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342B1 -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 Google Patents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342B1
KR100270342B1 KR1019930004521A KR930004521A KR100270342B1 KR 100270342 B1 KR100270342 B1 KR 100270342B1 KR 1019930004521 A KR1019930004521 A KR 1019930004521A KR 930004521 A KR930004521 A KR 930004521A KR 100270342 B1 KR100270342 B1 KR 10027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groove
length
radius
suppor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992A (ko
Inventor
로저월터하이닉
Original Assignee
드폴 루이스 에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폴 루이스 에이,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드폴 루이스 에이
Publication of KR93001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007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axial inser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아래로 정렬하며 중심선의 양측에 대해서 대칭인 블레이드 루트로서, 폭(w1)을 갖는 상측 목과; 시점에서 끝점으로 상측 지지 베어링 표면을 갖는 상측 러그로서, 아치형 길이가 상측 루트 베어링 표면의 시점과 공존하는 끝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경(R2)의 필릿 표면과, 시점에서 끝점으로 연장하는 상측 지지 그루브 베어링 표면에 표면 접촉하는 상기의 상측 루트 베어링 표면과, 아치형 길이가 상측 그루브 베어링 표면의 시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경(R3)의 필릿 표면을 포함하는 그루브와, 상기 상측 그루브 베어링 표면의 시점에서 상기 상측 루트 베어링 표면의 끝점으로 길이(ℓ2)에 걸쳐서 표면 접촉하는 상기 상측 루트 베어링 표면과 상기 상측 그루브 베어링 표면을 구성하는 상기 상측 러그와; 폭(w2)을 갖는 하측 목과; 시점에서 끝점으로 하측 지지 루트 베어링 표면을 갖는 하측 러그로서, 아치형 길이가 하측 루트 베어링 표면의 시점과 공존하는 끝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경(R6)의 필릿 표면과, 시점에서 끝점으로 연장하는 하측 지지 그루브 베어링 표면에 접촉하는 하측 루트 베어링 표면과, 아치형 길이가 상기 하측 그루브 베어링 표면의 끝점과 공존하는 시점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경(R7)의 필릿 표면을 포함하는 그루브와, 상기 하측 그루브 베어링 표면의 시점에서 상기 하측 루트 베어링 표면의 끝점으로 길이(ℓ2)에 걸쳐서 접촉하는 상기의 하측 루트 베어링 표면 및 상기의 하측 그루브 베어링 표면을 구성하는 하측 러그와; W1에 대한 W2의 비가 약 0.69, W1에 대한 R2의 비가 약 0.15, W1에 대한 R3 의 비가 약 0.15, W1에 대한 R6 의 비가 약 0.08, W1에 대한 R7의 비가 약 0.12, W1에 대한 ℓ1의 비가 약 0.13, 그리고 W1에 대한 ℓ2의 비가 약 0.10 인 비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루트.

Description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루트의 윤곽을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루트가 끼워맞춤되는 홈의 윤곽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홈에 관한 다른 측면도.
제4도는 루트의 치수를 도시하는, 제1도에 도시한 루트의 또다른 측면도.
제5도는 명목상의 루트 대 홈 지지면 접촉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터빈 블레이드 10 : 루트
12 : 플랫폼부 14 : 포일부
16 : 홈 18 : 로터
20 : 최상측 목부 22 : 최상측 러그
24 : 최하측 목부 26 : 최하측 러그
본 발명은 증기 터빈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링 가공된 홈(groove)내로 조립되는 비교적 소형의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2-러그형 측면 삽입식 터빈 블레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터빈 블레이드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터빈 로터에 장착될 수 있다. 한가지 공지된 구조는 "전나무형" 측면 삽입식 루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루트 구조의 명칭은 최하측으로부터 최상측까지 크기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적어도 두개의 러그를 사용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되었다.
이 기본적인 전나무형 루트 형상에는 다수의 잠재적 하중 경로가 있게 되고, 그 내에 결과적으로 생기는 응력의 크기는 루트와 그에 대응하는 홈 사이의 초기 끼워맞춤 정밀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응력은 고-사이클 피로, 저-사이클 피로 및 응력 부식 균열과 같은 잠재적 파손 메카니즘과 특히 관련이 있다.
전나무형 루트를 갖는 블레이드는 루트내 진동의 중립축이 터빈 로터의 축과 대략 평행하도록 된 주요 진동 모드에 대해 민감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진동 특성 때문에, 전나무형 루트의 최상측 랜드(land)가 전체 루트 강성 및 하중 지지 능력의 많은 부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이들 최상측 랜드가 터빈의 운전중에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제조 공차는 이러한 긴밀한 접촉이 최상측 랜드에서 발생되고, 그와 동시에 블레이드 체결 구조 전체의 피크 응력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나무형 루트는 터빈이 정지해 있을 때 하측 랜드 상에 아주 작은 간극을 제공하는 중간 공차를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중간의 하측 랜드 간극은 그 자체가 공차의 역할을 한다. 소정의 전나무형 루트 설계 및 적용예의 경우, 공차가 클수록 중간의 하측 랜드 간격을 보다 크게 하여서 최상측 랜드가 터빈의 운전 중에 긴밀히 접촉하고 있도록 한다.
어떤 특성은 제조 공차의 편차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특성중 하나는 로터 직경, 로터 설계 또는 긴밀히 인접해 있는 열에서 각 열당 블레이드의 수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다. 모든 이러한 특성중 어떤 것은 홈 제조 방법으로서 브로칭(broaching) 가공을 이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그 대신 본질적으로 덜 정밀한 밀링 가공 방법을 이용할 것을 요구한다. 그것과 관련된 특성은 하측 러그의 폭이다. 그 폭이 증가할수록 밀링 커터에 대한 하중이 증가하며, 그러면 커팅 경로의 정밀도가 감소된다.
또한 블레이드와, 루트와, 홈의 어떤 특성은 제조 공차의 편차의 치수적 영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것의 예로는 절대적 크기를 작게 하는 것과 안정 하중이 비교적 적게 부여되게 하는 것이 있다.
블레이드의 어떤 특성은 루트가 대응하는 홈에 부정확하게 끼워맞춤하는 것으로 인해서 유해한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특성중 한가지 중요한 것은 최하측의 진동 모드가 비동조하고 그들이 공진 상태에 있도록 하는 설계이다. 하측 모드는 블레이드내에서 다른 곳보다 더 루트에서 최대의 고-사이클 피로 응력이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동일 터빈에서 비동조 블레이드는 다른 블레이드와 비교해서 크기가 일반적으로 작다.
원심 하중이 가해질 때 러그, 즉 뾰족한 랜드부에 정밀하게 제로 간극(면 대면의 접촉)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하면서, 허용가능한 최대 및 최소의 간극으로 루트 및 홈의 윤곽을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2-러그형 측면 삽입식 터빈 블레이드의 경우에는, 이 2개의 러그에 대응해서 단 2개의 랜드가 있다(대칭면이기도 한 루트 중심선의 양쪽에 좌우의 랜드가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각 러그에 2개씩, 총 4개의 랜드가 있다).
따라서, 증기 터빈 또는 연소 터빈용의 각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측면 삽입식의 터빈 블레이드 루트를 설계하는 선행기술에 따른 방법의 일예가 앤드류스(Andrews)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692,97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미국 특허에는, 블레이드 루트에 작용하는 원심 하중 및 굴곡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응력 집중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축적가능한 2-러그형(또는 활모양부) 측면 삽입식 터빈 블레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 블레이드의 설계는 모든 응력 집중 지점에서 응력을 균등화한다. 블레이드 장착구조의 제작에 요구되는 정밀도의 결과로서, 블레이드의 루트 및 홈의 표면은, 그들 각각의 반경 길이와, 각 반경에 대한 피봇 중심의 위치와, 각 만곡부의 시점 및 종점과, 2개의 러그의 각각과 관련된 랜드부(또는 평탄부)의 길이로 규정된다.
피츠(Pisz) 등의 미국 특허 제 4,824,328 호에는 블레이드 루트와 홈의 윤곽이 특정 관계로 규정되는 또다른 터빈 블레이드 장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밀링 가공에 의해서 홈을 제작하여야만 할 때 제조 공차 편차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터빈 블레이드 장착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 특히 고 사이클 피로 및 응력 부식 균열과 관련하여 제조 공차 편차의 유해한 결과를 감소시키는 터빈 블레이드 장착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밀링 가공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할 때 예상되는 공차 편차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조성을 개량한 2-러그형 측면 삽입식 터빈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 반경방향 위치의 조립공차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루트 및 홈의 제조 공차의 편차로부터도 영향을 적게 받으며, 모든 끼워맞춤 상태에서 뾰족한 또는 러그 응력이 현저히 낮아진 2-러그형 측면 삽입식 터빈 블레이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루트와 홈이 공통의 중심선을 갖도록 루트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에 의하여 제공되는데, 이 루트는 상기 루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폭(w1)의 최상측 목부와; 상기 최상측 목부 아래에 상기 루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최상측 러그로서, 시점과 종점에 의하여 규정되는 편평한 루트 지지면과, 반경(R2)의 둥근 곡면을 상기 중심선의 양쪽에 가지며, 상기 종점은 상기 시점보다 상기 루트 중심선으로부터 먼 수평 거리에 있으며, 상기 둥근 곡면의 원호형 길이는 상기 최상측 루트 지지면의 시점과 공존하는 종점에 의하여 규정되고, 상기 최상측 루트 지지면은 시점과 종점에 의해 규정되는 대응하는 최상측의 편평한 홈 지지면과 면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종점은 상기 시점보다 중심선으로부터 먼 수평 거리에 있으며, 상기 홈은 반경(R3)의 둥근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둥근 곡면의 원호 길이는 상기 최상측의 홈 지지면의 종점과 공존하는 시점에 의하여 규정되며, 상기 최상측의 루트 지지면과 상기 최상측의 홈 지지면 사이의 접촉영역은 상기 최상측의 홈 지지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최상측의 루트 지지면의 종점까지 길이(l1)에 걸쳐 연장하는 최상측 러그와; 상기 최상측 러그 아래에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폭(w2)의 최하측 목부와; 상기 루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상기 최하측 목부 아래의 최하측 러그로서, 시점과 종점에 의하여 길이가 규정되는 최하측의 편평한 루트 지지면과, 반경(R6)의 둥근 곡면을 상기 중심선의 양쪽에 가지며, 상기 종점은 상기 시점보다 상기 루트 중심선으로부터 먼 수평 거리에 있으며, 상기 둥근 곡면의 원호 길이는 상기 최하측 루트 지지면의 시점과 공존하는 종점에 의하여 규정되고, 상기 최하측 루트 지지면은 시점과 종점에 의해 규정되는 대응하는 최하측의 편평한 홈 지지면과 면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종점은 상기 시점보다 중심선으로부터 먼 수평 거리에 있으며, 상기 홈은 반경(R7)의 둥근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둥근 곡면의 원호 길이는 상기 최하측의 홈 지지면의 종점과 공존하는 시점에 의하여 규정되며, 상기 최하측의 루트 지지면과 상기 최하측의 홈 지지면 사이의 접촉 영역은 상기 최하측의 홈 지지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최하측의 루트 지지면의 종점까지 길이(l2)에 걸쳐 연장하는 최하측 러그를 포함하며, 폭(w1)에 대한 폭(w2)의 비는 약 0.69이며, 폭(w1)에 대한 루트의 반경(R2)의 비는 약 0.15이며, 폭(w1)에 대한 루트의 반경(R6)의 비는 약 0.08이고, 폭(w1)에 대한 홈의 반경(R7)의 비는 약 0.12이며, 폭(w1)에 대한 길이(l1)의 비는 약 0.13이며, 폭(w1)에 대한 길이(l1)의 비는 약 0.10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료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터빈 블레이드(9)는 플랫폼부(12)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루트(10)와, 플랫폼부(12)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포일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초점은 루트(10)이므로, 포일부(14)는 거의 생략하고 있다. 루트의 윤곽은 터빈의 로터(18)에 형성된 측면 삽입식 홈인 대응 홈(16)(제 2 도에 도시함)의 윤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 1 도를 다시 참조하면, 루트(10)는 플랫폼부(12)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최상측 목부(20)와, 최상측 목부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최상측 러그(22)와, 최상측 러그(22)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최하측 목부(24)와, 최하측 목부(24)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최하측 러그(26)를 갖고 있다.
루트(10)의 윤곽은 루트(10)의 표면상에 점(P1~P16)을 배치하는 좌표점계에 의해 규정된다. 루트의 표면은 부호를 제외하곤 좌표점(P1~P16)이 루트의 좌측과 동일하도록 루트 중심선(CL)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다.
표면의 만곡부에 있어서는 반경(R1 내지 R8)을 이용하여 만곡 표면을 구성한다. 각각의 반경(R1 내지 R8)은 각각의 피봇 중심(C1 내지 C8)을 갖는데, 이 피봇 중심으로부터 대응하는 표면까지 반경이 연장된다.
하기의 표는 좌표점(P1 내지 P16) 및 피봇 중심(C1 내지 C8)의 위치와, 반경(R1 내지 R8)의 치수 또는 길이를 좌표점 형식으로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표에 있어서 반경의 치수는 길이를 인치로 표시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것을 축소 또는 확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상측 목부(20)는 중심점(C2)의 X좌표로부터 반경(R2)을 빼서 2배한 값으로 규정되는 폭(w1)(제 4 도에 도시됨)을 갖는다.
최상측 러그(22)는 루트 중심선(CL)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구성되며 중심선(CL) 양쪽에 편평한 지지면(b1)을 갖고 있다. 이 편평한 지지면은 시점(P4)과 종점(P5)에 의해서 규정된다. 종점(P5)은 시점(P4)보다 루트 중심선(CL)으로부터 더 먼 수평면 거리에 있다. 이 편평한 지지면(b1)은 홈의 점(P4)으로부터 루트의 점(P5)까지 연장하는 길이(l1)에 걸쳐서, 홈의 대응하는 편평한 지지면[제 2 도에 점(P4, P5)으로 도시됨]과 면접촉하고 있다.
둥근 루트 곡면(s1)은 루트의 시점(P3)과 종점(P4)에 의해서 규정되는데, 이 종점(P4)은 루트 지지면(b1)의 시점(P4)과 공존한다. 둥근 루트 곡면(s1)은 루트의 피봇 중심(C2)으로부터 그린 루트의 반경(R2)에 의해 규정된다.
둥근 홈 곡면(s1')은 홈의 시점(P5)과 종점(P6)에 의해서 규정되는데, 이 시점(P5)은 홈의 편평한 지지면(b1')의 종점(P5)과 공존한다. 둥근 홈 곡면(s1)은 홈의 피봇 중심(C3)으로부터 그린 홈의 반경(R3)에 의해 규정된다.
마찬가지로, 최하측의 목부(24)는 루트의 중심점(C6)의 좌표에서 루트의 반경(R6)을 빼서 2배하는 것에 의하여 규정되는 폭(w2)(제 4 도에 도시됨)을 갖는다.
최하측 러그(26)는 루트 중심선(CL)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규정되고 중심선의 양측에 편평한 지지면(b2)을 갖고 있다. 이 편평한 지지면의 길이는 시점(P12)과 종점(P13)에 의해서 규정된다. 종점(P13)은 시점(P12)보다 루트 중심선(CL)으로부터 더 먼 수평 거리에 있다. 이 편평한 지지면(b2)은 홈은 점(P12)으로부터 루트의 점(P13)까지 연장하는 길이(l2)에 걸쳐서, 홈(16)의 편평한 지지면(b2')[제 2 도에 점(P12, P13)으로 도시됨]과 면접촉하고 있다.
둥근 루트 곡면(s2)은 루트의 시점(P11)과 종점(P12)에 의해서 규정되는데, 이 종점(P12)은 편평한 루트 지지면(b2)의 시점(P12)과 공존한다. 둥근 루트 곡면(s2)은 루트의 피봇 중심(C6)으로부터 그린 루트의 반경(R6)에 의해 규정된다.
둥근 홈 곡면(s2')은 홈의 시점(P13)과 종점(P14)에 의해서 규정되는데, 이 시점(P13)은 홈의 편평한 지지면(b2')의 종점(P13)과 공존한다. 둥근 홈 곡면(s2')은 홈의 피봇 중심(C7)으로부터 그린 홈의 반경(R7)에 의해 규정된다.
전술한 패러그래프에 기재된 모든 치수는 루트와 홈의 최대 재료 상태에 가까운 명목상의 치수이다. 제조 공차는 로터가 등온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 루트의 편평한 지지면(b2)과 이에 대응하는 홈의 편평한 지지면(b2') 사이에 0.00065 인치의 중간값 간극을 설정하도록 지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밀링 카터의 강도가 증가되고, 그럼으로써 홈 접촉면의 위치 사이에서 엄밀한 치수적 관계의 제어를 개선되도록, 반경(R7)과 접촉 길이(l2)를 희생하여 홈 최하측 목부(24)의 폭(w2)을 증가시켰다. 더욱이, 헐거운 끼워맞춤 상태하에서 홈 근방의 로터에 존재하는 피크 응력이 감소되도록 반경(R3)을 증가시켰다. 상대적 크기는 비로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한데, 폭(w1)에 대한 폭(w2)의 비는 약 0.69이고, 폭(w1)에 대한 루트의 반경(R2)의 비는 약 0.15이며, 폭(w1)에 대한 홈의 반경(R3)의 비는 약 0.15이고, 폭(w1)에 대한 루트의 반경(R6)의 비는 약 0.08이고, 폭(w1)에 대한 홈의 반경(R7)의 비는 약 0.12이고, 폭(w1)에 대한 길이(l1)의 비는 약 0.13이고, 폭(w1)에 대한 길이(l2)의 비는 약 0.10이다. 또한, 길이(l1)에 대한 길이(l2)의 비는 약 0.76이며, 루트의 반경(R2)에 대한 홈의 반경(R3)의 비는 약 1.0이며, 루트의 반경(R6)에 대한 홈의 반경(R7)의 비는 약 1.55이다. 그리고, 루트의 반경(R2)의 길이는 약 0.0655인치(1.66mm)이며, 홈의 반경(R3)의 길이는 약 0.0667인치(1.69mm)이며, 루트의 반경(R6)의 길이는 약 0.0341인치(0.866mm)이며, 홈의 반경(R7)의 길이는 약 0.0528인치(1.34mm)이며, 길이(l1)의 시점(P4)은 0.26301227(X좌표)과 -0.12263500(Y좌표)에 위치하며, 종점(P5)은 0.31579521(X좌표)과, -0.14724616(Y좌표)에 위치하고, l1의 길이는 약 0.058인치(1.47mm)이며, l2의 길이는 약 0.044인치(1.22mm)이다.
편평한 지지면(b1, b2)의 양자는 횡방향 평면에 대해 25°에 있다. 더욱이,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기준점들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좌표계를 결정함에 있어서, 루트 중앙선(CL)을 Y축으로 정하고, X축은 Y축과 편평한 지지면(b1)의 교차점에 의해 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2개의 편평한 지지면(b1)을 포함하는 평면이 점(0)에서 Y축과 교차하고, 그 점에서 Y축에 수직하게 그린 선이 X축을 제공한다.
제 4 도는 루트(10)의 상대적인 치수를 도시하고 있다. 최상측 목부(20)의 폭(w1)과 최하측 목부(24)의 폭(w2)의 비는 약 0.69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루트(10)의 높이(h)는 약 0.948인치(24.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w2)은 약 0.3095인치(7.861mm)이고, 폭(w1)은 약 0.4475인치(11.367mm)이다. 높이(h)에 대한 폭(w2)의 비는 약 0.33이고, 높이(h)에 대한 폭(w1)의 비는 약 0.47이다. 루트와 홈 사이의 공차가 작기 때문에, 대응하는 홈의 각종 부분 사이의 관계는 대략 동일하다.
지지면(b1, b1')(b2, b2') 사이의 접촉 길이(l1, l2) 또는 영역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편평한 지지면에 평행하게 측정한다. 제 5 도는 홈에 끼워맞춤된 루트를 도시하며, 하기의 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의 치수는 루트의 치수에 매우 근접한다.

Claims (6)

  1. 루트와 홈이 공통의 중심선을 갖도록 루트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최상측의 목부와; 상기 최상측 목부 아래에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최상측의 러그로서, 시점과 종점에 의하여 길이가 규정되는 편평한 지지면(b1)과, 상기 지지면(b1)의 시점과 공존하는 종점에 의하여 원호 길이가 규정되는 반경(R2)의 둥근 곡면(s1)을 상기 중심선의 양쪽에 가지며, 상기 지지면(b1)은 시점과 종점에 의해 규정되는 홈의 대응하는 편평한 지지면과 면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종점은 상기 시점보다 중심선으로부터 먼 수평 거리에 있으며, 상기 홈은 반경(R3)의 둥근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둥근 곡면의 원호 길이는 상기 홈 지지면의 종점과 공존하는 시점에 의하여 규정되고, 상기 루트 지지면(b1)과 상기 홈 지지면 사이의 접촉 영역은 상기 홈 지지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루트 지지면의 종점까지 길이(l1)에 걸쳐 연장하는 최상측 러그와; 상기 최상측 러그 아래에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최하측 목부와; 상기 최하측 목부 아래에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된 최하측의 러그로서, 시점과 종점에 의하여 길이가 규정되는 편평한 지지면(b2)과, 상기 지지면(b2)의 시점과 공존하는 종점에 의하여 원호 길이가 규정되는 반경(R6)의 둥근 곡면(s2)을 상기 중심선의 양쪽에 가지며, 상기 지지면(b2)은 시점과 종점에 의해 규정되는 홈의 대응하는 편평한 지지면과 면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종점은 상기 시점보다 중심선으로부터 먼 수평 거리에 있으며, 상기 홈은 반경(R7)의 둥근 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둥근 곡면의 원호 길이는 시점과 종점에 의하여 규정되고, 상기 종점은 상기 홈 지지면의 종점과 공존하며, 상기 루트 지지면(b2)과 상기 홈 지지면 사이의 접촉 영역은 상기 홈 지지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루트 지지면의 종점까지 길이(l2)에 걸쳐 연장하는 최하측 러그를 포함하며, 길이(l1)에 대한 길이(l2)의 비는 약 0.76이며, 루트의 반경(R2)에 대한 홈의 반경(R3)의 비는 약 1.0이며, 루트의 반경(R6)에 대한 홈의 반경(R7)의 비는 약 1.55인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는 높이(h)를 갖고, 상기 최상측 목부 및 최하측 목부는 각기 폭(w1, w2)을 가지며, 폭(w1)에 대한 폭(w2)의 비는 약 0.69이며, 폭(w1)에 대한 높이(h)의 비는 약 2.12이며, 폭(w1)에 대한 길이(l1)의 비는 약 0.13이며, 폭(w1)에 대한 루트의 반경(R2)비는 약 0.15이며, 폭(w1)에 대한 루트의 반경(R6)의 비는 약 0.08인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3. 제2항에 있어서, 높이(h)는 약 0.948인치(24.08mm)이며, 폭(w2)은 약 0.3095인치(7.861mm)이며, 폭(w2)은 약 0.4475인치(11.367mm)인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편평한 지지면(b1, b2)은 상기 중심선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 대하여 약 25°로 경사지는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5. 제1항에 있어서, 길이(l1, l2) 및 반경(R2, R3, R6, R7)은 X축 및 Y축을 갖는 좌표점 형태로 규정되고, 상기 Y축은 중심선에 대응하며, 상기 X축은 상기 중심선의 양쪽에서 길이(l1)를 둘러싸는 2개의 평면과 상기 중심선간의 교차점에서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그린 선으로 규정되는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6. 제5항에 있어서, 루트의 반경(R2)의 길이는 약 0.0655인치(1.66mm)이며, 홈의 반경(R3)의 길이는 약 0.0667인치(1.69mm)이며, 루트의 반경(R6)의 길이는 약 0.0341인치(0.866mm)이며, 홈의 반경(R7)의 길이는 약 0.0528인치(1.34mm)이고, 길이(l1)의 시점은 0.26301227(X좌표)과 -0.12263500(Y좌표)에 위치하며, 종점은 0.31579521(X좌표)과 -0.14724616(Y좌표)에 위치하고, l1의 길이는 약 0.058인치(1.47mm)이며, l2의 길이는 약 0.044인치(1.22mm)인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KR1019930004521A 1992-03-24 1993-03-23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KR100270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56,997 US5176500A (en) 1992-03-24 1992-03-24 Two-lug side-entry turbine blade attachment
US856,997 1992-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992A KR930019992A (ko) 1993-10-19
KR100270342B1 true KR100270342B1 (ko) 2000-11-01

Family

ID=2532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4521A KR100270342B1 (ko) 1992-03-24 1993-03-23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76500A (ko)
JP (1) JPH0610606A (ko)
KR (1) KR100270342B1 (ko)
CA (1) CA2092273C (ko)
ES (1) ES2070720B1 (ko)
IT (1) IT12633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0285A (en) * 1993-08-23 1996-0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Steam turbine blade
DE4435268A1 (de) * 1994-10-01 1996-04-04 Abb Management Ag Beschaufelter Rotor einer Turbomaschine
US5474423A (en) * 1994-10-12 1995-12-12 General Electric Co. Bucket and wheel dovetail design for turbine rotors
US5494408A (en) * 1994-10-12 1996-02-27 General Electric Co. Bucket to wheel dovetail design for turbine rotors
US5531569A (en) * 1994-12-08 1996-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Bucket to wheel dovetail design for turbine rotors
DE19607230C1 (de) * 1996-02-27 1997-02-20 Walt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bogenförmiger Nuten und Werkzeug dazu
US6302651B1 (en) * 1999-12-29 2001-10-1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Blade attachment configuration
US8079817B2 (en) * 2004-02-10 2011-12-20 General Electric Company Advanced firtree and broach slot forms for turbine stage 3 buckets and rotor wheels
US7905709B2 (en) * 2004-02-10 2011-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Advanced firtree and broach slot forms for turbine stage 1 and 2 buckets and rotor wheels
EP1584792A1 (de) * 2004-04-08 2005-10-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ufelbefestigung für einen Verdichter oder eine Turbine
US7261518B2 (en) * 2005-03-24 2007-08-28 Siemens Demag Delaval Turbomachinery, Inc. Locking arrangement for radial entry turbine blades
US8038404B2 (en) * 2007-07-16 2011-10-18 Nuovo Pignone Holdings, S.P.A. Steam turbine and rotating blade
KR20120129963A (ko) * 2010-08-06 2012-11-28 생-고벵 아브라시프 작업편 내의 복잡한 형상을 마무리 가공하기 위한 연삭 공구 및 방법
EP2436883A1 (en) 2010-09-29 2012-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Blade root, particularly of a turbine blade, a blade, and a turbomachine assembly
EP2762676A1 (en) * 2013-02-04 2014-08-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Turbomachine rotor blade, turbomachine rotor disc, turbomachine rotor, and gas turbine engine with different root and slot contact face angles
EP3093441B1 (en) * 2015-05-12 2019-07-10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Turbo engine rotor comprising a blade-shaft connection, and blade for said rotor
US10830065B2 (en) 2015-06-02 2020-11-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ttachment system for a turbine airfoil usable in a gas turbine engine
CN110685752A (zh) * 2019-10-09 2020-01-14 东方电气集团东方汽轮机有限公司 一种大型汽轮机动叶片叶根及其轮槽型线
US11794830B2 (en) * 2021-01-22 2023-10-24 Caterpillar Inc. Sprocket locking segmen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1509A (en) * 1977-12-27 1980-03-0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Rotor blade attachment
GB2030657B (en) * 1978-09-30 1982-08-11 Rolls Royce Blade for gas turbine engine
US4692976A (en) * 1985-07-30 1987-09-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making scalable side entry turbine blade roots
US4824328A (en) * 1987-05-22 1989-04-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rbine blade attachment
GB2238581B (en) * 1989-11-30 1994-01-12 Rolls Royce Plc Improved attachment of a gas turbine engine blade to a turbine rotor disc
US5147180A (en) * 1991-03-21 1992-09-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Optimized blade root profile for steam turbine bla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70720B1 (es) 1997-10-16
ES2070720R (ko) 1997-04-01
US5176500A (en) 1993-01-05
CA2092273A1 (en) 1993-09-25
IT1263340B (it) 1996-08-05
CA2092273C (en) 2004-07-13
ITPD930060A0 (it) 1993-03-17
JPH0610606A (ja) 1994-01-18
ITPD930060A1 (it) 1994-09-17
KR930019992A (ko) 1993-10-19
ES2070720A2 (es) 199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342B1 (ko) 홈을 구비하는 로터에 블레이드를 부착하기 위한 루트
US5147180A (en) Optimized blade root profile for steam turbine blades
US6450769B2 (en) Blade assembly with damping elements
US5832803A (en) Tooth structure of a bandsaw blade
EP1219782B1 (en) Bladed rotor assembly
DE60031027T2 (de) Selbstsichernder Schwingungsdämpfer für Turbinenschaufeln
US5211540A (en) Shrouded aerofoils
US5160242A (en) Freestanding mixed tuned steam turbine blade
US4722668A (en) Device for damping blade vibrations in turbo-machines
KR100225242B1 (ko) 터어빈 로터 블레이드
CN101008322B (zh) 平衡飞重、装有平衡飞重的转子盘、转子和装有这些部件的航空发动机
RU230370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оединения типа "ласточкин хвост" лопатки и рабочего колеса для ротора турбины
JP2006312942A (ja) ダブテール・ジョイント
KR950006195A (ko) 증기 터빈 블레이드
EP0274978B1 (en) Multiple lug blade to disk attachment
KR100936566B1 (ko) 터빈의 고정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방법 및 터빈 구조체
EP1698760B1 (en) Torque-tuned, integrally-covered bucket and related method
KR19980041959A (ko) 볼엔드밀용 스로어웨이팁
CN102459819A (zh) 用于轴流式涡轮机的动叶片和用于动叶片的装配装置
US5580218A (en) Bladed rotor
US3353788A (en) Bladed rotor for a fluid flow machine
JP3315183B2 (ja) タービン動翼の連結装置
EP0353447A1 (en) Side-entry grooves for mounting turbine blades
CN218093908U (zh) 一种轴套
US11753950B2 (en) Rotor blade with blade root contour having a straight portion provided in a concave contour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