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240B1 -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240B1
KR100269240B1 KR1019970077731A KR19970077731A KR100269240B1 KR 100269240 B1 KR100269240 B1 KR 100269240B1 KR 1019970077731 A KR1019970077731 A KR 1019970077731A KR 19970077731 A KR19970077731 A KR 19970077731A KR 100269240 B1 KR100269240 B1 KR 10026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onent
components
surface mount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7665A (ko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1997007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24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2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the monitor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mounting machine, e.g. for monitoring components, leads, component plac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부품 소자를 촬상하여 영상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이와 연결된 모니터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품의 영상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로부터 소망하는 부품범위를 설정하여 부품정보 추출장치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부품의 정보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부품의 정보값으로부터 추출된 부품의 정보값을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실장기에서 인쇄회로기판등에 실장될 부품의 사전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방법이 개선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시 부품의 입력이 요구되는 자료가 미비시에도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부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품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의 사전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이 개선된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는 IC 칩이나 저항 칩과 같은 소형의 전자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하는 장치이다. 이것은 부품공급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자 부품을 직교좌표상에의 임의의 위치점으로부터 평면, 승강 및 회전운동이 가능한 XY 로봇에 장착된 헤더의 노즐부에 흡착하고, 컨베이어상으로부터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상의 부품 장착부에 실장한다.
이처럼 전자 부품이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되기 위해서는 부품의 사전 정보의 입력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표면실장기는 XY 로봇과 인쇄회로기판상의 부품 장착부의 상호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사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필요한 부품의 사전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로는 부품의 크기, 부품의 리이드수, 각 리이드의 폭과 길이, 피치, 부품의 중심점에서 리이드간의 거리등이 있다. 상기 나열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XY 로봇이 인쇄회로기판상의 부품 장착부상에 이동하기 위한 위치 및 회전 각도를 계산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사전 부품 정보의 입력을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장비에 입력하는 MMI(man-machine-interface)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 방식은 사전에 부품의 정보를 일일이 입력한 다음에, 입력된 부품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 장치에 저장하였다가 추후 공정에서 부품을 인식하거나 장착시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부품의 정보를 입력시 부품의 크기, 리이드수, 피치등의 상세한 정보가 리스트화된 자료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료가 분실도거나 상기 부품을 제조한 업체에서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육안에 의하여 부품의 치수를 측정하거나, 캘리퍼등과 같은 간이 측정구를 이용하여 계산된 값을 입력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부품 정보의 입력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부품 장착부상에 제대로 실장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된 값을 여러번 수정해야 하는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표면실장기에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상의 부품장착부에 실장하기 위하여 사전에 입력하는 부품의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가능하도록 방법이 개선된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카메라부
20. 영상 메모리부
30. 모니터부
40. 부품정보 추출장치
50. 데이터 베이스 장치
60. 저장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은, 부품 소자를 촬상하여 영상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이와 연결된 모니터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품의 영상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로부터 소망하는 부품범위를 설정하여 부품정보 추출장치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부품의 정보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부품의 정보값으로부터 추출된 부품의 정보값을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품정보 추출장치는 프로젝션법 또는 템플리트 매칭법등의 영상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부품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기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품공급장치로부터 이송된 부품(100)은 그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부(10)에 의하여 촬상된다. 상기 카메라부(10)에 의하여 촬상된 부품(100)의 형상은 카메라부(10)에 연결된 영상 메모리부(20)에 저장된다. 상기 영상 메모리부(20)는 상기 부품(100)의 형상을 저장하고, 그 저장된 부품(100) 영상을 모니터부(3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전송한다.
여기에서, 작업자는 상기 모니터부(30)에 디스플레이되는 부품(100)의 영상을 보면서 상기 부품(100)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부품(100)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데이터 베이스 장치(50)에 입력된 여러 가지 추출할 정보중 소망하는 부품(100)의 정보에 해당되는 범위를 지정한다. 이렇게 지정된 범위내에서 부품(100)의 정보, 예컨대, 리이드의 폭, 길이, 리이드간의 간격등을 부품정보 추출장치(40)의 다양한 영상처리방법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품(100)의 정보를 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영상처리기법이 필요한데, 표면실장방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젝션(projection)법이나, 템플리트 매칭(template matching)법등이 부품정보의 추출방법으로서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품정보 추출장치(40)로는 비전(vision) 장치가 이용되어 상기 부품(100)의 사전정보를 처리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부품(100)의 정보는 작업자가 작업이 용이하게 분류된 상태로 저장 장치(6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장치(40)에는 작업자의 입력 조건에 따라서 저장된 부품의 정보를 검색 및 수정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면실장기는 부품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부품(100)의 사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영상 메모리부(20)에서 상기 부품(100)의 형상을 저장하고, 이 영상으로부터 작업자는 부품정보 추출장치(40)를 이용하여 원하는 부품(100)의 지정 범위를 설정하여 영상처리기법으로 측정하게 된다.
이 측정된 값은 평면, 승강 및 회전운동하는 XY 로봇에 장착된 헤더의 노즐부에 흡착된 부품이 컨베이어상에 공급되는 인쇄회로기판의 부품 장착부상에 정확하게 일치가능하도록 초기의 설정값으로서 주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은 표면실장기에서 인쇄회로기판등에 실장될 부품의 사전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방법이 개선됨으로써, 작업자가 작업시 부품의 입력이 요구되는 자료가 미비시에도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부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부품 소자를 촬상하여 영상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이와 연결된 모니터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부품의 영상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로부터 소망하는 부품범위를 설정하여 부품정보 추출장치로부터 추출하고자 하는 부품의 정보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정된 부품의 정보값으로부터 추출된 부품의 정보값을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정보 추출장치는 프로젝션법 또는 템플리트 매칭법등의 영상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부품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KR1019970077731A 1997-12-30 1997-12-30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KR10026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731A KR100269240B1 (ko) 1997-12-30 1997-12-30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731A KR100269240B1 (ko) 1997-12-30 1997-12-30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665A KR19990057665A (ko) 1999-07-15
KR100269240B1 true KR100269240B1 (ko) 2000-10-16

Family

ID=1952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731A KR100269240B1 (ko) 1997-12-30 1997-12-30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2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665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19696B (zh) Pcb阻焊开窗方法及pcb激光开窗机
US20090046921A1 (en) Pick and place machine with improved component pick up inspection
JP2007184450A (ja) 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の実装方法
JP2003086996A (ja) 基準マーク検索方法および装置
KR100269240B1 (ko) 표면실장기의 부품정보 추출방법
WO2018235186A1 (ja) 対基板作業装置
KR100769529B1 (ko) 기판 정렬 방법 및 장치
JP2633147B2 (ja) 部品実装方法
JP2707548B2 (ja) 視覚認識装置の座標補正方法
EP3370493B1 (en) Base plate position search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machine
KR100880172B1 (ko) 플라잉 방식의 레진 디스펜싱 방법 및 장치
KR100258950B1 (ko) 부품 실장기의 위치설정방법
KR20210101090A (ko) 픽 앤 플레이스 머신의 위치 보정장치 및 방법
JP6407433B2 (ja) モデルデータ作成装置、モデルデータの作成方法、搭載基準点決定装置、搭載基準点の決定方法
KR100439713B1 (ko) 정밀위치작업장치 및 그 캘리브레이션방법
KR100586449B1 (ko) 피더 정밀도 교정 방법
McWalter Machine vision boosts PCB assembly processes
WO2019058475A1 (ja) シェイプデータ類比判定装置
JP2935072B2 (ja) プリント回路板の半田付外観検査制御データ作成装置
KR19980039100A (ko) 부품의 클린칭 방향을 이용한 미삽 검사장치 및 방법
JPH038400A (ja) プリント基板の位置補正方法
JP2005181155A (ja) 検査測定装置及び検査測定対象物の検査測定方法
JPH08127115A (ja) クリームはんだ印刷装置
JP2002216130A (ja) 画像認識方法と画像認識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3005054B2 (ja) 画像位置決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7