수신 레벨이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가 송신 섹터 선택부(39)로 통보된다. 그 후, 송신 섹터 선택부(39)에서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가 선택되고, 이러한 선택 결과에 따라서 스위칭 회로(41)가 제어된다.
순방향 링크 통신에 있어서, 간섭 출력이 증가되고, 수신 레벨이 작은 섹터 즉 이동국이 위치해 있지 않은 섹터에서 송신이 수행될 때 용량이 반대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 제7실시예에서는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에서만 송신이 수행된다. 이런 식으로, 간섭 출력이 감소될 수 있고, 섹터 구성에 의한 용량 증가 효과가 더 개선될 수 있다.
제14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실시예에서, 송신 섹터의 송신 전력비가 각 기지국 내의 송신 섹터의 수신 레벨비와 같아지도록 제어되고, 그 결과로 각 기지국에서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이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정된다. 제8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와 같다.
제14도의 송수신 수단(21)이 제4도의 것과 다른 점은 감쇠기(40)가 송신측에 있는 스위칭 회로(41)의 출력측에 부가적으로 제공되고, 감쇠기(40)와 래이크 수신기(59)에 연결된 레벨 측정부(119)가 제공되고, 그리고 수신 섹터 선택부(53)가 수신측에 있는 스위칭 회로(51)는 물론 송신측에 있는 스위칭 회로(41)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14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4도의 것과 같다.
제14도에 도시된 송수신 수단(21)의 레벨 측정부(119)에서, 래이크 수신기(59)에서 현재 수신하고 있는 각 섹터의 수신 레벨이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가 감쇠기(40)로 통보된다. 여기에서, 감쇠기(40)는 각 섹터에 대하여 통보된 수신 레벨 측정 결과에 따라서 각 섹터의 송신 전력을 감쇠시키는 기능을 한다.
가장 큰 수신 레벨 섹터에 대한 감쇠 레벨을 0dB로 설정할 때, 각 섹터의 송신 전력은 가장 큰 수신 레벨과 각 섹터에서의 수신 레벨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감쇠된다. 예를 들어, 가장 큰 수신 레벨보다 10dB 작은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에 있어서, 송신 전력이 10dB만큼 감쇠되고, 이 섹터는 가장 큰 수신 레벨 벡터보다 10dB 작은 전력으로 송신을 수행한다.
역방향 링크와 순방향 링크의 전달 특성은 서로 일치할 필요는 없고, 사이트 다이버시티 합성 이득을 얻기 위하여 작은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라도 송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높은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가 높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섹터의 송신 전력을 차별화함으로써, 간섭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8실시예에 의해 용량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가 있다.
제15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섹터를 선택하고, 기지국에서 각 퍼치 채널의 일부로써 포함된 섹터 정보를 사용하여 섹터 선택 결과를 기지국으로 통보한다.
제15도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각 퍼치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퍼치 채널은 섹터를 확인하기 위한 섹터 정보를 포함한다. 제15도의 구성에서, 섹터 번호가 섹터 정보로 사용되고, 퍼치 채널 데이터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섹터 번호는 섹터에 할당된 일련의 숫자로서, 예를 들면 섹터1에는 1, 섹터2에는 2, 섹터3에는 3과 같이 할당된다.
제16도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통신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통신 채널은 섹터 선택 결과를 포함한다. 제16도의 구성에서, 섹터 번호는 섹터 선택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통신 데이터 사이에 삽입된다.
제17도는 제9실시예에 따른 각 기지국의 퍼치 채널 송신 수단(19)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섹터 정보를 퍼치 채널 내로 삽입하는 기능을 한다. 제17도의 퍼치 채널 송신 수단(19)이 제3도의 것과 다른 점은 기지국 내의 섹터수 만큼의 부호기(193), 제1변조기(195), 그리고 제2변조기(199)가 제공되고, 반면에 제3도의 분배기(201)가 제거되고, 부호기(193)에 연결된 섹터 정보 발생부(203)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이다. 제17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3도의 것과 동일하다.
여기에서, 섹터 정보 발생부(203)는 퍼치 채널 내로 삽입되는 섹터 정보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섹터 정보는 부호기(193)에 의해 퍼치 채널 데이터 사이로 삽입된다.
제18도는 제9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기지국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제18도의 이동국이 제5도의 것과 다른 점은 퍼치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RF 수신 증폭기(175),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발생하기 위한 퍼치 채널 부호 발생기(177), 상관기(179), 래이크 수신기(181), 그리고 복호기(183)에 의해 형성된 퍼치 채널 수신측이 부가적으로 제공되고, RF 수신 증폭기(175)는 송수신 분파기(73)에 연결되고, 복호기(183)는 부호기(89)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제18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5도의 것과 같다.
이러한 퍼치 채널 수신측에서, 퍼치 채널이 수신되고 하나의 송신 섹터가 수신된 퍼치 채널에 따라서 선택되고, 그 후 섹터 정보가 선택된 송신 섹터의 복호화된 퍼치 채널로부터 추출되고, 제16도에 도시된 통신 채널 내로 선택된 송신 섹터의 섹터 번호를 삽입시키기 위해 부호기(87)로 공급된다.
제9실시예에서의 퍼치 채널 수신측은 다른 실시예의 필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빠져 있지만, 통상의 이동국은 셀 판단을 위하여 이러한 퍼치 채널 수신측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통상의 이동국에서는 이러한 퍼치 채널 수신측을 새롭게 포함시킬 필요는 없다.
제19도는 제9실시예에 따른 각 기지국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동국에 의해 선택된 섹터로부터 송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9도의 송수신 수단(21)이 제4도의 것과 다른 점은 복호기(61)가 통신 채널로부터 섹터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 섹터 선택부(39)로 통보한다는 것이다. 제19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4도의 것과 같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이동국에 의해 선택된 섹터로부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순방향 링크 전달 특성에 따라서 섹터가 선택되어질 수가 있기 때문에 송신 섹터 선택이 보다 더 정확해질 수가 있다. 따라서, 송신 전력이 최소로 되고 용량은 증가될 수가 있다.
제20도 내지 제23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0실시예에서, 다른 섹터로부터의 통신 채널의 송신 시기는 서로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제20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에서 세 개의 섹터로부터 오는 퍼치 채널과 통신 채널이 수신된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20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세 개의 섹터로부터 오는 통신 채널의 송신 시기는 서로 다른 시기 차이에 의해 퍼치 채널의 송신 시기에 대응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이동국은 퍼치 채널의 수신 시기와 각 통신 채널의 수신 시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각 섹터를 확인할 수 있고, 각 섹터에 대한 수신 레벨을 측정할 수가 있다.
제21도는 제10실시예에 따라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통신 채널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 섹터의 수신 레벨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 정보가 통신 데이터 사이에 삽입된다.
제22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각 기지국의 송수신 수단(21)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퍼치 채널의 송신 시기에 관하여 통신 채널의 송신 시기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2도의 송수신 수단(21)이 제4도의 것과 다른 점은 지연 회로(42)가 스위칭 회로(41)의 출력측에 새롭게 제공되고, 복호기(61)는 통신 채널로부터 측정 결과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 섹터 선택부(39)로 통보한다는 것이다. 제22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4도의 것과 같다.
제23도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수신 섹터와 수신 레벨을 보고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3도의 이동국이 제5도의 것과 다른 점은 래이크 수신기(81)와 부호기(89)에 연결된 레벨 측정부(80)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이다. 제23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5도의 것과 동일하다.
제22도의 송수신 수단(21)에서, 지연 회로(42)는 다른 섹터의 통신 채널이 제20도에 나타나 있듯이 이동되도록 다른 섹터에 대해 다른 지연을 적용한다.
또한, 제23도에 도시된 이동국의 레벨 측정부(80)는 제20도에 도시되어 있는 파형의 신호를 수신하는 래이크 수신기(81)에서 각 섹터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여 부호기(89)로 보낸다. 그 후, 부호기(89)는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정 결과 정보를 통신 채널에 삽입한다.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는 송수신 수단(21)의 복호기(61)에서, 이동국에서 각 섹터의 수신 레벨을 나타내는 측정 결과 정보가 통신 채널로부터 추출되어 송신 섹터 선택부(39)로 보내진다. 송신 섹터 선택부(39)에서, 모든 섹터의 수신 레벨을 비교함으로써 송신 섹터가 선택된다. 여기에서, 가장 큰 수신 레벨을 갖는 섹터가 송신 섹터로 선택될 수가 있고, 또는 최대 수신 레벨과 측정된 수신 레벨의 차이가 규정된 값 예를 들어 5dB과 같은 값보다 크지 않은 섹터가 송신 섹터로 선택될 수가 있다. 그리고, 선택된 모든 송신 섹터들은 각 기지국에서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다수의 섹터로부터의 동시 송신에 의한 사이트 다이버시티 합성 이득이 얻어질 수가 있고, 반면에 이동국에 의해 선택된 섹터로부터 송신을 수행할 수가 있고, 순방향 링크 전달 특성에 따라서 섹터가 선택되어질 수가 있어서, 보다 더 정확한 송신 섹터 선택이 수행될 수가 있다. 그 결과, 송신 전력이 최소화될 수가 있고, 용량은 증가될 수가 있다.
제24도 내지 제25도를 참조하여,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1실시예에서, 다른 섹터로부터의 통신 채널의 송신 시기는 서로 이동되어진다.
제24도는 제11실시예에 따른 각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다른 섹터로부터 다른 시기에 송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연 회로(14a, 14b, 14c)가 RF 송신 증폭기(15a 15b, 15c) 각각의 출력측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제2도의 것과 다르다. 제24도의 나머지 구성은 제2도의 것과 같다.
제24도에 도시되어 있는 기지국의 지연 회로(14)는 기지국의 다수의 섹터에의 다른 송신 시기가 이동국의 래이크 수신기의 탐색 범위 내에 포함되는 동안 다른 섹터로부터의 신호가 이동국의 래이크 수신기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연을 적용한다. 이 경우에, 이동국의 구성은 제5도의 것과 같을 수가 있다.
제25도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에서 세 개의 섹터로부터 오는 신호에 대한 수신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다수의 섹터로부터 동시에 송신이 수행될 때, 다른 섹터로부터의 신호가 어느 시기에서도 겹치지 않도록 수신 통로가 분리되고, 래이크 수신기의 특성이 개선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1실시예에 따라서 용량이 증가될 수가 있다.
이 발명인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기지국의 모든 섹터에 대해 동일한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고, 또한 이 발명은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섹터가 동일한 퍼치 채널 확산 부호를 사용하는 형태로 수정되어 질 수가 있다.
또한,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한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Claims (30)

  1.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 퍼치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동일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역확산하고,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역확산되는 역방향 신호의 최대 결합을 수행하는 단계와; 동일한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순방향 신호를 확산하고,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오는 확산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송신 단계에서 상기 퍼치 채널은 상기 다수의 섹터 모두로부터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와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수신 단계는 다수의 섹터 모두에서 항상 동시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섹터에 대응하도록 제공된 레벨 조사 수신 수단을 사용하고,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중인 상기 이동국들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차례로 조사하여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이동국에 대응하도록 제공된 레벨 조사 수신 수단을 사용하고, 각 이동국에 할당된 역방향 확산 부호를 사용하는 수신을 수행하는 섹터를 차례로 스위칭하여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 중 하나의 섹터에 대응하도록 제공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사용하고,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 수신이 수행 중인 동안 상기 하나의 섹터에서의 수신 레벨과 상기한 하나 이상의 섹터 중 가장 큰 수신 레벨 사이의 차이가 규정된 값보다 더 커질 때, 각 이동국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는 수신을 수행하는 섹터를 차례로 스위칭하여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 중인 상기한 다수의 섹터들 중 여러 개의 섹터를, 상기 기지국에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섹터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확산 단계는 각 송신 섹터에 대해 동일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 중인 상기한 섹터들 중에서 수신 레벨이 가장 큰 섹터를, 상기 기지국에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섹터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 중인 다수의 섹터들 중에서 여러 개의 섹터를, 상기 기지국에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섹터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한 확산 단계는 송신 섹터에서의 수신 레벨비와 같은 송신 전력비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전송 단계에서, 각 섹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퍼치 채널은 각 섹터를 확인하기 위한 섹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 이동국에서, 각 섹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퍼치 채널에 포함된 섹터 정보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하나의 전송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각 섹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퍼치 채널에 포함된 섹터 정보를 사용하여 각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하여, 상기 확산 단계가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로부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 단계는 상기 퍼치 채널의 송신 시기와는 다른 시기에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른 섹터로부터 오는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퍼치 채널의 수신 시기와 각 통신 채널의 수신 시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가 각 이동국에서 수신되고 있는 각 섹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한 통신 채널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확인된 각 섹터와 상기 확인된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을 각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에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보된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통신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한 선택 단계는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고, 상기한 확산 단계는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에 대하여 동일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 단계는 각 이동국의 래이크 수신기의 탐색 범위 내의 다른 시기에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른 섹터로부터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한 다른 시기는 다른 섹터의 통신 채널이 각 이동국의 상기 래이크 수신기에 의해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15.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 동일한 퍼치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퍼치 채널 송신 수단과;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동일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수신된 역방향 신호를 역확산하고,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에 역확산되는 역방향 신호의 결합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통신 채널 수신 수단과; 동일한 순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순방향 신호를 확산하고,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에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오는 확산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한 퍼치 채널 송신 수단은 상기한 다수의 섹터 모두로부터 상기 퍼치 채널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수신 섹터 선택부와;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송신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 채널 수신 수단은 상기한 다수의 모든 섹터에서 항상 동시 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섹터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과 통신 중인 상기한 이동국들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차례로 조사하여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조사 수신 수단과; 상기 레벨 조사 수신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수신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이동국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각 이동국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수신을 수행하는 섹터를 차례로 스위칭시켜서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조사 수신 수단과; 상기 레벨 조사 수신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수신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 채널 수신 수단은 각 섹터에 대응하도록 제공되는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에서 동시 수신이 수행되는 동안 하나의 섹터에서의 수신 레벨과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중에서 가장 큰 수신 레벨 사이의 차이가 규정된 값보다 더 커질 때, 각 이동국에 할당된 역방향 링크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수신을 수행하는 섹터를 차례로 스위칭 시켜서 수신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 중의 상기한 하나의 섹터에 대한 수신기 수단과; 상기한 하나의 섹터에 대한 수신기 수단에 의해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한 하나 이상의 수신 섹터를 선택하는 수신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2.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 중인 상기한 다수의 섹터 중 여러 개의 섹터를,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섹터로 선택하는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한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은 각 송신 섹터에 대하여 동일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섹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3.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 중인 여러 개의 섹터 중 수신 레벨이 가장 큰 하나의 섹터를,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섹터로 선택하는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오는 역방향 신호를 수신 중인 상기한 다수의 섹터들 중 여러 개의 섹터를,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섹터로 선택하는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한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은 상기 송신 섹터에 대한 수신 레벨비와 같은 송신 전력비를 사용하여, 상기 섹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퍼치 채널 송신 수단에 의해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퍼치 채널은 각 섹터를 확인하기 위한 섹터 정보를 포함하고, 각 이동국은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퍼치 채널에 포함된 섹터 정보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고, 상기 퍼치 채널은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퍼치 채널 내에 포함된 섹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를 통보하고, 상기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은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보된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로부터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 채널 송신 수산은 상기 퍼치 채널 송신 수단에 의한 상기 퍼치 채널의 송신 시기와는 다른 시기에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른 섹터로부터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고, 각 이동국은 상기 퍼치 채널의 수신 시기와 각 통신 채널의 수신 시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각 섹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한 통신 채널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고, 확인된 각 섹터와 상기 확인된 섹터의 측정된 수신 레벨을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 이동국으로부터 통보된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각 이동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송신 섹터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한 송신 섹터 선택부는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고, 상기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은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에 대하여 동일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송신 섹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한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로부터 동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은 각 이동국의 래이크 수신기의 탐색 범위 내의 다른 시기에 통신 채널을 통해 다른 섹터로부터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한 다른 시기는 상기 다른 섹터의 통신 채널이 각 이동국의 래이크 수신기에 의해 분리되어질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9.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 동일한 퍼치 채널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고,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퍼치 채널이 각 섹터를 확인하기 위한 섹터 정보를 포함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퍼치 채널을 수신하고,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퍼치 채널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는 퍼치 채널 수신 수단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순방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채널 수신 수단과; 각 섹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퍼치 채널에 포함된 섹터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한 하나의 송신 섹터로부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장치.
  30.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통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고, 각 기지국의 셀이 다수개의 섹터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기지국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섹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할당된 퍼치 채널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된 동일한 퍼치 채널을 상기 기지국이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퍼치 채널의 송신 시기와 다른 시기에 통신 채널을 통하여 다른 섹터로부터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섹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퍼치 채널을 수신하는 퍼치 채널 수신 수단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순방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퍼치 채널의 수신 시기와 각 통신 채널의 수신 시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서 순방향 신호가 수신 되고 있는 각 섹터를 화인하고,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한 통신 채널의 수신 레벨을 측정하는 통신 채널 수신 수단과; 확인된 각 섹터와 상기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을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기지국이 확인된 각 섹터에 대하여 측정된 수신 레벨에 따라서 상기 순방향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도록 하는 통신 채널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장치.
KR1019970009845A 1996-03-21 1997-03-21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270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064924 1996-03-21
JP6492496 1996-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218A KR970068218A (ko) 1997-10-13
KR100270755B1 true KR100270755B1 (ko) 2000-11-01

Family

ID=1327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845A KR100270755B1 (ko) 1996-03-21 1997-03-21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11787A (ko)
EP (1) EP0797369B1 (ko)
KR (1) KR100270755B1 (ko)
CN (2) CN1104823C (ko)
CA (1) CA2200518C (ko)
DE (1) DE697352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2400B2 (en) 1991-12-23 2013-01-08 Hoffberg Steven M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ler apparatus and method and human-factored interface therefore
US10361802B1 (en) 1999-02-01 2019-07-23 Blanding Hovenweep, Llc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HUT75265A (en) * 1994-12-19 1997-05-28 Motorola Inc Method and base unit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s
EP2224623A3 (en) * 1997-04-17 2011-04-06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148218A (en) * 1998-02-13 2000-11-14 Lucent Technologies, Inc. Architecture for multi-sector base stations
JPH11275623A (ja) * 1998-03-20 1999-10-08 Fujitsu Ltd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状況に応じたゾーン選択方法
WO1999050973A1 (en) * 1998-03-31 1999-10-07 Qualcomm Incorporated Signal combining method in a base station of a cdma system
KR100346192B1 (ko) * 1998-04-13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공통채널확산부호지정장치및방법
WO1999057832A1 (fr) * 1998-05-07 1999-11-11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Procede d'attribution et de transmission de signaux disperses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amcr a etalement du spectre en sequence directe,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correspondant, et emetteur, recepteur et emetteur/recepteur de systeme de communication mobile
US6504830B1 (en) * 1998-06-15 2003-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ast base synchronization and sector identification
FI106896B (fi) * 1998-07-22 2001-04-30 Nokia Networks Oy Tiedonsiirtomenetelmä, radioverkkoalijärjestelmä ja tilaajapäätelaite
JP3257522B2 (ja) * 1998-10-06 2002-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機
US7031737B1 (en) * 1998-10-27 2006-04-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ke receiver in third generation mobile radiotelephone systems
US6546252B1 (en) 1998-12-18 2003-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nterfrequency measurements used for radio network function
US7904187B2 (en) 1999-02-01 2011-03-08 Hoffberg Steven M Internet appliance system and method
US6597927B1 (en) * 1999-05-27 2003-07-22 Nortel Networks Limited Narrow beam traffic channel assignment method and apparatus
JP2001008262A (ja) * 1999-06-23 2001-01-12 Hitachi Ltd ダイナミック符号割当て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方法、およ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基地局
JP3322248B2 (ja) * 1999-08-13 2002-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受信レベル測定方式
JP2001069151A (ja) * 1999-08-26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地局装置、識別子管理装置及び識別子割当て方法
US7844687B1 (en) 1999-10-06 2010-11-30 Gelvin David C Method for internetworked hybrid wireless integrated network sensors (WINS)
KR100324426B1 (ko) * 2000-01-14 2002-02-27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내 3섹터 기지국의 송신전력 자동 변경방법
JP3808280B2 (ja) * 2000-04-28 2006-08-09 富士通株式会社 同期確立装置と同期確立方法及び受信機
CN1419792A (zh) * 2000-06-08 2003-05-21 锐美克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可缩放扇区的广域网
JP2002016531A (ja) * 2000-06-27 2002-01-18 Nec Corp Cdma通信方式及びその方法
GB2370722A (en) * 2000-07-14 2002-07-03 Ip Access Ltd Controlling base stations to increase traffic capacity
EP3070856B1 (en) * 2001-09-12 2018-10-24 Intel Deutschland GmbH Cdma wireless systems
US6771693B2 (en) * 2001-12-27 2004-08-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nhanced rake structure
JP4008783B2 (ja) * 2002-08-23 2007-11-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これらに用いて好適な基地局
JP3815414B2 (ja) * 2002-09-20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A94204C2 (ru) * 2003-02-24 2011-04-11 Кве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Пилот-сигнал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многосекторных сотах
US7792532B1 (en) * 2003-06-13 2010-09-0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of reusing walsh code to increase forward channel capacity
CN100407844C (zh) * 2003-09-18 2008-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讯系统中扇区配置的实现方法和装置
US8532664B2 (en) * 2003-10-01 2013-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CDMA reverse link performance
JP4480461B2 (ja) 2004-05-20 2010-06-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制御装置
US20060023687A1 (en) * 2004-07-27 2006-02-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reliable downlink signaling to support enhanced uplink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GB2419494A (en) * 2004-10-20 2006-04-26 Ericsson Telefon Ab L M Cellular network resour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4569287B2 (ja) * 2004-12-15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415288B1 (en) 2005-01-07 2008-08-19 Zte (Usa)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efficient transmit diversity and bandwidth segmen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515577B2 (en) * 2006-06-29 2009-04-07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acon transmission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s
KR101045180B1 (ko) * 2006-12-08 2011-06-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간섭 저감 방법 및 기지국 장치
US8514784B2 (en) * 2008-08-27 2013-08-20 Zte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downlink signal in sector portion and base station thereof
JP5450638B2 (ja) * 2008-10-30 2014-03-26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マルチセクタ協調通信における協調タイプの切り替え技術
EP2264960B1 (en) * 2009-06-19 2014-10-01 Alcatel Lucent Method and processing arrangement for joint processing of uplink data
CN103650560B (zh) * 2013-07-22 2017-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共小区的频率规划方法和设备
US10129762B1 (en) * 2017-12-19 2018-11-13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Adaptive azimuthal settings for a transmitting-receiving componen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10321334B1 (en) 2018-01-19 2019-06-1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antenna beamforming setting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3109A (en) * 1989-02-06 1993-03-09 Pactel Corporation Zoned microcell with sector scanning for cellular telephone system
JP2873320B2 (ja) * 1989-09-19 1999-03-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局の在圏セクタ判定方式
US5103459B1 (en) *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FR2705849B1 (fr) * 1993-05-28 1995-06-30 Alcatel Mobile Comm France Station de base d'un réseau cellulaire de type GSM, et procédé d'échange de données entre cette station de base et un mobile évoluant dans le réseau.
DE69426553T2 (de) * 1993-06-25 2001-05-31 Roke Manor Research Gerät zur störungsunterdrückung in einer digitalen funkverbindung zwischen einer ortsfesten und mobilen funkstation
MY112371A (en) * 1993-07-20 2001-05-31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spread spectrum sequence generation in variable data rate systems
JP2576388B2 (ja) * 1993-11-08 1997-01-29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受信装置
WO1995022213A1 (fr) * 1994-02-09 1995-08-17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Procede et systeme relatif aux liaisons radio mobiles cdma
US5771449A (en) * 1994-03-17 1998-06-23 Endlink, Inc. Sectorized multi-function communication system
US5570373A (en) * 1995-03-20 1996-10-29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radio in a base station without using a radio tes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7369A3 (en) 1999-06-02
CN1104823C (zh) 2003-04-02
EP0797369A2 (en) 1997-09-24
KR970068218A (ko) 1997-10-13
DE69735218D1 (de) 2006-04-20
CN1165459A (zh) 1997-11-19
CA2200518C (en) 2000-11-14
US6011787A (en) 2000-01-04
CN1209939C (zh) 2005-07-06
EP0797369B1 (en) 2006-02-08
CA2200518A1 (en) 1997-09-21
DE69735218T2 (de) 2006-10-26
CN1368807A (zh)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755B1 (ko)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
EP0688479B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control messages in a cdma cellular radio system
US6507574B1 (en)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t power control method
US5673260A (en) Method and system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U750443B2 (en) Channe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CA2234923C (en) Cdm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dma communication method
US68229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noise power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59845B1 (ko) 하나의채널의의사잡음옵셋을이용한옴니셀간의그룹화및언그룹화방법
JP3672808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干渉キャンセル方法
KR20010031050A (ko) 다중 사용자 통신 시스템의 다층 pn 코드 확산
US7039095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gain control method
US6904030B2 (en) Pilot channel power measurement means for a mobile station in asynchronou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249517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variety of transmission rates in spread spectrum CDMA system
US7376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received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92798B1 (ko) 다중 반송파 부호분할다중접속/주파수분할다중 하이브리드방식의 기지국 시스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
JP3034481B2 (ja) 移動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と移動局装置
KR10033217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50044419A (ko) 무선 단말 및 무선 단말에서의 신호 포착 방법
Kudoh et al. Effect of transmitter power control imperfections on capacity in DS/CDMA cellular mobile radios
JPH0884105A (ja) 周波数ダイバーシチ通信方式
JP3343233B2 (ja) 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実行時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JPH0955974A (ja) 移動通信装置
KR100327093B1 (ko) 다중 반송파 대역확산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소프트핸드오프 방법
KR100257343B1 (ko) 씨디엠에이 방식의 이동통신에서 핸드오프범위의 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